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최씨 금석문 등/三父子 판 한성부사

전주최문 문정공파 3부자 (판 한성부사 유경, 사의 , 사위) 관련기록

아베베1 2009. 11. 8. 10:35

 서울시 600년사 자료에 의하면 3부자가 판 한성부사(현 서울시장)를 역임하신기록이 있다

 전주 최씨 문정공파 휘 평도공 최유경(숭례문을 지으시고 상량문을 쓰신)의 장남이신 

 휘 사위(판윤공),차남이신 휘 사의(양도공)선조님 전주최문의 자랑스런 선조님이 아니신가생각된다 ...    

 

 

성 명】 최유경(崔有慶)
【생몰년】 1343(충혜왕 복위 4)∼1413(태종 13)
【본 관】 전주(全州) 최(崔)
【자·호】 경지(慶之), 죽정(竹亭)
【시 호】 평도(平度)
【시 대】 조선 전기
【성 격】 문신

  1343(충혜왕 복위 4)∼1413(태종 13).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경지(慶之), 호는 죽정(竹亭)으로 아버지는
감찰 대부(監察大夫) 최재(崔栽)이다.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공민왕 21년(1372) 판도
좌랑(版圖佐郞)이 되고, 이어 장령(掌令)을 거쳐 1375년 전법 총랑(典法摠郞), 1388년 양광도 안렴사(楊廣道安廉使)가 되었으며, 이 해 요동정벌이 있게 되자 서북면 전운사(轉運使) 겸 찰방(察訪)이 되고, 최영(崔瑩)이 실각한 후 밀직부사(密直副使)에 올랐다. 1392년 조선 개국을 도와 개국 원종 공신(開國原從功臣)이 되고, 도성축성 때 성문 제조(城門提調)로 활동하였다. 1397년 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가 되고, 이듬해 개성 유후(開城留後)에 올랐다. 1401년 참찬의정부사(參贊議政府事)로서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명(溟)나라에 다녀왔으며, 1403년 8월 20일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에 취임하여 그해 11월 27일까지 재임하였다. 태조 때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되었다. 시호는 평도(平度)이고, 청주(淸州) 고택(古宅)에 효(孝)로서 정각(旌閣)이 세워졌으며 송천서원(松泉書院)에 제향되었다.

【참고문헌】 高麗史, 太祖實錄, 太宗實錄, 人物考, 國朝人物考, 國朝人物志
【관련항목】
최사강(崔士康)

 

【성 명】 최사위(崔士威)
【생몰년】 1362(공민왕 11)∼1450(세종 32)
【본 관】 전주(全州) 최(崔)
【시 대】 조선 전기
【성 격】 문신

   1362(공민왕 11)∼1450(세종 32). 본관은 전주(全州)로
대사헌(大司憲) 최유경(崔有慶)의 아들이다.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1402년 안변 부사 조사의(趙思義)가 난을 일으키자 김우(金宇) · 이순(李淳) 등과 함께 출동하여 난을 평정하였다. 1406년에는 우군 동지 총제(右軍同知摠制)로서
천추사(天秋使)로 북경에 다녀왔다. 1434년과 1437년에 한성부 윤을 2회 역임하였으며 1441년에는 판한성부사를 지냈다.

【참고문헌】 太祖實錄, 太宗實錄

 

【성 명】 최사의(崔士儀)
【생몰년】 생몰년 미상
【시 대】 조선 전기
【성 격】 문신

   생몰년 미상.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세종 16년(1434) 6월 4일과 1435년 2월 6일의 두 차례에 걸쳐 한성부 윤(漢城府尹)에 취임하였으며, 1441년 윤11월 27일에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에 취임하였다.

【참고문헌】 世宗實錄, 서울六百年史 第1卷(서울特別市史編纂委員會, 1977)

 

 

관직명 성명 就任年月日 離任年月日 관련기사
판한성부사 성석린
(成石璘)
태조 4년(1395)
6월13일
   
판한성부사 정희계
(鄭熙啓)
  태조5년(1396)
7월12일
 
판한성부사 조익수
(曺益修)
     
