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신묘년 산행 /2011.8.23. 도봉산 산행

2011.8.23. (창포원 -다락원캠프장- 의혜공주 묘지- 마당바위 -연꽃바위)

아베베1 2011. 8. 23. 17:21

                

                                                          도봉산 의혜공주 묘지 탐방    

 2011.8.23 집에서 자전거로 중랑천변 자전거도로를 따라 창포원을 거쳐서 다락원 캠프장 있는 도봉산 입구에서  산행을 시작하여서  도봉산 다락원 입구를 지나서  매표소 기도원입구를 가다가 보면  조선제11대 임금이신 중종의 2번째 공주인  의혜공주와 숭록대부 한경록의 묘지가 있는 곳이다 . 의혜공주는 11세에 남편인 한경록과 12세에 혼인을 하여 44세에 작고를 하시고 남편은 임진왜란시에  순절을 하였다  

  최근에 묘지를 수축 하여 단장을 많이 한듯하다 .  수없이 다녔던 곳인데 지난번  7월에는 비가 와서 담지 못하고  오늘은 맑은날이어서  화창한날을 잘 잡은듯 하다 . (한경록은 청주인)

  ♠ 창포원 입구의 모습  

   ♠ 창포원 입구의 백일홍 (목배롱)모습  

   ♠ 창포원 입구에서 바라본 공원내부와 수락산의 모습  

  ♠ 창포원 입구에서 바라본 공원내부와 수락산의 모습  

  ♠ 창포원 입구에서 바라본 공원내부와 수락산의 모습  

  ♠ 창포원 입구에서 바라본 모습  

  ♠ 창포원 입구를 나와서 도봉검문소 가는길에서 도봉산의 모습  

  ♠ 창포원 입구를 나와서 도봉검문소 가는길에서 도봉산의 모습  

 ♠ 다락원입구 캠프장 개울에 노닐던오리의 모습  

  ♠ 조선제 11대 왕인 중종과 문정왕후 의 딸인 의혜공주(11세), 춘천도후부사 한승권의 子 한경록과 결혼하여 ..

   그동안의 사적이 남아있다   

 

  ♠ 의혜공주와 청원위 한경록의 양위 묘지의 모습  

♠ 문인석 모습  

 ♠ 양위의 모습을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  

  ♠ 비두는 용의 형상을 조각하고 세월이 지나도 예전의 못븡을 알수가 중국에서 돌을 가져와서 제작하였다는 설도    

  ♠ 숭덕대부 청원위 청주한공지표 , 의혜공주지묘  양위 (숭덕대부는 종1품,

 

   清原君韓景錄先王朝駙馬也


○清原君韓景錄先王朝駙馬也富甲長安聞禮 曺判書鄭士龍爲東方一富欲徃觀之景錄連徃投剌表門外蒼頭两人對
立㭍絲笠白苧衣青廣帶容釆映麗者奔拝奉御傳于小門內
两奴两奴衣冠萃覩如之又傳閤內两婢凝粧珠翠者擎納于
內判書未出也駙馬望見園上長廊三十許間假葢以船蓬問
此何屋耶荅曰樓庫霾湿多䑕作假屋移木綿布于此以風之
駙馬問幾同同者五十匹也蒼頭曰先移此屋者六百餘同曰
在樓者又幾許曰移不能三之一不盡記也駙馬旣見蒼頭侍
婢守閽者已非己所家有又聞木綿之數不覺愕貽俄而判書

▼원문보기37a  처음으로
出迎上堂左右侍婢奉巾帨箕帚麈者兮两隊各數十判書
曰閤下辱賜降臨家有薄酒願奉左右已而丫鬟玉女奉珍羞
咄嗟而進者方丈又有蒼頭各執樂器分部東西自外廊而入
列坐堂下又有羅紗綵服之姫奉琴瑟諸具自內門而出者列
坐堂下水陸稀異之珍每随爵而進滿艗悉金銀唐畫器駙馬
雖未能盡爵故故久坐欲窮其膳品至日暮駢参駢四而獻多
多愈竒自知其家所不能當拝辭而退後思庵朴淳爲郞因公
事納啣于判書判書見之于翼廊閤內其褥席帳幔屏障書畫
滿目燦爛思庵進文牒判書揮之曰姑舎是僕願見公久矣請
與従容顧侍婢曰修簿具以奉俄項侍婢各執其物進珍羞不
期而備者皆東國所未曽見也判書執盃而請曰今日不須公
事當以文而會請聞近日瓊詞思庵鄕谷人也其器具風流瞻

▼원문보기37b  처음으로
睹皆新仍固辭曰鯫生雖幸窃科苐有何一句語敢溷閤下清
眄者微睇辭氣懇欵始誦一两篇以聞之判書稱揚不已思庵
素不能飮數盃請撤判書令継進饌羞瞞視[주:鄭一目瞞故云]嘻笑言辭
鄭重風流可掬使丫鬟磨墨開牒沉吟次其韻濃韓以贈之自
喫庶膳殆盡以勸之思庵不能善啖畧甞而退後日復以公事
泩判書見其哭其器所睹悉非前日之物而鮮麗倍之其欲啖
勸侑悉如之後判書癈斤東郊時議非之思庵位高當國思庵
氷玉人也自奉淡如非意氣相偶而羡慕欽感之情迨老不㤀
人有謗湖隂者思庵必庇之曰人皆以湖隂爲冨不仁罪之若
湖隂自興家業非侵漁掊克以致之其文章橫絶東方不可侮
也人以思庵之言出於公而不知自少傾心感慕而然也



기사메타
景錄朴淳思庵禮曺判書長安鄭士龍判書韓景錄湖隂清原君

 

  의혜공주 와 한경록의 묘지

 

 

 

 

 

대군ㆍ왕자군ㆍ공주ㆍ옹주는 품계가 없다.

동서반 (東西班) 종친 (宗親) 의빈 (儀賓) 내명부 (內命婦) 외명부 (外命婦) 종친의처 [宗親妻] 토관 (土官) 잡직 (雜職)
정1품
(正一品)
대광보국 (大匡輔國)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
현록대부 (顯祿大夫)
흥록대부 (興祿大夫)
유록 (綏祿)
성록 (成祿)
빈 (嬪) 왕비의 모 [王妃母]
부부인 (府夫人)
정경부인 (貞敬夫人)
대군의 처 [大君妻] 부부인 (府夫人) 군부인 (郡夫人)
종1품
(從一品)
숭록대부 (崇祿大夫)
숭정대부 (崇政大夫)
유덕대부 (綏德大夫)
가덕대부 (嘉德大夫)
정덕 (靖德)
명덕 (明德)
귀인 (貴人) 대전유모 (大殿乳母)
봉보부인 (奉保夫人)
정경부인 (貞敬夫人)
정1품과 같다
정2품 (正二品) 정헌대부 (正憲大夫)
자헌대부 (資憲大夫)
숭헌대부 (崇憲大夫)
승헌대부 (承憲大夫)
봉헌 (奉憲)
통헌 (通憲)
소의 (昭儀) 군주 (郡主)
정부인 (貞夫人)
현부인 (縣夫人)
종2품
(從二品)
가의대부 (嘉義大夫)
가선대부 (嘉善大夫)
중의대부 (中義大夫)
소의대부 (昭義大夫)
자의 (資義)
순의 (順義)
숙의 (淑儀)
양제 (良娣)
동궁(東宮) 정부인 (貞夫人) 현부인 (縣夫人)
정3품
(正三品)
통정대부 (通政大夫)
절충장군 (折衝將軍)
명선대부 (明善大夫) 봉순 (奉順) 소용 (昭容) 현주 (縣主)
숙부인 (淑夫人)
신부인 (愼夫人)
당하 (堂下) 통훈대부 (通訓大夫)
어모장군 (禦侮將軍)
창선대부 (彰善大夫) 정순 (正順) 숙인 (淑人) 신인 (愼人)
종3품
(從三品)
중직대부 (中直大夫)
중훈대부(中訓大夫)
보신대부 (保信大夫) 명신 (明信) 숙용 (淑容) 신인 (愼人)
건공장군(建功將軍)
보공장군(保功將軍)
자신대부 (資信大夫) 돈신 (敦信) 양원 (良媛) 동궁(東宮) 숙인 (淑人) 신인 (愼人)
정4품 (正四品) 봉정대부(奉正大夫)
봉렬대부(奉列大夫) 진위장군(振威將軍)
소위장군(昭威將軍)
선휘대부 (宣徽大夫)
광휘대부 (廣徽大夫)
소원 (昭媛) 영인 (令人) 혜인 (惠人)
종4품 (從四品) 조산대부(朝散大夫)
조봉대부(朝奉大夫)
정략장군(定略將軍)
선략장군(宣略將軍)
봉성대부 (奉成大夫)
광성대부 (光成大夫)
숙원 (淑媛)
승휘 (承徽)
동궁(東宮) 영인 (令人) 혜인 (惠人)
정5품
(正五品)
통덕랑(通德郎)
통선랑(通善郎)
과의교위(果毅校尉)
충의교위(忠毅校尉)
통직랑 (通直郞)
병직랑 (秉直郞)
상궁 (尙宮)
상의 (尙儀)
공인 (恭人) 온인 (溫人) 통의랑 (通議郞)
건충대위 (建忠隊尉)
종5품
(從五品)
봉직랑(奉直郎)
봉훈랑(奉訓郎)
현신교위(顯信校尉)
창신교위(彰信校尉)
근절랑 (謹節郞)
신절랑 (愼節郞)
상복 (尙服)
상식 (尙食)
소훈 (昭訓)
동궁(東宮) 공인 (恭人) 온인 (溫人) 봉의랑 (奉議郞)
여충대위 (勵忠隊尉)
정6품
(正六品)
승의랑(承議郎)
승훈랑(承訓郎)
돈용교위(敦勇校尉)
진용교위(進勇校尉)
집순랑(執順郞)
종순랑(從順郞)
상침(尙寢)
상공(尙功)
의인(宜人) 순인(順人) 선직랑(宣職郞)
건신대위(建信隊尉)
공직랑(供職郎)
여직랑(勵職郎)
봉임교위(奉任校尉)
수임교위(修任校尉)
종6품
(從六品)
선교랑(宣敎郎)
선무랑(宣務郎)
여절교위(勵節校尉)
병절교위(秉節校尉)
상정 (尙正)
상기 (尙記)
수규 (守閨)
수칙 (守則)
동궁(東宮) 의인 (宜人) 순인 (順人) 봉직랑 (奉直郞)
여신대위 (勵信隊尉)
근사랑(謹仕郎)
효사랑(效仕郎)
현공교위(顯功校尉)
적공교위(迪功校尉)
정7품
(正七品)
무공랑 (務功郞)
적순부위 (迪順副尉)
전빈 (典賓)
전의 (典衣)
전선 (典膳)
안인 (安人) 희공랑 (熙功郞)
돈의 (敦義)
도위 (徒尉)
봉무랑 (奉務郞)
등용부위 (騰勇副尉)
종7품
(從七品)
계공랑 (啓功郞)
분순부위 (奮順副尉)
전설 (典設)
전제 (典製)
전언 (典言)
장찬 (掌饌)
장정 (掌正)
동궁(東宮) 안인 (安人) 주공랑 (注功郞)
수의 (守義)
도위 (徒尉)
승무랑 (承務郞)
선용 (宣勇)
부위 (副尉)
정8품 (正八品) 통사랑 (通仕郞)
승의부위 (承義副尉)
전찬 (典贊)
전식 (典飾)
전약 (典藥)
단인 (端人) 공무랑 (供務郞)
분용 (奮勇)
도위 (徒尉)
면공랑 (勉功郞)
맹건 (猛健)
부위 (副尉)
종8품
(從八品)
승사랑 (承仕郞)
수의부위 (修義副尉)
전등 (典燈)
전채 (典彩)
전정 (典正)
장서 (掌書)
장봉 (掌縫)
동궁(東宮) 단인 (端人) 직무랑 (直務郞)
효용 (效勇)
도위 (徒尉)
부공랑 (赴功郞)
장건 (壯健)
부위 (副尉)
정9품
(正九品)
종사랑 (從仕郞)
효력부위 (效力副尉)
주궁 (奏宮)
주상 (奏商)
주각 (奏角)
유인 (孺人) 계사랑 (啓仕郞)
여력 (勵力)
도위 (徒尉)
복근랑 (服勤郞)
치력 (致力)
부위 (副尉)
종9품
(從九品)
장사랑 (將仕郞)
전력부위 (展力副尉)
주변징 (奏變徵)
주징 (奏徵)
주우 (奏羽)
주변궁 (奏變宮)
장장 (掌藏)
장식 (掌食)
장의 (掌醫)
유인 (孺人)
동궁(東宮) 시사랑 (試仕郞)
탄력 (殫力)
도위 (徒尉)
전근랑 (展勤郞)
근력 (勤力)
부위 (副尉)


○ 세종 24년 임술에 비로소 각 품계의 행(行)ㆍ수(守)의 법을 시행하였다. 《고사촬요》
○ 영종 을사년 2월에 임인년의 훈적을 삭파(削罷)하고 그때의 훈공으로 자급을 올렸던 자는 모두 자급을 도로 회수하였는데, 전교하기를, “통정 송인명(宋寅明)을 봉혈관(奉血官)으로 가자한 데 대하여는, 이미 방백(方伯)을 지내어 응당 통정의 품계에 올려야 할 것이니, 마땅히 그대로 두어야 한다.” 하니, 우의정 민진원(閔鎭遠)이 아뢰기를,“전하께서 송인명을 등용하시려면 후일에 다시 당상직을 임명하시면 가할 것인데 무엇 때문에 구차히 가자를 그대로 두시려고 하십니까?” 하였다. 임금이 이르기를, “당하관으로서 방백을 지낸 자가 없기 때문에 그대로 두려고 했으나, 다시 생각하니 사체가 미안하다. 가자를 도로 회수하라.” 하였다. 그 뒤 정미년 7월에 이르러 비로소 승지를 제수하였다.

이때에 송인명은 감사로서 자급을 삭탈당하였고, 수찬 이진수(李眞洙)는 통정에 승급되었었으나, 오랫동안 당상의 실직에 임명되지 않으니 사람들이 이수찬 영감과 송감사 나으리[進賜]는 참으로 좋은 대조가 된다고 했다. 우리나라의 풍속이 당상관은 영감이라 하고, 당하관은 나으리라고 한다.

 

 

연려실기술 제7권
 중종조 고사본말(中宗朝故事本末)
중종(中宗)


중종 공희휘문소무흠인성효 대왕(中宗恭僖徽文昭武欽仁誠孝大王)은 휘는 역(懌)이며, 자는 낙천(樂天)으로, 성종(成宗)의 둘째 아들이다. 정현왕후(貞顯王后)가 홍치(弘治) 원년 무신년(1488) 성종 19년 3월 5일 기사일에 낳았다. 처음에는 진성대군(晉城大君)으로 봉(封)해졌다가 정덕(正德) 병인년(1506) 9월 무인일에 즉위하여 가정(嘉靖) 23년 갑진년(1544) 11월 14일에 인종(仁宗)에게 전위(傳位)하였으며 15일 경술에 창경궁(昌慶宮) 환경전(歡慶殿)에서 승하하니, 재위 39년이요, 수는 57세이다.명(明) 나라에서 공희(恭僖) 공경히 위를 섬기는 것을 공(恭)이라 하고 조심스럽고 공순함을 희(僖)라 한다. 라는 시호를 주었다. 능은 정릉(靖陵) 광주(廣州) 선릉(宣陵) 동편 건좌(乾坐 북서)이다. 을사년 2월에 처음 고양(高陽) 희릉(禧陵)에 모셨다가 명종(明宗) 17년 임술 9월 4일에 이장하였으며, 표석이 있다. 명종 때 홍춘경(洪春卿)이 지은 묘지에 정릉으로 이장한 자세한 사적이 적혀 있다. 이다.

 

○ 비(妃) 공소순렬단경 왕후(恭昭順烈端敬王后) 신씨(愼氏)는, 본관은 거창(居昌)이고, 좌의정 증 영의정 익창부원군 신도공(左議政贈領議政益昌府院君信度公) 수근(守勤)의 딸이다. 성화(成化) 23년 정미년(1487) 성종 18년 1월 14일에 태어났고, 기미년에 가례를 행하였다. 처음에는 □□부부인(府夫人) 군호(君號)는 자세하지 않다. 에 봉해졌다가 정덕(正德) 병인년 (1506) 9월 2일에 중전이 되고, 9월 9일에 사제(私第)로 쫓겨났으며 가정 정사년(1557) 명종 12년 12월 7일 병술에 승하하였다. 본가(本家)의 기록에는 12월 5일로 되어 있으나 실록(實錄)에는 7일로 기일(忌日)을 삼고 있으므로 지금 그에 따르고 있다. 수는 71세이다. 영조(英祖) 15년 기미년(1739)에 복위(復位)되어 종묘에서 제사 지낸다. 능은 온릉(溫陵) 양주(楊州) 서쪽산 장흥면(長興面) 수회동(水回洞) 해좌(亥坐 북서)이다. 이다.

