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세 휘 덕지 등/5세 휘 득지 삼기정

양촌선생문집 제20권에 기록된 (휘 득지 소윤공)

아베베1 2011. 1. 23. 15:50

전주최공 문성파 휘 아 - 휘 용봉 - 휘 을인 - 휘 담 - 소윤공 휘 득지  

 

양촌선생문집 제20권

 서류(序類)
여묘(廬墓) 사는 박 청도(朴淸道)에게 주는 시의 서


교서랑(校書郞) 최직지(崔直之)가 그의 외할아버지 박군(朴君)이 임종할 때 그의 아들에게 유언한 시(詩) 한 절구를 나에게 보이면서 말하기를,
“우리 외할아버지가 일찍이 태학(太學)의 경덕재(經德齋)에 들어가 학문을 통하였으되 과거에 응시하여 합격하지 못하매, 물러나 벼슬을 구하지 않았습니다. 완산(完山)에 살아 스스로 은둔을 즐기면서, 불신(佛神)의 요사스럽고 허황한 말에 현혹되지 않고 사도(斯道 유교(儒敎))의 정당함을 독신하였는데, 나이 80에 이르도록 건강하여 병이 없었습니다. 아들 진(晉)은 진사(進士)에 합격하여 내시(內侍)로 벼슬하다가 청도(淸道) 수령으로 나아갔으며, 딸은 곧 우리 어머니입니다. 우리 아버지와 우리 형제가 모두 과거에 올라 벼슬하여 문호를 빛낸 것은 실로 우리 외할아버지의 가르침을 힘입은 것입니다. 청도 외삼촌 또한 나이 60에 어버이의 늙음을 민망히 여겨 벼슬을 버리고 돌아와 봉양하는데, 몸소 용변을 받아 내고 탕약(湯藥)을 받들며 아침저녁으로 삼갔습니다. 병들어 돌아가시게 되매 시(詩)를 지어 보였는데 그 시에,

나이 팔십이라 죽어야 마땅한데 / 八十年當臥蟻床
육십난 효자 약을 맛보누나 / 六旬孝子藥先嘗
사생은 천명이라 피하기 어렵나니 / 死生存命終難避
너의 어미 무덤 곁에 나를 묻어 다오 / 近汝慈墳立壽堂
하고, 이튿날 드디어 돌아가셨는데, 청도에서 3년 동안 시묘(侍墓)를 살았습니다. 그리하여 도관찰사(都觀察使) 성공(成公)과 완산부백(完山府伯) 안공(安公)이 그 효행을 가상히 여겨 문려(門閭)에 정표하니, 향당(鄕黨)의 영광이 이미 극진하였습니다. 외삼촌께서는 운(韻)을 돌려 여러 진신(縉紳)들의 글을 구하여, 돌아가신 아버지의 숨은 덕을 영원히 빛내려고 천리 길에 사람을 보내 서울에 이르러 직지(直之)에게 부탁하는지라, 직지 또한 개풍 한천(凱風寒泉)의 감회를 참지 못하여 진신들을 역방(歷訪)하며 청하였는데, 여기에 서문이 없을 수 없습니다. 그대는 이미 우리 외삼촌을 알고 또한 일찍이 우리 아버지와 더불어 교유하였으므로, 우리 형제도 일찍이 나아가 글을 배웠습니다. 비록 우리 외할아버지를 뵙지 못하고 말씀도 듣지 못하였지만, 그대는 내 집을 본래부터 아는 처지라, 만약 그대의 글을 얻어 책머리에 붙여서 오늘날에 과시(誇示)하고 후세에 없어지지 않게 한다면, 어찌 우리 외삼촌과 우리 부자만의 다행이겠읍니까! 우리 외할아버지 역시 지하에서 감격할 것입니다.”
하므로, 나는 의리로 보아 사양할 수 없어 다음과 같이 쓴다.
“옛날에 시골 선비로서 도학을 갖추고 벼슬하지 않으며, 살아서는 능히 그 덕으로 한 고장을 잘 교화시키고 죽어서는 그 고장의 향사(享祀)를 받는 이가 있었으니, 지금 그대의 외할아버지 같은 이가 바로 그런 분이다. 내가 평일에 비록 그 문하에 나아가 뵙고 그 서론(緖論)의 고아(高雅)함을 접하지는 못하였으나, 지금 그 임종할 때의 시를 보니, 부자의 정의에 독실하고 사생의 이치에 밝아서 조용히 올바르게 죽었으니, 자못 증자(曾子)의 ‘내 손을 열어 보아라. 내가 이제 훼상(毁傷)을 면한 줄 알았노라.’고 한 훈계와 그 기상이 같은지라. 평일에 수양한 바를 알 수 있다. 청도가 또한 뜻을 받들어 어기지 않았고 장제(葬祭)를 예로 받들어, 문려를 정표 받고 가문을 빛내 고장이 칭송하고 나라에 전파하였다. 그대의 부자 형제가 진진(振振)한 인(仁)과 빛나는 영광으로 문과(文科)에 올라 좋은 벼슬을 하였으니, 이는 그 할아버지가 덕을 쌓되 자긍하지 않았으므로, 경사가 무궁하게 발하는 것이다. 효우(孝友)의 아름다움과 훈렬(勳烈)의 이룸이 대대로 계승하여 더욱 떨치리니, 어찌 내 말을 기다린 뒤에 민멸하지 않으랴.”
건문(建文 명 혜제(明惠帝)의 연호) 원년 기묘(1399, 정종1) 12월 1일


