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임진년산행 /2012.3.16. 삼각산 영봉

삼각산 영봉 산행 및 조선 이조판서 홍양호 증조부님 산소 탐방

아베베1 2012. 3. 17. 13:13

 

 강북구 우이동 영산 법화사 입구에 풀과 나무속에 존재하는 무덤이 누구의 무덤 인지 궁금하여 자료를 정리 하여 보았다

 풍산은 안동의 지명에 속하는 지명으로 풍산 유씨 , 풍산 홍씨, 등이 명문가에 들어가는 집안 이었다

 홍만회의 무덤비문에 그의 증손은 이조판서의 홍양호이며 문필가 이었다  관리가 되지 않은 무덤이지만 비문을 보니 참으로 현실이  안타까운 현실 인듯하다 ....    조선의 최고의 영예로 생각하는 홍문관대제학의 증조부 되시는 분이기도 하다    

 

 정명공주의 아들 홍만회 산소 탐방은 뜻밖의 수확이었다 .. 

 

 

본문

나주 도래마을 홍기응가옥 대문 / 나주시 다도면 풍산리 도래마을. 도래마을은 풍산 홍씨의 씨족마을이다.

시조는 고려 고종 때 국학직학()을 지낸 지경()이다. 이 파는 조선 헌종 때의 세도가문으로 유명하다. 조선시대에 상신 5명, 문형 3명을 비롯,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는데, 모두 시조의 9대손인 이상()의 후손이다. 그의 아들 여섯이 모두 문과에 올랐는데, 이들 여섯 아들에게서 손자 11명을 얻었으며, 6대손에서는 140여 명으로 자손이 번창, 풍산홍씨의 세력 신장과 직결되었다.

여섯 아들 중에서도 넷째 영()의 후손이 가장 번창하였다. 영의 아들 주원()은 선조의 부마가 되었고, 주원의 큰아들 만용()은 숙종 때 예조판서, 만용의 손자 현보()는 영조 때 예조판서를 각각 지냈는데, 이 현보의 아들이 유명한 봉한()과 인한()이다. 봉한은 영조 때 영의정을 지냈으며, 사도세자의 비이자 정조의 생모()인 혜경궁() 홍씨의 아버지이다.

이들 두 형제는 사도세자의 죽음으로 인한 궁중참변의 격동을 맞아 형 봉한은 부왕() 영조의 실덕()을 힐책하는 시파()로, 아우 인환(좌의정)은 세자의 실덕을 규탄하는 벽파()로 갈리어 날카롭게 대립하였다. 이런 소용돌이 속에서 정조를 세손 때부터 보호한 사람이 국영()인데, 그는 주원의 둘째아들인 만형()의 5대손으로 정조가 즉위하자 도승지와 숙위대장이 되어 세도정치를 휘두르지만 4년을 채우지 못하고 막을 내렸다.

풍산홍씨의 대표적 학자로는 양호()와 만선()을 꼽는다. 양호는 당대의 뛰어난 학자요 문장가로 《영조실록》 《국조보감()》 등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중국의 석학들과 교유하고 돌아와 고증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또 지방관으로 있을 때에는 치산() 식수에 힘썼고, 1764년(영조 40)에는 일본에서 벚나무를 들여와 서울 우이동에 심어 경승지를 이루게 하였다.

한편, 만선은 숙종 때의 실학자로 실학사상 많은 업적을 남겼는데, 그의 저서 《산림경제()》는 후일 실학 연구에 커다란 바탕이 되었다. 그밖에 회인홍씨에서는 윤성()을 배출하였는데, 그는 계유정난수양대군을 도와 정난공신 2등이 되고, 예종 때에는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올랐다.

끝으로 부계홍씨의 인물로는 귀달()과 그의 두 아들 언충() ·언국() 3부자가 유명하다. 귀달은 세조 때 문과에 급제하고 이시애()의 난에 공을 세웠으며, 예종 때에는 《세조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고, 명()나라에 다녀와서 《오례의주()》를 개정하였다. 언충 ·언국 형제도 연산군 때 문장과 글씨로 각각 이름을 날렸는데, 언국은 특히 지조가 굳어 연산군이 그의 딸을 탐내어 입궁()을 강요하였으나 거절하고 거제에 유배되었다. 

 

 

洪良浩墓表

朝鮮判中樞府事兼吏曹判書大提學諡文獻豐山洪公良浩之墓
貞敬夫人東萊鄭氏袝左(表 面)
(裏 面)
輔國崇祿大夫行判中樞府事兼吏曹判書判義禁府事知 經筵春秋館事弘文館大提學藝文館大提學知成均館事 世子左賓客五衛都摠府都摠管贈諡文獻公府君墓表陰記先君子姓洪氏諱良浩字漢師初諱良漢號耳溪安東豐山縣人先祖高麗國學直學諱之慶都僉議舍人諱侃號洪厓密直使諱侑寶文閣大提學諱演入我朝六傳至司憲府大司憲贈議政府領議政諱履祥諡文敬號慕堂禮曹叅判贈領議政諱霙號秋巒永安尉柱元宣祖駙馬諡文懿號無何堂寔府君高祖也會祖掌隷院判决事贈吏曹叅判諱萬恢祖丹陽郡守贈吏曹判書諱重聖號芸窩考贈議政府左賛成諱鎭輔妣贈貞敬夫人靑松沈氏領議政壽賢女 景宗甲辰閏四月二十六日先君生 英宗丁卯生員壬申庭試文科甲午登俊試己卯通政癸巳嘉善 正宗壬寅嘉義甲辰資憲乙巳正憲癸丑崇政甲寅崇祿己未輔國崇祿歷官藝文館檢閱待敎侍講院司書文學弘文館副修撰修撰副校理司諫院正言獻納大司諫司憲府持平大司憲成均館大司成承政院同副至都承旨吏曹佐正郎叅議判書戶曹叅判禮曹叅判判書兵曹叅知至叅判刑工曹叅議至判書漢城府右尹至判尹議政府左叅賛敦寧府知判事中樞府同知至判事兼銜南學敎授知製敎侍講院司書弼善 世子左賓客弘文藝文館提學大提學經筵春秋成均館同知事義禁府同知至判事都摠府副都摠管冊儲都監都廳提調實錄寶鑑羹墻錄纂修堂上捲草官耆老所堂上十五司堤調外任江東縣監慶州義州府尹洪州牧使慶興府使黃海平安道觀察使奉使全羅道京試官賑款督運御史冬至副正使今 上壬戌正月十五日考終壽七十九禮葬于天安郡南日峰山壬坐之原開先妣之墓合窆焉贈諡文獻諡法勤學好問曰文嚮忠納德曰獻詩文遺集藏于家先妣貞敬夫人東萊鄭氏領議政諱光弼九世孫高祖禮曹叅判諱萬和會祖諱載漢祖牧使諱復先考郡守諱錫耆妣楊州趙氏都事明彬女 景宗癸卯十一月二十二日生先妣生 正宗丁巳十月二十五日考終壽七十五擧二男二女男樂源贈禮曹叅判義俊今判書出爲府君仲弟贈吏曹判書諱挺漢後女適李肅載李永翼縣監庶男義民樂源男敬謨今叅判義俊男錫謨今郡守李肅載系男源成進士李永翼系男啓楨義民系男是謨三女適尹耆植鄭亮愚李圭豐敬謨男翼周今縣監二女適曹雲承今說書鄭翊朝進士錫謨二男健周善周七女適曹錫弼進士李晩器李公翼今檢閱鄭元弼鄭文敎鄭基復李根弼翼周四男祐天三幼嗚呼先君甞作自序文小字畧叙德行文章附錄于下先君所撰先妣誌文並藏于壙前墓道尙未樹碑而闡徽故謹以世系子孫官爵生卒泣血而識之先竪表石庸俾百世之後知我先君子衣履之藏也嗚呼痛哉
不肖男正憲大夫吏曹判書兼知 經筵春秋館義禁府事弘文館提學同知成均館事 世
子右賓客義俊謹識
不肖孫嘉善大夫吏曹叅判兼同知經筵春秋館義禁府事敬謨謹書
上之三十二年壬辰四月 日立

 

홍양호묘표(洪良浩墓表)

조선(朝鮮)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겸(兼) 이조판서(吏曹判書) 대제학(大提學) 시호는 문헌(文獻) 풍산(豐山) 홍공(洪公) 양호(良浩)의 묘
정경부인(貞敬夫人) 동래(東萊) 정씨(鄭氏) 왼쪽에 합부함.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 행 판중추부사(行判中樞府事) 겸(兼) 이조판서(吏曹判書)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 지경연춘추관사(知經筵春秋館事) 홍문관대제학(弘文館大提學)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 지성균관사(知成均館事) 세자좌빈객(世子左賓客) 오위도총부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 증시(贈諡) 문헌공(文獻公) 부군(府君)의 묘표(墓表) 음기(陰記)

선군자(先君子)는 성이 홍(洪)이고 휘(諱)가 양호(良浩)이며 자(字)는 한사(漢師)이고 초휘(初諱)는 양한(良漢)이며 호(號)는 이계(耳溪)이다. 안동(安東) 풍산현(豐山縣) 사람이다. 선조(先祖)는 고려(高麗) 국학직학(國學直學)이니 휘(諱)는 지경(之慶)이니 도첨의사인(都僉議舍人)였다. 휘(諱) 간(侃)은 호가 홍애(洪厓)이고 밀직사(密直使)였다. 휘(諱) 유보(侑寶)는 문각대제학(文閣大提學)이었고 휘 연(演)은 우리 조선조에 들어와서 여섯 대가 이어진 사람으로 사헌부대사헌(司憲府大司憲)이니 의정부영의정(贈議政府領議政)에 추증되기에 이르렀다. 휘 이상(履祥)은 시호가 문경(文敬)이고 호는 모당(慕堂)이며 예조참판(禮曹叅判) 증영의정(贈領議政)이다. 휘 영(霙)은 호가 추만(秋巒)이며 영안위(永安尉)이다. 주원(柱元)은 선조부마(宣祖駙馬)이고 시호는 문의(文懿)이며 호는 무하당(無何堂)이니 부군(府君)의 고조(高祖)이다. 증조는 장례원판결사(掌隷院判决事)이며 이조참판(贈吏曹叅判)에 추증되었으니 휘는 만회(萬恢)이다. 할아버지는 단양군수(丹陽郡守)이니 이조판서(贈吏曹判書)에 추증되었으니 휘는 중성(重聖)이고 호는 운와(芸窩)이다. 아버지는 의정부좌찬성(贈議政府左賛成)에 추증되었으며 휘는 진보(鎭輔)이다. 비(妣)는 정경부인(貞敬夫人)으로 추증되었으며 청송(靑松) 심씨(沈氏) 영의정(領議政) 수현(壽賢)의 딸이다.
경종(景宗) 갑진년 윤사월(閏四月) 26일에 선군(先君)께서 태어나셨다. 영종(英宗) 정묘년에 생원(生員)에 입격하셨고 임신년에 정시(庭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셨다. 갑오년 준시(俊試)에 등과하여 기묘년에 통정대부(通政大夫), 계사년에 가선대부(嘉善大夫), 정종(正宗) 임인년에 가의대부(嘉義大夫), 갑진년에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을사년에 정헌대부(正憲大夫), 계축년에 숭정대부(崇政大夫)에, 갑인년에 숭록대부(崇祿大夫)에, 기미년에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에 올랐다.
관직은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 예문관대교(藝文館待敎), 시강원사서(侍講院司書), 시강원문학(侍講院文學), 홍문관부수찬(弘文館副修撰), 홍문관수찬(弘文館修撰), 홍문관부교리(弘文館副校理),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 사간원헌납(司諫院獻納), 사간원대사간(司諫院大司諫),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 사헌부대사헌(司憲府大司憲), 성균관대사성(成均館大司成), 승정원동부승지(承政院同副承旨), 승정원도승지(承政院都承旨), 이조좌랑(吏曹佐郎), 이조정랑(吏曹正郎), 이조참의(吏曹叅議), 이조판서(吏曹判書), 호조참판(戶曹叅判), 예조참판(禮曹叅判) 예조판서(禮曹判書), 병조참지(兵曹叅知), 병조참판(兵曹叅判), 형조참의(刑曹叅議), 형조참의(刑曹叅議), 형조판서(刑曹判書), 한성부우윤(漢城府右尹),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 의정부좌참찬(議政府左叅賛), 돈녕부지판사(敦寧府知判事), 중추부동지(中樞府同知), 중추부판사(中樞府判事)를 거쳤다.
겸함(兼銜)은 남학교수(南學敎授), 지제교(知製敎), 시강원사서(侍講院司書), 필선(弼善), 세자좌빈객(世子左賓客), 홍문관제학(弘文館提學), 예문관제학(藝文館提學), 홍문관대제학(弘文大提學),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 경연춘추성균관동지사(經筵春秋成均館同知事), 의금부동지(義禁府同知), 의금부판사(義禁府判事), 도총부부도총관(都摠府副都摠管), 책저도감(冊儲都監) 도청제조(都廳提調), 실록보감(實錄寶鑑) 갱장록찬수(羹墻錄纂修), 당상권초관(堂上捲草官), 기노소당상(耆老所堂上), 십오사(十五司)의 제조(堤調)였다.
외임(外任)은 강동현감(江東縣監), 경주부윤(慶州府尹), 의주부윤(義州府尹), 홍주목사(洪州牧使), 경흥부사(慶興府使), 황해도관찰사(黃海道觀察使), 평안도관찰사(平安道觀察使), 봉사(奉使), 전라도경시관(全羅道京試官), 진관독운어사(賑款督運御史), 동지부정사(冬至副正使)였다.
금상(今上) 임술(壬戌)년 정월 15일에 운명하셨으며 이때 나이 79세였다. 천안군(天安郡) 남일봉산(南日峰山) 임좌(壬坐)의 뜰에 예장하였다. 선비(先妣)의 묘를 열어서 합폄(合窆)하였다. 증시(贈諡)는 문헌(文獻)이다. 시법(諡法)에 ‘근면히 배우고 묻기를 좋아하는 것을 문(文)이라 하고 상대에게 충성하고 덕을 베푸는 것을 헌(獻)’이라 한다고 하였다. 시문(詩文) 유집(遺集)은 집에 소장되어 있다.
선비(先妣)는 정경부인(貞敬夫人) 동래정씨(東萊鄭氏)이다. 영의정(領議政) 휘(諱) 광필(光弼) 9세손이고, 고조(高祖)는 예조참판(禮曹叅判) 휘(諱) 만화(萬和)이고 증조(曾祖)는 휘(諱) 재한(載漢)이고 할아버지는 목사(牧使) 휘(諱) 복선(復先)이며 아버지는 군수(郡守) 휘(諱) 석기(錫耆)이다. 비(妣)는 양주(楊州) 조씨(趙氏)이다. 도사(都事) 명빈(明彬)의 딸이다. 경종(景宗) 계묘(癸卯)년 11월 22일에 태어났다.
선비(先妣)는 정종(正宗) 정사(丁巳)년 10월 25일에 돌아가셨으니 향년 75세이다. 모두 2남 2녀를 낳았다. 아들은 낙원(樂源)이니 예조참판(禮曹叅判)을 추증받았다. 의준(義俊)은 현재 판서(判書)이니 출계하여 부군(府君)의 중제(仲弟)가 되었다. 이조판서(吏曹判書)에 추증되었으며 휘는 정한(挺漢)이다. 딸들은 이숙재(李肅載)와 이영익(李永翼)에게 시집갔는데 현감(縣監)이다. 서자(庶子)는 의민(義民)이다. 낙원(樂源)의 아들은 경모(敬謨)이니 현재 참판(叅判)이다. 의준(義俊)의 아들은 석모(錫謨)이니 현재 군수(郡守)이다. 이숙재(李肅載)는 양자가 원성(源成)이며 진사(進士)이고 이영익(李永翼)은 양자를 들였으니 계정(啓楨)이다. 의민(義民)도 양자로 이었으니 시모(是謨)이고 딸 셋이 윤기식(尹耆植), 정량우(鄭亮愚), 이규풍(李圭豐)에게 시집갔다. 경모(敬謨)의 아들은 익주(翼周)이니 현재 현감(縣監)이다. 두 딸 중 하나는 조운승(曹雲承)에게 시집갔으니 지금 설서(說書)이고, 다른 하나는 정익조(鄭翊朝)에 시집갔으니 진사(進士)이다. 석모(錫謨)의 두 아들은 건주(健周), 선주(善周)이고, 일곱 딸 중 첫째는 조석필(曹錫弼)에 시집갔으니 진사(進士)이고, 둘째는 이만기(李晩器)에게 시집을 갔으며 셋째는 이공익(李公翼)에게 시집을 갔으니 현재 검열(檢閱)이고, 네째는 정원필(鄭元弼), 다섯째는 정문교(鄭文敎), 여섯째는 정기복(鄭基復), 일곱째 딸은 이근필(李根弼)에게 각각 시집을 갔다. 익주(翼周)은 아들 넷을 두었는데 큰 아들이 우천(祐天)이고 나머지 셋은 어리다.
오호(嗚呼)라 선군(先君)께서 일찍이 자서를 지었는데, 작은 글씨로 덕행과 문장에 관해 대략 서술하여 아래에 부록하였다. 선군이 찬술하신 선비(先妣)의 지문(誌文)을 모두 구덩이 앞 묘도(墓道)에 묻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비를 세워 그 아름다움을 드러내지 못하였으므로 삼가 세계자손의 관작(官爵)과 생졸년을 읍혈(泣血)하며 기록한다. 먼저 표석(表石)을 세우니 이것으로 백세가 지난 뒤라도 우리 선군자의 자취가 묻힌 곳이 어디인지를 알게 하고자 한다. 오호(嗚呼) 통재(痛哉)로다.

