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경인년 산행/2010.9.29. 도봉산 자운봉

2010.9.29. 도봉산 최고봉 자운봉 정상에 올라서

아베베1 2010. 9. 29. 17:22

    2010.9.29. 산행차 도봉산에 올랐다가 최고봉인 자운봉(紫雲峰  740 고지에)에 올만에 올라보았다

   날씨가 역시  흐리지만 전망은 그런데로 좋은 편이었다  일년에  수백번 가는 곳이지만 언제나 멋진 모습을

   보여주는 자연앞에 감사를 드립니다

   도봉과의 인연이 오래이라 그런지  그곳의 자연에 심취 한듯합니다  정상에 올라서 바라본 전망을 참으로

   좋은듯  ....  도봉에 올라서 늘 좋은 자연의 모습에 즐감하고자 합니다    

     도봉산을 사랑하는 사람...  

  

      ▶  자운봉에서 바라본  만장봉의 모습  

           ▶  자운봉에서 바라본 신선대의 모습  

               

더보기

▶ 자운봉 정상부의 바위의 모습 

 

 

             ▶  평일에도 많은 분들이 신선대에 올라서  ..

       ▶  평일에도 많은 분들이 신선대에 올라서  

        ▶  자운봉 정상에서 바라본 에덴바위의 모습   

       ▶  배추흰나비길 정상에서 바라본 와이계곡주변의 모습   

     ▶  자운봉정상에서 바라본  와이계곡주변의 모습   

      ▶  에덴에서 바라본 뜀바위 정상부   

             ▶  신선대 신선대 자운봉의 모습  

     ▶  에덴에서 바라본 신선대 자운봉의 모습  

 

농암집 제5권
 시(詩)
도봉산(道峯山)에 들어서며


삼만 그루 복사꽃 만발한 꽃길 / 桃花三萬樹
무릉도원 들어가는 기분이로세 / 似入武陵行
시냇물은 언제부터 흘러내렸나 / 流水何時有
거친 길 예로부터 뻗어 있었지 / 荒塗自古橫
해 기울자 야윈 말 걸음 늦어도 / 日斜羸馬緩
다순 바람 겹옷이 한결 가벼워 / 風暖裌衣輕
십육 년 전 본 산을 다시 대하니 / 十六年前面
푸르른 산봉우리 한결 새롭다 / 蒼峯刮眼明


        도봉에 관한  한시 한구절을  옮겨 보았습니다

 

농암집 서
농암집 서(農巖集序) [김창흡(金昌翕)]