판한성부사 이거이
(李居易)
    정종 1년(1399)
5월 1일
판한성부사 조 박
(趙 璞)
태종 1년(1401)
8월10일
   
판한성부사 정 탁
(鄭 擢)
태종 3년(1403)
7월16일
   
판한성부사 최유경
(崔有慶)
태종 3년(1403)
8월20일
태종3년(1403)
윤11월27일
 
판한성부사 강 서
(姜 筮)
태종 3년(1403)
윤11월27일
   
판한성부사 최유경
(崔有慶)
태종 4년(1404)
8월 6일
   
판한성부사 이 옥
(李 沃)
태종 5년(1405)
7월 3일
   
판한성부사 이 행
(李 行)
태종 5년(1405)
9월22일
   
판한성부사 유 량
(柳 亮)
태종 5년(1405)
12월 6일
   
판한성부사 이귀령
(李龜齡)
    태종 6년(1406)
윤7월25일
판한성부사 안경공
(安景恭)
태종 6년(1406)
8월11일
   
판한성부사 이 원
(李 原)
태종 6년(1406)
12월 8일
태종7년(1407)
1월 30일 파직
 
판한성부사 설미수
(??眉壽)
    태종 7년(1407)
4월19일
판한성부사 정 요
(鄭 曜)
태종 7년(1407)
8월 3일
   
판한성부사 연사종
(延嗣宗)
태종 7년(1407)
10월 3일
   
판한성부사 안 원
(安 瑗)
태종 7년(1407)
12월 8일
   
판한성부사 정 구
(鄭 矩)
태종 8년(1408)
2월11일
태종 8년(1408)
3월14일
 
판한성부사 김한로
(金漢老)
태종 8년(1408)
5월27일
   
판한성부사 유정현
(柳廷顯)
태종 9년(1409)
4월16일
   
판한성부사 박가실
(朴可實)
  태종10년(1410)
5월25일
 
판한성부사 설미수
(??眉壽)
태종10년(1410)
11월 1일
   
판한성부사 이귀령
(李貴齡)
태종10년(1410)
12월10일
   
한성부윤 이발
(李潑)
태종 11년(1411)
6월 27일
   
판한성부사 정이오
(鄭以吾)
태종11년(1411)
11월19일
   
판한성부사 변계량
(卞季良)
태종12년(1412)
6월26일
   
판한성부사 정 요
(鄭 曜)
  태종14년(1414)
4월21일 졸
 
판한성부사 최용소
(崔龍蘇)
태종14년(1414)
5월21일
   
판한성부사 권 홍
(權 弘)
태종14년(1414)
6월12일
   

판한성부사 이 지
(李 至)
  태종14년
(1414)12월9일 졸
 
판한성부사 정 역
(鄭 易)
태종15년
(1415)1월26일
   
판한성부사 성발도
(成發道)
태종15년
(1415)5월17일
   
판한성부사 박자청
(朴子靑)
태종15년
(1415)12월28일
   
판한성부사 이 원
(李 原)
태종16년
(1416)3월16일
   
판한성부사 성발도
(成發道)
태종16년
(1416)9월27일
   
판한성부사 심 온
(沈 溫)
태종16년
(1416)11월2일
   
판한성부사 정 진
(鄭 鎭)
    태종17년
(1417)7월17일
판한성부사 유 염
(柳 琰)
태종17년
(1417)9월7일
   
판한성부사 윤 향
(尹 向)
태종17년
(1417)12월3일
   
판한성부사 황 희
(黃 喜)
태종18년
(1418)1월11일
태종18년
(1418)5월11일
 
판한성부사 민여익
(閔汝翼)
태종18년
(1418)5월11일
태종18년
(1418)6월 2일
 
판한성부사 김여지
(金汝知)
태종18년
(1418)6월2일
세종 즉위년
(1418)8월27일
 
판한성부사 노귀산
(盧龜山)
세종 즉위년
(1418)8월27일
   
판한성부사 권 홍
(權 弘)
세종 즉위년
(1418)10월16일
   
판한성부사 이맹균
(李孟畇)
세종 1년
(1419)4월17일
   
판한성부사 정 역
(鄭 易)
세종 1년
(1419)7월7일
   
판한성부사 맹사성
(孟思誠)
세종 1년
(1419)9월25일
세종 1년
(1419)12월 7일
 
판한성부사 정 진
(鄭 津)
세종 1년
(1419)12월7일
   
판한성부사 조비형
(曹備衡)
세종 3년
(1421)7월4일
세종 3년
(1421)12월7일
 
판한성부사 오 승
(吳 陞)
세종 3년
(1421)12월7일
   
판한성부사 정 진
(鄭 津)

세종 4년
(1422)12월13일

세종 5년
(1423)1월25일
 
판한성부사 권 진
(權 軫)
세종 5년
(1423)1월25일
   
판한성부사 허 주
(許 周)
세종 5년
(1423)9월29일
세종 6년
(1424)3월20일
 
판한성부사 오 승
(吳 陞)
세종 6년
(1424)3월21일
   
판한성부사 권 진
(權 軫)
세종 8년
(1426)12월7일
   
판한성부사 성 엄
(成 ??)
세종 9년
(1427)9월8일
   
판한성부사 이종선
(李種善)
세종 9년
(1427)10월7일
세종11년
(1429)9월30일
 
판한성부사 서 선
(徐 選)
세종11년
(1429)9월30일
   
한성부윤

이사후
(李師厚)