불초남(不肖男) 정헌대부(正憲大夫) 이조판서(吏曹判書) 겸(兼) 지경연춘추관의금부사(知經筵春秋館義禁府事) 홍문관제학(弘文館提學) 동지성균관사(同知成均館事) 세자우빈객(世子右賓客) 의준(義俊)이 삼가 기록하였고,
불초손(不肖孫) 가선대부(嘉善大夫) 이조참판(吏曹叅判) 겸(兼) 동지경연춘추관의금부사(同知經筵春秋館義禁府事) 경모(敬謨)가 삼가 글씨를 썼다.

상의 32년 임진년(순조 32, 1832년) 4월 일에 세웠다.

 

松川先生遺集卷之七
 附錄下
神道碑銘幷序○豐山洪良浩。謹撰。 a_037_588d


 

公諱山璹。字會元。耽羅星主良氏之後也。新羅賜姓梁。仕高麗。多聞人。曁我朝。有弘文校理彭孫。與靜菴趙先生共贊至治。同遘士禍。世稱學圃先生。卽公大父也。考諱應鼎。以文章德望重一世。官大司成。號松川。妣貞夫人竹山朴氏。判官仲允女。037_589a以皇明世宗四十年辛酉。生公。卽我明宗十六年也。公儀容端粹。聰穎好學。及長。專心經典。不屑公車業。文辭亦高雅。松川公甚器異之。博涉羣書。傍通天文地理。且究兵學。松川授以陣圖。窮其合變之術。辛巳。遭松川公憂。率禮無愆。是時。牛溪成先生講道于坡山。公負笈千里而就質焉。先生深許其精詣。公夜觀乾象。晝察人事。知大亂將作。每登高望遠。歔欷流涕。乃卜居于羅州南三鄕里。距家百餘里。日覲偏親。步行習勞。人皆怪之。丁亥三月。倭犯興陽。殺鹿島萬戶李大源。公嘆曰。邊警037_589b若此。而人無憂者。奈何。戊子春。倭人遣對馬島橘康光求和。公曰。禍在不遠矣。欲覘倭情。馳往南原。見宗人梁大樸。請與俱踰八良峙入嶺南。托護行卒。密探於諸倭。始知日本王源義藤。爲平秀吉所滅已十餘年。而我國不知也。康光初到東萊。府使享之。酒行。康光輒落盃破之。公與大樸耳語曰。彼雖求和。實欲破盟也。及到尙州。牧使宋應泂以妓樂享之。旣出。公問其何言。應泂曰。康光言。老夫積年干戈。鬚髮種種。而使君處聲妓中。何若是皓白云。公謂大樸曰。彼言諷我也。托以聘好覘我虛實037_589c矣。己丑春。倭使玄蘇等。又來請通信使。公曰倭欲試我兵力。比年來寇。每歲求和。而廟堂尙不知備。國事可知。自是遍遊三南。察人情。相地勢。至十二月。持斧伏闕上疏。語多激切。不避權貴。且言趙憲預知汝立必叛。可謂先見。而尙在遠謫。上特命放還。趙公歸到吉州。又抗章極言時宰之誤國。公兄山龍亦上疏言事。時人皆斥以狂妄。庚寅春。我使黃允吉等。以回答使赴日本。辛卯。與彼使玄蘇等偕來。而倭書極凶悖。公聞之。撫釰長歌而已。及翌年壬辰。倭大擧入寇。聲言五十萬。四月十三037_589d日渡海。連陷釜山, 東萊。於是。嶺南一路。望風奔潰。無敢嬰其鋒者。公聞變自三鄕里。仗劍來朴山故居。與兄山龍, 弟山軸。痛哭失聲。入告母夫人曰。國危如此。子等將死於王事。夫人曰。吾家世受國恩。救國而死。得其所矣。若等其努力。公哭謂兄弟曰。先君子十年前。每說南憂。勉我曹以報國。言猶在耳。其何敢忘。遂區劃擧義之策。馳往同州前府使金公千鎰家。誓與共濟艱危。倡募鄕兵。經辦糧餉。傳檄列邑。旬日之間。得精兵數百。旣而聞李鎰敗。申砬死。賊長驅逼京城。車駕播遷。公日夜痛037_590a哭。治兵益急。本道監司李洸領七萬兵到錦江。聞都城失守。蒼黃罷兵。人心洶洶。公憤惋甚。欲與金公馳檄聲罪。問罷兵之由。時高苔軒敬命與二子從厚, 因厚。亦起義於光州。移書金公曰。巡察不勤王。誠有罪。然擅自處置。恐傷事體。遂止。與金公議曰。國事至此。勤王不可少緩。期會義兵。卽推金公爲盟主。金公慷慨登壇。以公爲副將。公兄山龍爲運糧將。以其子象乾爲從事。傳檄道內。應都坌集。兵威大振。以六月。出師於羅州。留弟山軸曰。老母在堂。汝則歸養。募聚義穀。資助餉師。遂酌酒相037_590b別。修書告訣於母。是月。三路兵潰於龍仁。兩湖益無固志。而倚諸義兵爲重。先是。與高公約日同赴行在。高公行收兵在後。與金公直向北路。金公雅知公習於兵。軍中事悉以委公。公號令明肅。與士卒同甘苦。一軍感戴。由是隊伍之整。紀律之嚴。爲諸義旅最。是時。賊陣四布。勢甚鴟張。列閫畏縮鼠竄。無敢出兵抗賊者。官軍及義兵。惟各守州縣而已。朝廷命令。不通於南方。不知君父所在。公慷慨將奔問。謂金公曰。江都。南北要衝。水陸關防。恐爲賊窟。宜急先據守。朝命可通。國脈可保。但037_590c孤軍深入。無以獨立。宜遣智略士。募湖西義兵。沮遏賊鋒。與兩南緩急相救。則聲勢可以相倚矣。金公從之。遂由木道。沿海移陣江華。公卽齎蠟書。徒步晝伏夜行。七月。始抵龍灣。宣廟聞之。大喜。卽召入。山璹伏地痛哭。前奏賊勢及諸臣起義事甚悉。上爲之流涕曰。久不聞南方消息。今見汝。始知舊疆之猶保矣。山璹對曰。臣以白面書生。但思一死報國。至於成敗利鈍。一聽於天矣。因書進興復之策。上慰奬備至。特除工曹佐郞。卽拜千鎰倡義使。高敬命招討使。授以敎書。其略曰。龍灣一037_590d隅。天步艱難。地維已盡。予將何歸。人情已窮。理宜思復。秋凉乍動。邊地早寒。聸彼長江。亦流于東。思歸一念。如水滔滔。又授高敬命恢復敎旨曰。節制列邑。收復都城。以御手親賜藥物于山璹掌中。諭曰。歸語金千鎰高敬命。爾等及時恢復。俾見予有日也。山璹承命。揮涕拜稽以退。朝臣多勸留同仕者。公固辭。感而賦詩曰。千里刳肝謁紫宸。密承酬酢玉音頻。殊恩到骨終何補。一死方知報主辰。蓋以死自矢也。還到江都。陳列兵馬。宣讀敎書。將士莫不揮涕効死。又飛傳敎旨于高公。037_591a高公與其子因厚。已死錦山之役矣。公歸自龍灣。三南州郡。始知鑾蹕所駐。由是。漕運達于行朝。使命通于下道。人心倚之如長城。先是。朝廷遣使求救於天朝。癸巳正月。天將李如松等帥師渡遼。大破賊於平壤城。乘勝收復三京。未幾。天將與賊連和。諸賊退下嶺南。設柵分屯於沿海。公與倡義使竭力追躡。至咸安覘賊進退。時官軍義兵。皆集於咸安等地。而鄭松江澈爲體察使。公曰鄭公雖有淸名雅操。而不知兵。甚可憂也。淸正嘗不利於晉州。因擊湖南。六月十四日。合諸酋兵數037_591b十萬。自東萊直向晉州。劉摠兵綎時在大丘。移書淸正。喩以利害。不聽。沈遊擊惟敬方留平行長所。力說勸挽之。行長曰。今日之擧。淸正主之。吾不預焉。開說百端無益。不如先自空城。以快其心也。倡義使聞之。謂諸將曰。賊謀難測。奚信只攻晉州之言乎。況晉密邇湖南。互爲唇齒。晉若不守。禍必及湖。宜幷力堅守。諸將守令多不應。巡邊使李薲, 紅衣將郭再祐自丹城。徑入山郡。左義兵將任啓英自泗川。直還湖南。全羅兵使宣居怡, 助防將洪季男亦皆避去。公謂倡義使曰。棄城資賊。非義也。且037_591c賊若得志於晉州。必長驅湖南。今禦賊不於籬外。而縱之入。如狂瀾之決。不可防也。莫如固守以遏其鋒。然强弱不敵。衆寡懸殊。我無制勝之策。而只自赴難。譬如抱薪而救火。請熟慮之。倡義使曰。計將安出。公曰。求救於天兵。以爲外援。然後我軍堅壁以禦。表裏夾攻。庶可濟事。金公然其計。而事已急。遂向晉州。慶尙兵使崔慶會, 忠淸兵使黃進, 巨濟縣令金俊民, 海美縣監鄭名世, 泗川縣監張潤, 復讐將高從厚, 副將吳宥, 義兵將李繼璉, 閔汝雲, 姜希輔等。各領兵來赴。金海府使李宗仁先已八037_591d守。公以疾在後。翼日。倍道駞進。人謂公曰。賊必欲得城。何乃輕身赴危地。公不聽。馳入城。倡義使卽遣公及洪涵等。乞師於劉摠兵綎。公辭氣慷慨。言淚俱發。綎改容嗟嘆。猶不肯出兵。公憤恨以還。入晉境。賊已逼城。洪涵等棄走。公泣曰。臨危苟免。使主將獨陷死地。可乎。單騎馳進。賊兵環圍。城不可入。乃自南江。游泅以達岸。一軍皆驚。公之未歸。奮義將姜希悅亦馳來。敵愾副將李潛領兵來會。嬰城方略已定。公與諸將。戮力捍禦。二十一日。賊繞三匝。城中按兵不動。賊乃退。翌日。又進薄城。飛丸037_592a終日如雨。城中力拒。是夜。賊自東門大喊登城。黃進等奮身血戰。時牧使徐禮元顚倒失措。公言於倡義使。以張潤攝州事。兵氣稍振。會天大雨。城一隅壞。公仰天歎曰。謀事在人。成事在天。俄而賊大喊闌入。金俊民力戰死之。二十七日。姜希輔死之。又翌日。黃進, 張潤等相繼中丸死。公哭之慟。如悲親戚。將士由是感激。皆願效死。是日。城東隅又大崩。賊蟻附以入。李宗仁持短兵摶戰。賊又從西北門。揮劍踊躍以至。徐禮元望見先走。諸軍遂大潰。勢若土崩。諸將知事無可爲。皆登矗石樓。公與金037_592b象乾共扶倡義使。北向再拜。將赴南江。公素慣於泅水。金公曰。君可以免。努力更圖。滅此仇賊。諸義將亦皆勸公出。公泣曰。旣與同事。何忍獨生。遂先投江以沒。時年三十三。倡義使金公其子象乾, 高公從厚, 幕下吳玭, 金麟渾, 高敬元, 兵使崔公慶會, 幕下文弘獻。一時赴江死。姜希悅, 吳宥李潛等十餘人。奮釰斫賊。抵死乃已。李宗仁轉鬪至南江。左右挾賊投水死。公兄山龍以運糧出湖南。聞城陷馳來。恨不得同死。號哭上下。求屍不得。招魂於江上而返。晉人莫不流涕。以是年八月。葬衣冠於羅037_592c州之北松川公墓下。事聞。與倡義使並腏享于晉州之彰烈祠。羅州之旌烈祠。崇禎四年。贈左承旨。旌其門。配淑夫人光山李氏。敎授義貞女。公沒。親檢喪祭。哭哀有節。未嘗有怨恨之色。及丁酉再亂。公兄弟奉母全家避賊于三鄕浦。船未出洋。賊船猝至。母夫人知不免。急呼二子曰。義不可辱。聳身赴海。一家遑遑拯救。夫人怒曰。吾計決矣。竟投于海。二子共扶母入水。生員公配柳氏, 妹進士金光運妻, 族女金斗南妻, 生員公庶女縣令林懽妾。同日赴水死。夫人李氏與公弟配高氏。共投海。037_592d爲婢所援出。夫人索刀佩之曰。吾不卽死者。以姑及兄弟姊妹皆入于海。將俟潮退。收諸屍。賊若迫當自裁也。匿于浦前山。賊望見之。直前而來。夫人拔刀自刎。賊嗟歎而去。高氏幷收諸屍。夫人刀猶在頸。公之木主在其背。人皆悲之曰。李氏事尤難。後附葬于公。亦旌其閭。公之後遂絶。哀哉。嗚呼。壬辰之難。忠臣烈士視死如歸。可見國朝培養之厚也。若夫晉州之役。其節尤卓然。而其功有不可誣者。蓋賊以憤兵。雖快於一逞。而精甲銳卒。挫於堅城之下。故遂不能轉擣湖南。正猶唐之睢陽。□037_593a遮江淮之力也。如公則逆覩亂兆。終以身殉。一似趙文烈。何其偉哉。李相國恒福嘗論當時倡義之人曰。從容就義者。金千鎰, 梁山璹而已。若山璹則一布衣也。可死。可以無死。城陷之日。千鎰勸其出城更圖。山璹奮曰。義不可獨生。先投江以死。非素操之確。能如是乎。斯可謂知公也。銘曰。
粤歲壬辰。時維百六。炎海噴浪。長鯨厲齶。三京土崩。列閫褫魄。乘輿遠播。國步西蹙。毒丸利劒。我魚我肉。一介布衣。叫天大哭。裂裳奮梃。灑血飛檄。義聲一倡。士氣咸激。名儒尸盟。謀夫獻策。屹然南037_593b方。有民有國。方岳失律。投戈河曲。賊勢跳梁。人心蕩柝。有誰奔問。手扶國脈。眄彼江都。橫遮水陸。孤軍擊楫。滄海一踔。右控湖甸。左連關朔。蠟紙在懷。宵征晝伏。衛士飛奏。行殿曉闢。嗟我南土。聲息杳邈。豹虎滿野。尙保疆域。一隅錦城。有臣山璹。不聞其名。今繭其足。義旅蜂起。祖宗遺澤。授官錫藥。勉爾興復。倡義招討。金高是勗。拜辭還鎭。陳兵宣讀。三軍揮血。誓心殫力。天兵東下。千里捲席。殘甲南遁。困獸思毒。嶪嶪晉陽。湖嶺之脊。昔彼將噬。如喉有腊。其衆六萬。剗山夷壑。賀蘭坐視。睢陽其037_593c亟。壯士力盡。兇鋒肉薄。胡天霪雨。孤堞中坼。前臨大江。有樓矗石。男兒死耳。我所爰得。西望報君。奮身先擲。羣忠駢命。天日變色。闔門塡海。抗義弗辱。比古顔卞。千載幷焯。公骨浮水。蛟龍不食。公衣埋地。光氣上燭。名兮不滅。何石之斸。雙祠幷峙。鎭我南服。
純廟丙子。繡衣趙公萬永題道內儒狀曰。梁氏之門。忠賢世濟。雲仍著孝。所以爲湖南望族。豈勝欽嘆。白馬之禍。龍蛇之亂。涒灘之變。皆有如彼卓然。百世風聲。尙今不泯。則節惠之典。豈容多言。原本037_593d謄去。當商量向事。
同年六月日。繡衣臣趙萬永啓曰。道內節義孝烈彰著者。不止一二。而只以世所彰著。公論久菀者登聞是白臥乎所。倭寇時殉節湖南爲最。而若羅州贈承旨臣梁山璹。卽世所稱三壯士之一也。梁山璹受業於先正臣成渾之門。首倡義旅。躬謁行在。我
宣廟卽爲召見。特除二郞。且付敎書。歸諭湖嶺。及晉陽城陷。與金千鎰, 高從厚北向再拜。赴南江而死。故相臣李恒福亦稱其從容就義。不失所操。037_594a惟金千鎰, 梁山璹二人。其後腏享于晉州羅州等邑是白乎所。當時節死之人。擧皆易名是白如乎。山璹之精忠大節。合蒙一體之典。
批曰。令廟堂稟處事。
籌司回啓曰。其一羅州人贈承旨梁山璹易名及長興故學生鄭光露褒異事也。兩人之一忠一孝。俱合崇奬。並令該曹稟處何如。
傳曰允。
禮曹判書臣趙德潤啓曰。梁山璹以賢師之高弟。臨亂倡義。竟以身殉。危忠姱節。至今炳烺。朝037_594b家崇報。宜無餘憾。至於易名之典。同時死事諸臣。俱以蒙恩。共合一時之政。而時贈爵秩。未準諡法。揆以格例。不可遽議。正二品加贈一款。令吏曹稟處何如。
傳曰允。
贈資憲大夫。吏曹判書兼知義禁府事五衛都摠府都摠管。己卯五月一十九日