나의 중씨(仲氏) 농암 선생(農巖先生)이 별세한 이듬해에 문인 김시좌(金時佐) 등이 선생의 유문(遺文)을 수집ㆍ선별하고 편차를 정하여 30여 권으로 묶었다. 그러고는 인쇄하여 간행하기에 앞서 나에게 서문 한마디를 써 달라고 부탁하였다.
아, 선생의 높고 크고 심원하고 정밀한 학덕은 이 문집으로 다 드러낼 수 없는 것이다. 나처럼 학문이 깊지 못한 사람은 이 문집조차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는데, 선생의 진면모를 어떻게 다 드러낼 수 있겠는가. 그러나 가만 생각해 보면 형제들 중에 선생과 가장 나이가 비슷하고 많은 경험을 공유했던 사람은 바로 나였다. 부모님이 좌우에서 손잡고 이끌어 주시던 어린 시절부터 장성하여 어른이 되고 또 노년에 이르기까지, 나는 선생과 한 밥상에서 밥을 먹고 선생에게 물려받은 책으로 공부하였다. 그 과정에서 나는 선생이 학업에 전념했던 장소는 어디이며, 선생이 즐겨 읽고 읊조렸던 글은 어떤 글인지를 낱낱이 보아 왔다. 그리고 선생은 학문의 순서를 차근차근 밟아 천근한 데서 심오한 경지로 들어가서는 뛰어난 문학서와 철학서를 두루 섭렵하였는데, 나는 그 과정에서 도저히 따라잡기 어려운 선생의 높은 경지를 보아 왔다. 이러한 내용으로 서문을 쓰는 것도 괜찮지 않을까 한다.
선생은 총기를 타고나 지혜가 남달랐는데, 겨우 일여덟 살을 지나면서부터 침식을 잊을 정도로 서책에 마음을 쏟았다. 때로는 집안사람이 선생을 한참 찾다가 책장 한구석에서 발견하기도 하였는데, 그럴 때면 선생은 손에 책 한 권을 들고 고요히 앉아 있곤 하였다. 이윽고 서고에서 나와 단정히 앉아 글을 읽으면 그 소리가 마치 금석(金石)을 쪼개듯 낭랑하였고 높고 낮게 반복되는 음조가 오묘한 가락을 이루었다. 그리하여 무지한 아녀자와 아이들도 그 소리에 반하여 아름다운 노래를 듣는 것처럼 귀를 기울일 정도였다.
선생이 진사시에 입격한 것은 약관(弱冠)이 되기 전이었다. 그 당시 조야(朝野)는 태평하고 가문은 번성하였으니, 선생은 시운을 타고 두각을 드러내어 유감없이 문장솜씨를 발휘함으로써 예악 정치의 시대적 요청에 충분히 부응할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래서 나는 저 옛날 자연(子淵)과 자운(子雲)이 문장으로 나라를 빛냈던 그와 같은 업적을 선생에게 기대하였다.
그러나 을묘년(1675, 숙종1) 이후로 선생은 날로 험해지는 세상과 기울어져 가는 가운(家運)으로 인해 매우 불우하였다. 선생은 남북으로 떠돌며 온갖 역경을 다 겪었는데, 당시 선생의 자취는 월출산(月出山)과 보개산(寶蓋山) 부근의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다. 이때 선생은 부화(浮華)한 문장을 차츰 거두고 실질적인 학문을 추구하여 특별한 맛이 없는 담박한 것을 즐겼다. 경전의 복잡다단한 주석을 연구, 세세한 부분까지 빠짐없이 종합 정리하고 중요한 핵심을 낱낱이 분석하였는데, 그 과정에서 이루어진 엄밀한 교감(校勘)과 정정(訂正)이 쌓여 책자가 되었다. 그래서 나는 또 마융(馬融)과 정현(鄭玄)이 이루었던 것과 같은 훈고학의 성취를 선생에게 기대하였다. 그 뒤에 선생은 조정에 논사(論思)의 직임으로 있었는데, 그 당시 경연석상에서 종종 두각을 드러내어 은연중에 유림에서의 명망과 지위가 높아졌다.
아, 그러나 마침 기사환국(己巳換局)이 터지고 말았다. 선생은 이때 백운산(白雲山)에 들어가 집을 짓고 살며 농암(農巖)이라는 호를 쓰기 시작하였는데, 임금에게 버림받고 은거하는 몸으로, 세상에 참여하겠다는 의지도 날로 줄어들었다. 그리하여 처음 품었던 뜻을 단단히 지켜 오직 염(濂)ㆍ낙(洛)ㆍ관(關)ㆍ민(閩)의 학문만을 추구하였다. 선생이 천명에 순응하여 참된 본성을 지킬 수 있었던 것은 이러한 자세를 끝까지 견지했기 때문일 것이다.