세종 12년
(1430) 10월 9일
   
판한성부사 노 한
(盧 ??)
세종13년
(1431)2월29일
   
관직명 성명 就任年月日 離任年月日 관련기사
판한성부사 오 승
(吳 陞)
세종14년
(1432)6월 9일

 
판한성부사 서 선
(徐 選)
세종14년
(1432)9월 7일
세종15년
(1433)4월20일 졸
 
판한성부사 조 뇌
(趙 ??)
세종16년
(1434)8월17일
   
판한성부사 이맹균
(李孟畇)
세종16년
(1434)12월17일
세종17년
(1435)3월27일
 
판한성부사 전 흥
(田 興)
세종17년
(1435)3월27일
세종17년
(1435)7월26일파직
 
판한성부사 유사눌
(柳思訥)
세종17년
(1435)7월28일
   
판한성부사 이숙무
(李叔畝)
세종18년
(1436)5월 6일
세종19년
(1437)6월30일
 
판한성부사 홍여방
(洪汝方)
세종19년
(1437)6월30일
세종20년
(1438)6월29일
 
판한성부사 김맹성
(金孟誠)
세종20년
(1438)6월29일
세종21년
(1439)4월25일
 
판한성부사 한 확
(韓 確)
세종21년
(1439)4월25일
세종21년
(1439)7월6일
 
판한성부사 이명덕
(李明德)
세종21년
(1439)7월 6일
세종23년
(1441)9월17일
 
판한성부사 유계문
(柳季聞)
세종23년
(1441)9월17일
   
판한성부사 권 전
(權 專)
세종23년
(1441)11월14일
세종23년
(1441)11월18일 졸
 
판한성부사 최사의
(崔士儀)
세종23년
(1441)윤11월27일
   
판한성부사 이 선
(李 宣)
세종24년
(1442)6월19일
   
판한성부사 한 확
(韓 確)
세종25년
(1443)9월12일
   
판한성부사 신인손
(辛引孫)
세종26년
(1444)7월 1일
   
판한성부사 이맹진
(李孟畛)

세종26년
(1444)10월6일

세종27년
(1445)7월 1일
 
판한성부사 정갑손
(鄭甲孫)
세종27년
(1445)7월1일
세종28년
(1446)1월24일
 
판한성부사 권맹손
(權孟孫)
세종28년
(1446)1월24일
세종28년
(1446)4월25일
 
판한성부사 이견기
(李堅基)
세종28년
(1446)4월25일
세종28년
(1446)9월 6일
 
판한성부사 윤 형
(尹 炯)

세종28년
(1446)9월6일

세종28년
(1446)12월2일
 
판한성부사 성념조
(成念祖)
세종28년
(1446)12월2일
세종29년
(1447)1월16일
 
판한성부사 황치신
(黃致身)
세종29년
(1447)1월16일
   
판한성부사 이맹진
(李孟畛)
세종30년
(1448)4월 7일
   
판한성부사 고득종
(高得宗)
세종30년
(1448)11월 1일
   
판한성부사 이견기
(李堅基)

  문종즉위년
(1450)11월30일
판한성부사 권맹손
(權孟孫)
단종 즉위년
(1452)7월 2일
단종 즉위년
(1452)12월11일
 
판한성부사 조 혜
(趙 惠)
단종 즉위년
(1452)12월11일
   
판한성부사 김세민
(金世敏)
단종 1년
(1453)11월 8일
   

(서울=뉴스와이어) 조선시대에도 지금 서울시장에 해당하는 직책이 있었으니 바로 '한성판윤'이다.

한성판윤은 6조판서와 동등한 정2품의 경관직으로 의정부 좌·우참찬, 6조판서와 함께 아홉대신을 뜻하는 9경(卿)에 포함되는 중요한 자리였다.

지금의 도지사와 광역시장에 해당하는 관찰사와 부윤이 종2품의 외관직이었던 점, 부(府)임에도 불구하고 부윤(府尹)과 구별하여 판윤(判尹)이라 칭했던 점을 보면 한성판윤은 특정지역을 관할하는 직책 그 이상의 의미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성판윤은 궁궐과 중앙관서의 호위 및 도성 치안을 담당하는 중책이기에 매일 편전에서 국왕과 정사를 논하는 상참(常參)에 참여했고, 지금의 행정부시장 격인 종2품의 좌윤과 우윤이 보좌했고, 대체로 판서나 참찬 등 정2품을 지낸 인물이 임명되었고 재임 후에는 대부분 판서(95%가 이조판서)로 이동하거나 승차했다.