 

○ 계비(繼妃) 선소의숙장경 왕후(宣昭懿淑章敬王后) 윤씨(尹氏)는, 본관은 파평(坡平)이며, 영돈녕부사 파원부원군 정헌공(領敦寧府事坡原府院君靖憲公) 여필(汝弼)의 딸이다. 홍치 4년 신해년(1491) 성종 22년 7월 6일 경진에 호현방(好賢坊) 집에서 태어났다. 정덕 병인년(1506)에 궁중에 들어와 처음에는 숙의(淑儀)에 봉해졌다가 정묘년에 마침내 왕비로 책봉(冊封)되었다. 을해년(1515) 중종 10년 3월 2일 기미에 경복궁(景福宮) 별전(別殿)에서 승하하니, 수는 25세이다.숙신명혜(淑愼明惠) 숙(淑) 자가 겹치기 때문에 어첩(御牒)에는 기록하지 않았다. 라는 휘호(徽號)를 올렸다. 명종 정미년에 선소의숙(宣昭懿淑)이라는 휘호를 더 올렸다. 아들 하나와 딸 하나를 낳았다. 능은 희릉(禧陵) 고양(高陽) 남쪽 원당리(元堂里) 간좌(艮坐 북동)이다. 처음에는 을해년 윤4월에 광주(廣州) 헌릉(獻陵) 바른편 산에 모셨다. 김안로(金安老)가 묘지(墓誌)를 지었다. 중종 32년 정유에 이장하였으며, 표석(表石)이 있다. 이다.

 

○ 계비(繼妃) 성렬인명문정 왕후(聖烈仁明文定王后) 윤씨(尹氏)는, 본관은 파평(坡平)이고, 영돈녕부사 파산부원군 정평공(領敦寧府事坡山府院君靖平公) 지임(之任)의 딸이다. 홍치 14년 신유년(1501) 연산 7년 10월 22일 정묘에 태어나 정덕 정축년(1517)에 왕비로 책봉되어 태평관(太平館)에서 가례를 행하였다.명종 정미년에 성렬(聖烈)이라는 존호를 올렸고, 9월에 다시 인명(仁明)이라고 존호를 더 올렸다. 가정 44년 을축(1565) 명종 20년 4월 7일 계유에 창덕궁(昌德宮) 소덕당(昭德堂)에서 승하하니, 수는 65세이다. 아들 하나와 딸 넷을 낳았다. 능은 태릉(泰陵) 양주(楊州) 남쪽 노원면(蘆原面) 임좌(壬坐 북)이다. 을축년 7월 15일에 장사지냈으며, 표석이 있다. 이다.

 

아들 아홉과 딸 열 하나를 두었다.
사(嗣) 인종대왕(仁宗大王) 장경왕후(章敬王后)가 낳았다.
사(嗣) 명종대왕(明宗大王) 문정왕후(文定王后)가 낳았다.
1녀 효혜공주(孝惠公主) 장경왕후가 낳았다. ○ 남편은 연성위(延城尉) 김희(金禧)로, 본관은 연안(延安)이고, 아버지는 안로(安老)이다.
2녀 의혜공주(懿惠公主) 문정왕후가 낳았다. ○ 남편은 청원위(淸原尉) 한경록(韓景祿)으로, 본관은 청주(淸州)이고, 아버지는 첨지 승권(承權)이다.
3녀 효순공주(孝順公主) 문정왕후가 낳았다. ○ 남편은 능원군(綾原君) 구사안(具思顔)으로, 본관은 능성(綾城)이고, 아버지는 현감 순(淳)이다.
4녀 경현공주(敬顯公主) 문정왕후가 낳았다. ○ 남편은 영천위(靈川尉) 신의(申檥)로, 본관은 고령(高靈)이고, 아버지는 목사 수경(秀涇)이다.
5녀 인순공주(仁順公主) 문정왕후가 낳았는데 일찍 죽었다.
1남 복성군(福城君) 미(嵋) 경빈 박씨(敬嬪朴氏)가 낳았다. ○ 부인은 파평 윤씨(坡平尹氏)로, 현감 증 찬성(贈贊成) 인범(仁範)의 딸이다. 정해년에 화를 입었다가 뒤에 신원(伸寃)되었다. 신성군(信城君)이 봉사(奉祀)한다.
2남 해안군(海安君) 희(㟓) 숙의 홍씨(淑儀洪氏)가 낳았다. ○ 부인은 진주 유씨(晉州柳氏)로, 진산군(晉山君) 증 찬성 홍(泓)의 딸이며, 후처는 거창 신씨(居昌愼氏)로, 참봉 증 찬성 홍유(弘猷)의 딸이다.
3남 금원군(錦原君) 영(岭) 희빈 홍씨(熙嬪洪氏)가 낳았다. ○ 부인은 해주 정씨(海州鄭氏)로, 도사 증 찬성 승휴(承休)의 딸이다.
4남 영양군(永陽君) 거(岠) 창빈 안씨(昌嬪安氏)가 낳았다. ○ 부인은 순흥 안씨(順興安氏)로, 판관 증 찬성 세형(世亨)의 딸이다.
5남 덕양군(德陽君) 기(岐) 숙의 이씨(淑儀李氏)가 낳았다. 시호는 정희(靖僖)이다. ○ 부인은 안동 권씨(安東權氏)로, 판서 증 찬성 찬(纘)의 딸이다.
6남 봉성군(鳳城君) 완(岏) 희빈 홍씨(熙嬪洪氏)가 낳았다. 시호는 의민(懿愍)이다. ○ 부인은 동래 정씨(東萊鄭氏)로, 정(正) 증 영상(贈領相) 유인(惟仁)의 딸이다.
7남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초(岹) 창빈 안씨(昌嬪安氏)가 낳았다. ○ 부인은 하동부대부인(河東府大夫人) 정씨(鄭氏)로, 판중추부사 증 영의정 세호(世虎)의 딸이다.
1녀 혜순옹주(惠順翁主) 경빈 박씨(敬嬪朴氏)가 낳았다. ○ 남편은 광천위(光川尉) 김인경(金仁慶)으로, 본관은 광주(光州)이고, 아버지는 참의 헌윤(憲胤)이다.
2녀 혜정옹주(惠靜翁主) 경빈 박씨가 낳았다. ○ 남편은 당성위(唐城尉) 홍려(洪礪)로, 정해년에 화를 입었다가 뒤에 신원되었다. 본관은 남양(南陽)이며, 아버지는 관찰사 서주(叙疇)이다.
3녀 정순옹주(貞順翁主) 숙원 이씨(淑媛李氏)가 낳았다. ○ 남편은 여성위(礪城尉) 문단공(文端公) 송인(宋寅)으로, 본관은 여산(礪山)이고, 아버지는 첨지 지한(之翰)이다.
4녀 효정옹주(孝靜翁主) 숙원 이씨가 낳았다. ○ 남편은 순원위(淳原尉) 조의정(趙義貞)으로, 본관은 순창(淳昌)이며, 아버지는 부사 침(琛)이다.
5녀 숙정옹주(淑靜翁主) 숙원 김씨가 낳았다. ○ 남편은 능창위(綾昌尉) 구한(具澣)으로, 본관은 능성(綾城)이고, 아버지는 부정(副正) 신경(信璟)이다.
6녀 정신옹주(靜愼翁主) 창빈 안씨(昌嬪安氏)가 낳았다. ○ 남편은 청천위(淸川尉) 한경우(韓景祐)로, 본관은 청주(淸州)이고, 아버지는 현감 자(慈)이다.

 

○ 신비(愼妃)가 사제로 쫓겨나자 예조 판서 송일(宋軼)과 참판 정광세(鄭光世)가 아뢰기를, “신씨가 나갔으니 처녀를 뽑아 내직(內職)을 갖추게 하고, 또 중궁을 책봉하는 일도 미리 거행하소서.” 하니, 전교하기를, “아뢴대로 하라.” 하였다. 《조야기문(朝野記聞)》

 

○ 정묘년(1507) 6월에 좌의정 박원종(朴元宗) 등이 왕비를 책봉할 것을 청하니, 곧 윤 숙원(尹淑媛)을 왕비로 삼으라고 명하였다. 《조야기문》

 

○ 정묘년에 김안국(金安國)이 중시(重試)에 뽑혀 지평으로 임명되었다. 그때는 연산군(燕山君)의 혼정(昏政)의 잔재가 남아서 상례(喪禮)가 행해지지 않은 채 아직 회복되지 않았다. 김안국이 경연(經筵)에 입시하여 아뢰기를, “삼강(三綱)은 천지의 큰 도리로서 옛 사람이 ‘하늘을 떠받치는 세 기둥’이라고 하였으니 하루도 폐할 수 없습니다. 폐주(廢主 연산군)가 단상법(短喪法)을 쓴 뒤로부터 사람들이 모두 어버이를 잊고 예를 저버려 윤리가 땅에 떨어졌습니다. 분명하게 하교를 내려 특별히 권선징악하는 법을 보여 풍속과 교화를 세우소서.” 하였다. 《조야기문》

 

○ 무진년 검열 권벌(權橃)이 봉교 이희증(李希曾)ㆍ김영(金瑛), 대교 윤인경(尹仁鏡)ㆍ정웅(鄭熊), 검열 문관(文瓘)ㆍ김희수(金希壽)ㆍ소세양(蘇世讓) 등과 함께 무오 사국(戊午史局)에 관한 일을 논계(論啓)하며, 이극돈(李克墩)을 추죄(追罪)하고 김종직(金宗直)의 원통함을 풀어주기를 청했으나, 대답하지 않았다.

 

○ 무진년에 중종이 직접 글을 써서 정원에 내리기를, “예로부터 임금이 그 허물을 듣기 좋아하는 이는 적고 듣기 싫어하는 이는 많았다. 신하로서 그 임금의 허물을 알고 과감히 간(諫)하여 옳은 길로 인도하는 자는 곧 곧은 신하요, 그 임금의 잘못을 알면서도 아첨하느라 잘한다고 하는 자는 곧 아첨하는 신하이다. 옛날에 당 태종(唐太宗)이 밖으로는 바른말을 받아들이는 아량이 있었으나 안으로는 부끄러울 만한 일이 있었으니, 나는 감히 하지 못한다.만약 과실이 있다면 외정(外政)의 신하들도 모두 다 말해야 하는데, 더구나 명을 출납하는 승정원에 있어서랴. 바야흐로 지금 나의 잘잘못에 대해 너희들이 각각 숨김 없이 말하라. 비록 지나친 말이 있더라도 죄주지 않겠다.” 하였다. 이어 황모필(黃毛筆) 40자루와 먹[墨] 20홀(笏)을 정원과 보문관(寶文館)에 내려주며 이르기를, “지금 하사한 붓과 먹은 무릇 나의 과실을 숨김 없이 말하여 바로 잡으라는 것이다.” 하였다. 《동각잡기(東閣雜記)》

 

○ 갑술년에 이조에 특별히 유시하여 고세보(高世輔)를 숨김없이 혜민서 제조(惠民署提調)로 삼았다. 세보의 아들 증(曾)이 혜민서 교수로 있었는데, 이조에서 이 사실을 아뢰니 또 활인서 제조 하해종(河海宗)과 서로 바꾸라고 명하였다. 세보와 해종은 모두 연산조 때 음란을 일삼던 신하인데, 세보가 더욱 연산군의 음란을 부추긴 엉큼한 자였다. 반정(反正) 후에 이내 수의(首醫)가 되고 청탁질을 많이 하여 이때에 이르러 특명으로 벼슬을 준 것이다. 임금은 또 잡술(雜術)에 마음을 두어 지관(地官)과 복자(卜者)들을 모두 불러 보고 어의(御衣)를 내려주었는데, 술객(術客) 조륜(趙倫)은 궁중을 무상으로 출입하였다. 《음애일기(陰崖日記)》

 

○ 과거에 완성군(莞城君) 귀정(貴丁)을 정국 원종공신(靖國原從功臣)으로 승진시켜 군(君)을 봉하였는데, 3년 뒤에 간관들이 반정 때에 하찮은 공으로 높은 벼슬을 받은 이들을 논열(論列)하여 몇 달을 두고 항쟁(抗爭)하는 소(疏)를 올렸다. 이에 임금은, 완성군은 선조(先朝)의 옛 신하이고 또 종친의 늙은이이므로 특별히 고칠 수 없다고 유시하고 그 밖의 사람들은 윤허하였다. 심사순(沈思順)이 지은 완성군의 <묘표(墓表)>.


 

용재집 제9권
 산문(散文)
유명 조선국 소의흠숙정현왕후(昭懿欽淑貞顯王后) 선릉지(宣陵誌)


