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경인년 산행/2010.10.17. 양평 용문산 (산마루)

2010.10.17. 양평 용문산 백운봉 산행(산마루)

아베베1 2010. 10. 18. 20:19

 

 

 

 

 

 

 

 

 

 

 

 

 

 

 

 

 

 

滄溪先生集卷之十六
 
白雲峯登遊記 a_159_368d


昔余年十九。嘗浮舟泝漢。底于黃驪。方舟過渡迷月峽。見有一峯崪崪。勢入雲霄間。聞知爲龍門山也。後159_369a六年癸丑。隨親赴楊邑。邑於是山之下。邑人爲余言是山來歷號稱頗詳。蓋五臺一麓。西馳數百里。逶迤盤礴。屹然雄峙於並漢數郡者。卽圖經所稱彌智山。彌智一名卽龍門。或曰。山下有寺。名龍門。因謂山龍門。龍門之最高峯。曰迦葉,曰鷹峯,曰白雲。其高蓋略等。而白雲峯最爲峭絶。四面望之。截然若繩削而成。且臨江獨立。氣益奇秀。故四方人談龍門者。專說此峯。其以白雲稱者。獨其傍居人爲然。前余舟行時所問知爲龍門山者。亦此峯也。在邑中久。每閒居燕坐。目注心融。未嘗不在此山。蓋未論熟其面目。其159_369b於氣象意思之間。其所玩不可謂不深矣。玩之旣久。尤欲一登絶頂。以盡勝妙無窮之景。時九月旣望。携舍弟道冲往焉。由邑治東行五七里。緣岡坂以進。比至洞門。得一廣石小憩。從者云自此以往。例須舍馬徒行。余問此去山頂幾何。則八九里云矣。余素苦脚弱。不敢輒舍馬。據鞍跼蹐而行。行未久。石路轉險。往往回崖欹側。澗壑幽深。俯視。不覺森然髮動。遂下馬步行。遇稍陂陀處。卽復乘馬。蓋洞門之內。皆不可乘馬。而其乘馬者固不任。徒行亦甚危也。僅及山腰。氣疲足倦。若不可復進。回顧四面諸山。幾盡在下。江流159_369c縈繞。景象洒然。不忍半道徑廢。遂極力躋攀。且行且休。勞苦危怖。無所不有。日且夕。始到水月僧庵。庵在絶頂之下諸峯之上。聞山僧靜休新創云。占地位旣高。卽不煩出戶。而坐臥之間。便有無數雲山水石。羅列入眼。使人心胷豁落。不自知何由而能致身於如許虛闊之界也。顧語道冲曰。吾輩不喫向來多少辛苦。何渠得此樂乎。但絶頂未窮。此吾事未了也。仍周視庵傍。東有石峯三四。高可數丈。其上皆有疏松數株。最前一峯。謂之西臺。觀覽比庵舍益博。夜宿庵舍。曉起。霜月正明。披衣出門。則江派如練。山色微茫。時159_369d有輕雲開合。漁火明滅。眞奇景也。平朝。又有山嵐江霧鴻洞瀰漫如大洋海。高岑遠岫往往出頭。作海中島嶼狀。頃刻變幻。氣態千般。每覽晦翁雲谷奇觀之語。但有想象。不謂今日親見也。早食已。尋小徑。將窮絶頂。行數十步。徑路遂絶。僧言石尖葉滑。着足極難。且絶頂吾儕僅一登覽。客至。罕有訪者。今苦要冒險登陟。亦何爲乎。余曰。吾之來也。固欲窮絶頂。來此而不窮絶頂。與不來同。遂杖策先登。僧輩亦左右扶持。寸寸攀進。時遇險石起。逡巡旋遶而上。仰觀如崩。回視如墜。頗晦乘危之率爾。業已到此。又難退步。遂159_370a驀直向前。時甚渴。巖間得氷片嚙焉。蓋山間得雪。已數日云。旣及上峯。據巖石以坐。始到。巖石亦若搖動。蓋積畏尙存也。是日天氣淸明。正好眺望。然極遠猶有氛氣。不能詳也。余所坐巖石。蓋所謂上峯。而其上更有一巖峯。路絶不可復窮。携行小童。獨能寅緣超躐。盡頂而還。問之。其上有土有草。如丘墳形云。僧言嘗有至者。江陵之柏峴。大化諸山。襄陽之餘水坡。皆可指點。而春川淸平山則在眼下云矣。蓋余所坐處三面。皆通豁無碍。獨其後一面。爲此小峯者所阻。未免借人言而槩想。始知一分行未到處。必有一分見159_370b不徹處。眞不可强爲也。余所望其小而近者可略。其遠而大者。如原州之雉嶽。湖西之俗離。嶺南之鳥嶺。在其東。連山之鷄龍。天安之廣德。經其南。松都之天磨,聖居,松嶽。峙于西。處其中者。可據而知。其外亦往往有遠翠橫露而莫有能指言之者。如四郡之諸山。盡可領略。而以無高大名山。不可知也。江流過忠原之間者。形勢可觀。而其維護於楮島,石室之間者。亦往往可得其曲折也。近郡衆山蟠屈百匝。而皆可俯視。嘉平之華岳。竹山之七正。稍大矣。三角山自在山腰時。已露出眞面。旣到山頂。雖亦平臨。而氣勢奇秀。159_370c非他山之比也。京師之鞍峴,木覓。森森然在眼。煙氛冥晦。不能快覩蔥籠之氣。使人不無遺恨也。行中有酒榼。酌二三器飮之。如有淸氣襲口。酒後偶占一絶。書巖石間。徘徊旣久。遂謀下山。以來路石滑。益難下去。遂由山東以下。亂林危石。無復人跡。面勢矗削。亦無住足處。而然猶勝於攀登之危也。同行僧。有新自楓岳來。余問毗盧峯往還。與此孰難。僧言毗盧遠而緩。此山近而急。未知孰爲難易。而但毗盧徑路久開。差易登了。且毗盧雖高。所觀不出山中。只得東望滄海而已。至於眼界之闊遠無窮。定不及此山云。余只159_370d觀此山者。未知此言當否如何。唯知者可辨。然此山在近都百里之地。纔出國門。東馳半日。便可目擊。故人得以見之。人情於其易見。例至忽慢。安知其聞此言而不甚駭也。然非實踐深察者。未易詳其輕重也。還憩僧庵。日午出洞門。洞門之內。皆不可乘馬矣。西遶山底。夕飯舍那寺。曛暮到郡。回望仙山。尤益嶄然。復不自知何由能致身於其間也。獨坐書室。悄然興想。遂濡筆略記梗槩如此。可供他日臥遊也。


