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기 요람 자료 기록/군정 봉수(烽燧)

봉수 관련 기록

아베베1 2009. 11. 22. 18:37

봉수(烽燧)
봉수


평시에는 횃불이 하나요,

적이 나타나면 횃불이 둘이요,

국경에 가까이 오면 횃불이 셋이요,

국경을 침범하면 횃불이 넷이요,

교전 상태에 들어가면 횃불이 다섯이다. 서울에서는 번을 지키는 금군이 병조에 보고하며, 지방에서는 오장(伍長)이 진장(鎭將)에게 보고한다. 목멱산(木覔山)의 봉수는 동쪽에서 서쪽까지 횃불이 5개인데, 동쪽으로 첫째 것은 함경ㆍ강원 양도에서 양주(楊洲)의 아차산(峨嵯山) 봉수로 온 것을 받는 것이요, 둘째 것은 경상도에서 광주(廣州) 천림산(天臨山) 봉수로 오는 것을 받는 것이요, 셋째는 평안도에서 육로로 모악(母岳)의 동쪽 봉수로 오는 것을 받는 것이요, 넷째는 평안ㆍ황해 양도에서 뱃길로 모악의 서쪽 봉수로 오는 것을 받는 것이요, 다섯째는 공충(公忠)ㆍ전라 양도에서 양천(陽川)의 개화산(開花山) 봉수로 오는 것을 받는 것이다. 병조에서 사람을 선정하여 망을 보고 있다가 이튿날 이른 새벽에 승정원(承政院)에 보고하여 국왕에게 알린다. 사변이 있으면 밤중이라도 곧 보고해야 한다. 목멱산에는 봉수소(烽燧所)마다 군졸이 4명ㆍ오장(伍長)이 2명씩이며, 연변에는 소마다 군졸이 10명ㆍ오장이 2명씩이며, 내지(內地)에는 소마다 군졸이 6명ㆍ오장이 2명씩이다. 군졸과 오장은 모두 봉수가 있는 부근에 거주하는 사람으로 선정한다. 혹 구름이 끼거나 바람이 요란하여 횃불이 잘 나타나지 않을 때에는 봉수군이 차례차례로 달려가서 보고한다. ○ 목멱산과 모악 두 산의 봉군호(烽軍戶)는 각 30이다. 매호에 보(保) 3명을 급여한다.
첫째 횃불[第一炬] : 경흥(慶興)서수라보(西水羅堡)의 우암(牛巖)에서 시작하여 경원(慶源)ㆍ온성(穩城)ㆍ종성(鍾城)ㆍ회령(會寧)ㆍ부령(富寧)ㆍ경성(鏡城)ㆍ명천(明川)ㆍ길주(吉州)ㆍ단천(端川)ㆍ이원(利原)ㆍ북청(北靑)ㆍ홍원(洪原)ㆍ함흥(咸興)ㆍ정평(定平)ㆍ영흥(永興)ㆍ고원(高原)ㆍ문천(文川)ㆍ덕원(德源)ㆍ안변(安邊)ㆍ회양(淮陽)ㆍ평강(平康)ㆍ철원(鐵原)ㆍ영평(永平)ㆍ포천(抱川)ㆍ양주(楊州)를 거쳐 아차산의 봉수로 통한다.
사잇봉수[間烽] : 무산(茂山)의 남령(南嶺)에서 시작한 것은 회령으로 통한다. 사잇 봉수로써 영ㆍ읍ㆍ진에만 연락되고 마는 것은 다 적지 않는다. 다음에도 마찬가지다.어유간(魚游磵)차산(遮山)에서 시작한 것은 경성(鏡城)으로 통한다. ○ 오촌보(吾村堡) 하봉(下峯)에서 시작한 것은 경성으로 통한다. ○ 주온보(朱溫堡)불암(佛巖)에서 시작한 것은 경성으로 통한다. ○ 남로지보(南老知堡)하전파(下田坡)에서 시작된 것은 경성으로 통한다. ○ 보화보(寶化堡) 송봉(松峰)에서 시작한 것은 경성으로 통한다. ○ 삼삼파진(森森坡鎭) 동봉(東峰)에서 시작한 것은 경성으로 통한다. ○ 서북진(西北鎭)서산(西山)에서 시작한 것은 길주로 통한다. ○ 오을족포(吾乙足浦) 은룡덕(隱龍㯖)에서 시작한 것은 북청으로 통한다. ○ 어면보(魚面堡)용봉(龍峯)에서 시작한 것은 단천으로 통한다.
이상 직로봉수[直烽] 120개소, 사잇봉수 60개소.