 

[주D-001]경덕재(經德齋) : 고려 예종(睿宗) 4년(1109)에 국학(國學)에 베푼 7재(齋) 중의 하나로 모시(毛詩)를 전공하던 곳이다.
[주D-002]내시(內侍) : 고려 때 숙위(宿衛) 및 근시(近侍)의 임무를 맡아 보던 관원. 재예와 용모가 뛰어난 세족의 자제 또는 시문에 능한 문신 출신으로 임명하였다.
[주D-003]개풍 한천(凱風寒泉) : 개풍은 《시경》 패풍(邶風) 중의 편명. 한천은 개풍 중 ‘원유한천(爰有寒泉)’의 구절에서 인용된 것인데, 이는 자식들이 어버이를 잘못 섬기는 것을 자책한 시다.
[주D-004]내 손을……알았노라 : 증삼(曾參)이 병들어 제자들을 훈계한 말로, 몸을 온전히 보전하여 죽는 것도 효도의 하나인데, 이를 실천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論語 泰伯》

 

예조에서 계하기를,
부사정(副司正) 김자호(金自湖)일본에서 사망하고, 순창 군사(淳昌郡事) 최직지(崔直之)는 임소(任所)에서 사망하였으니, 청컨대, 규례에 의하여 부의를 내리소서.”
하니, 그대로 따랐다.
【태백산사고본】
【영인본】 2책 568면
【분류】 *왕실-사급(賜給)

 

 

세종 22권, 5년(1423 계묘 / 명 영락(永樂) 21년) 12월 19일(병인) 3번째기사
일본에서 사망한 부사정 김자호에게 부의를 내리다

세종 22권, 5년(1423 계묘 / 명 영락(永樂) 21년) 12월 19일(병인) 3번째기사
일본에서 사망한 부사정 김자호에게 부의를 내리다

 

 태종 1권, 1년(1401 신사 / 명 건문(建文) 3년) 1월 27일(정해) 2번째기사
김약채를 다시 대사헌으로 삼고, 김자수·전순 등 대관들도 임명하다

 

다시 김약채(金若采)로 사헌부(司憲府) 대사헌(大司憲)을 삼고, 김자수(金自粹)·전순(全順)으로 좌우 산기 상시(左右散騎常侍)를 삼고, 최함(崔咸)으로 좌간의 대부(左諫議大夫)를, 박순(朴淳)으로 사헌 중승(司憲中丞)을, 이반(李蟠)으로 내사 사인(內史舍人)을, 정안지(鄭安止)·최직지(崔直之)로 좌우 습유(左右拾遺)를 삼았다.
【태백산사고본】
【영인본】 1책 195면 【분류】 *인사-임면(任免) / *정론-간쟁(諫諍)

 

태종 19권, 10년(1410 경인 / 명 영락(永樂) 8년) 6월 25일(경신) 3번째기사
관기를 매질하여 죽인 나주 판관 최직지를 파직시키다

 

세종 22권, 5년(1423 계묘 / 명 영락(永樂) 21년) 12월 19일(병인) 3번째기사
일본에서 사망한 부사정 김자호에게 부의를 내리다

세종 22권, 5년(1423 계묘 / 명 영락(永樂) 21년) 12월 19일(병인) 3번째기사
일본에서 사망한 부사정 김자호에게 부의를 내리다

 

