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실 관련 금석문등 /우라나라사람이 중국기록된일

우리나라 사람이 중국 기록에 실린 일 임하필기(林下筆記) 제30권

아베베1 2009. 12. 8. 17:59

임하필기(林下筆記) 제30권
 춘명일사(春明逸史)
우리나라 사람이 중국 기록에 실린 일


우리나라 사람으로 중국에 들어가 혹은 공훈과 사업으로써 천추(千秋)에 이름났거나 혹은 문장과 서화로써 당대에 예명(藝名)을 드날린 자들이 상하 수천 년에 걸쳐 이루 다 셀 수 없을 정도로 많다. 그러나 여기에는 가장 드러난 자들을 기록하여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대련(大連)과 소련(少連)이 효행으로써 공자(孔子)에게 칭찬을 받은 것은 《예기(禮記)》에 실려 있으니, 이는 말할 필요도 없다. 조원리(曺元理)는 《서경잡기(西京雜記)》에 보이고, 을지문덕(乙支文德)은 《수서(隋書)》에 실려 있으며, 개소문(蓋蘇文)ㆍ고선지(高仙芝)ㆍ흑치상지(黑齒常之)는 《신당서(新唐書)》에 실려 있다. 왕모중(王毛仲)ㆍ이정기(李正己)ㆍ왕사례(王思禮)ㆍ이회광(李懷光)ㆍ대문예(大門藝)는 《구당서(舊唐書)》에 실려 있다. 김생(金生)은 《화한삼재도(和漢三才圖)》에 보이고, 김사란(金思蘭)ㆍ김면(金沔)ㆍ김사신(金士信)ㆍ이다조(李多祚)는 《책부원귀(冊府元龜)》에 실려 있으며, 김충의(金忠義)는 《역대서화기(歷代書畫記)》에 실려 있다. 장보고(張保皐)와 정년(鄭年)은 《문원영화(文苑英華)》에 실려 있고, 김가기(金可記)는 《태평광기(太平廣記)》에 실려 있으며, 최치원(崔致遠)은 《광여기(廣輿記)》에 실려 있고, 왕거인(王巨仁)은 《전당시(全唐詩)》에 보인다. 한신일(韓申一)은 《청이록(淸異錄)》에 보이고, 박인량(朴寅亮)은 《민수연담(澠水燕談)》에 보이며, 이자겸(李資謙)과 김부식(金富軾)은 《고려도경(高麗圖經)》에 보인다. 금(金)나라의 시조인 함보(函普)는 《금사(金史)》에 실려 있고, 정가신(鄭可臣)ㆍ이제현(李齊賢)ㆍ이공수(李公遂)는 《일하구문(日下舊聞)》에 보이고, 김도(金濤)는 《엄주별집(弇州別集)》에 보인다. 홍관(洪灌)ㆍ이인로(李仁老)ㆍ김방경(金方慶)ㆍ곽예(郭預)ㆍ김훤(金暄)ㆍ이영(李穎)ㆍ이암(李嵒)ㆍ성석린(成石磷)ㆍ윤언민(尹彦旼)ㆍ이영(李寧)ㆍ이숭인(李崇仁)은 《패문재서화보(珮文齋書畫譜)》에 보이고, 서거정(徐居正)ㆍ정추(鄭樞)ㆍ남곤(南袞)ㆍ이덕형(李德馨)은 《열조시집(列朝詩集)》에 보이며, 설손(偰遜)ㆍ정몽주(鄭夢周)ㆍ이색(李穡)ㆍ김구용(金九容)ㆍ조운흘(趙云仡)ㆍ권근(權近)ㆍ정도전(鄭道傳)ㆍ신숙주(申叔舟)ㆍ권남(權擥)ㆍ박원형(朴元亨)ㆍ허종(許琮)ㆍ성현(成俔)ㆍ이행(李荇)ㆍ노공필(盧公弼)ㆍ정사룡(鄭士龍)ㆍ소세양(蘇世讓)ㆍ김안로(金安老)ㆍ허흡(許洽)ㆍ신광한(申光漢)ㆍ이희보(李希輔)ㆍ윤인경(尹仁鏡)ㆍ임백령(林百齡)ㆍ서경덕(徐敬德)ㆍ홍섬(洪暹)ㆍ신응시(辛應時)ㆍ이극감(李克堪)ㆍ고경명(高敬命)ㆍ유근(柳根)ㆍ최전(崔澱)ㆍ허봉(許篈)은 《명시종(明詩綜)》에 보인다. 김안국(金安國)ㆍ심언광(沈彦光)ㆍ이이(李珥)는 《정지거시화(靜志居詩話)》에 보이고, 박충원(朴忠元)ㆍ어숙권(魚叔權)ㆍ이후백(李後白)ㆍ기대승(奇大升)ㆍ이산해(李山海)는 《허문목집(許文穆集)》에 보이며, 윤근수(尹根壽)는 《태평청화(太平淸話)》에 보인다. 이원익(李元翼)ㆍ원균(元均)ㆍ이항복(李恒福)ㆍ유성룡(柳成龍)ㆍ권율(權慄)ㆍ이복남(李福男)ㆍ이순신(李舜臣)ㆍ김응하(金應河)ㆍ김상헌(金尙憲)은 《비어고(備禦考)》에 실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