삼가 살펴보건대, 왕후의 성(姓)은 윤씨(尹氏)이니 파평(坡平)의 세가(世家) 출신이시다. 그 원조(遠祖)인 휘(諱) 신달(莘達)이 고려 태조를 도와서 삼한공신(三韓功臣)에 봉(封)해졌으며, 그 손자인 윤금강(尹金剛)은 지위가 복야(僕射)에 이르렀다. 이분이 휘 집형(執衡)을 낳았는데 이어서 복야가 되었으며, 그 아들인 문하시중(門下侍中) 윤관(尹瓘)은 숙종(肅宗)ㆍ예종(睿宗) 두 왕조를 섬기면서 출장입상(出將入相)의 국량을 발휘하여 여진(女眞)을 평정하고 구성(九城)을 설치하였는바, 영원군개국백(鈴原郡開國伯)에 봉해졌다. 문하시중이 정당문학(政堂文學) 윤언이(尹彦頤)를 낳았고, 정당문학이 병부 시랑(兵部侍郞) 윤돈신(尹惇信)을 낳았으며, 증손(曾孫)인 감찰어사(監察御史) 윤순(尹純)에 이르러서 영평부원군(鈴平府院君) 윤부(尹珤)를 낳았다. 그 후로 휘 척(陟)은 파평부원군(坡平府院君)에 봉해졌으며 문하평리(門下評理) 윤승순(尹承順)을 낳았으니, 이분이 고조이다. 증조는 본조(本朝)의 좌명공신(佐命功臣) 파평부원군(坡平府院君) 윤곤(尹坤)이고, 조부는 증(贈) 의정부 영의정(議政府領議政) 윤삼산(尹三山)이다. 부친은 의정부 우의정(議政府右議政) 영원부원군(鈴原府院君) 윤호(尹壕)이며, 모친 연안부부인(延安府夫人)은 성이 전씨(田氏)로서 증(贈) 의정부 우의정(議政府右議政) 좌명(佐命)의 따님이니 역시 연안(延安)의 망족(望族)이다. 천순(天順) 임오년(1462, 세조8) 6월 무자(戊子)에 신창현(新昌縣)의 관사(官舍)에서 후(后)가 탄생하셨다.
당초 부부인이 신녀(神女)가 채색 구름을 타고 품으로 들어오는 꿈을 꾸고 이어 임신이 되었으며 이윽고 후를 낳았기에, 부모가 기이하게 여기면서 귀인(貴人)이 될 징조임을 이미 알았다.
성화(成化) 계사년(1473, 성종4)에 후는 12세의 나이로 뽑혀서 궁(宮)에 들어가 숙의(淑儀)에 봉해지셨으니, 곧 성묘(成廟)께서 재위하신 지 5년째 되던 때이다. 후는 성품이 총민(聰敏)하고 마음가짐이 순수하고 근신(謹愼)하여, 위로 정희(貞熹)ㆍ소혜(昭惠) 두 후가 각별히 사랑하여 부도(婦道)를 가르치니 이를 잘 받들고 따라서 어김이 없으셨다. 이에 정희왕후가 매양 칭찬하기를 “윤 숙의(尹淑儀)로 시험해 보니, 궁중의 여인은 나이 어릴 때 뽑아야겠다. 그래야 가르침을 익히기가 쉽다.” 하셨다.
마침 왕비 윤씨(尹氏)가 죄로 폐출(廢出)되어 경자년(1480, 성종11) 10월에 마침내 중궁(中宮)의 자리에 오르시니, 요조숙녀(窈窕淑女)를 찾느라 오매불망 애쓸 것도 없고 갈류(葛藟)의 덕화(德化)가 본래부터 상궁들 사이에 스며 있었다. 온화한 몸가짐으로 예(禮)를 따르는 태도가 오랠수록 더욱 경건하시니, 성묘(成廟)가 매양 칭찬하기를 “부인들은 투기하지 않는 이가 드문 법인데, 어진 배필을 얻고부터는 나의 마음이 편안하다.” 하셨다. 소혜왕후(昭惠王后)도 기쁜 빛이 얼굴에 넘쳐 말하기를 “중궁으로 좋은 사람을 얻었으니, 밤낮에 무엇을 근심하리요.” 하셨다.
이듬해 신축년에 명(明)나라 헌종황제(憲宗皇帝)가 제칙(制勅)을 내려 “윤씨는 일찍부터 왕을 섬겨 능히 내치(內治)를 이루었고 오직 맡은바 직분을 수행하여 오래도록 변치 않았다. 이에 특별히 조선국왕(朝鮮國王)의 계비(繼妃)로 봉하고 고명(誥命)을 내려 그대의 영광으로 삼노니, 공경히 봉행(奉行)하여 규곤(閨閫)을 빛내도록 하라.” 하고, 아울러 관복(冠服)과 저사라(紵絲羅), 서양포(西洋布) 등을 하사하여 총애로운 은명(恩命)이 빛나니, 온 나라 사람들이 함께 영광스러워하였다.
당시 영원공(鈴原公)이 아직 생존하시어 후가 자주 친정집에 납시어 헌수(獻壽)하시니, 나라 사람들이 성사(盛事)라 여겼다.
홍치(弘治) 임자년(1492, 성종23)에는 빈(嬪)들을 거느리고 창덕궁(昌德宮)의 금원(禁苑)에서 친잠(親蠶)을 하셨으니, 근본을 도타이하는 데 힘쓰는 뜻이었다. 성묘가 이 일로 해서 사면령을 반포하셨다.
성묘가 승하하시자 울부짖고 가슴을 치면서 음식을 들지 않아 거의 생명이 위태로운 지경에 이르셨다가, 소혜왕후의 구호 덕분에 건강을 지키실 수 있었다.
연산조(燕山朝)에는 왕대비(王大妃)로 봉해지고 자순(慈順)이란 존호가 가상(加上)되었다. 소혜왕후의 상(喪)에 연산주(燕山主)가 상기(喪期)를 짧게 줄이려 하자, 후가 예(禮)에 의거하여 불가하다는 입장을 견지하는 한편 “나는 감히 따르지 못하겠다.” 하시니, 연산주가 매우 화를 내면서 ‘부인삼종(婦人三從)’이란 말로써 답하였다. 이에 후가 탄식하면서 “내가 소혜(昭惠)께 죄를 얻을 것이 분명하구나.” 하셨다.
연산주가 말년에 무도함이 더욱 심해지니 조야(朝野)가 위태하여 조석(朝夕)을 보장할 수 없을 정도였다. 정덕(正德) 병인년(1506, 중종1) 9월에 뭇 신하들이 후의 분부를 받들고 지금의 성상(聖上)을 추대하여 대통(大統)을 잇게 하니, 중흥의 공업(功業)이 옛날에 비해 더욱 빛났다. 이후로는 국정에 하나도 간여하지 않았으나 국가를 위한 심원한 계책은 잠시라도 잊은 적이 없으셨고, 환심이나 사는 고식적인 은혜는 털끝만큼도 내려 준 적이 없으셨다. 장경왕후(章敬王后)가 훙서(薨逝)했을 때, 후는 어진 덕을 지녔음에도 일찍 세상을 떠난 것을 애석해하고 원자(元子)가 어미를 잃은 것을 불쌍히 여겨 통곡하며 슬퍼해 마지않으셨으며, 그 세자를 보살피신 것으로 말하자면 외간에서 다 알지 못하는 점이 있다. 궁중에 작서(灼鼠)의 변고가 있었을 때 어명으로 나인(內人)을 국문하였으나 실상을 밝혀내지 못하자, 후가 언문 서찰을 추관(推官)에게 보내시어 곧 사건을 밝히고 범인을 처벌하였다. 이에 조정의 사대부로부터 아래로 선비들에 이르기까지 모두 입을 모아 통쾌하다고 하였다.
오호라, 성상을 탄생시켜 중도에 끊어질 뻔한 왕통을 크게 이었고, 동궁을 잘 보호하여 만세 왕업의 바탕을 더욱 공고히 다졌으니, 비록 옛날의 현비(賢妃)라 할지라도 성대한 덕과 공(功)이 이처럼 우뚝한 이가 있지는 않았다.
후가 일찍이 질병이 심하신 적이 있었는데, 상(上)이 친히 내원(內苑)에서 기도하면서 향을 사르고 하늘에 축원하시자 병환이 나았다. 이에 사람들은 효성의 감응이라고들 하였다. 그런데 이때에 이르러 또 병환이 들어 여러 달을 끌었다. 상이 늘 시약(侍藥)하면서 직접 맛을 보지 않고는 감히 약을 올리지 않으셨으나, 끝내 효험을 보지 못하고 경복궁(景福宮)의 정침(正寢)에서 훙서(薨逝)하시니, 가정(嘉靖) 경인년(1530, 중종25) 8월 22일이다. 춘추는 69세이다.
상이 슬픔으로 죽을 들지 못하신 것이 3일이었고, 초빈(草殯)을 차린 뒤에도 날마다 오곡전(五哭奠)을 올리며 지극히 슬퍼하시니 좌우 사람들이 차마 듣지 못하였으며, 안으로 궁중과 밖으로 조정 사람들이 모두들 목 놓아 통곡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
예관(禮官)이 재신(宰臣)들을 모아서 시호(諡號)를 의논하니 모두 “시법(諡法)을 살펴보면 ‘크게 사려하여 능히 다스림[大慮克就]을 정(貞)이라 하고 행실이 밖으로 드러남을 현(顯)이라 한다.’ 하였다. 대행대비(大行大妃)께서는 시국이 혼란하던 날에 큰 계책을 결정하여 대업(大業)이 다시 흥성하게 되었고 나라가 평안하던 때에 큰 의심을 분변하여 대본(大本)이 더욱 견고하게 되었으니, 정(貞)하지 않은가. 덕이 중궁(中宮)에서 드러나 음험하고 부정(不正)한 청탁이 없었고 교화가 외정(外庭)에서 행해져 엄숙하고 화락한 거동이 있었으니, 현(顯)하지 않은가. 삼가 ‘정현왕후(貞顯王后)’란 시호를 올린다.” 하였고, 또 ‘소의흠숙(昭懿欽淑)’이란 휘호(徽號)를 가상(加上)하였다. 그리고 이해 10월 29일 을유(乙酉)에 선릉(宣陵)의 좌측 간좌 곤향(艮坐坤向)의 둔덕에 안장(安葬)하였으니, 유명(遺命)을 따른 것이다.
오호라, 후의 성덕(聖德)은 두루 갖춰지지 않음이 없었거니와, 효성에 이르러서는 더욱이 천성에서 나온 것이라서 위로 자전(慈殿)을 모심에 마음을 지극히 기쁘게 해 드리고 무릇 제철에 나는 먹거리를 만나면 먼저 원묘(原廟)에 올림에 끝내 조금도 해이하지 않으셨다. 또 다른 소생(所生)의 자녀들을 마치 자기 자식처럼 사랑하고 보살피셨으니, 연산주가 세자로 있을 때에는 자기 생모가 아닌 줄 알지 못하였다.
병환이 들어서는 가진 재물을 나누어 두루 친척들에게 하사하셨으되, 일찍이 은택을 끼쳤다는 평판을 바란 적이 없었다. 또 한번은 메추라기 고기를 먹고 싶어하여 친정쪽 사람이 이를 얻어서 바친 적이 있었는데 후는 ‘바깥사람이 알지 못하도록 하라’고 경계하셨으니, 사람들이 알고서 메추라기 고기를 바치는 폐단이 생길까 우려하셨기 때문이다. 질병이 들었을 때는 사람의 정신이 흐려지기 쉬운 법인데 성심(聖心)의 근신(謹愼)하기가 이와 같기에 이르셨으니, 평상시의 성행(聖行)을 대략 알 수 있을 것이다.
오호라, 후의 성덕(聖德)은 말로 형용할 수 없는 바가 있거니와, 내행(內行)의 아름다움에 이르러서는 숨겨져 드러나지 않았다. 삼가 사람들의 이목에 남아 있는 것들을 거두어 모아서 기록하니, 천백 분의 하나 둘일 뿐이다. 그러나 후인들이 이를 통하여 징험해 보면 비록 옛날의 도신(塗莘)이나 임사(任似)라 할지라도 이보다 더하진 않을 터이니, 오호라, 성대하도다.
후는 금상(今上)을 탄생시켰고, 또 세 공주를 낳았으나 모두 요절하였다. 금상께서는 처음 파원부원군(坡原府院君) 윤여필(尹汝弼)의 따님을 맞아서 중궁(中宮)으로 봉하셨으니, 곧 장경왕후(章敬王后)이시다. 이에 1남 1녀를 낳으셨으니, 세자는 증 의정부 우의정 박용(朴墉)의 따님을 아내로 맞으셨고, 효혜공주(孝惠公主)는 연성위(延城尉) 김희(金禧)에게 하가(下嫁)하셨다. 지금의 중궁은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 윤지임(尹之任)의 따님으로 3녀를 낳으셨으니, 맏이인 의혜공주(懿惠公主)는 청원위(淸原尉) 한경록(韓景祿)에게 출가하였고, 나머지 두 공주는 아직 어리다. 전 빈(嬪) 박씨(朴氏)는 1남 2녀를 낳았으니, 아드님은 전 복성군(福城君) 이미(李嵋)로 전 현감(縣監) 윤인범(尹仁範)의 따님을 아내로 맞았고, 맏따님인 혜순옹주(惠順翁主)는 광천위(光川尉) 김인경(金仁慶)에게 하가하였고, 둘째 혜정옹주(惠靜翁主)는 당성위(唐城尉) 홍려(洪礪)에게 하가하였다. 귀인(貴人) 홍씨(洪氏)는 1남을 낳았으니, 금원군(錦原君) 이령(李岭)으로 돈녕부 주부(敦寧府主簿) 정승휴(鄭承休)의 따님을 아내로 맞았다. 숙원(淑媛) 홍씨(洪氏)는 1남을 낳았으니, 해안군(海安君) 이희(李㟓)로 충청도 수군절도사(忠淸道水軍節度使) 유홍(柳泓)의 따님을 아내로 맞았다. 숙원 안씨(安氏)는 1남을 낳았으니, 영양군(永陽君) 이거(李岠)이다. 숙원 이씨(李氏)는 2녀를 낳았으니, 맏이인 정순옹주(貞順翁主)는 여성위(礪城尉) 송인(宋寅)에게 하가하였고, 둘째는 아직 어리다.
가정(嘉靖) 9년 경인년(1530, 중종25) 10월 일에 삼가 지(誌)를 적는다.


[주D-001]갈류(葛藟)의 덕화(德化) : 왕비가 질투심이 없어서 아랫사람들을 잘 거느림을 뜻한다. 《시경》 주남(周南) 규목(樛木)에, 문왕(文王)의 비(妃)인 후비(后妃)가 질투가 없어 중첩(衆妾)이 그 덕을 즐거워한다는 것을 칭송하여 “남산에 아래로 굽은 나무가 있으니, 칡넝쿨이 얽혔도다. 화락한 군자여, 복록이 편안하네.[南有樛木 葛藟纍之 樂只君子 福履綏之]” 하였다.
[주D-002]작서(灼鼠)의 변고 : 중종(中宗) 22년 2월 25일, 세자의 생일에 누가 쥐를 잡아서 사지와 꼬리를 자르고 입ㆍ귀ㆍ눈을 불로 지져서 동궁(東宮)의 북정(北庭) 은행나무에 걸어 두고 동궁을 저주한 사건이다. 그 후 3월 초하루에도 같은 사건이 대전(大殿)의 침실 곡란(曲欄)에서 일어났다.
[주D-003]도신(塗莘) : 우(禹) 임금이 도산(塗山)의 여인을 아내로 맞이하고, 문왕(文王)이 신(莘) 땅의 여인인 태사(太似)를 아내로 맞이했던 데서 온 말이다.
[주D-004]임사(任似) : 주(周)나라 문왕(文王)의 어머니인 태임(太任)과 무왕(武王)의 어머니인 태사를 가리킨다.

晉菴集卷之八
 墓誌
直長韓君墓誌銘 a_218_280a


余從士友間。聞君之名。而未嘗見其人。辛酉春。余待罪館職。入侍煕政堂。見一攝記注。周旋中節。而記218_280b事甚敏給。入侍諸臣。皆目屬之。余退而問其人。卽君也。君以新榜。始入侍。而是年冬。患痘死。君名泰增。字魯瞻。系出淸州之韓。世祖朝有諱確。左議政謚襄節。四傳至諱景祿。淸原尉。尙中宗女懿惠公。有諱漪。尙衣判官贈承旨。有諱師德。司憲府監察。當光海朝。立異廢母議。是君五代祖也。高祖諱岦。活人署別提贈司憲府執義。曾祖諱碩平。通德郞。祖諱杓。工曹正郞。父名重鼎。母恭人韓山李氏。土亭之菡之六代孫。兵曹佐郞禎來女。君生於肅宗癸未。幼而穎悟。十四五。誦四書三經。而以其父治經218_280c工。父子不可同赴講。君遂肆力於製述。而爲文不求合程式。務爲典奧。以是累躓。而尤自信。擢庚申增廣甲科第三人。例授司圃署直長。世皆以榮選期之。而未及而卒。葬于長湍細谷卯向原。實其遠祖高麗宰相思肅公墓古麓也。君初娶平山申氏。僉知致遠女。再娶陽川許氏。士人濬女。生三男一女。皆許氏出也。男長應鉉。次景鉉。次永鉉。女幼。君家世爲國朝顯族。而中寢衰。君之三從兄。今修撰億增大叔。爲世之名學士。君又登朝。大叔恬雅。君慷慨。人皆謂韓氏有人。君事父母有至行。未嘗一違其志。氣貌凝遠。平居讀218_280d書。至古人奇節偉行。輒欣然慕之。欲奮臂出其間也。始君之登第也。人有謂君者曰。子新進也。宜先愼交遊。仍擧余而問曰。子知若人乎。君曰。吾所親也。其人曰。若人積忤時議。親之恐累子。君曰。累不累。吾不知也。其實則君與余有朝行一面。而未及親。其言特有激而云也。君弟益增。持家狀乞銘於余。余不銘君。是負君也。遂爲之銘曰。
旣有以與。胡爲而奪之。旣有以植。胡爲而折之。有命者存。天不可詰之。


 