다시 김약채(金若采)로 사헌부(司憲府) 대사헌(大司憲)을 삼고, 김자수(金自粹)·전순(全順)으로 좌우 산기 상시(左右散騎常侍)를 삼고, 최함(崔咸)으로 좌간의 대부(左諫議大夫)를, 박순(朴淳)으로 사헌 중승(司憲中丞)을, 이반(李蟠)으로 내사 사인(內史舍人)을, 정안지(鄭安止)·최직지(崔直之)로 좌우 습유(左右拾遺)를 삼았다.
【태백산사고본】
【영인본】 1책 195면
【분류】 *인사-임면(任免) / *정론-간쟁(諫諍)

여지도서
補遺篇 (全羅道)
完山誌卷下
科宦文臣
鄭可宗 官至判書 원주 鄭守弘 官至大憲 원주 崔霮 官至參議 원주 崔匡之 霮之子官至提學 원주 崔直之 匡之弟至至提學 원주 任衡 官至獻納 원주 柳克剛 贈掌令 濕之子官至判典校事 원주 柳克修 克剛弟至郡守 원주 柳克濟 克修之弟也官至判官 원주 柳思汶 克修子官至參知 원주 吳蒙乙 麗末登第入我 朝開國功臣寶城君官至吏判 원주 崔進誠 定宗朝登第官至舍人 원주 柳益之 官至獻納 원주 金滓 太宗朝登第官至政堂文學 원주 李桂遂 世宗朝登第官至判事 원주 吳乙濟 文宗朝登第官至監司 원주 柳阡第 端宗朝登官至縣監 원주 李孟智 吏判 承吉五世孫官至執義 원주 柳孝章 睿宗朝登第官至郡守 원주 姜參 官至承旨 원주 柳仁弘 孝章子官至持平 원주 梁之孫 官至禮儀 원주 金瓊 官至禮正 원주 林乙孫 官至縣監 원주 李穟 完城君 伯由四世孫燕山

<하권1036-2>

朝登第官至牧使 원주 李昌壽 官至僉正 원주 鄭仁謙 官至僉樞 원주 李忠男 吏判 承吉四世孫官至持平 원주 林崇檜 進士乙枝子 中宗朝登第官至承文校檢 원주 鄭振 官至禮郞 원주 金權 府使 冏之孫官至府使 원주 金應璧 官至修撰 원주 姜璜 別坐 利誠子官至正言 원주 崔瑞獜 官至郡守 원주 梁鐵堅 官至縣監 원주 李效忠 昌壽子登魁第官至佐郞文行超世靜庵趙先生重其人有共貞之意早沒士天夫莫不惜之 원주 柳世華 生進俱中官至府使 원주 姜崇德 璜之子中壯元官至修撰 원주 李承孝 效忠子選湖堂官至修撰才行文章冠世 원주 崔弘僴 明宗朝登第官至本道監司 원주 鄭彦智 振之子官至判書 원주 鄭彦信 彦智弟官右議政 원주 陸大春 淸白官至郡守 원주 李義臣 官至郡守 원주 梁應鮐 初名應台放榜時 御賜鮐字 恩遇頗隆官至郡守 원주 柳世茂 官至府使 원주 柳德粹 官至牧使 원주 金汝鍊 官至翰林 원주 李振先 官至正郞 원주 梁夢說 官至正郞天性仁孝

[출처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

태종 19권, 10년(1410 경인 / 명 영락(永樂) 8년) 6월 25일(경신) 3번째기사
관기를 매질하여 죽인 나주 판관 최직지를 파직시키다


전라도 도관찰사(全羅道都觀察使) 허주(許周)가 나주 판관(羅州判官) 최직지(崔直之)를 파면시켰다. 만경 현령(萬頃縣令) 윤강(尹江)이 어떤 일로 나주에 이르렀는데, 관기(官妓) 명화(名花)가 수청(守廳)을 들지 않는다고 노하매, 직지(直之)가 매를 때려 3일 만에 죽었다. 이리하여 그 집에서 원통함을 호소하였기 때문이다.
【태백산사고본】
【영인본】 1책 555면
【분류】 *인사-임면(任免) / *사법-탄핵(彈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