국조보감 제49권
 숙종조 9
18년(임신, 1692)

 


○ 1월. 상이 특별히 백관의 기거반(起居班)에 비망기로 이르기를,
“북쪽 땅에는 음기(陰氣)가 다하고 동쪽 교외에는 봄을 맞이하여 천지 어디나 다 화기가 넘쳐 삼라 만상이 소생하게 되었다. 하늘의 지극한 인(仁)을 체득하여 한 시대의 모든 정사를 새롭게 하기 위하여 지성으로 쉼없이 강건하게 일할 중요한 시기가 바로 지금이다. 아, 여러 대소 신료들은 나의 이 유시를 새겨듣고 옛날의 나쁜 습성을 말끔히 없애고 해와 더불어 새롭게 되라. 이것이 내가 너희들에게 소망하는 바이다. 그리고 덕을 펴고 명을 내려 농사를 독려하는 것이 왕도 정치에서 급선무로 여기는 일이니, 마땅히 모든 도의 방백으로 하여금 각 고을에 신칙하여 백성들의 고통을 널리 채집하여 조목별로 보고하게 하라. 또 맡은 도를 잘 다스리고 경술(經術)을 자세히 밝히며, 다 스스로 농사에 힘을 기울이고 각기 사람이 해야 할 일에 최선을 다하여, 조정에서 백성들을 염려하고 근본을 힘쓰는 뜻을 보여 주도록 하라.”
하였다.
○ 부제학 권해(權瑎)가 청대하여 입시하였다. 상에게 아뢰기를,
“외국의 진귀한 물건은 본래 임금이 가지고서 감상할 것이 아닙니다. 항간에 ‘은서피(銀鼠皮)로 갖옷을 지었다.’는 소문이 있으니, 신은 나름대로 통탄하는 바입니다. 옛날에 진 무제(晉武帝)와 당 현종(唐玄宗)은 평범한 임금에 불과했으나 치두구(雉頭裘)와 금수장(錦繡帳)을 불살라 사관이 찬미하였는데, 지금에 밝고 성스러운 전하께서 어찌 저 두 임금이 한 것보다 못하실 리가 있겠습니까.”
하니, 상이 가상히 여겨 받아들였다. 이에 즉시 은서구 2장을 정원에 내려 불사르게 하였다. 인하여 비망기를 내리기를,
“대저 오(獒)라는 개는 일개 짐승에 불과한데, 옛날 주 나라 때에 서려(西旅)가 공물로 바치자 군석(君奭)이 글을 지어 지성스럽게 무왕(武王)을 경계하였다. 그 이유가 무엇이었겠는가. 이상한 물건을 애완하다가 바른 뜻을 잃어 마침내 제왕의 큰 덕에 누를 끼칠까 두려워 한 것이다. 오늘 경연 중에 부제학 권해가 이상한 물건을 물리치고 검소한 덕을 밝히라는 뜻으로 누누이 진달하였는데, 그 말뜻이 격앙되고 간절하였다. 지성스러운 충성과 사랑이 고금에 다름이 없기에, 내가 이미 그 성의를 가납하고 그 말을 옳게 여겼다. 따라서 즉시 지은 갖옷과 아직 만들지 않은 가죽을 모두 본원에 내려 상의원으로 하여금 불사르게 하여, 크건 작건 간언을 다 합하여 받아들여’ 시행하는 실상을 보이도록 하라.”
하였다.
○ 하직하는 감사와 병사를 인견하여 직접 유시하여 보냈다. 이어서 입시한 승지에게 비망기를 쓰도록 하여 내리기를,
“나라의 풍속이 야박해지고 백성들의 의지가 굳지 못하여 한번 유언비어를 들으면 곧장 온 세상이 술렁거리는 데에 이른다. 서울의 사대부 중에서 유언비어에 현혹되어 가족을 데리고 향리로 내려가는 자들이 길에 연이어져 모든 촌락의 백성들까지 소요를 일으키게 하였다는데, 어리석은 촌백성들이야 깊이 죄책할 것이 못 되나, 분수와 의리를 조금 아는 사대부의 신분을 가진 자들은 응당 발벗고 나서서 그들을 깨우치고 진정시키기에 겨를이 없어야 될 터인데도, 동요해서는 안 될 말에 동요하여 먼저 제각기 자신만을 보존할 것을 생각하고 있다. 이래서야 혹시라도 외적의 침략이 있게 되면 어떻게 임금을 위하여 앞장서서 싸우기를 기대할 수 있겠는가. 한성부로 하여금 각부에 신칙하여 알 만한 사대부로서 동요하여 향리로 내려간 자들을 정밀히 조사하여 보고하게 하라.”
하였다. 뒤에 대신의 건의로 인하여, 조사하는 일을 당분간 중지시키고 더욱 경계하고 신칙하게 하였다.
○ 상이 친히 《대명집례(大明集禮)》 서문을 지어 정원에 내려 모두 책에 넣어 인쇄하게 하였다. 그 서문에 이르기를,
“대저 천하의 지극한 이치는 다 예(禮)에 표현되어 있다. 예란 사람의 일상 생활이나 모든 사물의 타당한 것으로서, 체용(體用)이 다 갖추어져 있어서 작은 일이나 큰 일이나 그것을 말미암는다. 이것이 이른바 ‘예는 하늘의 이치를 알맞게 정하여 꾸민 것이고 세상일의 법칙이니, 잠시라도 몸에서 떠나서는 안 된다.’고 하는 것이다. 내가 정사를 하는 여가에 서적을 열람하다가 《대명집례》 한 부를 찾았는데, 이는 명 나라 태조 고황제(高皇帝)가 지은 것이다. 편집한 권질이 총 40권인데, 위로 천지에 대한 제사와 종묘ㆍ사직의 예법으로부터 조회(朝會)ㆍ관례(冠禮)ㆍ혼례(婚禮)ㆍ조공(朝貢)ㆍ친정(親征)ㆍ조문(弔問)ㆍ 부의(賻儀) 등의 의례에 이르기까지 자세하게 실려 있지 않은 것이 없었고 방대한 자료가 다 망라되었다. 대저 나 소자는 예학(禮學)에 어두운 사람인데, 한번 펴 놓고 봄에 예를 훤하게 알 수가 있어 많은 도움이 되었다. 그런 다음에야 이 책이 실로 예를 전문으로 다루는 사람들의 길잡이가 되며 우리나라의 《오례의(五禮儀)》와 더불어 서로 표리가 되어 만세토록 없어지지 않을 전범임을 알게 되었다.
아, 애석하다. 궁중의 서고에 소장된 본은 탈락된 부분이 많아 완전한 권질을 이루지 못했으니, 이에 홍문관에 명하여 예부(禮部)에서 수집하여 결락된 것을 보충하게 하였다. 그리고 유신(儒臣) 이윤수(李允修)의 주청을 받아들여, 한 부를 정사하여 자상하게 교정을 가하고 이어 이남(二南 《시경》주남(周南)과 소남(召南))을 첨부하여 간행한 뒤에 신하들에게 널리 배포하여 오래 전해지도록 하여 내가 늘 오례(五禮)를 쓰는 뜻을 펴려 한다. 이것으로 만에 하나라도 정치와 교화에 보탬이 있기를 기대한다.”
하였다.
○ 3월. 고 부총관 성승(成勝)의 관직을 회복시켰다. 성승은 성삼문의 아버지인데 육신이 죽임을 당하였을 때 그도 끼여 있었다. 상이 육신의 관작을 회복시키자 홍주(洪州)의 유생들이 상소하기를,
“성승의 묘가 본 고을 노은동(魯隱洞)에 있는데, 그가 살던 집과 몇 리 안의 가까운 거리에 있고, 성삼문의 처도 그 곁에 묻혀 있습니다. 성승 부자의 가산은 다 관에 몰수되었습니다. 본도 연산현(連山縣)에 성씨들이 살고 있는데, 지금 충훈부에 소속되어 있다고 하며, 그의 노비가 일 년에 한 차례씩 초혼제를 올린다고 합니다. 육신에 대하여 이미 관작을 회복시켰으니, 성승에게도 대우가 달라서는 안 됩니다. 또 성씨들의 토지를 도로 내주어 묘소를 관리할 수 있게 하소서.”
하니, 상이 해부로 하여금 의논하여 처리하게 하였다. 이에 대하여 복주하기를,
“성씨들의 토지는 지금 내주어야 되겠습니다만, 노비는 증거할 만한 문서가 없습니다. 본부의 노비로서 연산현에 있는 자를 특별히 획급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하니, 상이 윤허하였다.
○ 5월. 가뭄이 심하여 대신을 보내 빌었으나 효과가 없었다. 이에 비망기로 이르기를,
“재차 비가 내리도록 빈 뒤에도 하늘을 보니 감감 무소식이므로 아직도 한줄기 시원한 빗줄기를 기다리고 있으며, 백성들의 농사를 생각할 때 내 몸이 아픈 듯하다. 돌아보건대 나의 성의가 천박하여 하늘의 뜻을 감동시키지 못하여 농사일이 이토록 갈급하고 민망한 지경에 이르렀으니, 직접 남쪽 교외에 나가서 희생을 대신하여 기도할 일을 잠시도 늦출 수가 없다. 이에 대하여 예관(禮官)으로 하여금 날짜를 따로 잡지 말고 거행하도록 조치하게 하고, 또 대제학으로 하여금 친제의 제문을 지어 올리게 하되 내가 자신을 죄책하는 뜻을 다 진술하게 하라. 또 유사에게 명하여 여러 관사와 시위하는 장수와 사졸들을 신칙하여 기우제의 제단에 거둥할 때에 곡식을 짓밟아서 백성을 위하여 기우제를 올리는 뜻을 손상시키지 않게 하라.”
하였다.
○ 8월. 야대하였다. 승지 심벌(沈橃)이 전라 감사로 있다가 체직되어 돌아와 연해 지역의 수해에 대하여 자세하게 진달하니, 상이 안타깝게 여겨 하교하기를,
“금년의 수해는 팔도가 다 똑같다. 경기ㆍ호서ㆍ해서 등 세 도는 이미 재해가 난 토지에 대하여 세금을 면제하였고, 또 익사한 자에 대해서는 신포를 감하게 하였다. 한편으로 생각하건대, 여러 도의 백성들 중에 혹시라도 가옥이 무너지거나 침수되고 토지가 침몰하여 맨몸으로 도망나와 가산을 탕진한 사람이 있다면, 비록 다행스럽게 죽음을 면하기는 하였지만 엎어지고 자빠지면서 떠돌아다니느라 삶을 보존할 수 없을 터이니, 그 불쌍한 형상이 죽은 자와 무엇이 다르겠는가. 제도의 도신으로 하여금 특별히 뽑아내어 보고하게 하여, 일체 부역을 견감하여 조정에서 백성을 돌보는 뜻을 보여 주도록 하라.”
하였다.
○ 9월. 상이 시 2수를 지어 직접 써서 판목에 새겨서 내리고, 이르기를,
“그 중 한 편은 관왕(關王)의 그림에 쓴 것이고, 한 편은 동관왕묘(東關王廟)에 들렀다가 느낀 바가 있어서 지은 것이다. 이것을 동관왕묘와 남관왕묘에 나누어 걸어 경모(敬慕)하는 뜻을 표하라.”
하였다. 그 시에,
내 평소 수정공을 사모하니 / 生平我愛壽亭公
절의와 정충이 만고에 우뚝하네 / 節義精忠萬古崇
광복에 노심 초사하다 몸이 먼저 떠났기에 / 志勞匡復身先逝
천년을 두고 열사들 가슴에 눈물 고이네 / 烈士千秋涕滿胸