인종 1년 을사(1545,가정 24)
 1월24일 (무오)
이조 참의 홍춘경이 지은 대행 대왕의 지문

이조 참의 홍춘경(洪春卿)이 대행 대왕의 지문(誌文)을 지어 바쳤는데, 그 글에,
“삼가 생각하건대, 우리 중종 대왕(中宗大王)의 휘(諱)는 모(某)이니 성종(成宗)의 둘째 아드님이시다. 성종께서 잠저(潛邸)에 있을 때에 영의정 한명회(韓明澮)의 딸을 맞아들이고 즉위하여서는 비(妃)를 봉하였으나 아들이 없이 승하하셨다. 숙의(淑儀) 윤씨(尹氏)를 올려서 비로 삼으니 곧 판봉상시사(判奉常寺事) 윤기견(尹起畎)의 딸인데, 세자(世子) 이융(李㦕)을 낳았다. 비는 성품과 행실이 정숙하지 못하였으므로 폐출하고, 또 숙의 윤씨를 올려서 비로 삼으니 곧 우의정 윤호(尹壕)의 따님이시다. 홍치(弘治) 원년 3월 5일(기사)에 대왕이 탄생하셨는데 진성 대군(晉城大君)으로 봉하였다. 젊어서부터 뛰어난 재질이 있으므로 성종께서 특별히 사랑하셨다.
갑인년에 성종이 승하하시고 사군(嗣君)이 도리를 잃어 종사(宗社)가 기울려 하였으므로, 병인년 9월에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박원종(朴元宗), 전 참판(參判) 성희안(成希顔), 이조 판서(吏曹判書) 유순정(柳順汀)이 앞장서서 대의(大義)를 내세우고 자순 왕비(慈順王妃)의 분부를 받아 사군을 폐출하여 연산군(燕山君)으로 삼고 대왕을 사제(私第)에서 맞아들이니, 대왕이 굳이 사양하다가 마지 못하여 경복궁(景福宮)에서 즉위하였다. 드디어 교서를 내려 무릇 죄없이 귀양간 자를 다 소환(召還)하고 억울하게 형륙(刑戮)을 당한 자를 다 포증(褒贈)하며 백성을 해치는 정사를 없애고 선왕의 구정(舊政)을 회복하시니, 조야가 다시 살아난 듯이 손뼉치고 춤추었다.
학교를 수명(修明)하고 절의(節義)를 숭장하여 진실로 한 가지 선행만 있어도 포장하지 않은 것이 없고, 청백(淸白)하거나 충의(忠義)한 사람의 후손까지도 다 거두어 서용하셨다. 학식이 높고 덕이 큰 선비를 널리 뽑아서 경연(經筵)에 두고 하루에 세 번씩 진강(進講)하게 하였고 밤에 또 소대(召對)하여 경의(經義)를 논란하고 치도(治道)를 토론하셨으며, 홍문관에 소병(素屛)을 내려 역대 임금의 잘 다스린 도리를 쓰게 하여 관람(觀覽)에 대비하였다.
정묘년 3월에 행학(幸學)하여 횡경 문난(橫經問難)하였다. 8월에 《삼강행실(三綱行實)》을 인쇄하여 펴내게 하셨다. 임신년 8월에 궐정(闕庭)에서 양로연(養老宴)을 베풀었고, 6월에 숭의전(崇義殿)에 관원을 보내어 소뢰(小牢)로 제사하였는데 숭의전은 곧 고려 왕씨(王氏)의 사당이다. 주계(酒戒)를 지어 뭇 신하에게 내려서 경계하게 하셨다.
정축년 5월에 왕이, 세자가 3세에 능히 학문의 방향을 알았으므로 손수 잠사(箴辭)를 써서 경계하셨는데, 모두 옛 성현의 격언이었다. 모비(母妃)께서 편찮으시자 왕이 밤낮으로 곁에서 모셨고 탕약은 반드시 친히 살피는가 하면 몸소 후원(後苑)에서 기도하였는데 얼마 안 가서 병환이 나으셨으므로 사람들이 효성에 감동된 것이라 하였다. 왕이 행학하여 경의를 강론하고 해가 기울어서야 파하였는데 분부하기를 ‘학교는 교화의 근원이요 인재의 부고(府庫)이니 나라를 다스리는 도는 이보다 중한 것이 없다. 내가 이제 정성을 다하여 잘 다스려지기를 도모하느라 주야로 염려하여 왔다. 이제 토전(土田)과 노비(奴婢)를 내려 인재를 양육하는 밑받침으로 삼게 한다.’ 하셨다.
경진년 4월에 세자를 책봉하였고, 신사년 5월에 황제가 태감(太監) 진호(陳浩) 등을 보내어 책명(冊命)을 내렸다. 임오년 10월에 세자의 관례(冠禮)를 치르고 국내에 사령(赦令)을 반포하셨는데, 국본(國本)을 중하게 여겨서인 것이다. 계미년에 명하여 《언해소학(諺解小學)》을 인쇄하여 중외에 펴내게 하셨는데, 여염의 아낙네와 아이들도 다 알 수 있게 하려 한 것이다. 9월에 도이(島夷)가 중국 땅을 침범하여 백성을 약탈하고 표류하여 우리 경계에 이르렀으므로 변장(邊將)이 이들을 참획하여 아뢰었다. 왕께서 신하를 보내어 참획한 부괵(俘馘)을 죄다 중국에 바치니 황제가 아름답게 여겨 칙서(勅書)를 내리고 물건을 내려 포장하였다.
무자년에 여주(驪州)에 행행(行幸)하여 영릉(英陵)에 제사하고 고을 백성의 전조(田租) 반을 줄여주셨다. 경인년 8월에 모비께서 승하하시자 상제(喪制)를 한결같이 예문(禮文)대로 하였고 늘 외합(外閤)에 거처하셨는데, 뒤에 대신이 대내로 돌아가기를 청하였으나 왕이 끝내 따르지 않으셨다. 갑오년 8월에 대사례(大射禮)를 거행하였다. 을미년 8월에 개성부(開城府)에 행행하여 제릉(齊陵)에 제사하셨으며 이튿날 행학(幸學)하여 취사(取士)하고 쌀 1백 곡(斛)을 내렸다. 경자년여름에 크게 가물었으므로 산천(山川)에 두루 빌었으나 비가 내리지 않자 왕이 연(輦)을 버리고 여(輿)에 타고서 햇볕을 쐬며 친히 풍운단(風雲壇)에 나아가 비시니, 드디어 사흘 동안 비가 내렸다.
갑진년겨울 10월에 왕이 병이 나서 11월 14일에 위독해지니 좌의정 홍언필(洪彦弼)과 우의정 윤인경(尹仁鏡)을 불러 침실에 들어오게 하고 분부하기를 ‘내병이 심하니 세자에게 전위(傳位)하고자 한다.’ 하셨다. 이튿날 15일(경술)에 정침(正寢)에서 승하하니 향년 57세였다.
왕은 인자하고 충효하며 학문에 힘쓰고 옛것을 사모하셨다. 바른말을 받아들이는 데에 부지런했고 백성의 고통을 돌보았으며, 제사하는 일에 더욱 부지런하여 삼가고 공경하였으며 뜻을 정성스럽게 하는 것이 시종 한결같았다. 인재를 배양하여 문교(文敎)가 크게 일어났고 대신을 존중하고 예우하여 나라의 일은 반드시 함께 의논한 뒤에 시행하셨다. 종척(宗戚)을 사랑하여 모두에게 환심을 얻고 왕자(王子)를 훈계함에는 의로운 방도를 다하였으며 교만하고 사치한 습관이 없으셨다.
경술(經術)이 있는 선비를 많이 모아 성리학(性理學)을 강명하되 밤낮으로 힘쓰고 게을리하지 않았으며, 사냥과 음악·여색을 즐기지 않았고 진기한 물건을 좋아하거나 분수에 안 맞게 사치하는 일이 없으셨다. 재위 39년 동안에 백성이 생업을 즐기게 되었고 인구가 날로 번성하였다. 도이(島夷)와 산융(山戎)이 의리를 사모하여 귀순하였으므로 변환(邊患)이 없어서 전쟁을 몰랐다. 치평(治平)을 이루는 아름다움이 장차 큰 규모에 오를 것인데 팔음(八音)이 문득 그치니아아, 슬프다.
우리 전하께서 양암(諒陰) 중에 슬프고 그립기 그지없어 신하들을 거느리고 존호(尊號)를 휘문 소무 흠인 성효(徽文昭武欽仁誠孝)라 올리고 묘호(廟號)를 중종(中宗)이라 올렸는데, 난(亂)을 다스려 바른 데로 돌아가게 하여 중흥시킨 공덕이 상종(商宗)·주선(周宣)과 아름다움을 짝하기 때문이다. 을사년 2월 모갑(某甲)에 고양(高陽) 고을의 모원(某原), 곧 장경 왕후(章敬王后)가 묻히신 희릉(禧陵)의 오른 쪽에 모시고 드디어 그 능호(陵號)를 그대로 썼다.
당초 왕이 잠저(潛邸)에 계실 때에 신수근(愼守勤)의 딸을 맞아들였는데 신수근에게 죄가 있었기 때문에 폐출하였다. 숙의(淑儀) 윤씨(尹氏)를 올려서 비(妃)로 삼았는데, 곧 영돈녕부사 윤여필(尹汝弼)의 따님이시다. 신미년에 효혜 공주(孝惠公主)를 낳으셨는데 연성위(延城尉) 김희(金禧)에게 하가(下嫁)하였다. 을해년 2월 15일에 우리 전하를 낳으시고 이어 병이 나서 3월 2일에 승하하셨다. 정축년에 영돈녕부사 윤지임(尹之任)의 따님을 맞아들여 비로 삼았다.
전하가 동궁(東宮)에 계실 때에 우의정 박용(朴墉)의 따님을 맞아들여 빈(嬪)으로 삼았는데 즉위함에 미쳐 비로 봉하였고, 왕비(王妃) 윤씨를 높여 왕대비(王大妃)로 삼았다. 대비께서 한 아들과 네 딸을 낳으셨다. 효순 공주(孝順公主)는 능원위(綾原尉) 구사안(具思顔)에게 하가하고, 의혜 공주(懿惠公主)는 청원위(淸原尉) 한경록(韓景祿)에게 하가하고, 경현 공주(敬顯公主)는 영천위(靈川尉) 신의(申檥)에게 하가하였고, 이환(李峘)은 경원 대군(慶原大君)에 봉하였고 별좌(別坐) 심강(沈鋼)의 딸을 맞아들였으며, 다음 딸은 어리다.
경빈(敬嬪) 박씨(朴氏)가 한 아들과 두 딸을 낳았다. 이미(李嵋)는 복성군(福城君)에 봉하였고 현감(縣監) 윤인범(尹仁範)의 딸을 맞아들였으며, 혜순 옹주(惠順翁主)는 광천위(光川尉) 김인경(金仁慶)에게 하가하고, 혜정 옹주(惠靜翁主)는 당성위(唐城尉) 홍여(洪礪)에게 하가하였다.
희빈(熙嬪) 홍씨(洪氏)가 두 아들을 낳았다. 이영(李岭)은 금원군(錦原君)이고 도사(都事) 정승휴(鄭承休)의 딸을 맞아들였으며, 이완(李岏)은 봉성군(鳳城君)이고 정랑(正郞) 정유인(鄭惟仁)의 딸을 맞아들였다.
숙원(淑媛) 홍씨(洪氏)가 한 아들을 낳았는데 이기(李㟓)라 하고 해안군(海安君)이며 참봉(參奉) 신홍유(愼弘猷)의 딸을 맞아들였다.
숙원 이씨(李氏)가 두 딸을 낳았다 정순 옹주(貞順翁主)는 여성위(礪城尉) 송인(宋寅)에게, 효정 옹주(孝靜翁主)는 순원위(淳原尉) 조의정(趙義貞)에게 하가하였다. 숙용(淑容) 안씨(安氏)가 두 아들과 한 딸을 낳았다. 이거(李岠)는 영양군(永陽君)이고 현감 안세형(安世亨)의 딸을 맞아들였으며, 이초(李岧)는 덕흥군(㥁興郡)이고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정세호(鄭世虎)의 딸을 맞아들였으며, 정신 옹주(靜愼翁主)는 청천위(淸川尉) 한경우(韓景祐)에게 하가하였다.
숙원 이씨(李氏)가 한 아들을 낳았는데 이기(李岐)라 하고 덕양군(德陽君)이며 참의(參議) 권찬(權纘)의 딸을 맞아들였다.
숙용 김씨(金氏)가 한 딸을 낳았는데 숙정 옹주(淑靜翁主)이며 능창위(綾昌尉) 구한(具澣)에게 하가하였다.”
하였다. 상이 지문을 정원에 내렸다가 뒤에 다시 들여오도록 명하고는 전교하기를,
“좋다고 분부한 뒤에 다시 영릉(英陵)·선릉(宣陵)의 지문을 가져다 살펴보니 영릉의 지문에는 왕손을 죄다 실었는데, 이제 대행 대왕의 지문에는 빠뜨리고 싣지 않았으므로 내 마음에 의심이 된다. 또 반정(反正)할 때에 대신과 아랫사람들이 건의하여 추대한 것이요 왕비의 분부를 받은 것이 아닌데 이제 이 지문에는 자순 왕비의 분부를 받들어 폐출하여 연산군으로 만들었다고 하였으니, 이 말은 아마도 마땅하지 않을 듯하다. 원상(院相)【윤인경(尹仁鏡).】과 다시 의논하라.”
하니, 윤인경이 아뢰기를,
“먼저 박원종이 앞장서서 대의를 세운 것을 말하고 다음에 자순 왕비의 분부를 받들어 폐출하여 연산군으로 만든 것을 말하였으니, 대신이 추대했다는 내용을 알 수 있습니다. 또 폐립(廢立)에 대해서는 말할 수 없기 때문에 어세(語勢)가 이러한 다음에야 명분이 바르고 말이 사리에 맞습니다. 자순 왕비의 지문에도 신하들이 후(后)의 분부를 받들어 성궁(聖躬)을 도왔다 하였는데 그 또한 이런 의의인 것입니다. 또 무릇 상례(喪禮)는 모두 갑인년의 전례대로 하였는데 선릉의 지문에는 왕손을 싣지 않았으므로 이제도 본떠서 싣지 않은 것입니다.”
하였다. 답하기를,
“왕비의 분부를 받았다는 말은 알았다. 영릉의 지문에는 왕손을 실었는데 선릉의 지문에는 싣지 않은 까닭은 갑인년에 왕손이 아직 나지 않았기 때문이 아닌가? 다시 의논하라.”
하니, 윤인경이 아뢰기를,
“갑인년에 왕손이 아직 나지 않은 것은 신이 미처 살피지 못하였으니 다시 살펴서 입계하겠습니다.”
하였다.
【원전】 19 집 187 면
【분류】 *왕실(王室) / *정론(政論) / *역사(歷史) / *어문학(語文學)


[주D-001]모(某) : 역(懌).
[주D-002]홍치(弘治) : 명 효종(明孝宗)의 연호.
[주D-003]원년 : 1488 성종 19년.
[주D-004]갑인년 : 1494 성종 25년.
[주D-005]병인년 : 1506 중종 원년.
[주D-006]경연(經筵) : 임금이 신하와 함께 경사(經史)를 강독하고 시정(時政)의 득실을 논하는 자리. 아침·낮·저녁으로 하루에 세 번 여는 것이 상례인데, 각각 조강(朝講)·주강(晝講)·석강(夕講)이라 하며 조강을 특히 경연이라 부를 때도 있다. 이 밖에 밤에 여는 야대(夜對)와 불시(不時)로 여는 소대(召對)가 있는데, 이것도 경연의 연장이라 할 수 있다.
[주D-007]소병(素屛) : 흰 명주를 바른 병풍.
[주D-008]정묘년 : 1507 중종 2년.
[주D-009]행학(幸學) : 임금이 성균관에 거동하는 것. 본문에 “3월에 행학하여 횡경 문난하였다.” 하였으나, 《중종실록》 2년 3월 28일(신미) 기사에는 “알성례(謁聖禮)를 오는 가을로 물려 거행하라고 명하였다.” 하였고 이달에는 행학한 일이 실려 있지 않다. 이 지문(誌文)의 연월일과 《중종실록》에 실려 있는 연월일 사이에 서로 다른 것이 많다. 이를테면, 지문에는 임신년(중종 7년) 8월에 궐정에서 양로연을 베풀었고 을미년(중종 30년) 8월에 개성부에 행행하여 제릉에 제사하고 이튿날 행학하여 취사(取士)하였다 하였는데, 《중종실록》에는 양로연 사실이 임신년 8월에 보이지 않고 계유년(중종 8년) 9월 4일(기사)에 근정전(勤政殿)에서 친히 양로연을 거행하였다 하였으니, 두 해를 잇달아 베풀었는데 한 해의 사실만을 적은 것인지 모르겠으나 매년 거행하기는 어렵다는 것을 감안하면 어느 한편이 착오일 듯하고, 제릉 친제(親祭) 사실은 9월 15일(계유)에 있었던 것으로 되어 있으니 이 또한 8월과 9월에 잇달아 거행할 수 없는 일이므로 어느 한편이 착오일 것이다.
[주D-010]횡경 문난(橫經問難) : 경서의 내용에 대해 논란하는 것.
[주D-011]임신년 : 1512 중종 7년.
[주D-012]숭의전(崇義殿) : 고려의 네 임금 곧 태조(太祖)·현종(顯宗)·문종(文宗)·원종(元宗)을 모신 사당으로 경기 마전(麻田)에 있다.
[주D-013]소뢰(小牢) : 희생으로 양과 돼지를 쓰는 것인데 그 희생 또는 그 제사의 뜻으로 쓴다. 태뢰(太牢)의 대(對)로 태뢰에는 소[牛]를 더 쓴다.
[주D-014]정축년 : 1517 중종 12년.
[주D-015]잠사(箴辭) : 경계하는 글.
[주D-016]경진년 : 1520 중종 15년.
[주D-017]신사년 : 1521 중종 16년.
[주D-018]임오년 : 1522 중종 17년.
[주D-019]계미년 : 1523 중종 18년.
[주D-020]무자년 : 1528 중종 23년.
[주D-021]영릉(英陵) : 세종(世宗)과 세종의 비(妃)인 소헌 왕후(昭憲王后) 심씨(沈氏)의 능. 여주(驪州) 성산(城山) 즉 지금의 여주군 능서면(陵西面) 왕대리(旺垈里)에 있다.
[주D-022]경인년 : 1530 중종 25년.
[주D-023]외합(外閤) : 바깥 합문(閤門:금중(禁中)으로 통하는 문). 상주는 상기(喪期)를 의려(倚廬:중문(中門)밖의 담에 나무를 걸치고 풀을 이어 만듦)에서 지내는 것이 예(禮)이다. 외합에 거처한다는 말은 금중으로 통하는 중문 밖에 설치한 의려에서 거처한다는 뜻이다.
[주D-024]갑오년 : 1534 중종 29년.
[주D-025]대사례(大射禮) : 임금이 신하들을 크게 모아 함께 활쏘기를 시험하여, 맞힌 자에게는 상주고 맞히지 못한 자에게는 술을 마시게 하는 의례(儀禮). 성균관에서 거행하는 것이 상례이며, 따라서 문묘(文廟)에 제사하고 혹 취사(取士)를 아울러 거행하기도 한다.
[주D-026]을미년 : 1535 중종 30년.
[주D-027]제릉(齊陵) : 태조(太祖)의 비(妃) 신의 왕후(神懿王后) 한씨(韓氏)의 능. 경기 풍덕(豊德) 북쪽 속촌(粟村) 즉 지금의 개풍군(開豊郡) 상도면(上道面) 풍천리(楓川里)에 있다.
[주D-028]경자년 : 1540 중종 35년.
[주D-029]연(輦) : 탈것의 하나. 임금의 탈것에는 말[馬] 외에 대련(大輦)·소련(小輦)·소여(小輿)가 있다. 여(輿)의 만듦새는 대개 가운데에 의자가 있고 그 양가에 앞뒤로 걸친 멜대가 있어 전후 좌우에서 메고 간다. 연(輦)은 여와 비슷하게 만들고 위에는 복판이 높은 반구형(半球形)의 덮개가 있고 사면에 발[廉]을 드리웠다. 연을 버리고 여를 탔다는 말은 한데에 몸을 드러냈다는 뜻을 내포한 말이다.
[주D-030]갑진년 : 1544 중종 39년.
[주D-031]산융(山戎) : 야인을 가리킴.
[주D-032]팔음(八音)이 문득 그치니 : 팔음은 종(鐘)·경(磬)·현(絃)·관(管)·생(笙)·훈(壎:흙으로 병처럼 만들고 여덟 구멍을 낸 부는 악기)·고(鼓)·축어(柷敔:축은 위가 트인 팔면체의 나무통 속에 자루를 장치하여 음악을 연주할 때에 맨 처음 울리는 악기. 어는 나무로 만든 엎드린 범의 형상 등 위에 27개의 요철(凹凸) 부분이 있어 연주가 끝날 때에 이것을 채로 긁어 소리 내는 악기) 등 여덟 가지 악기인데 임금이 승하했다는 뜻이다.
[주D-033]상종(商宗)·주선(周宣) : 모두 중국 고대의 현명한 임금으로 나라를 중흥시켰음. 상종은 상 중종(商中宗)의 약칭으로 상(商:뒤에 은(殷)으로 고침)나라의 제9대 임금인 태무(太戊)임. 국도(國都) 박(亳)에 상곡(桑穀: 뽕나무와 닥나무)이 함께 아침에 나서 저녁에 두 손으로 잡을 만큼 컸는데, 요사한 것은 덕(德)을 이기지 못하는 법이니 덕을 닦으라는 재상 이척(伊陟)의 말에 따라 태무가 덕을 닦는 바 상곡이 말라 죽었다 한다. 어진 사람들을 등용하여 나라를 잘 다스렸으므로 제후(諸侯)가 귀순하여 다시 중흥하였다. 주선은 주 선왕(周宣王)의 약칭. 선왕은 여왕(厲王)의 난정(亂政) 뒤에 즉위하여 잘 다스리려는 뜻을 품고 재변을 당하면 반성하고 행실을 닦으며 문왕(文王)·무왕(武王)·성왕(成王)·강왕(康王)의 유풍(遺風)을 따랐으므로 나라가 잘 다스려져서 제후가 다시 주나라를 종주로 삼게 되었고, 사방의 오랑캐를 평정하였으므로 주나라를 중흥시킨 임금으로 일컬어 진다.
[주D-034]을사년 : 1545 인종 1년.
[주D-035]신미년 : 1511 중종 6년.
[주D-036]을해년 : 1515 중종 10년.
[주D-037]정축년 : 1517 중종 12년.
[주D-038]선릉(宣陵) : 성종의 능.
[주D-039]갑인년 : 1494 성종 25년.

