아들 관련 사항 /남이장군 관련자료

의령남씨 南將軍諡狀 관련자료

아베베1 2019. 10. 3. 04:40


 


性齋先生文集卷之三十二 / 諡狀

南將軍諡狀 a308_639a 편목색인

      
大司馬將軍南公諱怡。始祖諱敏本姓金。初諱忠。中朝鳳陽府人。唐天寶中。以按廉使使日本。漂到新羅禮州。州今寧海。願留居焉。景德王賜姓南。改名敏。封毅英公。食邑英陽縣。八世祖諱君甫。高麗樞密直副使。封宜寧君。始以宜寧爲貫鄕。高祖諱謙。我太祖賜名在。官領議政。有開國勳。襲封宜寧君諡忠景。配享太祖廟庭。號龜亭。曾祖諱景文兵曹議郞。贈領議政。祖諱暉尙太宗第四女貞善公主。是曰宜山尉。當國家草刱之際。屢建奇功。封宜山君。駙馬封君。世所罕有。卒贈諡昭簡。考諱份主簿。妣南陽洪氏。以世宗二十五年癸亥生將軍。六歲遊戲階庭。族家女奴來候母夫人。傍柱而坐。將軍擧柱揷裙幅。奴辭退欲起。疑其神怪。夫人笑曰兒戲耳。叱令擧柱釋之。將軍少孤。產業剝落。無以爲家。有臧獲在湖南。豪悍不服役。將軍自往刷之。時年十三。奴輩易之。及覩其威儀。莫敢違令。收得綿布屢百匹。載而㱕。日暮失路。四顧無人家。忽見一童子自林間出曰有村不遠。我爲先路。將軍從。行六七里。山回谷轉。有大屋如官府。堂上坐魁傑老夫。傍列美女。庭多徒御。延客欵接如舊識。數數流眄。頗有猜嫉之意。旣擧燭。令童子引而置之別舍。臨臥有少女以主人之言來侍。夜深女泫然呑聲。附耳語曰我乃良家子。爲強暴所掠到此。此主人卽大賊。聚徒屢百。據此洞。鉤入過客行商。盡殺之奪其財。脅其從者爲黨。今郞僕從。已被毒酒。囚在地牢。行槖盡入樓庫。禍且至矣。或俟客睡熟絞之。或饋酒酖之。或雜燒毒草砒礵。穴壁熏入。每令小女伺候之。小女怯於強令。爲此者有年矣。而未得一遇好客。忍而至今矣。俄者窃聞老賊亟稱郞君英兒可惜。小女始認郞君爲人傑。是以告之。惟郞君圖之。今夜當用火熏。曰第多將冷水來。卽裂衣苴其鞋。使不搖。耳塞絮口含水。屛息假寐。小女旣出。旋有煙熏羃室。令人氣悶。終亦無恙。天將曉。一賊謂已死。開戶而入。將軍以鞋尖蹴之。又入者又蹴之。連殺三賊。賊大駭發喊。老賊驚起。將軍直入堂中。拳敺老賊仆之。賊徒大噪。如墻而進。將軍手格殺數十人。衆賊慴伏。莫敢復起。於是將軍坐堂上。盡召其衆。究問行止。其尤無良不可令者。皆斬之。脅從者聽其自㱕。良家女各令還家。閱其庫藏。錦帛錢穀牛馬軍器。一一錄籍。沒入縣官。只收所帶人馬行李以歸。由是名動一國。婦孺皆稱南將軍。年十五猶緫角出遊街上。見一小婢戴竹笥。有粉頭女鬼坐笥上。怪之施從其所之。入巷南巨室。少頃老靑衣號哭而出曰主家第四娘子。先食某家所饋柹子而暴死。將軍曰我入見則可活。其家不信。久而可。將軍入見。粉頭鬼方据胷。見將軍走匿。已而娘子甦。將軍出。娘子復死。如是者三。主人卽翼平公權擥也。延入座問故。將軍具以所見對。遂用禁邪諸方治之。卒無事。翼平遂以其女妻之。翼平有所乘駿馬。他人則蹄齧不受乘。將軍試乘之。直往朴淵。半日而還。馬流汗如漿。將軍告翼平曰此馬翁可乘之。恨其弱劣。不中戰陣之用。後於陽城路。逢販塩者赤馬瘦而瘡。以重直買之。每有患難。馬輒隨其緩急。一鳴再鳴三鳴以警之。世祖五年。年十七登武科。拜宣傳官。時有虎翼而飛入城市。殺傷民物。無可奈何。上患之。問誰可捕者。僉曰南怡十許歲殺大賊。驍勇善騎射。非此人莫可。上曰唯。於是命大張軍容。設帳殿於山巓。使衡鹿跡之。虎方隱於終南外麓。將軍騎赤馬馳入虎前。一箭射中後股。虎略不動。又以一箭射中腰脅。虎吼聲振陵谷。張牙露爪。直向將軍。將軍故盤馬却走。稍稍引至帳殿下。翻身背射。箭從虎口入。洞貫腹尾。虎愈怒作氣咆哮。