학문에 대해 논하자면, 하(夏)ㆍ은(殷)ㆍ주(周) 삼대(三代) 이후에는 그 등급을 셋으로 대별할 수 있으니, 문장(文章)ㆍ훈고(訓詁)ㆍ유자(儒者)의 학문이 그것이다. 이천 선생(伊川先生)까지만 해도 생도들에게 이 점을 말해 주어 근본에 힘쓰도록 권면하였다. 그런데 주자(朱子)는 유자의 학문으로 곧장 들어가지 못하고 초사(楚辭)ㆍ고시(古詩)ㆍ병서(兵書)ㆍ선서(禪書) 등에 어지럽게 마음을 썼는데, 이는 소년시절의 습관에 의한 것이었다. 그러나 곧 그것이 잘못된 것임을 깨닫고 탈피해 나갔다. 이와 같은 주자의 실례로 볼 때, 성인의 자질을 타고나 처음부터 사리에 밝은 자가 아니라면 이러한 습관에 빠지는 것은 면할 수 없다 하겠다. 선생의 학문이 외연(外延)을 확장했다가 유자의 학문으로 수렴되면서 대략 세 번의 변화를 겪었던 것도 숨길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선생의 고유한 특성은 오직 간결 평이함뿐이었다. 선생은 그 진리를 체득한 마음에서 발로하여 말과 행동으로 표출된 일들이 어느 것 하나 툭 트이고 공정하지 않은 것이 없었다. 그러므로 글을 지을 때에는 옛사람의 글을 답습하거나 표절하지 않은 결과 모든 글이 독창적이었고, 경전을 해석할 때에는 천착하거나 견강부회하지 않은 결과 논리가 순하였다. 한 단계 더 나아가 참된 본성을 보존하고 사물의 이치를 두루 깨치는 심오한 경지에 나아간 것도 요컨대 오직 간결 평이함으로 인해 이루어진 것이었다. 이 문집을 보는 사람이 초년과 만년의 작품을 구별하여 순수한 도(道)와 잡박한 문(文)으로 분간하려 아무리 애를 쓴다 하더라도, 모든 글이 한결같은 것을 어찌하겠는가. 《시경(詩經)》에 “의젓한 몸가짐 빈틈이 없어, 무엇이 훌륭하다 꼽을 수 없네.[威儀棣棣 不可選也]”라고 하였다. 선생의 글도 이처럼 순수한 것을 따로 꼽을 수가 없으니, 또 어찌 문(文)과 도(道)를 분리하여 논할 수 있겠는가. 불완전한 문(文)은 도(道)라고도 할 수 없는 것이다.
문(文)을 짓는 방법에는 세 가지 요체가 있으니, 첫째, 이치가 정밀하고 분명하지 않으면 안 되고, 둘째, 기운이 왕성하지 않으면 안 되고, 셋째, 언어 구사가 무르익지 않으면 안 된다. 수레가 아름답게 꾸며져 사람이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무르익은 언어 구사와 같고, 물이 깊어 물건이 뜰 수 있는 것은 왕성한 기운과 같다. 이 두 가지는 오래전부터 깨끗하고 순수한 모습으로 육경(六經)에 실려 있었다. 육경은 순전히 이치를 밝힌 글인데도, 천지에 충만한 왕성한 기운과 일월성신(日月星辰)의 찬란한 아름다움까지 이처럼 모두 그 속에 들어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육경에서는 이 세 가지 요체를 모두 지목해 낼 수 있다 하겠다.
그러나 팔대(八代) 이후로는 천하의 문(文)이 분해되어 세 가지 요체를 두루 갖추지 못하였으니, 내용과 형식이 조화를 이룬 위대한 문(文)을 찾아보기 힘들었다. 그러므로 문장가의 문은 유창함과 수사적인 기교만 추구하고, 경학자의 문은 진지함과 질박함에만 비중을 두었다. 그리고 이른바 유자(儒者)의 문(文) 중에, 《속경(續經)》처럼 참람되고 《법언(法言)》처럼 거짓된 것은 순전히 남에게 보이기 위해 주관 없이 지어진 것으로 그 내용과 형식이 모두 잘못되었으니, 단연코 육경을 해친 것이라 할 수 있다.