한성판윤은 외교업무와 소송업무도 담당했는데 한성판윤이 경관직이고 국정에 참여했던 점, 그리고 삼권분립이 명확하지 않았던 당시 상황을 반영한다.

서울의 행정상 명칭은 조선의 수도가 된 이후 한양부에서 한성부로 바뀌었고, 수장의 명칭은 판한성부사, 한성부윤, 한성판윤 등 십여차례 바뀌었다.

서울의 명칭은 태조 4년(1395년)에 한양부가 한성부로 변경돼 1910년 경술국치 후 경성부로 바뀔 때까지 조선조 511년간 사용되었다.

조선시대 서울 수장 명칭은 판한성부사로 시작돼 한성부윤, 한성판윤, 관찰사, 한성판윤으로 변해왔는데, 예종원년인 1469년에 한성판윤으로 바뀌어 430여년간 일제에 병합될 때까지 사용되면서 한성판윤이 서울 수장의 대명사로 인식되었다.

초대 한성판윤은 '성석린'(태조4년 1395년)이지만 그의 공식 명칭은 판한성부사이고, 공식명칭으로서 최초의 한성판윤은 '서거정'(예종원년, 1469년)이고 마지막은 '박의병'(광무9년, 1905년)이다.

서울의 긴 역사만큼 수장의 역사도 깊은데 조선 511년간 1390대에 걸쳐 1,100여명이 거쳐 가면서 역사적인 인물과 다양한 기록을 남겼다.

한성판윤을 지낸 인물로는 명재상 황희와 맹사성, 명문작가 서거정, 행주대첩의 명장 권율, 오성과 한음한음 이덕형, 암행어사 박문수, 실학자 박세당, 개화사상의 선구자 박규수, 종두법을 보급한 지석영,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자결한 민영환 등이 대표적이다.

한성판윤으로서의 업적은 도시계획과 건설 분야에서 발휘됐는데, 초대 한성판윤 '성석린'은 경복궁 신축, 도성 축조, 청계천 준설 등 도시기반을 다졌고, '홍계희'(영조36년, 1760년)는 대대적인 청계천 준설로 서울 주 배수로의 기능을 회복시켰고, '이채연'(광무2년, 1898년)은 간선도로 확장과 도로 위의 쓰레기와 진흙탕을 정비하는 거리정비사업을 펼쳐 근대적 도시 건설의 기초를 다졌다.

한성판윤을 4차례 이상 지낸 사람은 모두 53명인데, 최다 역임한 사람은 '이가우'(헌종 5년)로 헌종부터 철종까지 13년 동안 무려 10회나 지내 '판윤대감'이라 불렸지만 그의 재임기간을 통산하면 1년 3개월 밖에 되지 않는다.

한성판윤을 10명 이상 배출한 가문은 전주 이씨, 여흥 민씨, 달성 서씨, 파평 윤씨 등 모두 25개 가문인데, 최다는 '전주 이씨'(43명)이고 그 다음이 여흥 민씨(35명)인데 명성황후의 친정인 여흥 민씨의 경우는 고종대에 20년 동안 민씨 '영'자 돌림만 8명이 임명돼 '8영'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최단기간 한성판윤은 '김좌근'(철종 즉위년, 1849년)으로 임명된 날 오후에 최다 판윤을 지낸 이가우가 새로 임명되면서 한나절에 그쳤고, 고종대에 이기세, 한성근, 임웅준도 하루 만에 교체됐는데, 고종 27년 1890년에는 한해 동안 무려 25명, 고종 재위 43년 7개월 동안 총 385명의 판윤이 나올 정도로 조선 후기에는 단명 판윤이 많았다.

3대에 걸쳐 한성판윤을 지낸 경우는 영조때 병조판서를 지낸 풍산 홍씨 상한과 그의 아들 낙성, 손자 의모가 유일하고, 3부자가 한성판윤을 지낸 경우는 숙종때 영의정을 지낸 달성 서씨 종태와 그의 두 아들 명균과 명빈의 경우가 유일하다.

정조 14년(1790) 12월에 한성판윤 구익은 창경궁 정문인 홍화문 밖의 국왕 거둥길에 눈을 치우지 않아 파직되기도 했다. 재임한 지 1개월 11일만에 파직된 것으로 이로부터 3개월 뒤에 한성판윤에 다시 임명되었다.

서울은 경술국치 이후 경성부, 해방 후 서울특별자유시, 1948년에 서울특별시로 명칭이 변했고, 수장 명칭은 경성부윤, 서울시장, 서울특별시장으로 개정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일제시대에 경성부로 격하된 서울의 수장은 경성부윤인데 22명의 경성부윤 중 대부분이 일본인이었고, 해방 후 서울시로 변경 된 이후에는 관선 시장 29명과 민선 시장 4명이 대한민국 수도 서울의 수장을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