동쪽 교외 일이 있어 옛 사당을 지나치게 되어 / 有事東郊歷古廟
들어가 유상 보니 정신이 숙연해지네 / 入瞻遺像肅然淸
오늘에 공경하는 마음 더욱 절실한데 / 今辰致敬思逾切
부디 우리나라 만세토록 편안하게 하소서/ 願佑吾東萬世寧
하였다.
○ 10월. 상이 후원에 심었던 종려나무를 뽑아서 민가의 본주인에게 돌려주라고 명하였다. 상이 일찍이 종려나무를 구하였는데, 전 안악군수(安岳郡守) 홍만회(洪萬恢)의 집에 있다는 소문을 듣고 액정서의 하례를 시켜 구해 오게 하였다. 이는 홍만회가 바로 영안위(永安尉) 홍주원(洪柱元)의 둘째 아들로서 외척이 되기 때문이었다. 이에 홍만회가 뜰에 내려와 엎드려 말하기를,
“이마에서 발끝까지 국가의 은덕을 입은 처지에 머리털과 피부라 할지라도 감히 아끼지 못할 터인데 하물며 꽃나무이겠습니까. 다만 나라의 외척이라고는 해도 소원한 외방의 신하이기에 꽃나무를 드리는 것은 죄스러워 감히 하지 못하겠습니다. 신의 집에도 또한 그대로 둘 수 없습니다.”
하고는 즉시 뽑아 버렸다. 액정서의 하례가 그 상황을 아뢰니, 상이 훌륭하다고 칭찬하고, 드디어 이와 같은 명을 내렸다.
○ 11월. 상이 경기ㆍ호서ㆍ해서가 재해를 입은 것이 특히 심하다고 하여 특별히 비망기를 내려 세 도의 감사에게 유시하기를,
“임금은 백성이 없으면 부릴 사람도 없고 백성은 임금이 없으면 섬길 대상이 없으니, 사랑하고 돌봐야 할 것은 백성이 아니겠는가. 내가 덕이 부족한 사람으로서 백성의 부모가 되어서 감히 잠시도 편안하게 있을 수 없었으니, 한 사람이 굶주려도 마치 내가 굶주린 것처럼 여겼고 한 사람이 추위에 떨어도 마치 내가 추운 것처럼 여겨 왔다. 조정의 신하들과 함께 넓은 궁중에서 도모하는 것은 첫째도 백성의 일이고 둘째도 백성의 일이었는데도, 혜택이 고루 다 미치지 못하여 곤궁이 날로 심해지고 있으니 그 까닭이 어디에 있겠는가. 이는 바로 성실한 마음으로 성실한 정사를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정사와 명령이 이와 같으니, 우리 백성을 통하여 듣는 하늘이 어찌 버럭 진노하여 기근을 내리지 않겠는가. 올해는 재해가 특히 심하여 홍수와 가뭄, 바람과 서리가 농사를 다 망쳐 버려 겨울이 다 가기도 전에 집안에는 먹을 것이 바닥나 버렸다. 이에 늙은이는 부축하고 어린이는 이끌고서 사방으로 유랑의 길을 떠나서 촌락은 거의 비어 풍경이 쓸쓸하게 되었으며, 내년 봄에는 굶주려 길바닥에 쓰러져 죽게 될 상황이라는 것을 말하지 않아도 상상할 수 있다.
아, 《서경》에서도 ‘폭우나 혹한에도 백성들은 오직 윗사람을 원망한다.’고 말하지 않았던가. 그 고생을 생각하고 그들의 삶을 도모해야 할 책임은 오로지 내 한 몸에 있는데, 내가 임금답지 못하여 우리 죄 없는 백성들로 하여금 대신 이 혹독한 재앙을 받게 하였다. 여기에 말이 미치니 나도 모르게 목이 메인다. 모든 부역을 견감하고 구제하는 정사로서 이미 거행한 것이나 현재 강구하고 있는 것을 막론하고 다 최선을 다하도록 하라.
아, 너희 방백들은 나의 지극한 뜻을 새겨듣고 열읍에 신신당부하여 백성들을 위로하고 오게 하며 어루만지는 일을 급선무로 삼도록 하라. 참으로 백성들을 구제하는 일에 관련된 것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꺼리지 말고 낱낱이 아뢰라. 또 앞으로 식량을 배급할 때에, 반드시 수령들로 하여금 자신의 가정을 다스리는 것과 같이 하여, 감색(監色)에게 맡기지 말고 직접 담당하며 지성으로 구제하여 백성들이 영양 실조에 걸리지 않게 하도록 신칙하라. 이것이 내가 밤낮으로 바라는 바이다. 부디 나의 이런 뜻을 잘 알아 착실히 받들어 거행하라.”
하였다.
○ 밤에 바람과 눈이 심하였다. 상이 하교하기를,
“따뚯한 방안에서 이불을 덮고 있어도 추위를 느끼는데, 빈궁하고 잔약한 군졸들이 어떻게 견디는지 염려스럽다. 대궐 안에 입직한 사졸들에게는 대내에서 술과 음식을 내려 주고, 궁성 밖을 수비하는 군졸들에게는 내자시에서 술을 주고 사재감에서 안주를 주어, 내가 걱정하는 뜻을 보이도록 하라.”
하였다.
○ 12월. 상이 특별히 분부를 내려 팔도의 감사들에게 유시하기를,
“중하기로는 사람의 목숨보다 더 중한 것이 없으니, 죽음이란 한번 집행하면 다시 살릴 수 없기에, 우레와 같은 위엄과 생사를 좌우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임금도 사람에게 사소한 벌을 내리거나 극형에 처할 때에는 감히 자신의 사사로운 기쁨과 노여움에 따르지 않고 살리고 죽이는 것을 모두 공의(公議)에 맡겨 놓는 것이다.
지금 사람을 죽였거나 인장(印章)을 위조한 범죄는 반드시 사형에 처하고 용서하기 어려운 죄악이지만, 그래도 대신들을 모아 놓고 두세 번 상세히 심리하고 법률을 적용하여 죄를 가늠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살려 주려고 해도 반드시 죽여야 될 것으로서 정황이나 죄의 정도가 모두 용서할 수 없고 여러 대부들이 모두 죽여야 한다고 한 뒤에야 죽였다. 이것이 어찌 사람의 목숨이 지극히 중하여 이와 같이 하지 않으면 혹시라도 원통함을 안고 억울하게 죽는 자가 나와 천지의 화기를 손상시킬까 염려되기 때문이 아니겠는가. 이것을 가지고 본다면, 국가가 사람의 목숨을 중하게 여기는 것이 어느 정도라 하겠는가. 그런데 어찌하여 크고 작은 고을의 관리들이 법을 신중하게 집행하고 죄인을 불쌍히 여기는 도리를 전혀 생각하지 않고 형벌의 판결을 법에 따라 하지 않은 경우가 많단 말인가. 실제로 혹은 사소한 혐의로 인하거나 혹은 일시의 분노에 의하여 특별히 큰 곤장으로 마음대로 쳐서 죽여 인명을 지푸라기만도 못하게 여기는 경우가 있으니, 한심한 일로서 무엇이 이보다 더 심하겠는가.
어제 세초(歲抄)를 보았는데, 여러 도의 수령으로서 이 점을 범하여 견책을 받은 자가 비일 비재하였다. 따라서 이런 자들은 일체 관직에 복귀시키지 말도록 하여 징계할 바를 알게 하라. 그리고 별도로 신칙하는 조치도 없을 수 없겠다.
아, 너희 방백들은 반드시 이러한 뜻으로 모든 고을에 효유하여 제각기 두려운 마음을 가지고 지난날의 잘못된 습성을 혁신할 것을 기약하게 하라. 백성들을 직접 다스리는 지방관으로서 이 하교를 새겨듣지 않고 전과 다름없이 법을 어기고 지나친 형벌을 가하면, 적발되는 즉시 엄중한 법으로 처벌하고 절대로 용서하지 않을 것이다. 이런 일을 경들은 착실히 거행하라.”
하였다.
○ 상이 호남에서 일어난 살인 옥사에 대하여 심문한 것이 매우 엉성한 것을 살펴보고서, 하교하기를,
“살인 옥사에 있어서 복검(覆檢 살인 사건에서 두번째로 시체를 검안하는 일)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다. 한 번이라도 분명하지 않게 하면 그 결과로 생사가 결판나니 자상하고 신중하게 처리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간혹 외방의 수령이 직접 심문하는 것을 기피하여 하리들에게 맡겨두는 경우가 있는데, 연줄을 인하여 농간을 부리고 마음대로 죄를 증감하여 옥사가 이리저리 옮겨지면서 수십 년이 되도록 판결이 나지 않아 옥중에서 말라 죽는 지경에 이르니, 이것이 바로 원망과 억울함이 생기는 이유이다. 내가 이에 대하여 심히 측은하게 여기니, 해조로 하여금 여러 도에 지시하여 이제부터는 해당 지방관이 직접 복검하기를 한결같이 《무원록(無冤錄)》에 따라 하여 혹시라도 분명하게 다 밝히지 못하는 문제가 생기지 않게 하라.”
하였다.


