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석문 신도비 등/효령대군 신도비 (펌)

孝寧大君神道碑銘幷序 (펌)

아베베1 2009. 11. 4. 16:14

孝寧大君神道碑銘幷序

 이 비는 서초구 방배동 191 산24-2에 소재하고 있으며 대리석으로 된 비신은 방형대석(方形臺石) 위에 세우고 옥개형(屋蓋形) 개석(蓋石)을 얹었다. 비제(碑題)는 비신의 전면 상단에 횡서로 ‘효령대군신도비(孝寧大君神道碑)’라 되었고 자경은 14∼15cm 정도이다.
비문은 17대손 숭록대부완순군(崇祿大夫完順君) 이재완(李載完)이 찬하였으며 글씨는 16대손 가선대부궁내부특진관(嘉善大夫宮內府特進官) 이승우(李勝宇)가 썼고 자경은 약 3cm의 해서로 되어 있다. 비의 말미를 통해서 대한 광무 6년(1902) 임인 10월에 18대 사손통정대부전행덕천군수(嗣孫通政大夫前行德川郡守) 이강준(李康準)이 세웠음을 알 수 있다.
효령대군은 태종의 제2자로써 명(名)은 보(補)이며[초명은 호(祜)] 자는 선숙(善叔), 시호는 정효(靖孝)로서 20세 때 효령대군에 피봉되었다. 효령은 불교에 독실하여 승도를 모아 불경을 강론하였으며 세조 10년(1464) 원각사 창건시에는 조성도감 제조로 역사를 총감독하였다. 한편 《원각경(圓覺經)》을 우리말로 변역하기도 하였는 바 일찍이 회암사(檜岩寺) 《별당서기(別堂序記)》 기문 중에

「유(儒) · 석(釋)의 마음과 법도는 그 근원이 같다(儒釋心法同一原).」

라는 표현이 있어 이를 들어 후세 사람들이 그 글귀를 많이 인용하였다고 전한다.
효령대군신도비는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2호로 지정된 청권사(淸權祠)와 함께 현재 사단법인 청권사에서 관리하고 있다.
청권사는 건평 27㎡쯤 되는 앞쪽에 전퇴(前退)를 가진 정면 3칸, 측면 2칸에
맞배지붕인 사당채로 안에는 오래 전부터 관악산 연주암(戀主庵)에 보존되어 내려오던 초상화를 묘사한 효령대군의 영정이 모셔져 있다. 원래 이 곳 사당은 영조 12년(1736)에 왕명으로 묘소 앞에 처음 세워졌고 사호(祠號)도 그 때 ‘청권사’라 명명되었다. 3문과 돌담은 최근에 새로 세운 것이고 그 아래 모연재(慕蓮齋)도 이즈음에 건립한 집이다.
산소는 성종 17년(1486) 5월 11일 대군이 91세를 일기로 세상을 뜬 직후에 모신 것으로 당시에는 이 곳을 과천 동적리 마장동의 임산원(壬山原)이라 하였다. 사당 뒤로 돌계단을 오르면 앞에 후손의 봉분이 있고 그 묘보다 한층 높다란 곳에 대군 내외분의 봉분이 자리하고 있다. 봉분마다 앞에 묘표(墓表)가 따로따로 세워져 있고 그 앞 한가운데에는 나지막한
석등이 마련되어 있으며 또 그 앞 좌우로 넓게 석인이 둘씩 세워져 있다. 상도동 양녕대군묘(讓寧大君墓)와 함께 묘의 석물은 조선 초기의 유구(遺構)로써 당시 대군묘의 제도와 규모를 보여 주는 좋은 자료이다.
이 곳에 있는 효령대군신도비의 전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註]

 孝寧大君神道碑銘幷序
 從十七代孫原任弘文퉓提學上輔國崇祿大夫完順君載完 謹撰
 十五代孫嘉善大夫前任 宮內府特進官勝宇書   十六代孫正憲大夫前行刑曹判書完城君鳳儀篆
 