將軍更以丈許之矛。刺而殪之。諸軍色奪。觀者辟易。上大奇之。特命不次超擢。十三年丁亥。二十五歲。吉州賊李施愛殺北靑節度使及巡察使申㴐。長驅南向。數日之間。北方郡縣。爭殺長吏以應之。中外騷動。京師戒嚴。上命龜城君浚爲元帥。魚有沼爲副將軍。領獅子衛顔行。踣賊于北靑。追之居山之北大戰。斬獲無筭。擒施愛兄弟戮之。傳首京師。其先奪鍾介洞麻訖嶺山寨。傍海十五里連營者。將軍之功爲多。捷奏。上手書賜浚曰。汝旣成大功。汝不可獨鎭北方。聞南怡最現勇敢。特陞堂上。以勵諸將。使之領兵一千。留屯鍾城。而穩城,慶興,慶源諸邑咸屬焉。是年八月。皇帝勑諭助征建州衛李滿注。上命康純,魚有沼領兵一萬前往。特令將軍自屯所率所部軍赴會。大軍齊渡鴨綠。將軍先驅直抵建州東北婆豬江兀彌府諸寨。擣其巢穴。斬滿注,古納哈父子。焚其屯落積聚。乃斫大樹。白而書曰某年月日。朝鮮大將康純,魚有沼,南怡等滅建州。天兵後至。見白書以聞。帝嘉之。明年春。上遣陪臣高台弼獻俘。帝飭大監姜玉,金輔玉寵賚之。是役也。諸軍連營露宿。天無雲。星河皎皎。將軍令軍中伐荻作笆。多積薪柴。曰明將大雪。有沼不之信。及曉雪深牛目。軍中以有備免凍。副帥軍皆來附見活。有沼深加嘆服。然內實忌之。行過白頭山。題詩絶頂曰白頭山石磨刀盡。豆滿江波飮馬無。男兒二十未平賊。後世誰稱大丈夫。次吉州某坡堡。堡西石崖矗立數十丈。吏云石中有妖魔能禍福人。大爲民患。將軍手鐵椎碎之。魔遂絶。因號其堡爲將軍坡。凱旋。策勳第一。除承旨。封宜山君。未幾擢拜兵曹判書。年二十六將軍竗齡。負大功重名。一歲中超遷至上卿。人多惎之。知中樞韓繼禧啓曰怡麤悍。不宜典禁兵。遞付大護軍。戊子九月。世祖昇遐。睿宗新嗣位。將軍直禁中。夜見彗星。與同僚論災異曰彗所以除舊布新。此在左氏傳。柳子光素忌嫉將軍之名位出己右。是日隔壁聽之。仍敷衍捏誣。密啓南怡謀反。又改白頭山詩數字以爲證 平賊改以得國。 卽日逮鞫。朝廷寃之者衆。然當路皆忌之。一無救解。或有下石者曰怡殺人多。又有叛狀。今不誅必有後患。或陰嗾刑官速殺之。及就訊。對曰臣少業弓馬。卒然邊境事急。以身殉國。是臣素蓄也。臣若懷二心。不以握兵居外時。而顧待今日耶。在囚凡五日。杖訊烙刑。軆無完膚。脛骨已折。猶匍匐拜跪。供招不亂。強問黨與。乃張目視康純曰純與知臣謀。純以首相方侍上。左右卽拿下栲掠。純顧謂曰吾與若無㤪。胡乃誣引。將軍笑曰公爲首相。知吾無罪而不能救。罪固當死。純默然。純年八十不任杖。服曰當如怡言。遂與將軍同受戮。國人至今憐之。世傳將軍之始逮捕也。子光慮其勇力。纏以鐵索。圍以木柵而行。旣至。將軍奮身起立。鐵鎖寸斷。而倐忽超升屋脊呼曰。吾之負枉。天實鑑臨。吾若不就刑。人敢誰何。吾所爲此。要使若屬知吾勇力足可不死。特死於君命爾。所恨大丈夫乃爲子光纖兒所搆殺。時子光在座。縮首嚼指。戰掉無人色。將軍遂還下就鞫。瞑目結舌。任其施杖。如土木偶。不發痛楚聲。將軍無子。南陽大田。有將軍塚。無人守護。六世再從旁孫藥泉相公九萬修其墓。爲文祭之曰。將軍出自綺紈。天賦神勇。志烈金石。忠貫日月。遭遇聖明。弱齡登朝。旣勦反賊於北路。亦揃逆胡於建州。策勳本朝。受奬皇明。壯略英聲。振動華夷。不意見螫含沙。殞身非辠。深寃至痛。實有籲天而無從者。純祖十八年。將軍之旁后孫右議政公轍建白於筵中。上特許伸雪。復其官爵如故。二十一年。將軍之弟怊之十二世孫翊權等。上書言昭簡禮當不祧。而怡之罹禍以後。昭簡之祀忽諸。請倣古殷及之禮。上許之。令翊權立昭簡廟。奉祀不絶也。翊權之子昞元。與其族人憲模請余狀其行。辭非其人。去而復來者五反。曰不得子之文不休。不獲已謹述桐巢公夏正氏所爲傳。以俟節惠握管之君子採焉