숙종 27년 신사(1701,강희 40)
 10월19일 (임신)
정명 공주의 아들 무주 부사 홍만회 등이 최석정의 상소가 부당함을 상소하다

무주 부사(茂朱府使) 홍만회(洪萬恢) 등이 지난날 대신의 차자(箚子) 중에 ‘공주(公主)의 천속(天屬)들이 비록 높지만, 그들이 관련된 바가 곧 상궁(上躬)을 저주한 데에 있었으나 성조(聖祖)의 처리 또한 끝내 끝까지 그 일을 파헤치지 않았다.’는 등의 말 때문에 원통함을 하소연하며 진소(陳訴)하니, 임금이 말하기를,
“최석정(崔錫鼎)의 차자 중에 인용한 기묘년의 사건은 크게 사실과 다른 것을 내가 이미 잘 알고 있다.”
하였다. 홍만회는 정명 공주(貞明公主)의 아들이다.
【원전】 39 집 632 면
【분류】 *왕실-종친(宗親) / *정론-정론(政論) / *정론-간쟁(諫諍) / *사법-행형(行刑)


[주D-001]기묘년 : 1639년 이조 17년.

 

숙종 31년 을유(1705,강희 44)
 2월12일 (병자)
영순군 이유·회원군 이윤 등이 존호를 올리도록 청하다

영순군(靈順君) 이유(李浟)가 상소하여 존호(尊號)를 올리도록 청하고, 또 회원군(檜原君) 이윤(李倫)과 부사(府使) 홍만회(洪萬恢), 진사(進士) 조태개(趙泰開)의 처(妻)가 기은(祈恩)하도록 청하였는데, 대체로 모두가 친왕손(親王孫)이기 때문이었다. 답하기를,
“윗 조목의 진청(陳請)은 결코 윤허하여 따르기 어려우나 나머지 다른 일은 해조(該曹)로 하여금 품지(稟旨)하여 처리하도록 하라.”
하였다.
【원전】 40 집 138 면
【분류】 *정론-정론(政論) / *왕실-종친(宗親) / *왕실-국왕(國王) / *왕실-의식(儀式)


[주D-001]기은(祈恩) : 조선조 때 창덕궁(昌德宮) 안의 선원전(璿源殿)에서 의장(儀仗)을 엄하게 하고 무당 광대를 불러 악기(樂器)를 갖추어 울리며 왕가(王家)의 무궁한 복을 비는 행사.

 

 

 

 

 

 

 

 

 

 

 

 

 

 

 

 

 

 

 

 

 

 

 

 

 

 

 

 

 

 

 

 

 

 

 

東溪集卷之十
 行狀
奮忠贊謨靖社竭忠効誠炳幾寧社功臣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兼領經筵弘文館藝文館春秋館觀象監事世子師益寧府院君鶴谷洪公行狀 b_051_269b


 

051_269c本貫南陽人。
曾祖考諱係貞藝文館待敎。贈吏曹判書。
祖考諱春卿守黃海道觀察使。贈領議政。
考諱天民承政院都承旨。贈領議政。
妣貞敬夫人興陽柳氏。
公諱瑞鳳字輝世。號鶴谷姓洪氏。南陽之洪。爲海東大姓。其先盖中國人。唐末黃巢之亂。浮海而東。家于南陽。仍爲籍焉。有諱悅翊戴高麗太祖。封匡翼效節051_269d獻襄定難弘濟奮庸亮采保乂經濟功臣。位三重大匡太師。公其二十一代孫也。有諱灌官司空尙書。殉節於李資謙之亂。事具麗史節義傳。贈推誠報國功臣同平章事判禮部上柱國謚忠平。公之十六代祖也。有諱奎高麗元宗時。以御史中丞。擒賊臣林惟茂。忠宣王時策功臣。圖形壁上。封南陽府院君謚匡定。公之十一代祖也。自太師公以後。世著名德。勳閥奕舃。與麗朝相終始。入我朝。有諱敬孫能文章。與李樗軒石亨。同撰大學衍義補以進。成廟褒嘉之。官至守成均館事。公之五代祖也。生諱閏德。官奉常051_270a寺副正。贈吏曹參議。曾祖待敎公字叔幹。早世未究厥用。祖考觀察公字明仲號石壁。登重試壯元。文章筆㳒皆名世。考都承旨公字達可。有厚德。再娶濟用監主簿柳樘之女。柳亦海東名族。高麗侍中濯之後也。柳夫人鑒識淵深。有文章。能博通古書。而雖一家子弟間。未甞以筆札見焉。公以隆慶壬申十二月二十一日亥時生。是秊春。有卜者韓億齡占之得彩鳳飛雲之兆。賀曰來月必得濟世奇男。旣而娠公。及彌月不解。又占之曰天降貴人。必擇吉辰。翌日亥時最吉。及期公果生焉。公之錫名。盖取其占辭云。公生051_270b而明秀。岐嶷異凡。甫三歲。承旨公捐舘。公匍匐於承旨公平日坐卧處。遍尋之。家人指木主曰此乃而爺也。自是公見神主輒號哭。見者皆嗟異之。六歲就學外師。自知屬文。往往有驚人語。季父益城君聖民試呼猫字。使之作句。公應聲曰猫鳴驚千鼠。益城大奇之曰。此兒非徒能文章。小人必畏之矣。一日與隣兒同詣師家。逢猘犬噬。衣盡破。公從容還家。易衣而往受業如常。師已聞知。問曰犬咬汝乎。對曰衣破而身無傷也。汝何自若而不言也。對曰衣破非關於受業。是以不達也。聞者咸歎異其器度。乙酉春。讀書於江051_270c上。松江鄭公澈歸湖南。路過公所。問姓名曰。若乃吾故人兒也。盍以一言贐我。公卽席製詩十五韻。意皆箴諷。松江大加稱賞。戊子。委禽於獨石黃公之門。獨石乃長溪府院君芝川公之胤子也。芝川見公著述。歎曰秊雖少有異才。我不如也。庚寅中司馬試。壬辰倭寇至。公奉柳夫人。避于關東。先是公知亂將作。與親知經營避地計。時方昇平。人多笑之。及是倉卒。無不顚頓者。長溪公父子陪兩王子。向北關。遇公於鐵原。給馬要與同北入。公辭不行。人頗訝焉。及長溪公遭難於北路。一行無得免者。衆皆服其先見焉。甲051_270d午登文科別試。入承文院。自正字例陞著作博士。兼奉常寺直長。丁酉受由省覲於平壤。時柳夫人避兵於關西。未及奉還故也。俄而倭寇再至。朝廷論罪朝士之聞亂逃避者。吏曹判書許筬素不悅公。遂以公名混抄其中。至榜示朝堂。人皆駭憤。己亥復拜承文博士。陞成均館典籍。移刑禮兩曹佐郞。皆以病免。庚子拜司諫院正言。裭拜弘文館修撰。移吏曹佐郞。兼侍講院司書。選知製敎。辛丑詔使顧天峻出來。月沙李公廷龜爲儐使。極選僚佐。朴南郭東說,李東岳安訥及公爲從事官。車五山天輅,金南窓玄成爲051_271a著述官。權石洲鞸又以白衣從行。文章之盛。一時艶稱。酬唱詩文。刊行於世。壬寅一番人用事。鄭仁弘爲都憲。公爲其所駁罷。癸卯拜禮曹正郞。轉成均館司藝。差京畿左道量田御史。時兵荒之餘。經界皆亂。案帳無存。公隨地均賦。輕重不失。畿民賴之。甲辰出牧星州。丙午罷還。丁未復拜司藝。戊申拜弘文館校理。宣廟昇遐。差國葬祔廟都廳。又兼延接都廳。遞校理。拜成均館司成。移弘文館應敎。賜暇湖堂。裭應敎。拜護軍。中重試甲科。陞堂上。自石壁公至公三世。皆被選湖堂。中重試。世罕有也。己酉以都司迎慰051_271b使。往龍灣還。拜江原道觀察使。公在星州。治頗尙嚴。及莅東關。見民事凋殘。未甞輒事榎楚。每行部時。屛去導從。跨馬垂鞭而過。遇之者不知其爲方伯也。嚴明黜陟。蠲减賦徭。一方之內。惠化大行。解歸之後。吏民月送節産。終公世不止。許筠之亂。傳聞公將避地於東。備馬聚糧。掃廬舍。以待於境。其遺愛如此。庚戌拜承政院同副承旨。又兼承文院副提調。裭拜禮曹參議。以聖節使赴燕京。還至長上。遇建州夷入貢者。先是夷人遇我使行。輒肆劫掠。故一行皆駭散。至是夷人駐馬呼譯。只問燕中蔘價而去。行中皆來賀。051_271c公愀然歎曰。夷虜劫掠。乃其素性。今者鈐束如此。可見其㳒令之能行。此天下之憂也。爾輩乃以得免劫掠爲幸耶。壬子又拜同副承旨。光海引見平安兵使李守一。公適入侍。陳建夷可憂狀。仍言中朝城制甚悉。光海謂守一曰。承旨所見是矣。備豫之策。卿其盡心。城池䂓畫。亦宜一如承旨之言。守一赴任。改築寧邊城。而盖亦倣公所言云。是秊春誣獄起。獨石黃公罹。公上䟽乞免。光海特罷之。自是公絶意世事。杜門屛居。惟以詩酒自娛。家雖屢空而晏如也。公之外黨羣從。方乘時用事。列於權要。每勸隨世低昂。以利051_271d害鉥之。公答曰欲令我爲白首賊耶。聞者縮頸。甞過相知家飮酒。朴鼎吉適來到。公聞其來。卽陽醉倒睡。鼎吉素慕公名。爲之喚醒。公惡之起。吐於其面。鼎吉慚怒而去。公引滿哦詩。不以屑意。李爾瞻,許筠輩。欲盡芟一時名流。百計搆陷。又投書西宮。公與北渚金公瑬,淸陰金公尙憲之名。皆在其書中。人莫不危凜。而顧公名德自持。無釁可摘。卒不能加害焉。公屛廢旣久。而聲望素重。每當有事時。輒有起用之議。毛文龍始至也。難其儐接。備局請以公差送。啓艸旣具。爲忌疾者所沮。後又以詔使將至。欲藉公華國。請起廢051_272a用之。仍並擧一時坐廢諸公。因此多被甄收。而獨公及北渚金公,淸陰金公,愚伏鄭公經世。竟寢不下。盖惡其守正不撓也。時彜倫旣斁。昏亂日甚。先朝舊臣。皆逬散在外。公日夜憂憤。甞以一絶寄象村申公欽。有夢唱定風波之句。意有所在。而申公不答。公與北渚金公素相善。至是遂與密謀匡濟。因申公景禛,具公宏諸人。聞仁祖大王有君人之度。乃定推戴之議。糾合義旅。大會於弘濟院。奉仁廟王位。寔天啓癸亥三月十三日也。卽拜公兵曹參議。旋移吏曹。是秊夏。因外舅獄。力辭得遞。俄拜司諫院大司諫。裭051_272b拜右副承旨。又兼承文院副提調。秋論定靖社功。盖撥反之際。公之勳勞實多。有因公家得聞密議。誤以宣露者。非公過也。然而坐此爲三等勳。物情稱屈。賜奮忠贊謨靖社功臣之號。進資封益寧君。陞左副承旨。公之在右副。例兼刑房。時大獄連起。公隨事敷奏。平反甚多。上甚任之。自是在銀㙜凡二秊。終不換房。甲子正月。李适反。臨津守兵潰。上倉卒南幸。命公扈衛慈殿。仍以標信二度付之曰。臨急以此便宜從事。公受命而出。馳至崇禮門。夜已深矣。守門將士皆散去。城門閉。大駕且至。前隊阻051_272c不得出。人馬騈闐。公令從人持大石至。欲撞門鎖。有一宰臣止之曰。人臣何敢撞國門乎。鑰匙在兵曹。可急取來也。公回指大內火灮曰。都民已亂。宮闕被燒。兵曹可得至乎。事急如此。而乃欲膠守常䂓乎。事定之後。撞破城門之罪。吾自當之。遂促令破碎。門旣開。軍馬如水决而出。公先至漢江。民皆逃散。持船者皆中江下碇。呼之不應。有武人禹尙中者從公行。公素知其多力善水。使往取其船。尙中卽游至中流。攀舷入。擊仆船人。船中皆慴伏。遂喝令刺船。得五六艘以來。乃得利涉。時夜尙未晨。燈火明滅。將士與從官051_272d相紛挐。將欲潰散。公謂大將申景禛曰。至尊尙未登舟。而擾亂如此。賊若猝逼則不可爲也。公宜急收軍。陳於高阜。建旗皷明燈燭。賊雖來。見我有備。必不敢輕犯矣。申公乃娖隊整伍。結陣於左右山上。懸燈擊柝。衆心始定。是日微公。事幾殆。時慈駕尙未至江上。人情憂疑。公慨然謂從者曰。慈駕不至。乃我之罪。吾當先投江水。以謝不忠之罪。終乃至誠導扈。以達行在。及賊平返蹕。以勞加嘉義階。陞右承旨。裭拜兵曹參判。兼同知經筵成均館事世子右副賓客。又兼籌司堂上。俄拜弘文館副提學。移都承051_273a旨。丙寅詔使姜曰廣出來。又以副學差鐵山迎慰使。丁卯春。邊警遽至。上出幸江都。公以都承旨扈從。上䟽請邀擊於平瑞之間。報聞。秋復拜副提學,大司諫,成均館大司成,吏曹參判。戊辰正月。柳孝立等謀逆。分遣其黨。變服載兵器入城。刻日犯闕。許聞其謀。前一日走報於公。公急通于廟堂。設機擒捕。諸賊皆伏誅。策勳二等。賜號爲竭忠効誠炳幾寧社功臣。超正憲階。拜漢城府判尹。兼知義禁府事。俄拜司憲府大司憲。時罪謫者多在北邊。公以疆域未寧。慮有他虞。啓請移之內地。未幾梁景鴻,韓玉等051_273b潛通虜中。事覺伏㳒。人皆服公遠識。移拜禮曹判書。己巳裭拜議政府右參贊。兼弘文館提學。復拜禮判。兼知經筵。自是累拜大憲禮判。庚午冬。拜吏曹判書。辛未慈殿違豫。旣而平復。以侍藥勞陞崇政階。時上欲追崇章陵。廷臣爭之未已。延平府院君李公貴素主追崇之議。而傅會者皆見斥於淸論。以此發怒於銓地。遂於榻前斥公曰。如此之時。洪某豈可爲銓長耶。仍醜言詆公。至以生者爲死。政目無名而謂之注擬。其虛妄如此。大臣陳其誣狀。上旣已燭其寃。因公辭䟽。累下溫旨。公連章力辭。而䟽中051_273c有朴彭秊忠臣之語。上怒命推考。因此遞軄。癸酉復拜左參贊。移禮判。甲戌拜兵曹判書。又兼藝文館提學。以文衡坐次有妨。辭遞提學。詔使盧惟寧出來。公爲館伴。乙亥。元宗大王祔廟禮成。公以都監堂上。陞崇祿。復除禮判。兼拜兩館大提學。又兼判義禁府事。是歲七月。京城大風。折拔太廟內巨木七十餘株。公於筵中進言曰。變不虛生。必有其應。而風動物也。多係兵象。其應尤捷。宋將劉錡遇暴風曰。此乃虜至之應也。整軍以待。得大捷。風之應於兵尙矣。辛卯秊間。京都亦有風變。迎恩門鐵鎖至於中折。而051_273d翌秊倭寇大至。今虜釁如此。風灾甚於辛卯。臣竊畏之。不可無先事之戒。其說反復不已。而卒不得有所施行。丙子擢拜議政府右議政。仍兼仁烈王后山陵捴護使。俄陞左議政。夏司諫趙絅上章誣公以受人賂馬。其說無根。上疑之。令政院詰問其言誰所受。絅不肯首。因亂擧他事詆公益甚。皆捃摭無其實。上愈疑之。欲下絅吏。詢于諸大臣。北渚金公及仙源金公尙容以謂㙜諫雖重。不過與宰相等耳。今絅所陳大臣事非細故。不可不究覈處之。於是上遂下吏問之。時公因絅言。出在江上。陳章待罪。聞絅之051_274a就獄。上䟽言絅之不爲的指言根。亦守自己體面。國家二百秊待㙜諫之道。緣臣取謗而壞了。後雖有可言之事。言官以敢言爲戒。緘口而已。則非國家之福也。言者亦多以拿問㙜官爲未安。事得已。盖絅之爲銓郞。公有所不韙者。及其薦中書。公又顯言斥之。絅聞而㘅之。乃誣公如此。淸陰金公時爲吏判。上䟽陳卞。仍極言人心世道之不可爲。遂棄官歸田。公前後辭䟽十餘上。呈單至四十度。始許遞免。是秊冬十二月。淸兵大至。上將出幸。復拜公左議政。公扈駕入南漢山城。翌日有移蹕江都之議。上命051_274b公留守本城。大駕已出而不果行。旣而長圍合。上命公往其陣議和。公聞命卽出。親朋送之者皆瀉淚。公則怡然不變也。自此淸人數至城下。求見城中人。上輒命公出應之。公隨事爭辨。淸人無以絀也。前後往返凡十二。氷雪塞路。山坂峻滑。公徒步上下。足指皆凍。觀者無不愍然。丁丑隨駕還都。俄遭內艱。戊寅倭書來。多有探試之語。朝議難於爲答。時當大亂之餘。人情洶洶。公自以義同休戚。不可以身在憂服之故。有所恝然。遂上䟽備陳接應之道。上優批答之。己卯服闋。拜領議政。庚辰冬。淸人疑我國051_274c潛通上國。責致首相,吏判,都承旨於灣上。先數日。日官言台星西流。台位當有行役。已而公果西行。旣至拘留數月。窘辱備至。公無所撓屈。淸將嘆服。乃慇懃告別而去。辛巳春。以風疾乞免。不許。壬午又固辭遞。爲益寧府院君。甲申。復拜領相。未幾以坐次降左相。乙酉。因風變上䟽。極陳弭灾之道。時元孫冲弱。儲位久虛。上以孝宗大王有聖德。欲冊立爲世子。詢于羣臣。首相北渚金公旣知上意所在。對無異。公進曰。聖意以宗社爲重。有此非常之問。而刱業之後。世守宗統。是乃經常之道。小臣不知所達。於051_274d是判府事沈公悅,贊成李德泂皆言公言是。判府事李公敬輿曰。左相之言。萬世之經常也。上竟從首相議。是歲火入東井。日官言大臣戹。七月。公患脚疾。日益危苦。上遣右承旨金尙問疾。命內毉不離看病。疾革而精神不亂。侍者有問之者。公曰自腰以下已化矣。俄而恬然而逝。八月初八日也。享秊七十四。訃聞。上震悼輟朝三日。遣都承旨金灮煜。賜吊問孤。例賻之外。又加賜賵贈。十月。官庀襄事。葬于積城治南先塋側坐壬之原。從治命也。公狀貌不踰中人。而英彩動人。姿性簡重而識量深遠。見之者051_275a輒知其爲大人國器也。燕居必整冠帶端坐。未甞設惰容。至老猶然。待人言笑樂易。和氣藹如也。誠孝出天。侍柳夫人。承事無違。丁憂。秊垂七十矣。哀毁踰制。三秊之內。饋奠必親。哭泣必氣盡後已。人有愍其老。勸以自抑者。公曰。吾三歲失怙。未行喪制。至痛在心。今慈母見背。豈忍以秊老而不自盡乎。早孤事季父益城公盡誠。未甞離側。益城公提誨甚至。每歎曰。吾兄仁德。未享遐福。吾常痛焉。興吾宗者。其在此兒乎。敦睦親黨。不間於戚踈。振拔賙救。一出於至誠。有庶族孑孑失所者。收而衣食之。四十秊如一日。及其死。051_275b爲之殮葬。朋友之際。不以死生衰盛而易其心。有遭患難者。撫其家屬。曲盡恩義。少簡亢。見人有涉於非義者。若將凂焉。在朝或遭橫逆。則初不芥滯於胷中。延陽府院君李公時白兄弟。以延平之故。頗有自阻意。公待之坦然。每稱延陽公忠厚有才。薦爲守禦使。其後兩公皆有憂疑事。人多慮其將不振。公極意救解。事竟得已。洪都憲茂績甞以事侵公。公則夷然戒子弟曰。㙜諫之言雖過當。不宜細較。爾輩愼勿置懷也。洪公語人曰。此爺度量。人不可及也。憂國如家。聞有事變。不以在戚置散而有間。輒上章陳列。罄其051_275c意見。再策勳盟。恩賜之外。更無一畒之斥。位旣崇高而衣服不用華美。柳夫人甞謂公曰。汝秊位已高。雖服錦段。非不衷也。對曰。不肖早失所怙。得以成立。亦已幸矣。素無才德。濫躋至比。每思之惕然。不敢以錦段近身也。文章早成。奇健深奧。尤長於詩。出韓入杜。自成一家。李東岳詩名振一世。見公詩。輒彈指曰骨子骨子。甞贈公詩。有昌黎文後益寧詩芝川簡易公能鼎立之語。盖心服也。所著述皆逸於兵燹。胤子觀察公蒐輯散亡。有鶴谷集若干卷刊行於世。公當宣廟朝。早蜚英館閣。旋値光海昏亂。坐蟄累秊。及051_275d其遇會風雲。終至位極人臣。艱危之際。勤勞弘多。顧以奉承於板蕩之時。偃屈於百六之運。嘉謨英猷。竟不得大有展布。可勝痛哉。夫人長水黃氏封貞敬夫人。國初名相翼成公喜之後。考承旨諱赫。卽獨石公。祖考府院君諱廷彧。卽芝川公。妣坡平尹氏佐郞諱儼之女。以隆慶癸酉。後公一秊生。以甲申十月。先公一秊沒。葬與公同塋異室。天姿柔淑。奉君子無違行。姑柳夫人性嚴。事之敬愼怡愉。未甞有忤。丁丑之亂。避兵于江華。舟膠淺沙。見虜兵至。以刀自刺。仆於船中。虜去後。侍者救之廑甦。時公之子婦李氏,外孫婦051_276a羅氏同在船。見夫人自刺。皆赴海。公之兩孫子儀,子同秊皆髫齔。亦相隨溺死。虜兵驚愕而去。嗚呼。於此亦可見公之家㳒矣。擧一女一男。女適大司憲朴潢。卽泰淳先祖考也。有四男。先君諱世相最長郡守。曰世柱令。曰世桓。曰世楠。先君亦四男一女。曰泰辰參奉。曰泰春。曰泰淳文科大司成。曰泰珍。女適進士韓配義。世柱無子。以泰春爲後。世桓有二男。曰泰延縣監。曰泰進。世楠有一男一女。男泰遜文科吏曹參議。女適大司諫金昌集。男曰命一登文科。官至觀察使。初娶完山李氏。殉節於江華。擧一女。適進士趙相鼎。051_276b再娶綾城具氏。擧一女二男。女適正洪萬恢。男曰處宇縣令。曰處宙參奉。趙相鼎有二男二女。男曰仁壽都事。曰大壽文科應敎。女適僉正李成朝。次適僉正沈廷協。洪萬恢有一男四女。男曰重聖進士。女適進士李㙫。次適士人尹漴。次適修撰李光佐。次適士人趙尙慶。餘。處宇有一女二男。女適進士金昌緝。男曰九澤。曰九采。餘。處宙有三女二男。女適士人鄭夏臣。次適柳時模。次適朴壽昌。男曰九鼎。曰九範。餘。內外玄孫累十餘人。外曾孫通政大夫成均館大司成知製敎朴泰淳謹狀。