 

靑莊館全書卷之二十六 完山李德懋懋官著男光葵奉杲編輯德水李畹秀蕙隣校訂
 紀年兒覽[下]
【修】本朝世年紀 附故實。功臣。配享。相臣。 a_257_450a


皇明太祖洪武二十五年壬申。太祖康獻至仁啓運聖文神武正義光德大王。諱旦。字君晉。初諱成桂。字仲潔。號松軒。溫良好古曰康。聡明睿智曰獻。太宗庚辰上號啓運神武。肅宗癸亥。加上謚正義光德。乙亥 元順帝至元元年。高麗忠肅王後四年。十月十一日己未。誕降于永興黑石里。仕高麗。官至門下侍中。壬申 皇明太祖洪武二十五年。七月十六日乙未。登寶位于松京壽昌宮。戊寅九月。傳位于定宗。戊子 皇明成祖永樂六年。我太宗八年。五月二十四日壬申昇遐。난001在位七年。在上王位十年。春秋七十四。有晬容三本。一本奉安于京城永禧殿。一本奉安于全州慶基殿。一本奉安于永興璿源殿。八男五女。健元陵난002在楊州儉巖山。神道碑誌257_450b文。幷權近撰。碑陰記。卞季良撰。
承仁順聖神懿王后韓氏。籍安邊。密直副使贈門下府事安川府院君卿女。大祖卽位初謚節妃。丁丑 元順帝至元三年。高麗忠肅王後六年。誕降。高麗時封元信宅主。辛未 皇明太祖洪武二十四年。高麗恭讓王三年。九月二十三日。昇遐于潛邸。春秋五十五。太祖壬申。追尊。誕 六男二女。齊陵。在豊德栗村。神道碑權近撰。
順元顯敬神德王后康氏。난003籍谷山。判三司事贈象山府院君允成女。太祖卽位初。冊封顯妃。顯宗己酉上謚祔廟。丙子 皇明太祖洪武二十九年。我太祖五年。八月十三日。昇遐于移御所。判內侍府事李得芬家。二男一女。貞陵。丁丑初葬西部皇華坊。太宗己丑。移葬楊州沙河里。有表石。
257_450c嗣定宗大王。神懿王后誕生。序居第二。
嗣太宗大王。神懿王后誕生。序居第五。
一男鎭安大君芳雨。太祖潛邸時卒。追封大君。謚靖懿。○娶忠州池氏。贊成事奫女。生二男一女。
三男益安大君芳毅。錄開國定社功臣。階大匡。贈爲韓公。謚安襄。配享定宗廟庭。娶鐵原崔氏。知杆城郡事贈贊成仁㺶女。生一男二女。
四男懷安大君芳幹。庚辰朴苞之亂。安寘卒。○娶驪興閔氏。判書贈贊成璿女。再娶密陽黃氏。判書亨女。三娶金浦琴氏。正郞仁排女。生四男一女。
六男元尹芳衍。登高麗文科。拜成均博士。○太祖潛邸時卒。贈元尹。○以上。神懿王后誕生。
257_450d七男撫安大君芳蕃。戊寅鄭道傳之亂。被禍。○初封君。贈楸成公。○肅宗庚申。加贈大君。謚恭順。改謚章憲。○娶開城王氏。高麗宗室歸義君瑀女。有繼子。
八男宜安大君芳碩。初封世子。戊寅鄭道傳之亂。被禍。贈邱原公。○肅宗庚申。加贈大君。謚昭悼。○娶富有沈氏。大提學孝生女。有繼子。以上。神德王后誕生。
一女慶愼宮主。駙馬上黨府院君李薆。錄定社佐命功臣。景肅公。生一男。○淸州人。父領議政文度公居易。
二女慶善公主。駙馬靑原君沈琮。生一女。○靑松人。父左政丞定安公德符。○以上。神懿王后誕生。
三女慶順公主。駙馬興安君李濟。戊寅罪死。錄開國功臣。景武公。配享太祖廟庭。有繼子。○星州人。父同知密直仁立。○神德王后誕生。
257_451a一女宜寧翁主。駙馬啓川尉李䔲。生四男三女。○開城人。父判司水監事開。
二女淑愼翁主。駙馬唐城尉洪海。生三男一女。○南陽人。父判中樞彦修。
故實 壬申開國。
甲戌定都漢陽。建宗廟。入耆社。仍命文臣正二品。年七十。皆參入。
丙子。築都城。有八門。周九千九百七十五步。征對馬島。遣金士衡南在等。征之。
丁丑。招安女眞。遣李之蘭按撫。皆爲編戶。
戊寅。建文廟。鄭道傳之亂。道傳與南誾。挾芳碩爲亂。伏誅。北狩咸興。翌年。始回鑾松京。
錄勳 錄開國功臣。壬申。以奮義開國。錄益安大君芳毅等五十六人。○十七人。後罪削。
257_451b配享 領議政趙浚。文忠公。 義安大君和。襄昭公。太祖庶弟。 領議政南在。忠景公追配。 興安君李濟。景武公。罪死追配。 靑海君李之蘭。襄烈公。 判中樞南誾。剛武公。在弟罪死追配。 吏曹判書趙仁沃。忠靖公。
相臣 裴克廉。壬申。以前朝侍中。仍拜左侍中。 趙浚。前朝文科壬申。拜右侍中。至領議政。 金士衡。壬申。拜右侍中。至左議政。 鄭道傳。前朝文科。甲戌管都評議。戊寅罪死。 權仲和。前朝文科。甲戌。判都評議。至領議政致仕。 沈德符。丁丑。以前朝侍中判都評議。至左政丞。 柳曼殊。戊寅。判都評議。同年罪死。
皇明惠宗建文元年己卯。定宗恭靖懿文莊武溫仁順孝大王。諱曔。字光遠。初諱芳果。敬事供上曰恭。寬樂令終曰靖。○肅宗辛酉。追上廟號。加上謚懿文莊武。丁酉 元順帝至正十257_451c七年。高麗恭愍王六年。七月朔日。誕降于咸興歸州洞。仕高麗。
官至將相。太祖壬申。封永安君。戊寅 皇明太祖洪武三十一年。我太祖七年。八月。冊封王世子。九月受禪。庚辰 皇明惠宗建文二年。 十一月。傳位于太宗。난004己亥 皇明成祖永樂十七年。我世宗元年。九月二十六日戊辰。昇遐난005。在位二年。在上王位十九年。春秋六十三。有 十五男八女。厚陵난006在豊德興敎洞。誌文卞季良撰。有行狀及表石。
順德溫明莊懿定安王后金氏。籍慶州。○判禮賓寺事贈門下左侍中天瑞女。○定宗卽位。初封德妃。太宗卽位。尊號順德。○肅宗辛丑。追謚溫明莊懿。乙未 元順帝至正十五年。高麗恭愍王四年。誕降난007。戊寅 皇明太祖洪武三十一年。我太祖七年。冊封德嬪。尋進封王妃。壬辰 皇明成祖永樂十年。我太宗十二年。六月二十257_451d五日。昇遐난008。春秋五十八。無嗣。厚陵난009與大王陵。同原
一男義平君元生。池氏出。○娶鐵原崔氏。監務致崇女。生五男三女。
二男順平君群生。奇氏出。謚忠簡。○娶淳昌薛氏。判司宰監事存女。生二男二女。
三男元尹義生。娶南陽洪氏。司直宿女。無后。
四男宣城君茂生。池氏出。○娶迎日鄭氏。參議宗誠女。生一女。後娶安康金氏。上護軍仲約女。生一男。
案文氏出。五男從義君貴生。贈君。○娶楊口柳氏。正贈贊成守濱女。後娶海豊張氏。主簿均女。有繼子。
六男鎭南君終生。李氏出。謚夷簡。○娶宜寧南氏。上護軍深女。生四男一女。
案淑儀尹氏出。七男守道正德生。娶礪山宋氏。府使繼性女。生三男一女。
257_452a案尹氏出。八男林堰正祿生。娶高靈朴氏。少尹溥女。生一男二女。
九男石保正福生。娶原州金氏。判中樞戴敬公連枝난010。生三男五女。
案池氏出。十男德泉君厚生。謚積德。○娶長水李氏。長川府院君良厚公從茂女。生四男五女。
案池氏出。十一男任城君好生。贈君。○娶平昌李氏。郡守繼童女。有繼子。
案池氏出。十二男桃平君末生。娶龍川李氏。府使守綱女。後娶全州崔氏。司直洙女。生一男一女。
案尹氏出。十三男長川都正普生。娶和順崔氏。郡事自海女。生四男一女。
案淑儀奇氏出。十四男貞石都正隆生。娶忠州權氏。直長敦女。生三女。
案淑儀奇氏出。十五男茂林君善生。奇氏出。謚昭夷。○娶南陽洪氏。司正興善女。生二男四女。
按璿系作池氏出。一女咸陽郡主。奇氏出。○駙馬知敦寧朴賡。生一男。○密陽人。父少尹得中。
257_452b按淑儀奇氏出。二女淑愼翁主。駙馬判敦寧良平公金世敏。生四男四女。○慶州人。父都觀察使謙。
三女德川郡主。駙馬行江陵府使邊尙服。生三男二女。○原州人。父都捴制頤。
四女高城郡主。駙馬知中樞金澣。生三男三女。○安山人。父蓮城君威靖公定卿。
五女祥原郡主。駙馬司直趙孝山。生一男一女。○平壤人。父義方。
六女▣▣郡主。駙馬司直李希宗。生三男一女。
七女仁川郡主。駙馬行府使李寬植。生五男三女。○全義人。父少尹成幹。
八女咸安郡主。駙馬知敦寧李恒信。生一男。
故實 己卯。還都松京。
庚辰。朴苞之亂。苞誘懷安大君芳幹。擧兵作亂。苞伏誅。芳幹安寘。
錄勳 錄定社功臣。戊寅。以平鄭道傳南誾之亂。錄義安大君和等二十九人。○十一人。後罪削。
257_452c配享 益安大君芳毅。安襄公。太祖朝大君。
相臣 成石璘。前朝文科。己卯。拜右政丞至領議政。 李舒。前朝文科。庚辰。拜右政丞。至領議政。再致仕。再還卜。 閔霽。前朝文科。庚辰。拜右政丞。至左政丞。 河崙。前朝文科。庚辰。拜右政丞。至領議政。致仕。
皇明惠宗建文三年辛巳。太宗恭定聖德神功文武睿哲成烈光孝大王。諱芳遠。字遺德。敬事供上曰恭。純行不爽曰定。世宗卽位。上號聖德神功。肅宗辛酉。追上謚난011睿哲成烈。丁未 元順帝至正二十七年。高麗恭愍王十六年。五月十六日辛卯。誕降于咸興歸州洞。壬戌 皇明太祖洪武十五年。高麗辛禑七年。擢高麗進士試。翌年癸亥。登文科。官至密直司代言。太祖壬申。封靖安君。庚辰 皇明惠宗建文二年。我定宗二年。二月。冊封王世257_452d子。十一月。受禪于松京壽昌宮。戊戌 皇明成祖永樂十六年。八月。傳位于世宗。壬寅 我世宗四年。五月十日丙寅。昇遐난012。在位十八年。在上王位四年。春秋五十六。有 十二男十七女。 獻陵난013在廣州大母山。神道碑卞季良撰。有行狀及碑陰記。燕山丙辰。定世室。
彰德昭烈元敬王后閔氏난014籍驪興。門下左政丞驪興府院君文度公霽女。太宗卽位。初封靜妃。乙巳。元順帝至正二十五年。高麗恭愍王十四年。誕降난015。壬申。皇明太祖洪武二十五年。我太祖元年。封靖寧翁主。庚辰。皇明惠宗建文二年。我定宗二年。冊封貞嬪난016。辛巳 我太宗元年。正月。追封王妃。庚子 皇明成祖永樂十八年。我世宗二年。七月十日。昇遐난017。春秋五十六。誕 四男四女。獻陵난018與大王陵同原。誌文卞季良撰。
按成宗朝始建昌慶宮此昌慶宮則新刊璿譜恐誤
257_453a嗣世宗大王。元敬王后誕生。序居第三。
一男讓寧大君禔。初封世子。戊戌。以敗德降封大君。謚剛靖。○娶光州金氏。光山君贈左議政漢老女。生三男四女。
二男孝寧大君初名祜。謚靖孝。●娶海州鄭氏。贊成贈左議政貞度公易女。生六男一女。
四男誠寧大君階大匡贈卞韓公。謚昭頃。○娶昌寧成氏。判院事贈左議政僖靖公抑女。有繼子。
一女貞順公主。駙馬淸平府院君李伯剛。生一女。○淸州人。父領議政文度公居易。
二女慶貞公主。駙馬平壤府院君趙大臨康安公。生一男四女。○平壤人。父領議政文忠公浚。
257_453b三女慶安公主。駙馬吉昌君權跬齊簡公。生二男。○安東人。父贊成文忠公近。
四女貞善公主。駙馬宜山君南暉昭簡公。生一男一女。○宜寧人。父捴郞景文。
一男敬寧君金氏出。謚齊簡。○娶淸風金氏。參議贈贊成灌女。生四男。
二男諴寧君䄄。信寧宮主辛氏出。初封恭寧君。○娶全州崔氏。贊成贈左議政敬節公士康女。生一男一女。
按信寧宮主辛氏出。三男溫寧君䄇。謚良惠。○娶順天朴氏。副正贈贊成安命女。有繼子。
按貞嬪高氏出。四男謹寧君禯。謚僖懿。○娶河陽許氏。觀察使贈贊成之惠女。生二男六女。
按安氏出。五男惠寧君祉。娶茂松尹氏。司直贈贊成汴女。生一男二女。
按淑儀崔氏出。六男煕寧君謚夷靖。○娶淳昌申氏。僉知贈贊成淑女。生一女。後娶平山申氏。士廉女。生三男。
257_453c按崔氏出。七男厚寧君謚僖悼。○娶平山申氏。令贈贊成敬宗女。生一女。
八男益寧君淑善翁主安氏出。謚昭剛。○娶雲峰朴氏。節制使贈贊成從智女。生一女。
一女貞惠翁主。懿嬪權氏出。○駙馬雲城府院君朴從愚。錄貞難功臣成烈公。無后。○雲峯人。父贊成惠甫公信。
二女貞信翁主。信寧宮主辛氏出。○駙馬鈴平君尹季童。生一男一女。○坡平人父兵判向。
三女貞靜翁主。信寧宮主辛氏出。○駙馬漢原君趙璿昭懷公。生一男一女。○楊州人。父領中樞文剛公末生。
四女淑貞翁主。信寧宮主辛氏出。○駙馬日成君鄭孝全行判書。生二男四女。●延日人。父工判鎭。
257_453d五女昭善翁主。駙馬柔川尉邊孝順。生一男一女。○原州人。父監察尙周。
六女淑惠翁主。昭惠宮主盧氏出。○駙馬星原尉李正寧章節公。生三男一女。○星州人。父左尹師厚。
按信寧宮主辛氏出。七女淑寧翁主。駙馬坡城君尹愚。生一男一女。○坡平人。父司諫須彌。
按安氏出。八女昭淑翁主。駙馬海平君尹延命。生四男二女。○海平人。父縣監達誠。
按信寧宮主辛氏出。九女淑慶翁主。駙馬坡平君尹巖錄佐翼功臣齊度公。生六男一女。○坡平人。父生員太山。
按安氏出。十女敬愼翁主。駙馬全城君李梡。生六男一女。○全義人。父判事恭全。
按金氏出。十一女淑安翁主。駙馬懷川尉黃裕良悼公。生五男。○懷德人。父判書子厚。
按信寧宮主辛氏出。十二女淑謹翁主。駙馬花川君權恭錄佐翼功臣襄孝公。生一男。○安東人。父都節制復。
按李氏出。十三女淑順翁主。駙馬坡原尉尹泙。生二男一女。○坡平人。父參議敞。
257_454a故實 乙酉。復都漢陽。
己丑。李茂獄。相臣李茂與驪興君閔无咎等。以壞亂朝廷。幷賜死。自是遂罷外戚封君。
辛卯。始設四學。
乙未。禁錮庶孽。因右代言徐選言。禁錮庶孽淸顯。
錄勳 錄佐命功臣。庚辰。太宗冊封世子。尋受禪。錄李薆等四十六人八人後罪削。난019
配享 領議政河崙。文忠公。 右議政趙英茂。忠武公。 右議政鄭擢。翼景公。 完山府院君李天祐。襄度公。 鷄城君李來。景節公。
相臣 李居易。庚辰。拜右政丞。至領議政。 李茂。辛巳。拜右議政。己丑。罪死。 李稷。前朝文科。乙酉。拜右議政。至領議政。 趙英茂난020。乙酉。拜右議政。 南在。前朝文科。甲午。拜右議政。至領議政。 柳亮。前朝文魁。乙未。拜右議政。 韓尙敬。前朝文科。乙未。拜右議政。至領議政。난021257_454b 柳廷顯。丙申。拜右議政。至領議政致仕。曼殊從弟。 朴訔。前朝文科。丙申。拜右議政。至左議政。 姜筮。戊戌。拜右議政。至左議政。 沈溫。前朝文科。戊戌。拜領議政。同年。賜死。德符子。
皇明成祖永樂十七年己亥。世宗莊憲英文睿武仁聖明孝大王。諱祹。字元正。嚴敬臨民曰莊。行善可紀曰憲。丁丑 皇明太祖洪武三十年。我太祖六年。四月十日壬辰。誕降난022。戊子。皇明成祖永樂六年。我太宗八年。封忠寧君。壬辰。進封大君。戊戌六月。冊封王世子。八月。受禪난023。庚午 皇明代宗永泰九年。二月十七日壬辰。昇遐于別宮。永膺大君琰第。在位三十二年。春秋五十四。有 十八男四女。英陵。257_454c初葬廣州獻陵西岡。睿宗己丑。移葬于驪州城子山난024。行狀尹淮撰進。遷陵誌文。李承召撰。又有表石。神道碑。鄭獜趾撰。遷陵時埋碑不用。定世室。
宣仁齊聖昭憲王后沈氏。籍靑松。領議政靑川府院君安孝公溫女。乙亥난025皇明太祖洪武二十八年。我太祖四年。誕降于楊州私第。戊子 皇明成祖永樂六年。我太宗八年。行嘉禮。初封敬淑翁主。丁酉。封三韓國大夫人。戊戌六月。冊封敬嬪。十一月。進封恭妃。壬子。皇明宣宗宣德七年。我世宗十四年。改封王妃。丙寅 皇明英宗正統十一年。三月二十四日。昇遐于別宮。世祖潛邸。春秋五十二。誕 八男二女。英陵。난026 廣州與大王陵同原。誌文鄭獜趾撰。驪州亦同原。
嗣文宗大王。昭憲王后誕生。序居第一。
嗣世祖大王。昭憲王后誕生。序居第二。
257_454d三男安平大君瑢。癸酉。被禍。後伸雪。謚章昭。○娶延日鄭氏。判書贈左議政淵女。生二男。
四男臨瀛大君璆。謚貞簡。○娶宜寧南氏。左議政忠簡公智女。無後。後娶全州崔氏。奉禮贈右議政承寧女。生五男二女。
五男廣平大君璵。謚章懿。娶平山申氏。同中樞贈左議政自守女。生一男。
六男錦城大君瑜。丁丑。被禍。後伸雪。謚貞愍。○娶全州崔氏。贊成贈左議政敬節公士康女。生一男。
七男平原大君琳。娶南陽洪氏。府使贈左議政利用女。有繼子。
八男永膺大君琰。謚敬孝。○娶海州鄭氏。參判贈左議政忠敬女。無後。後娶礪山宋氏。同中樞贈左議政復元女。生一女。
一女貞孝난027公主。早卒贈公主。
257_455a二女貞懿公主。駙馬延昌尉安孟聃良孝公。生四男二女。○竹山人。父觀察使望之。
一男和義君瓔。令嬪姜氏出。癸酉。謫卒謚忠景。○娶密陽朴氏。參贊贈贊成仲孫女。無後。
二男桂陽君璔。愼嬪金氏出。錄佐翼功臣。謚忠昭。○娶淸州韓氏。左議政襄節公確女。生三男三女。
三男義昌君玒。愼嬪金氏出。謚剛悼。○娶延安金氏。都觀察使贈贊成脩女。生一男二女。
四男漢南君惠嬪楊氏出。丁丑。謫卒。謚貞悼。○娶安東權氏。正郞贈知敦寧格女。生一男一女。
五男密城君琛。愼嬪金氏出。錄翊戴佐理功臣。謚章孝。○娶驪興閔氏。判尹贈贊成承序女。生四男二女。
六男壽春君玹。惠嬪楊氏出。○娶延日鄭氏。府尹贈贊成自濟女。生一女有繼子。