 

( : 1301( 27)~1382( 8)) . . () () () () 4 1386( 12) . . . . .
 
圓證國師石鐘銘(篆額)」
彌智山舍那寺石鐘銘幷序」

      中顯大夫成均館祭酒知製  敎鄭道傳譔」
高麗國師利雄尊者示寂小雪山門人火五得舍利甚多楊根郡父老請知郡事姜 侯萬岭伐石爲鍾藏舍利一十枚置舍那寺凡用粟三十碩布三百匹始於癸亥秋 九月戊申終於冬十二月庚申門人達心實主其事焉夫楊根郡本益和縣師之母 家也郡之西有大江曰漢發源太白山北流六百里入海郡之東曰彌智山屹然據」
乎楊廣交州之境其山水淸淑之氣孕靈産秀爲環異奇特之人其必有得於是」者歟師生楊根郡大元里游學中國嗣臨濟十八代孫石屋淸珙禪師之法則師」
於臨濟爲十九代之孫也石屋贈法衣禪杖以表相契東還玄陵禮以爲」王師尋加 國師封母鄭氏三韓國大夫人陞益和縣爲楊根屺郡遴選朝臣來撫」
郡人所以重師而推本其所由生也若李侯希桂姜侯萬岭皆有古良吏之風利興」獘革民得休息師之賜也師有再造是郡之德郡人慕之雖久不忘以其所以事師」
者事舍利其亦發於本心之不能已者然也銘之不亦宜乎銘曰」龍門崒 漢水漣漪 克生異人 王國是師 臨濟之傳」
式克肖之 縣陞爲郡 民安以嬉 惟師之德 郡人之思」承事舍利 如師在玆 有礱石鍾 勤我銘詩 留鎭山門」
傳示後來」
 洪武十九年丙寅十月 日門人達心立石」
      梓林寺住持禪師 誼聞 書」
薫谷 明昊 刋」
  (陰記)
助緣 版圖判書李中實 判司宰寺事李隲 三司右尹金子贇 司僕世李澣 仁州事申天用 楊根郡事吳成式 書雲副正咸英弼 中郎將金富 郎將李伯恭 郎將李升甫 郎將金天吉 散員李子榮 散員卞仁守 叅軍李稻 判典醫寺事張天實 三班 咸哲 李玉 咸義 池元 咸貞 咸奇 咸雪 李明 學生 全得珠 方熈 金仲南 崔公信 安之守 李蘭 小金 李成 咸金 申彥 施財辦善 正朝咸吉 天莊 元莊 
 

원증국사(圓證國師) 석종명(石鐘銘) (전액(篆 額)) 미지산(彌智山) 사나사(舍那寺)석종명(石鐘銘) 병서(幷序)