문장가이면서 유자인 창려(昌黎 한유(韓愈))는 기운이 왕성하고 언어 구사가 무르익었다. 그러나 〈원도(原道)〉와 〈사설(師說)〉 같은 작품은 겨우 몇 편에 불과하였고 〈모영전(毛穎傳)〉과 〈송궁문(送窮文)〉 같은 작품은 차라리 없는 편이 나았다. 심지어 크고 넓은 규모의 맹자(孟子)를 깎아내려 사마상여(司馬相如)와 동렬에 세우고 흐리멍덩한 우적(于頔)의 문장을 추켜세워 육경에 비기기까지 하였으니, 심하다 하겠다. 이처럼 무리하게 아첨하고 실없었던 그에 대해 주공(周公)의 마음과 공자의 생각을 지녔다는 둥, 태양처럼 빛나고 옥처럼 깨끗하다는 둥 칭송을 하다니, 아, 참으로 황당하다.
구양수(歐陽脩)는 수준이 낮긴 해도 순수함을 지니고 있었다. 아름답고 조리 있는 그의 문장에 횡거(橫渠 장재(張載))의 심오한 이치를 융합하면 유감이 없을 텐데, 애석하게도 이 두 가지가 한데 어우러진 작품을 만나 보기란 쉽지 않다. 그러나 선생은 바로 그러한 것을 완비한 경우이다. 실로 지나치게 말해도 과장되지 않은 말이 있는 법인데, 선생에 대한 나의 이 평가가 그러한 경우라고 자부한다.
선생은 또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뛰어난 점이 세 가지가 있다. 첫째, 천하의 지극한 이치를 말하려면 말만 많아지고 이치를 드러내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선생은 간결한 말로 그 이치를 다 드러내었다. 둘째, 어지러운 중론(衆論)을 꺾으려면 말투가 격해지고 논리가 빗나가는 경우가 있는데, 선생은 부드러운 말투로 막힘 없는 논리를 폈다. 셋째, 긴 문장을 끝맺을 즈음이면 말의 흐름이 급해지는 경우가 있는데, 선생은 신중하고 여유롭게 마무리를 지었다. 선생의 글을 보면, 숨어 있던 이치가 가을달처럼 환히 빛나고, 이견(異見)에 대한 논박이 봄바람처럼 부드럽고, 긴 문장의 말미에 조화로운 음악이 울리는 듯하다. 한자(韓子)의 “이치를 환히 알면 문장도 논리가 분명하고, 성품이 느긋하면 문장도 여유롭다.”는 말도 선생의 문장을 찬미하기에 미진하다 할 것이다.
천지간에는 실로 사리에 어긋나거나 잡된 것이 섞이지 않아 사람의 마음과 통하는 순한 기운과 조화로운 소리가 있다. 그것은 저절로 형상과 음률을 이루는데, 조금이라도 작위(作爲)를 가했다 하면 곧 그 기운과 소리에서 멀어져 그러한 형상과 음률을 잃어버리게 된다. 그런데 선생은 이미 오래전에 그러한 글을 써내었으니, 본디 별개인 문(文)과 도(道)가 선생의 글에서는 일체가 되었다. 더구나 지금과 같은 말세에, 그것도 변방의 작은 나라에서 문(文)을 짓는 세 가지 요체를 모두 갖추고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세 가지 뛰어난 점을 한 몸에 지녔으니, 더더욱 쉽지 않은 일이다. 선생의 글을 가지고 선생의 인품을 추론해 보면, 온화하고 순리로운 성품이 내면에 쌓여 아름다운 광채가 밖으로 드러난다는 말이 진실임을 알 수 있다.
아, 내가 삼주(三洲)에서 선생에게 가르침을 받던 저녁이면, 선생은 종종 잔뜩 미간을 모으고, “문인(文人)의 악업(惡業)이 끝날 때가 없구나. 《역경(易經)》을 읽는 내 만년 공부에 해로울 텐데.”라고 말하곤 하였다. 여기에서, 내실을 추구하는 선생의 공부가 노년으로 갈수록 한층 더 면밀해졌고 묵묵히 실천하여 성취한 것은 덕행이 있어서였으며, 나이 예순을 앞두고도 꾸준한 변화를 멈추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이 점도 문인(門人)들이 알아두어야 할 것이기에 아울러 서술하였다.
숭정(崇禎) 기원후 82년 기축(1709, 숙종35) 9월에 아우 창흡(昌翕)이 삼가 짓다.

