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최씨 시조공에 대한 기록/崔仁壽母沈氏墓誌銘

崔仁壽母沈氏墓誌銘a

아베베1 2011. 4. 17. 16:52

二樂亭集卷之十一
 墓誌
崔仁壽母沈氏墓誌銘 a_017_104a


沈氏籍靑松。光德大夫。儀賓府儀賓兼五衛都摠府都摠管,判義禁府事諱安義之女。嘉善大夫。黃海道觀察使諱璿之孫。儀賓尙世宗大王女貞安翁主。以景泰甲戌生。溫柔端淑。天賦其性。及笄。適通訓大夫。行溫陽郡守崔諱儼之子從仕郞諱孟思。生二男。承順無違。婦道靡缺。成化壬辰六月日。失所天。靑年守寡。貞信保家。鞠育兩兒。竝至成立。長曰仁壽。歷宣傳官,監察,判官。爲017_104b敦寧府主簿。次曰仁福。歷主簿,監察。爲德山縣監。俱早登仕版。才器可用。亦慈敎所就也。年至周甲。遘微痾終于家。是正德甲戌十月二十四日也。越十二月二十七日。窆于楊州治西佛曲山卯坐酉向之原。附家公幽堂。禮也。嗚呼。有淑質善性而天不佑。旣早寡之。又不與遐齡。哀哉。其必有餘慶之報在子孫也。主簿聘慶州府尹閔永肩之女。生二男二女。男曰國光,世光。國光娶豐原尉任崇載女。女長歸別坐鄭承孝子弘佐。生二女。次歸淸原君韓偉子守道。縣監聘宗室加恩君份之女。生二男三女。男曰門光,淑光。女長適部將鄭有綱子源。餘糿。017_104c銘曰。
厭世而歸眞。從家公也。泉室之堅安。保無窮也。
017_104d二樂亭集卷之十一

淸原君韓公墓誌銘 a_017_102b


017_102c公諱偉。字宏父。姓韓氏。系出淸州。遠祖諱蘭。佐高麗太祖有功。封太師。自是代旒其慶。爲世名閥。入國朝。有諱寧者。贈官兵曹判書。是爲公高祖。判書生諱永矴。贈議政府領議政。是生諱確。策勳靖難佐翼。封西原府院君。官至議政府左議政。諡襄節。襄節之子諱致義。錄佐理功。封淸陽君。卒官兵曹判書。諡章悼。章悼娶全義望族知豐川郡事李恒全女。以成化乙酉生公。幼警穎異凡兒。以門蔭累散階。年二十一乙巳。拜東部主簿。轉司憲府監察。司僕寺主簿。弘治己酉。授江原道都事。秩滿。遷軍資監判官。歷司僕寺判官僉正,忠勳府經歷。戊午。017_102d授江華都護府使。吏畏民懷。以最聞。庚申秋。特加通政。陞授工曹參議。壬戌。擢拜承政院同副承旨。累陞至左承旨。癸亥。階陞嘉善。拜漢城府右尹。俄遷同知中樞府事。襲考勳封淸原君。是年秋。赴皇朝賀千秋節。甲子春。兼都摠府副摠管。夏。昭惠王后昇遐。以公爲守陵官。時主荒政悖。公非罪見罷。然守陵如舊。乙丑。錄守陵勞。加嘉靖階。然終不復職。丁德丙寅。丁外艱。遭遇聖主龍興。錄功原從二等。冬。特命加一階。追賞守陵之功也。戊辰服闋。拜資憲。淸原君兼都摠府都摠管。庚午。遷知中樞府事。辛未四月戊子。以疾終于家。享年四017_103a十七。訃聞。輟朝弔祭如儀。越某月。窆于果川縣隨理山某向之原。胤子守善。銜哀爲書。請誌銘于禮曹判書申用漑曰。亡考生長綺紈。而絶驕矜之氣。位到二品。不以富貴加人。平生不畜姬妾。居官淸以勤。所至有聲績。待兄弟親戚。極其歡愛。御僕隷以寬。戒子弟義方。毋累祖先。疾革。亟命左右扶起。與家人訣曰。吾無德可稱。而致位宰相。榮幸已極。今死何恨。遽然而逝。年未耳順。奄及于化。終天之痛罔極。願得主文翰者一言。藏幽扃以保後來。用漑旣哀其言。旋念與公同政院摠府。相從遊久。知其實詳。見胤子之辭無溢。且胤子。壻于吾伯氏郡守017_103b用灌之女。與連姻婭。銘安敢辭。公先娶淸州牧使姜子正之女。無後。先公歿。後娶繕工監正安友參之女。生二子。長卽守善。次守道。娶判官崔仁壽之女。銘曰。
世貂蟬能繼承。保名門不驕矜。天畀官嗇於壽。之與奪莽難究。宅于茲安且堅。神佑護萬爲年。