   海左先生文集卷之三十九 / 傳

南將軍 a240_197c 편목색인

[DCI]ITKC_MO_0549A_0400_010_0040_2005_A240_XML DCI복사 URL복사
南怡者。其先宜寧人。大父暉。尙太宗女貞善公主。生份。份生怡。怡膂力絶人。能超地數十尺。早孤貧。童子時。往刷臧獲之在遠方者。稇載而歸。會日暮。誤入山谷中。迺賊巢也。賊酋逢迎。酒食甚欵。夜誘怡閉別室。穴壁爇毒草。欲薰殺之。因奪其槖中貲。怡覺之。割衣絮塞鼻。含水口內。得無?。天明。賊意謂怡已死。一賊開戶入。怡踢殺之。又一賊入。又踢殺之。連三踢。殺三賊。賊大駭。一峒賊皆起譟而前。怡手格殺數十人。賊慴伏莫敢枝梧。遂斬賊酋及其徒之尤凶强者。餘皆諭使去爲民。婦人之被掠者。訪其家遣還。錄馬牛粟帛。報縣官迺歸。於是名聞國中。人皆呼怡爲南將軍。怡年十四五。猶丱角。賈勇街道上。翼平公權擥。見而奇之。妻以女。世祖五年。登武科。拜宣傳官。時年十七。有虎入城市食人。人莫敢櫻者。有以怡勇力聞。上召怡前。使格虎。車駕親臨觀。怡策馬至虎所射之。虎騰赴怡。怡故盤馬前却。引虎至上前。迺復射之。矢入虎口出其背。遂下馬手格以斃。一軍大譟。上大悅。由是。不次擢用矣。十三年夏。賊李施愛以吉州叛。殺節度使及巡察使。聲言犯京師。旁郡縣爭殺長吏以應。京師戒嚴。上以南浚爲元帥。魚有沼副之。怡以衛將居前。遇賊于北靑敗之。追至鉅山北。大戰斬施愛。傳首京師。上手書賜浚曰。爾其留鎭北方。分諸將屯戍。南怡最勇敢。特陞通政資。賜表裏。其令怡領一千兵屯鍾城。兼察穩城慶興慶源諸防戍。是年秋。明皇帝勅我國助征建州賊李滿注。上命康純魚有沼。領兵一萬前去。令怡自屯所率所部兵赴戰。諸軍旣渡鴨綠江。怡先馳抵建州。直搗巢穴。斬李滿注。盡焚其屯落積聚。振旅還。遣使獻俘燕京。帝降勑嘉奬。賞賚諸將。以酬勞。方大軍赴建州。甞野宿。天無雲月明。怡下令軍中。編蘆葦積薪樵。人問其故。怡曰。明日必大雪。不可無備。衆未之信。曉果雪深丈餘。令軍中用編葦遮風雪。爇薪以捄寒。諸營軍皆來附火。衆廼皆服。策勳怡居第一。拜承旨。封宜山君。亡何。擢拜兵曹判書。時年二十六。當是時。怡少年立大功。名振一世。超遷至上卿。人多忌之者。韓繼禧白上言。怡鹿悍。不宜典禁兵。遂遞付大護軍。時十四年戊子也。九月。世祖昇遐。睿宗新卽位。會彗星見。怡直禁中。指謂同僚曰。此除舊布新之象。其說在左氏傳。柳子光尤素忌怡。聞其言。遂誣告謀叛。先是。怡登白頭山。有詩曰。白頭山石磨刀盡。豆滿江流飮馬無。男兒二十未平賊。後世誰稱大丈夫。因改竄數字以證之。命逮鞫怡。廷臣多寃之者。而畏子光不敢言。希子光旨者。又蜚語謂怡有叛相。不誅有後患。又陰囑推官使速殺。方栲訊對曰。臣業弓馬。邊境有難。以身殉國。臣之志也。臣果欲叛。顧不任握兵居外之日。而待今日乎。問黨與。仰視康純曰。彼與知謀。卽鞫純。純顧怡曰。若誣我何。怡笑曰。吾被誣且死。而公爲首相不能救。罪固當死。純無以應。遂與純同日死。世傳怡被逮也。子光慮怡逸。用鐵索束縛。緹騎圍而至。旣至獄。怡奮迅。鐵索盡斷。騰而上屋顚。號曰。吾若不就死。誰敢捕我。吾所以爲此。使國人。知吾足以不死。而特死於君命耳。獨恨大丈夫爲子光小竪所構殺。遂下就鞫。合眼受刑。不作痛楚狀。吉州有將軍坡。土人傳言坡西石崖中。有妖禍福人爲民患。南將軍怡以鐵椎。椎碎石崖。妖遂絶。至今猶鐵着崖。坡名將軍以此云。金尙書時讓所著荷潭錄曰。怡之獄誣告及鍛獄者皆錄勳。子孫享其利。怡死至今無爲辨其寃者。可悲也。怡無子。墓在南陽府治北大田里。父老指說爲將軍塚。肅宗庚寅。南相九萬。爲修治其墓。爲文以祭。文在南相遺集中。