중현대부(中顯大夫)성균관(成均館) 제주(祭酒) 지제교(知製敎) 정도전(鄭道傳) 찬(撰)
고려국사 이웅존자(利雄尊者)께서 소설산(小雪山)에서 입적(入寂)하였다. 문인(門人)들이 화장하였는데, 많은 사리(舍利)가 출현하였다. 양근군(楊根郡)에 살고 있는 부로(父老)들이 지군사(知郡事)강만령(姜萬岭)에게 청하여 비석의 원석(原石)을 캐서 다듬어 석종탑(石鐘塔)을 만들어 사리(舍利) 10과(粿)를 넣어 사나사(舍那寺)에 세웠다. 그 소요 경비가 서속(黍粟)이 30섬, 면포(棉布)가 3백필(百匹)이 사용되었다. 계해년(癸亥年) 9월 무신(戊申)에 시작하여 그 해 12월 경신(庚申)에 끝났는데, 문인(門人)인 달심(達心)이 사실상 그 공사(工事)를 주관하였다.
양근군(楊根郡)은 본시 익화현(益和縣)이었는데, 스님의 어머니의 고향이다. 군(郡)의 서쪽에 큰 강이 있는 바 그 이름이 한강(漢江)이다. 근원이 태백산(太白山) 북쪽에서 시작하여 6백리를 흘러 서해로 들어간다. 군(郡)의 동쪽에 미지산(彌智山)이 있는데 양광도(楊廣道)와 교주도(交州道)의 인접한 경계(境界)에 우뚝 솟아 있다. 그 산수(山水)의 청숙(淸淑)한 기백은 영걸(靈傑)을 잉산(孕産)할 기특(奇特)한 정기(精氣)를 지니고 있으니, 특별한 인물들이 나는 까닭은 이 때문이 아니겠는가.
원증국사는 양근군(楊根郡) 대원리(大元里)에서 탄생하였다. 출가하여 수도하다가 중국에 유학하여 임제(臨濟)의 제18대 법손(法孫)인 석옥청공선사(石屋淸珙禪師)의 법을 이어받았으니, 국사(國師)는 임제의 19대 법손이 된다. 석옥(石屋)이 국사에게 법의(法衣)와 선장(禪杖)을 주어 이심전심(以心傳心)의 상계(相契)하였음을 표하였다. 그 후 곧 귀국하니, 현릉(玄陵)이 예를 갖추어 왕사(王師)로 추대하고 곧이어 국사(國師)로 책봉하였다. 어머니 정씨(鄭氏)를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으로 봉(封)하고, 익화현(益和縣)을 양근군(楊根郡)으로 승격시켰다. 가끔 인선(遴選)된 조신(朝臣)들이 자주 와서 군인(郡人)을 위무(慰撫)하였으니, 그 까닭은 국사를 존중하며 그가 태어난 고향 지방을 소중히 여겼기 때문이었다. 이희계(李希桂)와 강만령(姜萬岭)은 모두 옛 양리(良吏)의 가풍(家風을 지닌 현관(賢官)으로서 민초(民草)를 이롭게 하고, 폐단을 개혁하여 군민(郡民)들이 편안히 살 수 있었으니, 이는 모두 국사가 끼쳐준 음덕인 것이다. 그러므로 국사는 이 군(郡)을 살기좋은 곳으로 창조한 덕인(德人)이므로, 군민(郡民)들도 흠모하여 국사(國師)가 입적하신 지가 비록 오래되었으나 아직도 잊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스님을 섬기는 자가 곧 사리(舍利)를 모시려는 것이니, 이는 본심(本心)에서 발(發)한 것이므로 누구도 그를 막을 수 없다. 그러므로 비명을 짓는 것이 또한 마땅하지 않겠는가! 그리하여 명(銘)하여 이르기를