 

홍양호(洪良浩)

[요약정보]

UCI G002+AKS-KHF_13D64DC591D55CB1724X0
한사(漢師)
이계(耳溪)
시호 문헌(文獻)
초명 홍양한(洪良漢)
생년 1724(경종 4)
졸년 1802(순조 2)
시대 조선 후기
본관 풍산(豊山)
활동분야 문신 > 문신
홍진보(洪鎭輔)
조부 홍중성(洪重聖)

[상세내용]

홍양호(洪良浩)에 대하여
1724년(경종 4)∼1802년(순조 2).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초명은 홍양한(洪良漢). 자는 한사(漢師), 호는 이계(耳溪).

군수 홍중성(洪重聖)의 손자이고, 홍진보(洪鎭輔)의 아들이며, 이조판서 홍경모(洪敬謨)의 할아버지이다.

1747년(영조 23) 진사시에 합격하고, 1752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사헌부 지평, 홍문관 수찬교리 등을 거쳤고, 1774년 등준시(登俊試)에 뽑히기도 하였다.

1777년(정조 1) 홍국영(洪國榮)의 세도정치가 시작되면서 경흥부사로 밀려났다가 홍국영이 실각되면서 1781년 한성부우윤이 되고, 이어 사간원대사간사헌부대사헌평안도관찰사이조판서 등을 거쳐 1799년에는 홍문관예문관 양관(兩館)의 대제학을 겸임하는 최고의 영예를 지냈다.

그동안 두 차례에 걸쳐 연경(燕京)을 다녀오면서 중국의 석학들과 교유하여 문명(文名)을 날렸으며, 고증학(考證學)을 수용, 보급하는 데 기여하였다. 《영조실록》《국조보감》《갱장록(羹墻錄)》《동문휘고(同文彙考)》를 비롯한 각종 편찬사업을 주관하기도 하였으며, 지방관의 지침서인 《목민대방(牧民大方)》을 저술하였다.

특히, 1764년에는 일본에 가는 통신사(通信使)일행에게 부탁하여 벚나무 묘목을 들여다가 서울 우이동에 심어 뒷날의 경승지를 이루게도 하였다.

1801년 판중추부사로 물러났다가 이듬해 79세의 나이로 죽었다.

학문과 문장이 뛰어나 《이계집》 37권 외에 《육서경위(六書經緯)》《군서발배(群書發排)》《격물해(格物解)》《칠정변(七情辨)》《해동명장전(海東名將傳)》《고려대사기(高麗大事記)》《흥왕조승(興王肇乘)》《삭방습유(朔方拾遺)》《북새기략(北塞記略)》《만물원시(萬物原始)》《향약절중(鄕約折中)》 등의 많은 저술을 남겼다.

문장이 아순(雅馴)하고 전측(典則)이 있어서 당시 관각(館閣)의 신료 중에 따를 사람이 없다는 평을 받았다. 글씨는 진체(晉體)와 당체(唐體)에 뛰어나 많은 작품을 남겼는데, 곡산의 신덕왕후사제구기비(神德王后私第舊基碑)와 수원성(水原城)의 북문루상량문(北門樓上梁文)이 대표적이다. 시호는 문헌(文獻)이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正祖實錄 國朝榜目  經山集   萬姓大同譜  朝鮮金石總覽

[집필자]  한영국(韓榮國)

풍산홍씨(豊山洪氏)

[요약정보]

본관명 풍산(豊山)
성씨명 홍씨(洪氏)
본관소재지 경상북도(慶尙北道) 안동시(安東市)
본관이칭
시조명 홍지경(洪之慶)

[상세내용]

본관 연혁

풍산(豊山)은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일대의 옛 지명으로 신라 때에는 하지현(下枝縣)이라 불렸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영안(永安)으로 개칭되어 예천군의 관할로 하였다. 923년(고려 태조 6)에는 풍산(豊山) 또는 풍악현(豊岳縣)이라 개칭하였고, 1018년(현종 9)에 길주(吉州: 安東)에 예속되었다가 1172년(명종 2)에 감무가 파견되면서 독립하였다가 뒤에 안동도호부에 합속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안동군 풍산현의 4개 동 및 서선면 일부 7개동을 병합하여 풍산면으로 개칭하여 11개 동으로 개편 관할하다가 1973년에 풍산면이 읍으로 승격하였다. 1995년 안동시에 통합되었다.