 

 연려실기술 제6권 / 예종조 고사본말(睿宗朝故事本末)

남이(南怡)의 옥사(獄事)

[DCI]ITKC_BT_1300A_0070_010_0020_2000_002_XML DCI복사 URL복사
성화(成化) 4년 무자에 남이와 강순(康純)이 반역을 도모하다가 처형되었다. 신숙주 등 36명을 공신으로 녹(錄)하고 그 칭호를 익대 공신(翊戴功臣)이라 하였다. 유자광(柳子光)은 후에 공신의 명부에서 삭제되었다. 《고사촬요》
○ 남이는 의산위(宜山尉) 휘(暉)의 아들이고 태종의 외증손이다. 용맹이 특별히 뛰어나서 이시애(李施愛)와 건주위(建州衛)를 정벌할 때에 선두에서 힘껏 싸웠으므로 1등 공으로 책정되고, 세조가 벼슬 등급을 뛰어 병조 판서로 임명하였더니, 당시 세자이던 예종은 그를 몹시 꺼리었다. 이때에 와서 예종이 새로 왕위에 올랐는데, 때마침 하늘에 혜성이 나타났다.남이는 대궐 안에서 숙직하다가 다른 사람과 말하기를, “혜성은 곧 묵은 것을 제거하고 새로운 것을 배치하는 형상이다.” 하였다. 유자광은 평소에 남이의 재능과 명성과 벼슬이 자기 위에 있는 것을 시기했는데, 이날 또한 대궐에 들어와 숙직하다가 벽을 사이에 둔 가까운 곳에서 그 말을 엿들었다. 곧 그 말에 거짓을 꾸며 보태어, 남이가 반역을 꾀한다고 은밀히 아뢰어 옥사가 일어나고 마침내 처형되었으니, 이때 남이의 나이는 28세였다. 《국조기사》 《동각잡기》
○ 어떤 사람이 남이가 공주(그의 어머니)와 관계하였다고 밀고하여 감옥에 가두었는데, 이내 반역을 꾀했다는 죄명으로써 그를 사형시켰다. 부계기문(涪溪記聞)
○ 남이가 일찍이 시를 지었는데 그 시에,