[후서(後序)]
전에 나는 이 문집에 대해 “모든 글이 한결같아 순수한 도(道)와 잡박한 문(文)으로 분간할 수 없다.”고 하였는데, 각 문체별 글의 수준도 그 우열을 가릴 수가 없다. 그러나 유자후(柳子厚)가 서술(敍述)과 비(比)ㆍ흥(興)을 별개의 창작 기법으로 분리한 뒤로 사람들은 마침내 “서술과 비ㆍ흥은 주안점이 완전히 다르므로 두 가지를 다 잘할 수는 없다.”고 하였으니, 이에 대해 언급하지 않을 수가 없다.
유자후가 말한 ‘기세가 높고 힘차고 광대하고 심후한 것’과 ‘미려하고 전아하고 운율이 맑고 유장한 것’이, 그 체재와 격조에 있어 방정하고 원만함은 사실 차이가 있다. 그러나 지류(支流)는 둘이지만 근원은 하나이니, 이들은 본디 합치되는 것이다. 곧, 옛사람들의 언어를 상고해 보면, 그것이 비록 사실과 심정을 자세히 서술하는 말이라 해도 뜻을 다 표출할 말이 부족하면 왕왕 반복하고 소리를 길게 뽑아 저절로 성률에 맞게 되는 경우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반복과 영탄(詠嘆)을 규칙화한 비ㆍ흥은 그 길이를 다소 변화시킨 것일 뿐이니, 어찌 서술과 완전히 다르다 할 수 있겠는가. 서술과 비ㆍ흥은 서로 융통성 있게 넘나들기 때문에, 문장을 짓는 사람들도 시인의 여유로운 맛과 소인(騷人)의 맑고 깊은 맛을 과소평가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러한 맛을 터득하여 운용한 사람으로는 누구보다 구양수(歐陽脩)를 꼽을 수 있는데 선생도 그러했으니, 이는 온후한 성품과 해맑은 기상이 구양수와 같아서였다. 그러나 구양수는 시의 격조로 문장을 짓는 것은 잘하면서도 시의 격조로 시를 짓지는 못하였으니, 이 어찌 습속에 얽매여 진솔 담박함을 잃어버린 때문이 아니겠는가. 반면에 선생은 주자(朱子)를 바탕으로 완적(阮籍)과 곽박(郭璞) 이전 시대의 문학적 기풍을 섭렵함으로써 진솔 담박함을 추구하였고, 옛것을 모범으로 삼되 규칙에 얽매이지 않는 방향으로 운율을 연마하였다. 그 결과 처한 상황에 따라 일어나는 감흥을 고금을 넘나드는 격조로 자유로이 표출하면서도 진솔 담박함이 자연히 담기는 경지에 이르렀다. 시가 이러한 경지에 이르렀으니, 그 수준의 고하를 막론하고 문장과도 동떨어지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아, 선생은 고대의 순박한 악(樂)과 시(詩)가 붕괴된 뒤에 태어나 강개한 마음으로 순(舜) 임금과 탕(湯) 임금의 음악을 생각한 나머지, 그 음악이 마치 귓전에 쟁쟁 울리는 것 같았다. 그리하여 어려서부터 글을 읽을 때면 장구(章句)를 풀이하는 정도에 그치지 않고, 마음에 맞는 대목이 있으면 늘 낭랑하게 독송하고 힘차게 읊조리며 마치 옛사람과 마음을 주고받는 것처럼 오랫동안 되풀이하여 음미하였다. 그리고 비록 대수롭지 않게 들어 넘길 수 있는 사람의 시구라 해도 반드시 반복해서 낭송하게 한 다음 운율의 조화와 시어의 적절함을 평가하였으니, 선생이 자득한, 성정(性情)을 읊은 시는 실로 보통 사람의 시와 다른 것이었다.
비ㆍ흥을 구사한 것이 적합하지 않은 것도 아니고 언어를 조탁한 것이 노련하지 않은 것도 아니지만, 이 두 가지로 선생의 글을 평가하는 기준을 삼아서는 안 된다. 이와는 별도로 글 이면에 구성지고 해맑게 배어나는 것이 있으니, 가락이 맑으면서도 음운이 부드러워 듣는 즉시 이해가 되고 감동을 받게 되는 것이다. 이로 볼 때 선생의 글이 제대로 글을 읽고 음운을 살필 줄 아는 이들의 인정을 받는 것도 당연하다 할 것이다. 문장을 보면 시가 그 속에 들어 있고 시를 보면 음악이 그 속에 들어 있으니, 종합하여 보면 이 또한 서두에서 말한 것처럼 모든 글이 한결같은 것이라 하겠다.