257_455b七男翼峴君璭。愼嬪金氏出。錄佐翼功臣謚忠成。○娶平壤趙氏。少尹贈贊成鐵山女。生一男一女。
八男永豊君瑔。惠嬪楊氏出。丁丑。謫卒。謚貞烈。○娶順天朴氏。參判贈判書忠正公彭年女。生一女。
九男寧海君瑭。愼嬪金氏出。謚安悼。○娶平山申氏。漢城尹贈贊成九童女。生二男一女。
十男潭陽君璖。愼嬪金氏出。早卒。謚夷襄。○有繼子。
一女貞顯翁主。尙寢宋氏出。○駙馬鈴川府院君尹師路。錄佐翼功臣。贊成忠景公。生二男。坡平人。父牧使垠。
二女貞安翁主。淑媛李氏出。○駙馬靑城尉沈安義。生一男一女。○靑松人。父觀察使璿。
故實 戊戌。始開經筵。
257_455c己亥。征對馬島。遣李從茂等。往征。大捷而歸。
庚子。設集賢殿。選文學之士二十員充之。專任文學。朝夕論思。以備顧問。卽今之玉堂。
辛丑。建永寧殿。奉安祧主。世子入學。八歲入學。遂爲定制。
丙午。始設輪對法。賜暇湖堂。選年少文臣。賜暇讀書。後稱湖堂。
戊申。纂五禮儀。許稠等纂定。
癸丑。始定雅樂。朴堧贊成之。征野人。遣崔潤德等。征婆豬江野人。大捷而還。
甲寅。纂三綱行實。圖畵事行。又命詞臣。係以詩讚。印布中外。
丁巳。設六鎭。遣金宗瑞。開拓六鎭。設寘城邑。
癸亥。定年分法。田分六等。年分九等。
乙丑。纂龍飛御天歌。命鄭獜趾等。纂穆祖以來肇基之跡。凡百二十五章。
257_455d丙寅。製訓民正音。命成三問申叔舟等。製諺文。
配享 領議政黃喜。翼成公。 左議政崔潤德。貞烈公。 左議政許稠。文敬公。 左議政申槩。文僖公。 吏曹判書李隨。文靖公。潛邸時師傅。
相臣 李原。前朝文科。戊戌。拜右議政。至左議政。己酉。謫卒。 鄭擢。前朝文科。辛丑。拜右議政。 柳觀。改名寬。前朝文科。甲辰。拜右議政致仕。 趙涓。前朝文科。丙午。拜右議政。 黃喜。前朝文科。丙午。拜右議政至領議政。致仕。九十卒。 孟思誠。前朝文魁。丁未。拜右議政。至左議政。致仕。 權軫。前朝文科。辛亥。拜右議政。至左議政。致仕。 崔潤德。武科。癸丑。拜右議政。至左議政。 盧閈。乙卯。拜右議政。 許稠。前朝文科。戊午。拜右議政。至左議政。申槩。文科。己未。拜右議政。至左議政。 李貴齡。乙丑。拜右議政。至左議政。致仕。九十257_456a四卒。 河演。文科。乙丑。拜右議政。至領議政。致仕。 皇甫仁。文科。丁卯。拜右議政。至領議政。癸酉。被禍。 南智。己巳。拜右議政。至左議政。○在孫。
皇明代宗景泰二年辛未。文宗恭順欽明仁肅光文聖孝大王。諱珦。字輝之。敬順事上曰恭。慈仁和民曰順。甲午 皇明成祖永樂十二年。我太宗十四年。十月三日癸丑。誕降난028。辛丑。我世宗三年。冊封王世子。入學。庚午 皇明代宗景泰元年。二月。卽位于別宮。永膺大君琰第。壬申五月十四日丙午。昇遐난029。在位二年。春秋三十九。有 一男二女。顯陵。在楊州健元陵東岡。行狀申叔舟撰。有誌文及表石。
仁孝順惠난030顯德王后權氏。籍安東。判漢城府事贈領議政花山府院君景惠公專女。文宗卽位。追封王妃。戊戌。皇明成祖永樂十六年。我太宗十八年。誕降난031于洪州257_456b合德縣私第辛亥。皇明宣宗宣德六年。我世宗十三年。選入東宮。封承徽。尋封良媛。丁巳。皇明英宗正統二年。冊封世子嬪。辛酉七月二十四日。昇遐난032。春秋二十四。誕 一男一女。顯陵。初葬安山瓦里山。號昭陵。有誌文。○世祖丁丑。遷陵。○至中宗癸酉。改葬于大王陵左岡난033。誌文金國撰。
嗣端宗大王。顯德王后誕生。
一女敬惠公主。駙馬寧陽尉鄭悰。丁丑。謫卒。贈領議政。生一男。○海州人。父參判忠敬。
一女敬肅翁主。司則楊氏出。○駙馬班城尉姜子順。無後。○晉州人。父觀察使徽。
故實 辛未。寘五衛。衛有五部。部有四統。寘衛將。部將統將。建崇義殿。在麻田郡。祀高麗四王。以名臣十六人配享。
配享 領議政河演。文孝公。
257_456c相臣 金宗瑞。文科辛未。拜右議政。至左議政。癸酉。被禍。
皇明代宗景泰四年癸酉 端宗恭懿溫文純定安莊敬順敦孝大王。諱弘暐。乙亥。禪位。後上號恭懿溫文。肅宗戊寅。復位上謚。辛酉 皇明英宗正統六年。我世宗二十三年。七月二十三日丁巳。誕降난034。戊辰。冊封王世孫。庚午。皇明代宗景泰元年。我文宗卽位初。進封王世子。壬申五月난035。卽位。乙亥閏六月。禪位于世祖。七月。尊爲太上王。丁丑 皇明英宗天順元年。我世祖三年。六月。遜于外。降封魯山君。十月二十四日庚戌난036。昇遐于寧越。在位二年。在上王位三年。春秋十七。無嗣。肅宗辛酉。追封大君。戊寅。復位。莊陵。在寧越冬乙旨。有表石。
懿德端良齊敬定順王后宋氏。籍礪山。○判敦寧勵良君贈領敦寧勵良府院257_456d君玹壽女。○乙亥大妃時。上號懿德。○肅宗戊寅。復位上謚。庚申。皇明英宗正統五年。我世宗二十二年。誕降。甲戌。皇明代宗景泰五年。我端宗二年。冊封王妃。乙亥。我世祖元年。尊爲王大妃。丁丑 皇明英宗天順元年。六月。降爲夫人。辛巳 皇明武宗正德十六年。我中宗十六年。六月四日。昇遐난037。春秋八十二。肅宗戊寅。復位。思陵。在楊州羣場里。
故實 癸酉。安平大君獄。以相臣金宗瑞等。謀推戴安平大君瑢。皆被禍。
錄勳 錄靖難功臣。癸酉。皇甫仁金宗瑞等。以推戴安平大君瑢。皆罪死。錄鄭獜趾等四十二人。四人。後罪削。
相臣 鄭莾。文科。壬申。拜右議政。癸酉。被禍。
○○○○。癸酉。以首陽大君난038。拜領議政。吏兵曹判書。內外兵馬都統使。 鄭獜趾。257_457a文魁。癸酉。拜左議政。至領議政。 韓確。癸酉。拜右議政。至左議政。
皇明代宗景泰六年乙亥。世祖惠莊承天軆道烈文英武至德隆功聖神明睿欽肅仁孝大王。諱瑈。字粹之。柔質慈仁曰惠。嚴敬臨民曰莊。丁丑。上號承天軆道烈文英武。丁酉 皇明成祖永樂十五年。我太宗十七年。九月二十九日丙子난039誕降난040。戊申。皇明宣祖宣德三年。我世宗十年。初封晉平大君。後改咸平。又改晉陽。又改首陽。乙亥 皇明代宗景泰六年。我端宗三年。閏六月十一日。受禪난041。戊子 皇明憲宗成化四年。九月七日。傳位于睿宗。八日甲子。昇遐난042。在位十四年。春秋五十二。有晬容二本。奉安于永禧殿。四男一女。 光陵난043在楊州注葉山直洞。行狀徐居正撰。有誌文及表石。○明宗丁未。定世室。
257_457b慈聖欽仁景德宣烈明順元淑徽愼惠懿神憲貞熹王后尹氏난044籍坡平。判中樞院事贈領議政坡平府院君貞靖公璠女。○丁丑。上號慈聖。○睿宗己丑。加上惠懿。○成宗辛卯加上神憲 戊戌。皇明成祖永樂十六年。我太宗十八年。誕降난045洪州난046公衙。戊申。皇明宣宗宣德三年。我世宗十年。行嘉禮。初封樂浪府大夫人。乙亥。皇明代宗景泰六年。我世祖元年。冊封王妃。癸卯 皇明憲宗成化十九年。我成宗十四年。三月三十日。昇遐于溫陽行宮。春秋六十六。誕 二男一女。光陵난047在大王陵左岡有誌文。
嗣德宗大王。貞熹王后誕生。序居第一。
嗣睿宗大王。貞熹王后誕生。序居第二。
一女懿淑公主。駙馬河城府院君鄭顯祖。錄翊戴佐理功臣褊玎公。登文科。無後。○河東257_457c人。父領議政文成公獜趾。
一男德源君曙。謹嬪朴氏出。錄翊戴功臣謚昭簡。○娶慶州金氏。贈贊成從直女。再娶鳳山尹氏。三娶陽城楊氏。幷無後。
二男昌源君晟。謹嬪朴氏出。○娶交河盧氏。正贈贊成好愼女。後娶光州鄭氏。有繼子。
故實 丙子。六臣獄。成三問等六人。謀復上王。事覺。皆死之。
丁丑。錦城大君獄。順興府使李甫欽。與錦城大君瑜。謀復上王。皆死。
庚辰。西狩平壤。設科取士。
乙酉난048。南狩溫陽。設科取士。○戊子又幸設科如初。
丙戌。東狩江陵。設科取士。
丁亥。李施愛之亂。擧兵于吉州。殺監司兵使。遣將討平之。討建州。以皇命遣257_457d魚有沼等。往征。大捷而還。
錄勳 錄佐翼功臣。丙子。六臣等。謀復上王。金礩上變。獄편001。錄桂陽君璔等。四十四人。○三人後罪削。 錄敵愾功臣。丁亥。吉州賊李施愛叛난049北道。遣將討平之。錄曺錫文等四十五人。○四人後罪削。
配享 左議政權擥。翼平公。 左議政韓確。襄節公。 領議政韓明澮。忠成公追配。
相臣 李思哲。文科。乙亥。拜右議政。至左議政。 鄭昌孫。文科。丙子。拜右議政。至領議政。 姜孟卿。文科。丁丑。拜右議政。至領議政。 申叔舟。文科。戊寅。拜右議政。至領議政。 李仁孫。文科。己卯。拜右議政。致仕。 權擥。文科。己卯。拜右議政。至左議政。 韓明澮。壬午。拜右議政。至領議政。○尙敬從孫。 具致寬。文科。壬午。拜右議政。至領議政。 257_458a黃守身。乙酉。拜右議政。至領議政。○喜子。 沈澮。丙戌。拜右議政。至領議政。○溫子。朴元亨。文科。丙戌。拜右議政至領議政。 崔恒。文魁。丁亥。拜右議政。至領議政。 曺錫文。文科。丁亥。拜右議政。至領議政。 洪達孫。武蔭。丁亥。拜右議政。 龜城君浚。戊子。拜領議政。時年二十八。己亥。賜死。○世宗朝王孫。 康純。戊子。拜右議政。至領議政。同年。罪死。 金礩。文科。戊子。拜右議政。至左議政。○士衡曾孫。 洪允成。文科。戊子。拜右議政。至領議政。
德宗懷簡宣肅恭顯溫文懿敬大王。諱暲。字原明。初諱崇。慈仁短折曰懷。平易不訾曰簡。○在東宮昇遐。謚敬懿世子。戊午 皇明英宗正統三年。我世宗二十年。九月十五日丙申。誕降난050。乙丑。初封桃源君。乙亥。皇明代宗景泰六年。我世祖元年。冊封王世子。丁丑 皇明英宗天順元年。257_458b月二日癸亥。昇遐于東宮。春秋二十。成宗辛卯。追崇。有 二男一女。敬陵난051在高陽蜂峴誌文。李承召撰有表石。
仁粹徽肅明懿昭惠王后韓氏。籍淸州。○明朝宣授光祿少卿。本朝左議政西原府院君襄節公確女。○成宗辛卯。進冊王大妃。上號仁粹。丁巳。皇明英宗正統二年。我世宗十九年。誕降난052。乙亥。皇明代宗景泰六年。我世祖元年。冊封粹嬪。辛卯。皇明憲宗成化七年。我成宗二年。尊冊爲王大妃。甲子 皇明孝宗弘治十七年。我燕山十年。四月二十七日。昇遐난053。春秋六十八。誕 二男一女。敬陵난054在大王陵右岡。
嗣成宗大王。昭惠王后誕生。序居第二。
一男月山大君婷。初封君錄佐理功臣。謚孝文。○娶順天朴氏。判中樞贈領議政昭襄257_458c公仲善女。無後。
一女明淑公主。駙馬唐陽君洪常昭夷公。生一男。○南陽人。父左議政忠肅公應。
皇明憲宗成化五年己丑。睿宗襄悼欽文聖武懿仁昭孝大王。諱晄。字明照。初字平甫。因事有功曰襄。未中早夭曰悼。庚午 皇明代宗景泰元年。我世宗二十二年。正月朔日丁丑。誕降난055。初封海陽大君。丁丑。皇明英宗天順元年。我世祖三年。冊封王世子。丙戌。皇明憲宗成化二年。入學。戊子九月。受禪。己丑十一月二十八日戊申。昇遐난056。在位一年。春秋二十。有 二男一女。昌陵난057在高陽敬陵北岡。有行狀。又有誌文及表石。
徽仁昭德章順王后韓氏。籍淸州。●領議政上黨府院君忠成公明澮女。乙丑。皇明英宗正統十年。我世宗二十七年。誕降난058。庚辰。皇明英宗天順四年。我世祖六年。257_458d封世子嬪。辛巳十二月五日。昇遐于私第。錄事安耆之家。春秋十七。成宗壬辰。追尊爲王妃。誕 一男。恭陵난059在坡州普施洞有誌文。
仁惠昭徽齊淑安順王后韓氏난060籍淸州。○右議政淸川府院君襄惠公伯倫女。成宗辛卯上號仁惠。選入東宮。初封昭訓。戊子。皇明憲宗成化四年。冊封王妃。戊午 皇明孝宗弘治十一年。我燕山四年。十二月二十三日。昇遐。誕一男一女。昌陵난061在大王陵左岡。
一男仁城大君。 早卒。贈君後加贈大君謚孝昭。○章順王后誕生。
二男齊安大君琄。謚靈孝。○娶尙州金氏。正贈左議政守末女。承安順王后旨。去之。改娶順天朴氏。判中樞贈領議政昭襄公仲善女。其後。又以后命與金氏。復合。幷無後。
257_459a一女顯肅公主。駙馬豊川尉任光載無後。○豊川人。父判書士洪。○以上安順王后誕生。
故實 戊子南怡獄。柳子光誣告南怡謀逆。與領相康純。幷被禍。
錄勳 錄翊戴功臣。己丑。南怡等獄成。錄申叔舟等三十九人。○二人。後罪削。
配享 領議政朴元亨。文憲公。
相臣 尹子雲。文科。己丑。拜右議政至領議政。 金國光。文科。己丑。拜右議政。至左議政。
皇明憲宗成化六年庚寅。成宗康靖仁文獻武欽聖恭孝大王。諱娎。溫良好樂曰康。寬樂令終曰靖。丁丑 皇明英宗天順元年。我世祖三年。七月三十日辛卯。誕降난062。辛巳。初封者山君。戊子。皇明憲宗成化四年。改封乽山君。己丑十一月。奉貞熹王后命。卽位난063。甲寅 皇明孝宗弘治七年。十二月二十四日己卯。昇遐난064。在位二十五年。春秋三十八。有 十六257_459b男十二女。宣陵난065在廣州學堂洞。有行狀誌文及表石。○仁祖癸酉난066定世室。
以上屬成宗朝
徽懿愼肅恭惠王后韓氏。籍淸州。領議政上黨府院君忠成公明澮女。○丙子。皇明代宗景泰七年。我世祖二年。誕降난067。丁亥。皇明憲宗成化三年。行嘉禮。己丑。冊封王妃。甲午 我成宗五年。四月十五日。昇遐난068。春秋十九。無嗣。順陵난069在坡州恭陵南岡。有誌文。
以上屬恭惠王后
慈順和惠昭懿欽淑貞顯王后尹氏。籍坡平。右議政鈴原府院君平靖公壕女。○燕山丁巳上號慈順。甲子。加上和惠。壬午。皇明英宗天順六年。我世祖八年。誕降난070于新昌公衙。癸巳。皇明憲成化九年。我成宗四年。選入大內。初封淑儀。庚子。冊封王妃。庚寅 皇明世宗嘉靖九年。我中宗二十五年。八月二十二日。昇遐난071。春秋六十九。誕 一男一女。宣陵난072在大王陵左岡誌文李257_459c荇撰。
嗣中宗大王。貞顯王后誕生。
一女愼淑公主。貞顯王后誕生。早卒。
一男燕山君㦕。母廢妃尹氏。初封世子。嗣位十二年廢。生二男一女。
二男柱城君恂。淑儀河氏出。○娶原州元氏。僉正贈贊成菑女。有繼子。
三男安陽君㤚。貴人鄭氏出。燕山時被禍。謚恭懷。○娶綾城具氏。綾川君贈贊成壽永女。生一女。
四男完原君淑儀洪氏出。謚昭悼。○娶全州崔氏。生員贈贊成河臨女。無後。後娶楊川許氏。別坐贈贊成磧女。生二男二女。
五男檜山君恬。淑儀洪氏出。○娶竹山安氏。贊儀贈贊成邦彦女。有繼子。
257_459d六男鳳安君㦀。貴人鄭氏出。燕山時被禍。○娶平壤趙氏。判官贈贊成紀女。生一男。
七男甄城君惇。淑儀洪氏出。○娶平山申氏。奉事贈贊成友灝女。生二男一女。
八男益陽君懷。淑儀洪氏出。謚順平。○娶延日鄭氏。僉知贈贊成文昌女。生四男三女。
九男利城君慣。淑容沈氏出。謚章平。○娶南平文氏。引儀贈贊成簡女。生三男。後娶安東權氏。郡守贈贊成守中女。無後。
十男景明君忱。淑儀洪氏出。○娶坡平尹氏。僉正贈贊成堞女。生二男二女。
十一男全城君忭。貴人權氏出。○娶安東權氏。知中樞贈贊成忠敏公健女。有繼子。
十二男茂山君悰。淑儀金氏出。○娶平山申氏。別坐贈贊成銖女。生六男二女。
十三男寧山君恮。淑容沈氏出。癸酉被禍謚忠信。○娶靑松沈氏。郡守贈贊成順路女。生二女。後娶慶州鄭氏。別坐贈贊成弘光女。生一女。
257_460a十四男雲川君淑儀洪氏出。○娶安東權氏。參議贈贊成仁孫女。生四女有繼子。
十五男楊原君憘。淑儀洪氏出。○娶平壤趙氏。忠義衛贈贊成經女。無後後娶文化柳氏。正贈贊成從孫女。生一男。
一女惠淑翁主。淑儀洪氏出。○駙馬高原尉申沆文孝公。有繼子。○高靈人。父參判從濩。
二女徽肅翁主。淑儀金氏出。○駙馬豊原尉任崇載。生三女。○豊川人。父判書士洪。
三女恭愼翁主。貴人嚴氏出。○駙馬淸寧尉韓景琛。無後。○淸州人。父琅城君襄胡公堡。
四女慶順翁主。淑容沈氏出。○駙馬宜城尉南致元榮僖公。生一男一女。○宜寧人。父府使燝。
五女敬淑翁主。淑儀金氏出。○駙馬驪川尉閔子芳。生一男○驪興人。父縣令宗元。
六女靜順翁主。淑儀洪氏出。○駙馬奉城尉鄭元俊。生一男。○奉化人。父主簿鉉。
257_460b七女淑惠翁主。淑容沈氏出。○駙馬漢川尉趙無疆。生一男。●楊州人。父參奉光世。
八女慶徽翁主。淑容權氏出。○駙馬鈴原尉尹鼐。生一男。○坡平人。父府使承世。
九女徽靜翁主。淑儀金氏出。○駙馬宜川尉南燮元。生一女。○宜寧人。父承旨忻。
十女靜惠翁主。貴人鄭氏出。○駙馬淸平尉韓紀無後。○淸州人。父判書亨允。
十一女靜淑翁主。淑儀洪氏出。○駙馬鈴平尉尹燮有繼子。○坡平人。父正承柳。