둘째 횃불 : 동래(東萊)다대포(多大浦) 응봉(鷹峰)으로부터 시작하여 양산(梁山)ㆍ언양(彦陽)ㆍ경주(慶州)ㆍ영천(永川)ㆍ신녕(新寧)ㆍ의흥(義興)ㆍ의성(義城)ㆍ안동(安東)ㆍ예안(禮安)ㆍ영주(榮州)ㆍ봉화(奉化)ㆍ순흥(順興)ㆍ풍기(豐基)ㆍ단양(丹陽)ㆍ청풍(淸風)ㆍ충주(忠州)ㆍ음성(陰城)ㆍ죽산(竹山)ㆍ용인(龍仁)ㆍ광주(廣州)를 거쳐 천림산(天臨山) 봉수로 통한다.
사잇봉수 : 동래의 우비오(于飛烏)에서 시작한 것은 안동으로 통한다. ○ 거제(巨濟)의 가라산(加羅山)에서 시작한 것은 충주로 통한다. ○ 웅천(熊川)의 천성보(天城堡)에서 시작한 것은 영천(永川)으로 통한다. ○ 남해(南海)의 금산(錦山)에서 시작한 것은 충주로 통한다.
이상 직로봉수 40개소, 사잇봉수 123개소.
셋째 횃불 : 강계(江界)ㆍ만포진(滿浦鎭)의 여둔대(餘屯臺)로부터 시작하여 위원(渭原)ㆍ초산(楚山)ㆍ벽동(碧潼)ㆍ창성(昌城)ㆍ삭주(朔州)ㆍ의주(義州)ㆍ용천(龍川)ㆍ철산(鐵山)ㆍ선천(宣川)ㆍ곽산(郭山)ㆍ정주(定州)ㆍ가산(嘉山)ㆍ박천(博川)ㆍ안주(安州)ㆍ숙천(肅川)ㆍ영유(永柔)ㆍ순안(順安)ㆍ평양(平壤)ㆍ중화(中和)ㆍ황주(黃州)ㆍ봉산(鳳山)ㆍ서흥(瑞興)ㆍ평산(平山)ㆍ김천(金川)ㆍ개성부(開城府)ㆍ장단(長湍)ㆍ파주(坡州)ㆍ고양(高陽)을 거쳐 모악의 동쪽 봉수로 통한다.
이상 직로봉수 78개소, 사잇봉수 22개소.
넷째 횃불 : 의주의 고정주(古靜州)로부터 시작하여, 용천ㆍ철산ㆍ선천ㆍ곽산ㆍ정주ㆍ안주ㆍ숙천ㆍ영유ㆍ순안ㆍ평양ㆍ증산(甑山)ㆍ함종(咸從)ㆍ용강(龍岡)ㆍ삼화(三和)ㆍ장련(長連)ㆍ안악(安岳)ㆍ은률(殷栗)ㆍ풍천(豐川)ㆍ장연(長淵)ㆍ옹진(瓮津)ㆍ강령(康翎)ㆍ해주(海州)ㆍ평산(平山)ㆍ연안(延安)ㆍ배천(白川)ㆍ개성부ㆍ교하(交河)ㆍ고양(高陽)을 거쳐 모악의 서쪽 봉수로 통한다.
이상 직로봉수 71개소, 사잇봉수 35개소.
다섯째 횃불 : 순천(順天)의 방답진(防踏鎭)으로부터 시작하여, 흥양(興陽)ㆍ장흥(長興)ㆍ강진(康津)ㆍ영암(靈巖)ㆍ해남(海南)ㆍ진도(珍島)ㆍ무안(務安)ㆍ나주(羅州)ㆍ함평(咸平)ㆍ영광(靈光)ㆍ무장(茂長)ㆍ부안(扶安)ㆍ옥구(沃溝)ㆍ임피(臨陂)ㆍ함열(咸悅)ㆍ용안(龍安)ㆍ은진(恩津)ㆍ노성(魯城)ㆍ공주(公州)ㆍ천안(天安)ㆍ아산(牙山)ㆍ직산(稷山)ㆍ양성(陽城)ㆍ수원(水原)ㆍ남양(南陽)ㆍ안산(安山)ㆍ인천(仁川)ㆍ부평(富平)ㆍ김포(金浦)ㆍ통진(通津)ㆍ강화(江華)ㆍ양천(陽川)을 거쳐 개화산(開花山)의 봉수로 통한다.
사잇봉수 : 교동(喬桐)장봉도(長峯島)에서 시작하여 강화로 통한다.
이상 직로봉수 60개소, 사잇봉수 34개소.


 

[주D1-001]우암(牛巖) : ‘우암(牛巖)’의 ‘牛’가 어느 본에는 ‘斗’로 되어 있음.
[주D1-002]남령(南嶺) : ‘남령(南嶺)’의 ‘嶺’이 어느 본에는 ‘峰’으로 되어 있음.
[주D1-003]어유간(魚游磵) : ‘어유간(魚游磵)’의 ‘游’가 어느 본에는 ‘遊’로, ‘磵’이 어느 본에는 ‘澗’으로 되어 있음.
[주D1-004]우비오(于飛烏) : ‘우비오(于飛烏)’의 ‘烏’가 어느 본에는 ‘島’로 되어 있음.
[주D1-005]용강(龍岡) : ‘용강(龍岡)’의 ‘岡’이 어느 본에는 ‘崗’으로 되어 있음.
[주D1-006]장봉도(長峯島) : ‘장봉도(長峯島)’의 ‘峯’이 어느 본에는 ‘烽’으로 되어 있음.
[주D1-007]34 : ‘34’가 어느 본에는 ‘64’로 되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