大君諱補宇善叔初諱祐 太宗大王第二男 元敬王后以洪武丙子九月誕生生而聰穎好學不倦旣冠封爵孝寧大君卞公季良著字說曰以溫雅文明之質篤孝悌忠信之行盖非諛語也 善騎射從上獵平康五發五?上嘗不豫大君親自湯侍不懈上嘉之及讓寧大君以儲嗣遜位大君亦托跡禪家用晦厥美弊褐羸쾇自放山水間性儉約別즤茅廬以處之世宗旣受禪上壽于上王大君侍宴極歡癸卯明使至 世宗接待于太平퉓當大君行酒 上必起立使?問之퉓伴黃喜曰君臣之分雖嚴天倫之禮亦尊也使歎曰昔蜀王入覲皇帝命東宮出迎東宮讓路今國王之待孝寧猶是乙巳 世宗幸西郊歷臨大君江亭時久早適雨큸然 上喜甚命亭名喜雨戊午大君疾劇而愈 世宗親臨賜 宴初見泣下沾襟大君亦感泣酒半 上起舞諸宗親迭舞當時友于之德多類此也歷事九朝成化丙午五月十一日卒壽九十一成宗命中官護喪禮葬于果川同積里馬場洞壬坐原太常取寬樂令終慈惠愛親之義謚靖孝鳴呼今距大君之世四百年餘矣 世代寢邈文獻靡微惟其散出國史野藁者足以想百世之淸風矣昔之論公者比虞仲又有反之者曰與其逃父竄身於千萬里外毁髮膚爲蠻夷孰若推病托佛自?其光不違父母之邦不失
讓國之志耶公之爲實有高於虞仲始讓寧之佯狂也不能無貽憂於父王而驚動國家若孝寧又無此累盖其染跡桑門潛自靖
於未然之前使廢立之議無與於己順親之意成己之讓不費些毫氣力終無聲臭可尋古所稱以天下讓民無得而稱焉者大君
以之鳴呼斯言盡之矣載完何敢贅焉 英祖丙辰命立祠墓下 賜號淸權 正祖己酉命宣額 今聖上乙丑配食 世宗廟庭配蘂
城府夫人鄭氏左贊成貞度公諱易女孝順有婦德以洪武甲戌生成化庚寅卒別有幽誌擧六男一女長誼城君햕次瑞原君
쐍次寶城君쐧次樂安君?次永川君定次原川君宜移房于誠寧大君?女庇仁縣主適左贊成韓山李塤側室男安康都正쉸女適郡守天安全晉享誼城娶星山李氏直長次弓女擧五男四女男長茂松君힜次岑城正惇次雲林都正?次西林都正?次蓬城君恒女適監司姜子平直 長申永貞僉樞尹淑郡守權?側室二男永新君怡?谷守愼二女適縣監金龜年 贈參議柳琓瑞原娶慶州李氏監司?女擧五男五女男長懷義都正?次德恩都正?次堤川君?次蘂川君쾷次高林君薰女適判官尹孝祥參贊玄錫圭牧使許宕奉事鄭有禮監察許巖側室男淸渠守蕙寶城娶陜川李氏少卿茂昌女擧七男六女男長新豊都正循次栗元君?次春陽君徠次枰城君횞次勿巨君徹次園山君行次東陽正徐女適司直尹之崑僉樞金克鍊判書任士洪郡守申萬年奉事柳榮源縣監宋麒孫樂安娶彦陽金氏主簿仲行女擧一男一女男淸原正큸女適牧使申允宗永川娶醴泉權氏直長光女擧三女適參判尹甫參奉柳純仁別坐李宣側室男泰康守仝良浦守全原川娶白川趙氏參判瑞康女無育側室三男加恩君퓛列山都正偕岐城守偵女適進士金命哲李贊城二男惟淸左議政惟澄三女適浪城君韓堡郡守南쮶進士宋汝翼安康娶晉州柳氏孝門女擧三男二女男長永平副正孝仁次習溪君孝義次懷陽副正孝禮女適縣令朴列仝縣監成哲文側室四男介山副正孝智天嶺副守孝孫慈仁副守孝根陽良副正孝堅全郡守二男愷傑曾玄以下多不盡錄鳴呼以大君之至德尊貴墓無牲繫闕禮也公十五代孫前觀察使勝宇慨然鳩工將以伐石載完쿈在傍裔景仰有素敢쪭쿀古乘撰次爲序系之以詩詩曰 於赫我朝?德于周至哉孝寧虞仲與?逃蠻依佛心迹孰優聖聖授受天神?謀巢許尙志堯舜無憂萬相俱寂雲過水流潛 壽靈폌式至今休子孫千億宴天報酬有墓有祠?彼果州淸權美額輝映千秋貞珉찓?閑典嗣修至德無文曷旣編쯖

 大韓光武六年壬寅十月 日
 十八代嗣孫通政大夫前行德川郡守康準立
 十五代孫通政大夫前行天安郡守時宇
 十六代孫敎官昇儀 十九代孫參書官勉宰監쪗
 公之墓道祇有短碣而無繫性之石我仲父承旨公?嘗以是爲?約都宗修첇正至祭先因蓄其쵮謀所以勒石志未就不幸
損世其仲胤啓周後子縣令翰周踵而欲成之經紀之際縣令又復奄忽啓周後輿縣令子震卨及大宗人重萬志寧큁誠幹董功
始告訖宗門之幸孰大於是翊周曾隨父兄後與聞末議今於卒軍之日컑不勝愴感之私略픊梗棨于石末云쿈

 

 


자료출처 :서울 600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