용문산봉(龍門山峰) 높고 높아 청숙(淸淑한 지령(地靈) 한강(漢江)물은굽이굽이비단결 같네!
맑고 높은 그 기운(氣運)이 이인(異人)을 낳니그 기운(氣運)을 이어받아 국사(國師)가 탄생     ①
임제법손(臨濟法孫) 석옥청공(石屋淸珙)의 법(法)을 받아서임제의현(臨濟義玄) 19대(十九代)의 법손(法孫)이 되다.
익화현(益和縣)을 승격하여 양근군(楊根郡) 되니군민(郡民)들은 너나 없이 칭송하도다.     ②
높고 넓은 국사(國師)의 덕(德) 두루 미쳐서양근군민(楊根郡民) 모든 사람 사모(思慕)하였네!
석종(石鐘) 세워 스님 위해 사리(舍利)를 봉안(奉安) 사리탑(舍利塔)이 있는 곳엔 스님이 있네!      ③
돌을 깎아 석종비(石鐘碑)가 세워졌으니  내가 지은 이 비명(碑銘)을 비(碑)에 새겨서
미지산중(彌智山中) 사나사(舍那寺)에 유진(留鎭)하오니
천년만년 지나도록 전(傳)하여 지다        ④
홍무(洪武) 19년 병인(丙寅) 10월 일에 문인(門人) 달심(達心)이 비석을 세우고
재림사(梓林寺)주지(住持) 선사(禪師) 의문(誼聞)은 비문을 쓰며
훈곡(薰谷)과 명호(明昊)는 비문을 새기다

(陰記)

<이 음기(陰記)는 조연자(助緣者)의 직책과 명단(名單)이므로 원문 그대로 붙여두고 번역은 생략한다.>

조연(助緣)
      판도판서(版圖判書) 이중실(李中實)                  판사재사사(判司宰寺事)  이척(李隲)  
      삼사우윤(三司右尹) 김자윤(金子贇)         사복세(司僕世) 이한(李澣)
      인주사(仁州事) 신천용(申天用)               양근군사(楊根郡事) 오성식(吳成式)
      서운부정(書雲副正) 함영필(咸英弼)         중랑장(中郞將) 김부(金富)
      낭장(郎將) 이백공(李伯恭)                      낭장(郎將) 이승보(李升甫)
      낭장(郎將) 김천길(金天吉)                      산원(散員) 이자영(李子榮)
      산원(散員) 변인수(卞仁守)                        참군(參軍) 이도(李稻)
      판전의사사(判典醫寺事) 장천실(張天實)
      삼반(三班) 함철(咸哲) 이옥(李玉) 함의(咸義) 지원(池元) 함정(咸貞) 함기(咸奇)
              함설(咸雪) 이명(李明)
      학생(學生)   김득주(金得珠) 방희(方熙) 김중남(金仲南) 최공신(崔公信) 
              안지수(安之守) 이란(李蘭) 소금(小金) 이성(李成) 함금(咸金)
              신언(申彦)
      시재(施財)    판선(辦善)
      정조(正朝)    함길(咸吉) 천장(天莊) 원장(元莊)
      조연(助緣)    ▨▨ ▨▨ ▨▨ 혜주(惠珠) 을시(乙時)