故實 庚寅。設弘文館。選文學之士十七員。充之。以備顧問。
辛卯。德宗追崇。始用經國大典。世祖朝命纂至是始成。
乙未。親耕籍田。丙申。又築觀耕壇於先農壇南。 王妃親蠶。親行釋菜。建尊經閣。建閣太學藏書籍。
丁酉王妃親蠶。築採桑壇於景福宮後苑。親行釋菜。仍行大射禮。
257_460c戊戌行養老禮。養老乞言于太學。纂輿地勝覽。纂東文選。
己亥。廢妃尹氏。以妬忌。貞熹王妃命廢之。因賜死。征建州。以皇明。遣尹弼商等。往征。大捷而還。
庚子親行釋菜。壬寅。又親行。
乙巳。錮改嫁女子孫。纂東國通鑑。
辛亥征野人。遣許琮等。往征。大捷而還。
壬子大酺師生。重修學宮。親臨大饗。
癸丑親耕籍田。王妃親蠶。
錄勳 錄佐理功臣。辛卯。以國家昇平。錄申叔舟等七十七人。○二人。後罪削。
配享 領議政申叔舟。文忠公。 領議政鄭昌孫。忠貞公。 左議257_460d政洪應。忠貞公。
相臣 尹士昐。庚寅拜右議政。坐贓死獄中。 韓伯倫。庚寅。拜右議政。 成奉祖。辛卯。拜右議政。○石璘從孫。 尹士昕。乙未。拜右議政。○士昐弟。 尹弼商。文科。戊戌。拜右議政。至領議政。甲子。被禍。 洪應。文魁。己亥。拜右議政。至左議政。 李克培。文科。乙巳。拜右議政。至領議政。○仁孫子。 盧思愼。文科。丁未。拜右議政。至領議政。○閈孫。許琮。文科。壬子拜右議政。 尹壕난073文科。甲寅。拜右議政。●弼商從叔。 愼承善。文魁。甲寅。拜右議政。至領議政。
皇明孝宗弘治八年乙卯。○附 燕山君㦕。母廢妃尹氏。判奉常寺事起畒女。○成宗丙申生。癸卯。冊封王世子。丁未。入學。甲寅。嗣位淫虐日甚。宗社將危。中宗反正。廢。封燕山君。放于喬桐。同年十二月卒。在位十一年。壽三十一。○夫人居昌愼氏。領議政章成公承善女。生二男一女。○墓在楊州海等村。
257_461a故實 戊午士禍。柳子光誣告金宗直吊義帝文。宗直戮死。其門徒。或誅竄。或廢錮。
甲子士禍。以廢妃尹氏賜死事。追罪廷臣。肆行誅戮。至有碎骨飄風之刑。追崇私親。追崇廢妃尹氏。改號懷陵。反正後廢。築內都城。撤都城百步內人家。寘運平樂。取各道娼妓。寘運平樂工。○宮女則有興靑,天科,地科之號。
乙丑築瑞葱臺。卽今春塘臺。改官制。革司諫院。罷經筵。减翰林員。增司僕寺掌樂院官。設獵藪。廢陵寢祭享。掇津渡舟楫。移畿內六邑于遠外。
相臣 鄭佸。文科乙卯。拜右議政。至左議政。○昌孫子。魚世謙。文科。乙卯。拜右議政。至左議政。鄭文烱。文科丙辰。拜右議政。改正。○道傳曾孫。 韓致亨。丙辰。拜右議政。至領議政。○確侄。 成俊。文科。戊午。拜右議政。至領議政。甲子。被禍。○奉祖侄。 李克均。文科。庚申。拜右議政。至左議政。甲子。被禍。○克培弟。 柳洵。文科。癸亥。拜右議政。至領議政。致仕。後還257_461b卜。○曼殊玄孫。許琛。文科。甲子。拜右議政。至左議政。○琮弟。朴崇質。文科。甲子。拜右議政。至左議政。●訔孫。 姜龜孫。文科。乙丑拜右議政。●孟卿從侄。 愼守勤。丙寅。拜右議政。至左議政。反正日被誅。○承善子。 金壽童。文科。丙寅。起復。拜右議政。至領議政。○礩侄。
皇明武宗正德元年丙寅。中宗恭僖徽文昭武欽仁誠孝大王。諱懌。字樂天。敬順事上曰恭。小心恭愼曰僖。戊申 皇明孝宗弘治元年。我成宗十九年。三月五日己巳。誕降。初封晉城大君。丙寅 皇明武宗正德元年。九月二日。卽位。甲辰 皇明世宗嘉靖二十三年。十一月十四日。傳位于仁宗。十五日庚戌。昇遐난074。在位三十九年。春秋五十七。有 九男十一女。靖陵난075初葬高陽。號僖陵。○明宗壬戌。移葬于廣州宣陵東岡。誌文。洪春卿撰。有表石。
以上屬中宗朝
257_461c恭昭順烈端敬王后愼氏。籍居昌。○左議政贈領議政益昌府院君信度公守勤女。丁未。皇明憲宗成化二十三年。我成宗十八年。誕降난076。己未。皇明孝宗弘治十二年。我燕山五年。行嘉禮。封府夫人。丙寅 皇明武宗正德元年。我中宗元年。九月二日。正位中壼。九日。遜位于私第。丁巳 皇明世宗嘉靖三十六年我明宗十二年。十二月七日。昇遐。春秋七十一。無嗣。英宗己未。追復位。上謚溫陵。在楊州西山長興面水回洞。
宣昭懿淑章敬王后尹氏。籍坡平。○領敦寧坡原府院君汝弼女。辛亥。皇明孝宗弘治四年我。○成宗二十二年。誕降난077。丙寅。皇明武宗正德元年。我中宗元年。選入大內。初封淑儀。丁卯八月。進冊王妃。乙亥三月二日。昇遐난078。春秋二十五。誕 一男一女。禧陵난079初葬廣州獻陵右岡。○中宗丁酉。移葬于257_461d高陽元堂里。誌文金安老撰。有表石。
聖烈仁明文定王后尹氏。籍坡平。●領敦寧坡山府院君靖平公之任女。明宗丁未。上號聖烈仁明。辛酉。皇明孝宗弘治十四年。我燕山七年。誕降난080。丁丑。皇明武宗正德十二年。我中宗十二年。冊封王妃。乙丑 皇明世宗嘉靖四十四年。我明宗二十年。四月七日。昇遐난081。春秋六十五。誕 一男四女。泰陵。在楊州蘆原西行錄明宗御製有表石。
嗣仁宗大王。章敬王后誕生。序居第一。
嗣明宗大王。文定王后誕生。序居第二。
一女孝惠公主。駙馬延城尉金禧生一女。○延安人。父左議政安老章敬王后誕生。
二女懿惠公主駙馬淸原尉韓景祿。生三男。○淸州人。父僉知承權。
257_462a三女孝順公主。駙馬綾原尉具思顔。有繼子。○綾城人。父縣監淳。
四女敬顯公主。駙馬靈川尉申檥。生一男。○高靈人。父牧使秀涇。
五女仁順公主。早卒。○以上文定王后誕生。
一男福城君嵋。敬嬪朴氏出。壬辰被禍。後伸雪。○娶坡平尹氏。縣監贈贊成仁範女。生一女。初宣祖爲繼。及入承大統。後命信城君翊。奉其祀。
二男海安君㟓。淑儀洪氏出。○娶晉州柳氏。晉山君贈贊成泓女。無後。後娶居昌愼氏。參奉贈贊成弘猷女。生一女。
三男錦原君岭。煕嬪洪氏出。○娶海州鄭氏。都事贈贊成承休女。生一女。有繼子。
四男永陽君岠。昌嬪安氏出。謚成悼。○娶順興安氏。司圃贈贊成世亨女。有繼子。
五男德陽君岐。淑儀李氏出。謚靖僖。○娶安편002權氏。判書贈贊成纘女。生一男。
257_462b六男鳳城君岏。煕嬪洪氏出。乙巳난082被禍。謚懿愍。○娶東萊鄭氏。正贈領議政惟仁女。生一女。有繼子。
七男德興大院君岹。昌嬪安氏誕生。庚寅生。己未卒。壽三十。●宣廟入承大統。後追尊爲大院君。○配河東府夫人鄭氏。判中樞贈領議政孝簡公世虎女。誕三男一女。
一女惠順翁主。敬嬪朴氏出。○駙馬光川尉金仁慶。有繼子。○光州人。父參議憲胤。
二女惠靜翁主。敬嬪朴氏出。○駙馬唐城尉洪礪。壬辰被禍。後伸雪。生一女。○南陽人。父觀察使叙疇。
三女貞順翁主。淑媛李氏出。○駙馬礪城尉宋寅文端公。生一男。○礪山人。父僉知之翰。
四女孝靜翁主。淑媛李氏出。○駙馬淳原尉趙義貞。生一男。○淳昌人。父府尹琛。
五女淑靜翁主。淑媛金氏出。○駙馬綾昌尉具澣。生三男三女。○綾城人。父副正信璟。
257_462c六女靜愼翁主。昌嬪安氏出。○駙馬淸川尉韓景祐。生一男三女。○淸州人。父縣監慈。
故實 丙寅反正。朴元宗柳順汀成希顔等。奉主上反正。
丁卯。李顆獄。盧永孫告李顆等謀逆。幷被殺。
庚午。三浦倭亂。遣柳聃年黃衡等。討平之。
癸酉。復昭陵。卽顯德王后陵。○世祖丁丑。遷陵。失所在。至是。三司百官。上章請復。改葬于顯陵左岡。鄭莫介告密。公賤鄭莫介。告功臣朴永文辛允武等謀逆。幷正法削勳。親耕籍田。王妃親蠶。
乙亥。金凈,朴祥獄。是年。章敬王后上賓。金凈朴祥上䟽請復愼妃。幷拿鞠徒配。
丁丑。鄭文忠公從祀。以前朝儒賢鄭夢周。從祀文廟。
己卯。設賢良科。命京外各薦人才。庭策治道。取金湜等二十八人。罷昭格署。257_462d三司庭爭。罷之。乙酉。復建。壬辰亂後永廢。士禍。南衮,沈貞等。從北門誣告。趙光祖等諸人。皆被大禍。
辛卯。安瑭獄。宋祀連誣告。搆殺安瑭一門。
己丑。王妃親蠶。
庚寅。增修輿地勝覽。
壬辰。福城君獄。宮中巫蠱。敬嬪朴氏及其子女福城君嵋,唐城尉洪礪。幷被慘禍。後幷伸。
甲午。親行大射禮。
乙未。幸松京。設科取士。
丁酉。金安老獄。發卒圍捕。遠竄。未到配。賜死于葛院。
錄勳 錄靖國功臣。丙寅。燕山荒亂。宗社將危。朴元宗等。擧義反正。錄元宗等百十八人。○十一人。後罪削。錄定難功臣。丁卯。盧永孫告李顆等謀逆。獄成。錄永孫等二十二人。○後因臺啓257_463a單。錄永孫餘皆削功。
配享 領議政朴元宗。武烈公。 領議政成希顔。忠定公。 領議政柳順汀。文成公난083 領議政鄭光弼。文翼公。
相臣 朴元宗。武科。丙寅。拜右議政。至領議政。 柳順汀。文魁。丁卯。拜右議政。至領議政。 成希顔。文科。己巳。拜右議政。至領議政。 宋軼。文科。壬申。拜右議政。至領議政。 鄭光弼。文科。癸酉。拜右議政。至領議政。 金應箕。文科。癸酉。拜右議政。至左議政。 申用漑。文科。丙子。拜右議政。至左議政。○叔舟孫。 安瑭。文科。戊寅。拜右議政。至左議政。辛巳被禍。金銓。文魁。己卯。拜右議政。至領議政。 南衮。文科。己卯。拜右議政。至左議政。後追奪。 李惟淸。文科。己卯。拜右議政。至左議政。 權鈞。文科。癸未。拜右議政。 沈貞。文科。丁亥。拜右議政。至左議政。辛卯。罪死。 李沆。文科。丁亥。拜右議政。改正。 李荇。257_463b文科。丁亥。拜右議政。至左議政。甲午。謫卒。 張順孫。文科。庚寅。拜右議政。至領議政。 韓效元。文科。辛卯。拜右議政。至領議政。 金謹思。文科。癸巳。拜右議政。至領議政。丁酉。謫卒。金安老。文魁。甲午。拜右議政。至左議政。丁酉。罪死。○詮侄。 尹殷輔。文科乙未。拜右議政。至領議政。 柳溥。文科。丁酉。拜右議政。至左議政。○順汀侄。 洪彦弼。文科。丁酉。拜右議政。至領議政。 金克成。文科。丁酉。拜右議政。 尹仁鏡。文科。庚子。拜右議政。至領議政。
皇明世宗嘉靖二十四年乙巳。仁宗榮靖獻文懿武章肅欽孝大王。諱峼。寵祿光大曰榮。寬樂令終曰靖。乙亥 皇明武宗正德十年。我中宗十年。二月二十五日癸丑。誕降난084。庚辰。冊封王世子。壬午。皇明世宗嘉靖元난085行冠禮入學。甲辰十一月受禪。乙巳七月朔日辛酉。昇遐난086。在位八月。春秋257_463c三十一。無嗣。孝陵난087在高陽禧陵西岡。行狀李彦廸撰。誌文申光漢撰。有表石。
以上屬仁宗朝
孝順恭懿仁聖王后朴氏。籍羅州。○僉知中樞府事贈領議政錦城府院君墉女。甲戌。皇明武宗正德九年。我中宗九年。誕降난088。甲申。皇明世宗嘉靖三年。冊封世子嬪。甲辰。進封王妃。丁丑 皇明神宗萬曆五年。我宣祖十年。十一月二十九日。昇遐난089。春秋六十四。孝陵난090與大王陵同原。
配享 領議政洪彦弼。文僖公。 左贊成金安國。文敬公。
相臣 李芑。乙巳。拜右議政。改正。同年復拜。 柳灌。文科。乙巳。拜右議政。至左議政。同年。被禍。亮玄孫。 成世昌。文科。乙巳。拜右議政。至左議政。戊申。謫卒。⊙奉祖曾孫난091
皇明世宗嘉靖二十五年丙午。明宗恭憲獻毅昭文光肅敬孝大王。諱峘。字對陽。敬順事上曰恭。行善可紀曰憲。甲午 皇明世宗嘉靖十三年。我中宗二十九年。五月二十二日257_463d戊子誕降。初封慶原大君。乙巳七月。以仁宗遺命。卽位난092。丁卯 皇明穆宗隆慶元年。六月二十八日辛亥。昇遐난093。在位二十二年。春秋三十四。有 一男。康陵난094在楊州。泰陵東岡。行狀李滉撰。有表石。
宣烈懿聖仁順王后沈氏。籍靑松。●領敦寧靑陵府院君贈領議政翼孝公鋼女。壬辰。皇明世宗嘉靖十一年。我中宗二十七年。誕降。乙巳。冊封王妃。乙亥 皇明神宗萬曆三年。我宣祖八年。正月二日。昇遐난095。春秋四十四。誕 一男。康陵난096與大王陵同原。
嗣宣祖大王。
一男順懷世子諱暊。仁順王后誕生。明宗辛亥。誕降。丁巳。冊封王世子。庚子入學난097
此間必有闕文。而原本見漏。故不能續繕。
257_464a配享 領議政金昌集。忠獻公。 領議政崔奎瑞。文忠난098公。 左議政閔鎭遠。文忠公。 左議政趙文命。文忠公。 領議政金在魯。忠靖公。
相臣 柳鳳輝。文科。甲辰。拜右議政。至左議政。丁未謫死。乙亥。追施逆律。○尙運子。 趙泰億。文科。甲辰。拜右議政。至左議政。○今上난099。丙申。追奪。○師錫侄。 鄭澔。文科。乙巳。拜右議政。至領議政。○澈玄孫。閔鎭遠。文科。乙巳。拜右議政。至左議政。致仕。○鼎重侄。 李觀命난100文科。乙巳。拜右議政。至領議政。○健命兄。 洪致中。文科。丙午。拜右議政。至領議政。○重普孫。趙道彬。文科。丙午。拜右議政。○泰采侄。 李宜顯。文科。丁未。拜右議政。至領議政。致仕。○世白子。 沈壽賢。文科。丁未。拜右議政。至領議政。○連源八世孫。 吳命恒。文科。戊申。拜右議政。○允謙玄孫。 李台佐。文科。戊申。拜右議政至左議政。致仕。○恒福玄257_464b孫。 李㙫。文科。己酉。拜右議政。至左議政。○芑六世孫。 趙文命。文科。庚戌。拜右議政。至左議政。○相愚從孫。徐命均。文科。壬子。拜右議政。至左議政。○宗泰子。 金興慶。文科。壬子。拜右議政。至領議政。致仕。 金在魯。文科。乙卯。拜左議政。至領議政。致仕。○構子。宋寅明。文科。乙卯。拜右議政。至左議政。 兪拓基。文科。己未。拜右議政。至領議政。致仕。 趙顯命 文科。庚申。拜右議政。至領議政。○文命弟。 鄭錫五。文科。丙寅。拜右議政。至左議政。○致和曾孫。 閔應洙。文科。丙寅。拜右議政。○鎭遠從侄。 金若魯。文科。己巳。拜右議政。至左議政。○在魯從弟。 鄭羽良。文科。己巳。拜右議政。 李宗城。文科。壬申。拜左議政。至領議政。○台佐子。 李天輔。文科。壬申。拜右議政。至領議政。廷龜五世孫。 金尙魯。文科。壬申。拜右議政。至領議政。致仕。●今上。丙申。追施大逆律。○若魯弟。 趙載浩。文科。甲戌。拜右議政。壬午。罪死。乙未伸。○文命子。 申晩。文科。丙子。257_464c拜右議政。至領議政。文科。戊寅。拜右議政。至左議政。○時白五世孫。 閔百祥。文科。己卯。拜右議政。○鎭遠孫。 洪鳳漢。文科。辛巳。拜右議政。至領議政。致仕。 鄭翬良。文科。辛巳。拜右議政。至左議政。○羽良弟。 尹東度。文科。辛巳。拜右議政。至領議政。 金相福。文科。癸未。拜右議政。至領議政。○國光十一世孫。 金致仁。文魁乙酉。拜右議政。至領議政。致仕。○在魯子。 徐志修。文科。丙戌。拜右議政。至領議政。○命均子。 金陽澤。文科。丙戌。拜右議政。至領議政。國光十世孫。 韓翼謩。文科。丙戌。拜左議政。至領議政。○應寅六世孫。 金尙喆。文科。丙戌。拜右議政。至領議政。 李昌誼。文科。戊子。拜右議政。至左議政。 申晦。文科。壬辰。拜左議政。至領議政。丙申。謫。○晩弟。 李溵난101文科。壬辰。拜右議政。○㙫孫。 李思觀。文科。壬辰。拜右議政。至左議政。 元仁孫。文科。壬辰。拜右議政。斗杓五世孫。 洪麟漢。文科。甲午。拜右議政。至左議政。丙申。以逆誅。○鳳漢弟。
257_464d眞宗溫良睿明哲文孝章大王。諱緈。字聖敬。己亥 肅宗四十五年。 二月十五日戊午。誕降난102。甲辰。初封敬義君。乙巳。英宗元年。 冊封王世子。丁未。入學。行冠禮。戊申十一月十六日壬戌。昇遐난103。春秋十。甲申난104。以今上난105特命爲嗣。丙申。賜號承統世子。八月十二日。追尊爲王。上謚溫良睿明哲文孝章。無嗣。永陵。在坡州順陵左岡。初墓。號孝章。後進號永陵。行錄及誌文。英宗御製。有表石。
徽貞賢淑孝純王后趙氏。籍豊壤。○左議政豊陵府院君贈領議政文忠公文命女。乙未。肅宗四十一年。誕降난106。丁未。英宗三年。冊封世子嬪。行嘉禮。乙卯。賜號賢嬪。辛未十一月十四日丁丑。昇遐난107。春秋三257_465a十七。壬申。賜謚孝純賢嬪。丙申。賜號承統。八月十二日。追尊爲王妃。上謚徽貞賢淑孝純。無嗣。永陵난108與大王陵同原。
嗣主上殿下。惠慶宮惠嬪洪氏誕生。
主上殿下。諱祘。字亨運。壬申 英宗二十八年。九月二十二日己卯。誕降于昌慶宮之景春殿。己卯。冊封王世孫。辛巳。入學行冠禮。甲申。特命嗣眞宗大王。丙申。受御筆孝孫銀印。同年三月十日辛巳。卽位于慶煕宮之崇政門。
妃殿下金氏。籍淸風。行參贊贈領議政淸風府院君靖翼公時默女。癸酉 英宗二十九年。257_465b十二月癸巳。誕降난109。壬午。冊封世孫嬪。行嘉禮。丙申。進封王妃。