백두산 돌은 칼을 갈아 다 없애고 / 白頭山石磨刀盡
두만강 물은 말을 먹여 없어졌네 / 豆滿江波飮馬無
사나이 스무살에 나라 평정 못 한다면 / 男兒二十未平國
뒷 세상에 그 누가 대장부라 이르리요 / 後世誰稱大丈夫

하였다. 그 말 뜻이 발호(跋扈)하여 평온한 기상이 없으니 화를 면하기가 어려웠다. 《지봉유설》
○ 남이가 국문을 당할 때에 강순(康純)이 영의정의 직책으로서 들어와 참관하였는데 남이가 “강순도 이 모의에 간여했습니다.” 하였다. 강순이 말하기를, “신은 본래 평민으로서 밝으신 임금을 만나 벼슬이 정승에까지 이르렀는데 또 무엇을 구하려고 남이의 역모에 간여했겠습니까.” 하니, 임금은 그렇게 여기었다.남이가 다시 아뢰기를, “전하께서 그의 숨기는 말을 믿으시고 죄를 면해 주신다면 어찌 죄인을 찾아 낼 수 있겠습니까.” 하였다. 임금이 강순도 국문케 하니 강순은 나이 이미 80세였으므로 고문을 견뎌 내지 못하고 자복하여 남이와 함께 죽었다. 그가 부르짖기를, “남이야, 네가 나에게 무슨 원한이 있기에 나를 무함하느냐?” 하였다. 남이는 “원통한 것은 나와 네가 매한가지다.네가 영의정이 되어 나의 원통한 것을 알고도 말 한 마디 없이 구원해 주지 않았으니 원통히 죽는 것이 당연하다.” 하였다. 강순은 입을 다문 채 대답하지 못하였다. 고발한 자와 추관들을 모두 훈공에 녹하고 그 자손들도 이익을 누리었다. 그러나 남이가 죽은 것은 지금까지도 그 죄명이 참인지 거짓인지 분변하지 못한 채이다. 《부계기문》
이때 남이가 심한 형벌로 다리 뼈가 부러지자, “강순이 나를 시켰다.”고 하였다. 그는 웃으면서 강순에게 말하기를, “내가 자복하지 않은 것은 뒷날에 공을 세울 것을 바랐던 때문인데 지금 다리 뼈가 부러져 쓸모 없는 병신 몸이 되었으니 살아 있은 들 또한 무엇을 하리요.나 같은 젊은 자도 오히려 죽은 것이 아깝지 않은데 머리털이 허옇게 센 늙은 놈은 죽는 것이 진실로 마땅하다. 그래서 내가 고의로 너를 끌어댄 것이다.” 하였다. 임금은 “병조 판서 허종(許琮)도 역모를 아느냐?”고 물었다. 이때 허종이 입시했다가 황송하여 땅에 엎드렸다. 남이는 “허종은 충신이므로 이것을 알지 못하오니 원컨대,이 사람은 쓰시고 의심하지 마옵소서.” 하였다. 형을 당할 적에 강순이 남이를 돌아보면서, “젊은 애와 잘 지낸 때문에 이런 화를 당하는구나.” 하였다. 지금도 남이의 옛 집터가 남아 있는데 사람들이 감히 살지 못하고 채소 밭이 되었다. 《기재잡기》
○ 남이가 도총관이 되니 요속(僚屬)들이 으레 그 문 앞에 와서 명함을 내밀었으나 김맹(金孟)일손(馹孫)의 아버지 만은 도총부 경력(都摠府經歷)으로 있으면서 홀로 그렇지 아니 하였다. 남이가 죽음을 당할 때 그 집을 수색하여 명함을 둔 자를 잡아서 죽였는데 김맹만은 화를 면할 수 있었다. 《해동잡록》
○ 일찍이 귀성군(龜城君) 준(浚)이 도총관이 되고 남이가 병조 판서가 되었는데 한계희(韓繼禧)가 세조에게 은밀히 아뢰기를, “준은 종실이니 금군을 맡을 수 없으며, 남이는 성질이 거칠고 사나우니 병권을 주어서는 안 됩니다.” 하였다. 세조가 그 말을 받아들여 바로 그날 모두 해임시켰다. 이때에 와서 남이는 과연 형벌에 죽고, 준도 또한 그 후에 폐출되었다. 《사가집(四佳集)》의 한계희비(韓繼禧碑)
○ 일찍이 권람(權擥)이 딸이 있어 사위를 고르는데 남이가 청혼하였다. 권람이 점장이에게 점을 치게 하였더니, 점장이는 “이 분은 반드시 나이 젊어서 죽을 것이니 좋지 못합니다.” 하였다. 자기 딸의 수명은 또 보게 하였더니, “이 분의 수명을 매우 짧고 또 자식도 없으니,그 복만 누리고 화는 보지 않을 것이므로 남이를 사위로 삼아도 무방합니다.” 하였다. 권람은 그 말에 따랐다. 남이는 17세에 무과에 장원하여 임금의 사랑을 극진히 입었으며 28세에 병조 판서로 있다가 사형을 당했는데, 권람의 딸은 벌써 수년 전에 먼저 죽었다. 《부계기문》
민간에 전하기를, 남이가 젊었을 때 거리에서 놀다가 어린 종이 보자기에 작은 상자를 싸가지고 가는 것을 보았다. 보자기 위에 분 바른 여자 귀신이 앉아 있었으나, 다른 사람들은 모두 보지 못하였다. 남이는 마음속으로 괴이하게 여겨 그 가는 대로 따라 갔더니, 그 종은 어떤 재상의 집으로 들어갔다. 조금 뒤에 그 집에서 우는 소리가 나기에 물었더니, 주인 집 작은 낭자가 별안간에 죽었다고 하였다. 남이가 “내가 들어가서 보면 살릴 수 있다.” 하자, 그 집에서 처음에는 허락하지 않다가 한참 뒤에야 허락하였다. 남이가 문에 들어가 보니 분 바른 귀신이 낭자의 가슴을 타고 앉았다가 남이를 보는 즉시 달아났는데, 그러자 낭자는 일어나 앉았다. 남이가 나오자 낭자는 다시 죽었다가 남이가 들어가자 되살아났다. 남이가 “어린 종이 가져온 상자 속에는 무슨 물건이 있었더냐?” 하고 물었더니, “홍시가 있었는데 낭자가 이 감을 먼저 먹다가 숨이 막혀서 넘어졌던 것입니다.” 하였다. 그가 본 대로 상세히 말하고 귀신 다스리는 약으로 치료하였더니 남자가 살아났다. 이 낭자는 곧 좌의정 권람의 넷째 딸인데 이 일이 계기가 되어 좋은 날을 가려 혼인을 정하였다고 한다. 《국조기사(國朝記事)》