[출전 : 『校勘譯註 歷代高僧碑文』【高麗篇4】(1997)]
      
 
      
 
南陽: 都護府, 本高句麗唐城縣, 新羅改爲唐恩郡, 高麗復古名。 顯宗戊午, 屬水州任內, 後移屬仁州明宗二年壬辰,【卽孝宗乾道八年】 始置監務。 忠烈王十六年庚寅, 以縣人洪茶丘爲征東行省右丞, 陞爲知益州事, 後又陞爲江寧都護府, 三十四年戊申, 又陞爲益州牧。 忠宣王二年庚戌, 汰諸牧, 降爲南陽府, 本朝因之。 太宗十三年癸巳, 例改爲都護府, 屬縣一, 載陽。 四境, 東距水原十五里, 西距花之梁三十里, 南距水原任內雙阜二十里, 北距安山十里。 戶四百八十七, 口七百七十八。 軍丁, 侍衛軍二, 船軍一百四十五。 本府土姓六, ; 亡姓一, 載陽土姓四, ; 來姓一, ; 【安山來。】 續姓一, 。 人物, 僉議中贊慶興君忠正公洪子蕃、僉議中贊匡定公洪文系【皆忠烈王時人】 僉議政丞南陽侯文正公洪彦博恭愍王時人, 唐遣才子八人, 往敎高麗, 洪其一也。 子孫世貴於三韓, 名所居曰唐城。】 厥土肥塉相半, 近海風氣早暖, 墾田四千三百四十八結。 【水田居八分之三。】 土宜五穀, 粟、唐黍、小豆、芝麻、桑、麻。 土貢, 芝草。 藥材, 獅子足艾、【最良】 白附子、蓮子。 鹽所四十四。 磬石産府東舍郡寺[舍那寺]西山。 【色雜, 靑白有文彩。 今上九年丁未, 採之, 作磬, 聲中音律。】 魚梁二, 【主産民魚、蘇魚。 又産首魚、沙魚、眞魚、加大魚、石首魚、大蝦、中蝦、紫蝦、黃蛤、生蛤、土花、石花、落地。】 驛一, 海門。 關防二, 永宗浦【在府南, 水軍萬戶守禦。】花之梁【在府西, 右道水軍僉節制使守禦。】 烽火二處, 念佛山【在府西, 東準水原興天山, 北準本府海雲山。】海雲山【在府北, 北準安山無古里。】仙甘彌島【在花之梁西, 水路二里, 周回五里, 牛隻入放。】大部島【在花之島西二里, 長三十里, 廣十五里。 有左道船軍營田百餘結, 放國馬四百十八匹, 鹽夫四戶入居看養。】小牛島【在大部島西五里, 周回十五里, 有鹽夫二戶。】靈興島【在小牛島西七里, 長二十五里, 廣十五里。 有鹽夫五戶。】召忽島【在靈興島西三十里, 古稱召物島, 周回二十里, 無田地居人。】德積島【在召忽島南六十里, 古稱仁物島, 周回十五里, 放國馬二百五十七匹。】亏音島【在府北水路三里, 周回十三里。 有旱田五結, 府人來往耕穫。】士也串【國馬入放。】
【태백산사고본】
【영인본】 5책 61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