성씨의 역사

풍산홍씨(豊山洪氏) 시조 홍지경은 1242년(고종 29)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국학직학(國學直學)을 지냈다. 그가 풍산에 정착하여 세거하였으므로 풍산을 관향으로 삼게 되었다. 시조의 묘소는 경상북도 안동군 풍산면 신성포 오산당에 있다.

분적종 및 분파

남평공파(南平公派), 생원공파(生員公派), 문경공파(文敬公派), 습지공파(習池公派), 만은공파(晩隱公派)

주요 세거지

충청북도 중원군
전라남도 나주군
충청남도 천원군
경기도 고양군
경상남도 진양군
경상남도 양산군

인구분포

2000년 통계청이 발표한 결과에 의하면 풍산홍씨는 11,222가구 총 36,420명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참고문헌]

《姓氏의 고향》(중앙일보사, 2002)
《韓國人의 姓譜》(삼안문화사, 1986)

[집필자]

오윤정

 

성씨와 본관

풍산홍씨(豊山洪氏)

[요약정보]

본관명 풍산(豊山)
성씨명 홍씨(洪氏)
본관소재지 경상북도(慶尙北道) 안동시(安東市)
본관이칭
시조명 홍지경(洪之慶)

[상세내용]

본관 연혁

풍산(豊山)은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일대의 옛 지명으로 신라 때에는 하지현(下枝縣)이라 불렸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영안(永安)으로 개칭되어 예천군의 관할로 하였다. 923년(고려 태조 6)에는 풍산(豊山) 또는 풍악현(豊岳縣)이라 개칭하였고, 1018년(현종 9)에 길주(吉州: 安東)에 예속되었다가 1172년(명종 2)에 감무가 파견되면서 독립하였다가 뒤에 안동도호부에 합속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안동군 풍산현의 4개 동 및 서선면 일부 7개동을 병합하여 풍산면으로 개칭하여 11개 동으로 개편 관할하다가 1973년에 풍산면이 읍으로 승격하였다. 1995년 안동시에 통합되었다.

성씨의 역사

풍산홍씨(豊山洪氏) 시조 홍지경은 1242년(고종 29)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국학직학(國學直學)을 지냈다. 그가 풍산에 정착하여 세거하였으므로 풍산을 관향으로 삼게 되었다. 시조의 묘소는 경상북도 안동군 풍산면 신성포 오산당에 있다.

분적종 및 분파

남평공파(南平公派), 생원공파(生員公派), 문경공파(文敬公派), 습지공파(習池公派), 만은공파(晩隱公派)

주요 세거지

충청북도 중원군     전라남도 나주군   충청남도 천원군     경기도 고양군   경상남도 진양군     경상남도 양산군

인구분포   2000년 통계청이 발표한 결과에 의하면 풍산홍씨는 11,222가구 총 36,420명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참고문헌]   《姓氏의 고향》(중앙일보사, 2002)   《韓國人의 姓譜》(삼안문화사, 1986)

[집필자]

오윤정

[풍산홍씨(豊山洪氏)의 인물들]

헌경왕후(獻敬王后) 홍간(洪侃) 홍경모(洪敬謨) 홍경보(洪景輔) 홍계호(洪繼浩)
홍국영(洪國榮) 홍규식(洪奎植) 홍극호(洪克浩) 홍길주(洪吉周) 홍낙명(洪樂命)
홍낙민(洪樂敏) 홍낙빈(洪樂彬) 홍낙성(洪樂性) 홍낙순(洪樂純) 홍낙신(洪樂信)
홍낙안(洪樂安) 홍낙유(洪樂游) 홍낙인(洪樂仁) 홍낙임(洪樂任) 홍낙항(洪樂恒)
홍남순(洪南淳) 홍남주(洪南周) 홍대유(洪大猷) 홍립(洪雴) 홍만기(洪萬紀)
홍만선(洪萬選) 홍만수(洪萬遂) 홍만용(洪萬容) 홍만우(洪萬遇) 홍만적(洪萬迪)
홍만조(洪萬朝) 홍만종(洪萬宗) 홍만형(洪萬衡) 홍만회(洪萬恢) 홍명주(洪命周)
홍명한(洪名漢) 홍명호(洪明浩) 홍민성(洪民聖) 홍민수(洪民秀) 홍방(洪霶)
홍범식(洪範植) 홍보(洪靌) 홍복영(洪福榮) 홍봉상(洪鳳祥) 홍봉주(洪鳳周){1}
홍봉한(洪鳳漢) 홍상한(洪象漢) 홍석모(洪錫謨) 홍석보(洪錫輔) 홍석주(洪奭周)
홍성보(洪聖輔) 홍세주(洪世周) 홍수보(洪秀輔) 홍수영(洪守榮) 홍수호(洪受浩)
홍승경(洪承敬) 홍승구(洪承耉) 홍승근(洪承瑾) 홍승두(洪承斗) 홍승목(洪承穆)
홍승억(洪承億) 홍승헌(洪承憲) 홍심일(洪深一) 홍양한(洪亮漢) 홍양호(洪良浩)
홍언모(洪彦謨) 홍열모(洪說謨) 홍영(洪霙) 홍용한(洪龍漢) 홍우건(洪祐健)
홍우길(洪祐吉) 홍우명(洪祐命) 홍우석(洪祐晳) 홍우진(洪祐珍) 홍우창(洪祐昌)
홍우철(洪祐喆) 홍우한(洪羽漢) 홍원모(洪遠謨) 홍원주(洪原周) 홍유한(洪有漢)
홍은모(洪殷謨) 홍응보(洪應輔) 홍의모(洪義謨) 홍의호(洪義浩) 홍이상(洪履祥)
홍익진(洪翼鎭) 홍인모(洪仁謨) 홍인한(洪麟漢) 홍인호(洪仁浩) 홍일보(洪一輔)
홍종운(洪鍾韻) 홍주국(洪柱國) 홍주삼(洪柱三) 홍주세(洪柱世) 홍주원(洪柱元)
홍주일(洪柱一){1} 홍주진(洪柱震) 홍준한(洪駿漢) 홍중기(洪重箕) 홍중명(洪重明)
홍중범(洪重範) 홍중성(洪重聖) 홍중우(洪重禹) 홍중익(洪重益) 홍중인(洪重寅)
홍중일(洪重一) 홍중정(洪重鼎) 홍중주(洪重周) 홍중주(洪重疇) 홍중징(洪重徵)
홍중하(洪重夏) 홍중해(洪重楷) 홍중현(洪重鉉) 홍중효(洪重孝) 홍중휴(洪重休)
홍진(洪震){3} 홍집(洪) 홍창한(洪昌漢) 홍천경(洪千璟) 홍철주(洪澈周)
홍치(洪治) 홍치영(洪致榮) 홍필모(洪必謨) 홍학주(洪學周) 홍한주(洪翰周)
홍헌보(洪獻輔) 홍현보(洪鉉輔) 홍현주(洪顯周) 홍화보(洪和輔) 홍희근(洪羲瑾)
홍희석(洪羲錫) 홍희신(洪羲臣) 홍희응(洪羲膺) 홍희조(洪羲祖) 홍희준(洪羲俊)

[풍산홍씨(豊山洪氏)의 과거 및 취재 합격자]