중종 50권, 19년(1524 갑신 / 명 가정(嘉靖) 3년) 2월 23일(무오) 1번째기사
대간이 이함·유홍의 일, 동궁의 관속, 김의석 형제, 금주에 관해 계하다


대간이 전의 일을 아뢰고, 또 아뢰기를,
이함(李菡)·유홍(柳泓)을 패군한 일 때문에 추문(推問)하는데, 보방(保放)시키셨습니다. 군법(軍法)은 엄해야 하니, 가두고 추문하소서. 동궁(東宮)의 관속(官屬)은 세자(世子)를 보양(保養)하기 위함이니 벼슬만을 갖추고 말아서는 안 되는데 요즈음 보니 병조(兵曹)가 어질고 어질지 않음을 가리지 않고 허물 있는 사람을 많이 씁니다. 이제 죄다 아뢸 수는 없으나 그 중에서 더욱 심한 자를 가려서 아뢰겠습니다 익위(翊衛) 김의석(金義錫)은 인물이 용렬하고 사어(司禦) 최인수(崔仁壽)·안자겸(安子謙)은 다 범람(泛濫)한 사람이며, 위솔(衛率) 유무빈(柳茂濱)은 몸가짐을 삼가지 않고 세마(洗馬) 윤원량(尹元亮)은 우열(愚劣)하여 모두 동궁에서 시위(侍衛)하는 직임에 맞지 않으니, 다 체차(遞差)하소서. 또 김의석(金義錫)의 서제(庶弟) 김원석(金元錫)은 적형(嫡兄)을 때려 유배된 지 이미 오랜데, 접때 형 김의석의 상언(上言)에 따라 마침내 유방(宥放)11905) 을 입었으나, 그 죄는 참으로 강상(綱常)에 관계되니 가벼이 용사할 수 없습니다. 또 근래 경외(京外)가 매우 심한 흉년이 들었으니, 늙고 병든 사람이 약으로 먹거나 혼인·제사와 활쏘는 곳 외에는 한 병의 술도 일체 금하소서.”
하니, 전교하기를,
유용검(柳用儉)의 일은 윤허하지 않는다. 이함은 적에게 다쳤으므로 갇혀서 병을 앓게 되면 뒤에 죄주려 하더라도 할 수 없게 될 것이기 때문에, 우선 보방시키고 한규(韓珪)가 오거든 모두 추문할 것이다. 동궁의 요속(僚屬)은 정하게 가려야 하겠으나, 익위사(翊衛司)는 시강(侍講)의 예와 같지 않아 서반(西班)의 벼슬이니, 갈 것 없다. 김원석의 일은 그 형 김의석이 두 번 상언하기에 이르러 분간해서 용서하였으니, 고칠 것 없다. 술을 금하는 일은 아뢴 대로 하라.”
하였다.
【태백산사고본】
【영인본】 16책 288면
【분류】 *농업-농작(農作) / *윤리-강상(綱常) / *정론-간쟁(諫諍) / *사법-탄핵(彈劾) / *사법-법제(法制) / *군사-군정(軍政) / *외교-야(野) / *인사-임면(任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