 

단간공(端簡公) 정효(鄭曉)의 《오학편(吾學編)》에 우리나라가 여진(女眞) 이만주(李滿住)를 정벌한 일의 본말(本末)이 아주 자상히 실려 있는데, 강순(康純)ㆍ어유소(魚有沼)ㆍ남이(南怡)의 이름을 대서특필하였다. 이 세 사람은 진실로 장군감으로 국사(國史)에 그 이름이 드러났으니 이보다 큰 영광이 무엇이겠는가?
강순의 자는 태초(太初)요 신천인(信川人)이다. 음관으로 좌의정을 지냈고 남이의 옥사(獄事)에 죽었다.
어유소는 충주인(忠州人)이다. 무과에 급제하여 영의정을 지냈고 시호는 정장(貞莊)이다.
남이는 의령인(宜寧人)이다. 무과에 급제하여 병조 판서를 지냈다. 의산위(宜山尉) 남휘(南暉)의 손자(孫子)이고 익평(翼平) 권람(權擥)의 사위로 유자광(柳子光)의 무고에 의해 살해되었다. 남이의 정남(征南)이란 절구는 다음과 같다.
백두산 돌은 칼 갈아 닳아지고 / 白頭山石磨刀盡
두만강 물은 말 먹여 마르리라 / 豆滿江流飮馬無
사나이 스물에 북을 정벌치 못하면 / 男兒二十未平北
후세에 그 누가 대장부라 하리오 / 後世誰稱大丈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