[난-001]五月二十四日壬申昇遐。 : 案英宗乙亥。卽上王時所御豊壤舊基。建閣竪碑。
[난-002]健元陵 : 案戊子九月九日。葬。
[난-003]順元顯敬神德王后康氏。 : 案璿系闕年而只書六月十三日。誕降。
[난-004]傳位于太宗。 : 案璿系。庚辰十二月。上尊號。仁文恭孝。
[난-005]昇遐 : 案昇遐于仁德宮。
[난-006]厚陵 : 案庚子正月三日。葬。
[난-007]誕降 : 案乙未正月九日。誕降。
[난-008]昇遐 : 案昇遐于仁德宮。
[난-009]厚陵 : 案壬辰八月八日。葬。
[난-010]生 :
[난-011]追上謚 : 一本癸亥追上謚
[난-012]昇遐 : 按昇遐于泉達坊之新宮。
[난-013]獻陵 : 按壬寅九月六日。葬。
[난-014]彰德昭烈元敬王后閔氏 : 世宗甲辰追上尊號彰德昭烈。
[난-015]誕降 : 按乙巳七月十一日。誕降于松京鐵洞。
[난-016]冊封貞嬪 : 按璿系。封貞嬪下有尋追封靜妃。
[난-017]昇遐 : 按昇遐于壽康宮之別殿今昌慶宮。
[난-018]獻陵 : 按庚子九月十七日。葬。
[난-019]錄李薆等四十六人。八人後罪削。 : 一本。錄李薆等四十八人。而十人罪削。
[난-020]趙英茂 : 一本。趙英茂下。有義安大君和。太祖庶弟。丁亥。拜領相。
[난-021]南在。前朝文科。甲午。拜右議政。至領議政。 柳亮。前朝文魁。乙未。拜右議政。 韓尙敬。前朝文科。乙未。拜右議政。至領議政。 : 一本。南在,柳亮。壬辰。拜相。韓尙敬。丙申。拜相。
[난-022]誕降 : 按誕降于漢陽潛邸。
[난-023]受禪 : 按受禪于景福宮之勤政殿。
[난-024]初葬廣州獻陵西岡。睿宗己丑。移葬于驪州城子山 : 按庚午六月。初葬廣州。己丑三月六日。移葬英陵。
[난-025]乙亥 : 按璿系。乙亥下。有九月無日。
[난-026]英陵 : 按丙寅七月。初葬廣州。己丑三月六日。移葬。
[난-027]貞孝 : 按璿系。貞孝。作貞昭。
[난-028]誕降 : 按誕降于漢陽私第。
[난-029]昇遐 : 按昇遐于景福宮之千秋殿。按壬申九月朔日。葬。
[난-030]仁孝順惠 : 端宗甲戌。追上尊號仁孝順惠。
[난-031]誕降 : 按戊戌三月十二日。誕降。
[난-032]昇遐 : 按昇遐于東宮之資善堂。
[난-033]改葬于大王陵左岡 : 按辛酉九月。初葬昭陵。癸酉四月二十一日。改葬。
[난-034]誕降 : 按誕降于東宮之資善堂。
[난-035]五月 : 五月一作正月
[난-036]庚戌 : 庚戌一作甲寅
[난-037]昇遐 : 按英宗辛卯。御筆書凈業院舊基。竪碑于燕尾貞洞。
[난-038]首陽大君 : 世祖潛邸封號。
[난-039]丙子 : 一本丙子作辛巳
[난-040]誕降 : 按誕降于本宮。
[난-041]受禪 : 按受禪于景福宮之勤政殿。
[난-042]昇遐 : 按昇遐于壽康宮之正殿。
[난-043]光陵 : 按戊子十一月二十八日。葬。
[난-044]慈聖欽仁景德宣烈明順元淑徽愼惠懿神憲貞熹王后尹氏 : 按璿系睿宗己丑。加上自欽仁至忠懿十四字。
[난-045]誕降 : 按戊戌十一月十一日。誕降。
[난-046]洪州 : 一本洪州。作洪川。
[난-047]光陵 : 按癸卯六月十二日。葬。
[난-048]乙酉 : 一本乙酉作甲申
[편-001]戌 :
[난-049]遽 :
[난-050]誕降 : 按誕降于禁中。
[난-051]敬陵 : 按丁丑十一月二十三日。葬。
[난-052]誕降 : 按九月八日。誕降。
[난-053]昇遐 : 按昇遐于昌慶宮之景春殿。
[난-054]敬陵 : 按甲子五月。葬。
[난-055]誕降 : 按誕降于私第。
[난-056]昇遐 : 按昇遐于景福宮之紫薇堂。
[난-057]昌陵 : 按庚寅三月五日。葬。
[난-058]誕降 : 按正月十六日。誕降。
[난-059]恭陵 : 按壬午二月二十五日。葬。
[난-060]仁惠昭徽齊淑安順王后韓氏 : 按璿系闕年只書三月十二日。誕降。
[난-061]昌陵 : 按己未二月十四日。葬。
[난-062]誕降 : 按誕降于東宮。
[난-063]卽位 : 按卽位于景福宮之勤政門。
[난-064]昇遐 : 按昇遐于昌德宮之大造殿。
[난-065]宣陵 : 按乙卯四月六日。葬。
[난-066]癸酉 : 一本癸酉作乙亥
[난-067]誕降 : 按十月十一日。誕降于蓮花坊私第。
[난-068]昇遐 : 按昇遐于昌德宮之求賢殿。
[난-069]順陵 : 按甲午六月七日。葬。
[난-070]誕降 : 按六月二十六日。誕降。
[난-071]昇遐 : 按昇遐于景福宮。
[난-072]宣陵 : 按庚寅九月二十日。葬。
[난-073]尹壕 : 一本尹壕下。有居平君復。定宗朝王孫。拜右相改正。
[난-074]昇遐 : 按昇遐于昌慶宮之歡慶堂。
[난-075]靖陵 : 按乙巳二月。初葬僖陵。壬戌九月四日。移葬。
[난-076]誕降 : 按正月十四日。誕降。
[난-077]誕降 : 按七月六日。誕降于會賢坊私第。
[난-078]昇遐 : 按昇遐于景福宮別殿。
[난-079]禧陵 : 按乙酉閏四月。初葬廣州。
[난-080]誕降 : 按十月二十二日。誕降。
[난-081]昇遐 : 按昇遐于昌德宮之昭德堂。
[편-002]束 :
[난-082]乙巳 : 一本乙巳。作丁未。
[난-083]文成公 : 一本。文成公。作烈成公。
[난-084]誕降 : 按誕降于景福宮。
[난-085]宗 :
[난-086]昇遐 : 按昇遐于景福宮之淸燕樓下小寢。
[난-087]孝陵 : 按乙巳十月十五日。葬。
[난-088]誕降 : 按十月朔日。誕降。
[난-089]昇遐 : 按昇遐于景福宮。
[난-090]孝陵 : 按戊寅二月十五日。葬。
[난-091]奉祖曾孫 : 一作奉祖從孫。
[난-092]卽位 : 按卽位于景福宮之勤政門。
[난-093]昇遐 : 按昇遐于景福宮之養心堂。
[난-094]康陵 : 按丁卯九月二十二日。葬。
[난-095]昇遐 : 按昇遐于昌慶宮之通明殿。
[난-096]康陵 : 按乙亥四月二十八日。葬。
[난-097]庚子入學 : 一作庚申入學。
[난-098]文忠 : 一本文忠作忠正。
[난-099]今上 : 正宗朝
[난-100]李觀命 : 一本李觀命。拜至左議政。
[난-101]李溵 : 一本李溵。拜左議政。
[난-102]誕降 : 按誕降于順化坊彰義宮。
[난-103]昇遐 : 按昇遐于昌慶宮之進修堂。
[난-104]甲申 : 英宗朝甲申也
[난-105]今上 : 今上卽正宗
[난-106]誕降 : 按十二月十四日。誕降于崇敎坊私第。
[난-107]昇遐 : 按昇遐于昌慶宮之建極堂宜春軒。
[난-108]永陵 : 按壬申正月十一日。葬。
[난-109]誕降 : 按誕降于嘉會坊私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