 

[주D-001]자연(子淵)과 자운(子雲) : 자연은 왕포(王褒)의 자이고 자운은 양웅(揚雄)의 자로, 모두 한(漢)나라 때 문장가이다. 왕포는 선제(宣帝) 때 〈성주득현신송(聖主得賢臣頌)〉을 지어 간의대부(諫議大夫)가 되었으며, 양웅은 성제(成帝) 때 〈감천부(甘泉賦)〉, 〈하동부(河東賦)〉, 〈우렵부(羽獵賦)〉, 〈장양부(長楊賦)〉를 지어 문명을 떨치고 뒤에 《태현경(太玄經)》과 《법언(法言)》 등 철학서를 저술하기도 하였다.
[주D-002]크고 …… 세우고 : 한유(韓愈)가 이부(吏部)에서 치른 박학굉사과(博學宏辭科)에 낙방한 뒤 최입지(崔立之)에게 보낸 답서에서 “굴원(屈原), 맹가(孟軻), 사마천(司馬遷), 사마상여(司馬相如), 양웅(揚雄) 같은 옛 호걸 선비들이 혹시 이 시험에 급제한다 하더라도 필시 하찮은 시험에 관계한 것이 부끄러운 나머지 벼슬하지 않고 그만두었을 것이다.”라고 한 말을 가리킨다. 《昌黎文集 卷16 答崔立之書》
[주D-003]흐리멍덩한 …… 하였으니 : 우적(于頔)은 당 헌종(唐憲宗) 때 재상이다. 한유는 그가 지은 〈문무순성악사(文武順聖樂辭)〉, 〈천보악시(天寶樂詩)〉, 〈독채염호가사시(讀蔡琰胡笳辭詩)〉 등의 작품을 읽고 그에게 보낸 편지에서 “양자운(揚子雲)이 ‘〈상서(商書)〉는 범위가 크고 넓으며 〈주서(周書)〉는 논조가 분명하고 바르다’ 하였는데, 당신의 문장은 그처럼 범위가 광대하며 논리가 분명하고 바르다.”라는 내용으로 극찬하였는데, 이를 가리킨 것으로 보인다. 《昌黎文集 卷15 上襄陽于相公書》
[주D-004]주공(周公)의 …… 하다니 : 당(唐)나라 이한(李漢)이 지은 〈창려문집서(昌黎文集序)〉 내용이다.
[주D-005]한자(韓子)의 …… 말 : 한자는 한유를 가리킨다. 한유가 위분(尉汾)에게 보낸 답서에서 뛰어난 문장은 우선 내실이 탄탄하게 다져진 다음에 이루어진다는 뜻을 설명하면서 한 말이다. 《昌黎文集 卷15 答尉遲生書》
[주D-006]문인(文人)의 악업(惡業) : 남의 가문의 묘도문자(墓道文字)를 짓는 등 문인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만년의 공부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이를 악업이라 한 것이다.
[주D-007]후서(後序) : 1928년에 후손 김영한(金甯漢)이 《농암집》의 삼간본(三刊本)을 간행하였는데, 이 삼간본은 원집과 속집에 수록되지 않은 내용을 묶어 별집을 만든 다음 원집, 속집, 별집을 합부(合附)하여 간행한 것이다. 이때 김영한이 원집 말미에 김창흡(金昌翕)이 쓴 후서(後序)를 수록하였는데, 이 후서는 본 번역서의 대본에는 수록되어 있지 않으나, 자료적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므로 번역하여 덧붙인 것이다.

 

         작자는 첨음 김상현의 선생의 후손이며,  도봉산 서원 입구에 고산앙지 암각화를 쓰신 운곡 김수증 선생님의 조카 되시는 분이기도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