고려문과
홍간(洪侃) 홍유(洪侑) 홍유(洪侑) 홍지경(洪之慶)
무과
홍다해(洪多海) 홍봉주(洪鳳周) 홍상신(洪象臣) 홍순보(洪淳輔) 홍유보(洪有輔)
홍윤장(洪胤張) 홍윤필(洪胤弼) 홍응해(洪應海) 홍익모(洪益謨) 홍학보(洪㶅輔)
홍헌주(洪獻周) 홍희룡(洪羲龍)
무관
홍■모(洪■謨) 홍건주(洪鍵周) 홍길모(洪吉謨) 홍남주(洪南周) 홍병주(洪秉周)
홍봉주(洪鳳周) 홍승덕(洪承德) 홍승철(洪承澈) 홍영모(洪泳謨) 홍영주(洪永周)
홍우겸(洪祐謙) 홍우범(洪祐範) 홍우익(洪祐翼) 홍윤모(洪胤謨) 홍의선(洪義宣)
홍익모(洪翼謨) 홍익섭(洪益燮) 홍재모(洪載謨) 홍정모(洪靖謨) 홍준모(洪俊謨)
홍태모(洪泰謨) 홍택주(洪宅周) 홍헌주(洪獻周) 홍희상(洪羲象) 홍희서(洪羲書)
홍희선(洪羲宣)
문과
홍건식(洪健植) 홍경모(洪敬謨) 홍경보(洪景輔) 홍경보(洪鏡輔) 홍국영(洪國榮)
홍극호(洪克浩) 홍긍주(洪兢周) 홍길보(洪吉輔) 홍낙명(洪樂命) 홍낙민(洪樂敏)
홍낙빈(洪樂彬) 홍낙성(洪樂性) 홍낙순(洪樂純) 홍낙술(洪樂述) 홍낙신(洪樂信)
홍낙안(洪樂安) 홍낙원(洪樂遠) 홍낙유(洪樂游) 홍낙인(洪樂仁) 홍낙임(洪樂任)
홍낙정(洪樂貞) 홍낙준(洪樂浚) 홍낙항(洪樂恒) 홍대유(洪大猷) 홍대호(洪大浩)
홍립(洪雴) 홍만기(洪萬紀) 홍만수(洪萬遂) 홍만수(洪萬遂) 홍만용(洪萬容)
홍만용(洪萬容) 홍만우(洪萬遇) 홍만적(洪萬迪) 홍만적(洪萬迪) 홍만조(洪萬朝)
홍만종(洪萬鍾) 홍만통(洪萬通) 홍만형(洪萬衡) 홍만형(洪萬衡) 홍명주(洪命周)
홍명한(洪名漢) 홍명한(洪名漢) 홍명한(洪鳴漢) 홍방(洪滂) 홍보(洪?)
홍봉상(洪鳳祥) 홍봉주(洪鳳周) 홍봉한(洪鳳漢) 홍상한(洪象漢) 홍석보(洪錫輔)
홍석보(洪錫輔) 홍석주(洪奭周) 홍성보(洪聖輔) 홍수(洪修) 홍수보(洪秀輔)
홍수호(洪受浩) 홍승두(洪承斗) 홍승목(洪承穆) 홍승억(洪承億) 홍승오(洪承五)
홍승운(洪承運) 홍승유(洪承裕) 홍승헌(洪承憲) 홍양보(洪亮輔) 홍양한(洪亮漢)
홍양한(洪良漢) 홍양한(洪良漢) 홍언모(洪彦謨) 홍열모(洪說謨) 홍영(洪霙)
홍용한(洪龍漢) 홍우건(洪祐健) 홍우기(洪祐冀) 홍우길(洪祐吉) 홍우명(洪祐命)
홍우상(洪祐相) 홍우순(洪祐順) 홍우정(洪祐禎) 홍우창(洪祐昌) 홍우철(洪祐喆)
홍우한(洪羽漢) 홍원모(洪遠謨) 홍은모(洪殷謨) 홍응보(洪應輔) 홍의호(洪義浩)
홍인상(洪麟祥) 홍인한(洪麟漢) 홍인호(洪仁浩) 홍일보(洪一輔) 홍일중(洪逸重)
홍정보(洪正輔) 홍정보(洪靖輔) 홍종문(洪鍾聞) 홍종운(洪鍾韻) 홍주국(洪柱國)
홍주삼(洪柱三) 홍주세(洪柱世) 홍주일(洪柱一) 홍주진(洪柱震) 홍중상(洪重相)
홍중우(洪重禹) 홍중익(洪重益) 홍중일(洪重一) 홍중정(洪重鼎) 홍중주(洪重周)
홍중징(洪重徵) 홍중태(洪重泰) 홍중하(洪重夏) 홍중현(洪重鉉) 홍중효(洪重孝)
홍중휴(洪重休) 홍집(洪) 홍집(洪) 홍창한(洪昌漢) 홍천경(洪千璟)
홍철주(洪澈周) 홍치영(洪致榮) 홍필모(洪必謨) 홍학주(洪學周) 홍현보(洪鉉輔)
홍형주(洪瀅周) 홍희근(洪羲瑾) 홍희린(洪羲麟) 홍희석(洪羲錫) 홍희응(洪羲膺)
홍희조(洪羲祖) 홍희종(洪羲宗) 홍희필(洪羲弼) 홍희현(洪羲玄)
생원시
홍가모(洪可謨) 홍경보(洪鏡輔) 홍계한(洪桂漢) 홍귀지(洪貴枝) 홍근주(洪根周)
홍기한(洪綺漢) 홍길주(洪吉周) 홍낙교(洪樂敎) 홍낙민(洪樂敏) 홍낙선(洪樂善)
홍낙신(洪樂信) 홍낙응(洪樂膺) 홍낙임(洪樂任) 홍낙전(洪樂全) 홍낙정(洪樂正)
홍낙진(洪樂眞) 홍낙흠(洪樂欽) 홍난상(洪鸞祥) 홍남갑(洪南甲) 홍내보(洪來輔)
홍덕모(洪悳謨) 홍만기(洪萬紀) 홍만리(洪萬里) 홍만영(洪晩榮) 홍만용(洪萬容)
홍만우(洪萬遇) 홍만장(洪萬長) 홍만조(洪萬朝) 홍만징(洪萬徵) 홍만통(洪萬通)
홍만형(洪萬衡) 홍명보(洪命輔) 홍민위(洪民緯) 홍배한(洪配漢) 홍범주(洪範周)
홍복한(洪復漢) 홍봉상(洪鳳祥) 홍봉주(洪鳳周) 홍봉한(洪鳳漢) 홍상보(洪尙輔)
홍서범(洪瑞範) 홍석모(洪錫謨) 홍석보(洪錫輔) 홍선주(洪善周) 홍선주(洪宣周)
홍성보(洪聖輔) 홍성한(洪成漢) 홍수보(洪秀輔) 홍순보(洪純輔) 홍승렬(洪承烈)
홍승륜(洪承綸) 홍승위(洪承褘) 홍승유(洪承裕) 홍승익(洪承益) 홍승직(洪承稷)
홍식영(洪植榮) 홍신모(洪莘謨) 홍양한(洪良漢) 홍언주(洪彦周) 홍영(洪霙)
홍영식(洪寧植) 홍예모(洪藝謨) 홍용한(洪龍漢) 홍우경(洪祐慶) 홍우덕(洪祐悳)
홍우룡(洪祐龍) 홍우룡(洪祐龍) 홍우명(洪祐命) 홍우목(洪祐穆) 홍우석(洪祐晳)
홍우섭(洪祐燮) 홍우숙(洪祐肅) 홍우연(洪祐衍) 홍우익(洪祐翊) 홍우인(洪祐仁)
홍우준(洪祐駿) 홍우천(洪祐天) 홍운모(洪雲謨) 홍원모(洪瑗謨) 홍응주(洪應周)
홍의영(洪義榮) 홍이인(洪以訒) 홍이풍(洪以豊) 홍이호(洪彛浩) 홍인상(洪麟祥)
홍인영(洪仁榮) 홍일모(洪一謨) 홍장보(洪章輔) 홍적(洪適) 홍정보(洪鼎輔)
홍정한(洪挺漢) 홍제한(洪霽漢) 홍종발(洪鍾發) 홍종운(洪鍾韻) 홍주삼(洪柱三)
홍주세(洪柱世) 홍주신(洪柱臣) 홍주하(洪柱夏) 홍중달(洪重達) 홍중범(洪重範)
홍중부(洪重敷) 홍중상(洪重相) 홍중석(洪重錫) 홍중위(洪重威) 홍중일(洪重鎰)
홍중하(洪重夏) 홍중현(洪重鉉) 홍중형(洪重亨) 홍중화(洪重華) 홍중후(洪重厚)
홍중휴(洪重休) 홍집(洪) 홍창한(洪昌漢) 홍철모(洪徹謨) 홍철주(洪哲周)
홍최일(洪最一) 홍탁(洪逴) 홍탈(洪梲) 홍필모(洪弼謨) 홍하모(洪夏謨)
홍한지(洪漢智) 홍헌모(洪憲謨) 홍현보(洪鉉輔) 홍현주(洪鉉周) 홍협주(洪協周)
홍훈모(洪薰謨) 홍휘한(洪徽漢) 홍희근(洪羲瑾) 홍희명(洪羲命) 홍희서(洪羲瑞)
홍희석(洪羲錫) 홍희승(洪羲升) 홍희정(洪羲鼎) 홍희조(洪羲祖) 홍희철(洪羲喆)
음관
홍건식(洪健植) 홍건주(洪鍵周) 홍경모(洪慶謨) 홍경모(洪敬謨) 홍계주(洪啓周)
홍긍모(洪肯謨) 홍긍모(洪肯謨) 홍긍주(洪兢周) 홍기모(洪夔謨) 홍기모(洪夔謨)
홍기주(洪耆周) 홍기주(洪耆周) 홍길주(洪吉周) 홍길주(洪吉周) 홍남주(洪南周)
홍노영(洪魯榮) 홍노영(洪魯榮) 홍면주(洪冕周) 홍면주(洪冕周) 홍명주(洪命周)
홍범주(洪範周) 홍병주(洪秉周) 홍병직(洪秉稷) 홍봉주(洪鳳周) 홍봉주(洪鳳周)
홍봉주(洪鳳周) 홍석모(洪奭謨) 홍석모(洪錫謨) 홍석모(洪錫謨) 홍석주(洪奭周)
홍선주(洪善周) 홍선주(洪善周) 홍세주(洪世周) 홍순모(洪淳謨) 홍순모(洪淳謨)
홍순호(洪醇浩) 홍승목(洪承穆) 홍승억(洪承億) 홍승오(洪承五) 홍승유(洪承裕)
홍승의(洪承禕) 홍승조(洪承祖) 홍승조(洪承祖) 홍승헌(洪承憲) 홍시모(洪蓍謨)
홍시모(洪蓍謨) 홍신모(洪莘謨) 홍신모(洪莘謨) 홍신모(洪藎謨) 홍신모(洪藎謨)
홍언모(洪彦謨) 홍언주(洪彦周) 홍열모(洪說謨) 홍영주(洪永周) 홍용주(洪用周)
홍우건(洪祐健) 홍우경(洪祐慶) 홍우경(洪祐慶) 홍우기(洪祐冀) 홍우길(洪祐吉)
홍우룡(洪祐龍) 홍우룡(洪祐龍) 홍우명(洪祐命) 홍우명(洪祐明) 홍우명(洪祐明)
홍우범(洪祐範) 홍우성(洪祐成) 홍우성(洪祐成) 홍우순(洪祐順) 홍우신(洪祐信)
홍우신(洪祐信) 홍우익(洪祐翼) 홍우정(洪祐鼎) 홍우정(洪祐鼎) 홍우창(洪祐昌)
홍우철(洪祐喆) 홍우현(洪祐賢) 홍우현(洪祐賢) 홍운모(洪運謨) 홍운모(洪運謨)
홍원모(洪遠謨) 홍원식(洪遠植) 홍위영(洪緯榮) 홍위영(洪緯榮) 홍윤모(洪胤謨)
홍은모(洪殷謨) 홍응모(洪應謨) 홍응모(洪膺謨) 홍응주(洪應周) 홍응주(洪應周)
홍응주(洪膺周) 홍의호(洪義浩) 홍익모(洪益謨) 홍익모(洪益謨) 홍익모(洪翼謨)
홍익주(洪翊周) 홍익주(洪翊周) 홍익주(洪翼周) 홍일모(洪一謨) 홍정주(洪定周)
홍정주(洪定周) 홍정주(洪鼎周) 홍정주(洪鼎周) 홍준모(洪俊謨) 홍준모(洪俊謨)
홍준모(洪準謨) 홍준모(洪準謨) 홍직모(洪直謨) 홍직모(洪稷謨) 홍직영(洪稷榮)
홍직영(洪稷榮) 홍직주(洪稷周) 홍직주(洪稷周) 홍찬주(洪瓚周) 홍철모(洪哲謨)
홍철모(洪哲謨) 홍철모(洪徹謨) 홍철모(洪徹謨) 홍철영(洪徹榮) 홍철영(洪徹榮)
홍철주(洪喆周) 홍철주(洪澈周) 홍취영(洪就榮) 홍태진(洪泰鎭) 홍택주(洪宅周)
홍필모(洪必謨) 홍학주(洪學周) 홍한주(洪翰周) 홍한주(洪翰周) 홍헌모(洪獻謨)
홍헌모(洪獻謨) 홍현모(洪顯謨) 홍현주(洪鉉周) 홍현주(洪鉉周) 홍형모(洪衡謨)
홍형모(洪衡謨) 홍후영(洪後榮) 홍훈모(洪薰謨) 홍훈모(洪薰謨) 홍희겸(洪羲謙)
홍희경(洪羲敬) 홍희근(洪羲瑾) 홍희린(洪羲麟) 홍희명(洪羲明) 홍희석(洪羲錫)
홍희선(洪羲宣) 홍희승(洪羲升) 홍희승(洪羲升) 홍희익(洪羲翼) 홍희인(洪羲人)
홍희인(洪羲人) 홍희조(洪羲祖) 홍희종(洪羲宗) 홍희준(洪羲俊) 홍희진(洪羲晉)
홍희진(洪羲晉) 홍희철(洪羲喆) 홍희철(洪羲喆) 홍희필(洪羲弼)
진사시
홍건주(洪健周) 홍경모(洪敬謨) 홍경보(洪景輔) 홍경택(洪景澤) 홍경후(洪慶後)
홍규보(洪圭輔) 홍긍모(洪肯謨) 홍기주(洪岐周) 홍기주(洪耆周) 홍기호(洪氣浩)
홍길보(洪吉輔) 홍길주(洪吉周) 홍낙명(洪樂命) 홍낙문(洪樂文) 홍낙빈(洪樂彬)
홍낙성(洪樂性) 홍낙수(洪樂綏) 홍낙신(洪樂信) 홍낙안(洪樂安) 홍낙원(洪樂遠)
홍낙유(洪樂游) 홍낙인(洪樂仁) 홍낙임(洪樂任) 홍낙정(洪樂貞) 홍낙주(洪洛周)
홍낙준(洪樂濬) 홍낙현(洪樂玄) 홍남주(洪南柱) 홍달영(洪達榮) 홍달주(洪達周)
홍대식(洪大植) 홍대영(洪大榮) 홍대유(洪大猷) 홍대주(洪戴周) 홍대호(洪大浩)
홍만상(洪萬尙) 홍만선(洪萬選) 홍만수(洪萬遂) 홍만용(洪萬容) 홍만운(洪萬運)
홍만원(洪萬源) 홍만적(洪萬迪) 홍만종(洪萬宗) 홍만종(洪萬鍾) 홍만창(洪萬昌)
홍만최(洪萬最) 홍만형(洪萬衡) 홍만회(洪萬恢) 홍만희(洪萬熙) 홍매(洪邁)
홍면주(洪冕周) 홍명한(洪名漢) 홍명한(洪命漢) 홍명한(洪鳴漢) 홍문보(洪文輔)
홍문한(洪文漢) 홍범식(洪範植) 홍보(洪靌) 홍봉주(洪鳳周) 홍봉한(洪鳳漢)
홍붕한(洪鵬漢) 홍사한(洪絲漢) 홍상한(洪象漢) 홍석보(洪錫輔) 홍선모(洪善謨)
홍성모(洪性謨) 홍성한(洪成漢) 홍수(洪修) 홍수보(洪壽輔) 홍수호(洪受浩)
홍순모(洪淳謨) 홍순호(洪醇浩) 홍승건(洪承健) 홍승국(洪承國) 홍승기(洪承耆)
홍승록(洪承祿) 홍승만(洪承晩) 홍승범(洪承範) 홍승우(洪承宇) 홍승윤(洪承胤)
홍승재(洪承宰) 홍승정(洪承靖) 홍승조(洪承祚) 홍승직(洪承稷) 홍승철(洪承哲)
홍승태(洪承泰) 홍승학(洪承學) 홍승혁(洪承赫) 홍약한(洪若漢) 홍양한(洪亮漢)
홍언모(洪彦謨) 홍영한(洪英漢) 홍옥보(洪沃輔) 홍우관(洪祐觀) 홍우대(洪祐大)
홍우명(洪祐明) 홍우모(洪遇謨) 홍우성(洪祐性) 홍우순(洪祐順) 홍우승(洪祐昇)
홍우신(洪祐信) 홍우신(洪祐臣) 홍우익(洪祐翼) 홍우정(洪祐政) 홍우정(洪祐鼎)
홍우진(洪祐震) 홍우한(洪宇漢) 홍우항(洪祐恒) 홍운모(洪運謨) 홍원모(洪遠謨)
홍유애(洪有厓) 홍유한(洪維漢) 홍윤보(洪允輔) 홍응모(洪應謨) 홍의호(洪義浩)
홍익영(洪益榮) 홍익주(洪翼周) 홍인식(洪仁植) 홍인하(洪人河) 홍일보(洪一輔)
홍전보(洪銓輔) 홍정(洪霆) 홍정보(洪鼎輔) 홍정한(洪晶漢) 홍정한(洪鼎漢)
홍주국(洪柱國) 홍주일(洪柱一) 홍주진(洪柱震) 홍주천(洪柱天) 홍주후(洪柱後)
홍준모(洪俊謨) 홍준모(洪準謨) 홍준식(洪俊植) 홍준식(洪駿植) 홍준한(洪駿漢)
홍중경(洪重經) 홍중구(洪重耉) 홍중기(洪重箕) 홍중모(洪重模) 홍중복(洪重福)
홍중성(洪重聖) 홍중연(洪重衍) 홍중우(洪重禹) 홍중원(洪重遠) 홍중익(洪重益)
홍중인(洪重寅) 홍중정(洪重鼎) 홍중주(洪重周) 홍중주(洪重疇) 홍중징(洪重徵)
홍중태(洪重泰) 홍중해(洪重楷) 홍중효(洪重孝) 홍중휘(洪重輝) 홍직모(洪直謨)
홍찬주(洪瓚周) 홍찬주(洪贊周) 홍처보(洪處輔) 홍철모(洪哲謨) 홍철주(洪澈周)
홍탁(洪?) 홍필모(洪弼謨) 홍필주(洪弼周) 홍헌모(洪獻謨) 홍형모(洪衡謨)
홍흠보(洪欽輔) 홍희명(洪羲明) 홍희지(洪羲之) 홍희진(洪羲晉)

 

 

明谷集卷之二十二
碑銘
領議政文靖洪公神道碑銘 a_154_313a


 

公諱瑞鳳。字輝世。號鶴谷。姓洪氏。其先蓋中國人。黃巢之亂。浮海東來。家于唐城。仍籍焉。有諱悅。佐麗祖。封匡翼效節獻襄定難弘濟奮庸亮采保乂經濟功154_313b臣。位三重大匡太師。其後有諱灌。司空尙書。當資謙之亂。以身殉節。諡忠平。有諱奎。以御史中丞。擒賊臣林惟茂。策功。諡匡定。終始勝國。勳伐舃奕。有諱敬孫。我成宗朝。守成均館事。能文章。與李樗軒石亨。同撰大學衍義補以進。寔公五世祖也。高祖諱潤德。奉常副正。贈吏曹參議。曾祖諱係貞。藝文館待敎。贈吏曹判書。祖諱春卿。黃海道觀察使。號石壁。以文章名世。考諱天民。承政院都承旨。贈領議政。妣興陽柳氏。高麗侍中濯之後。濟用監主簿樘之女也。公以隆慶壬申十二月廿一日生。先是卜者占之。得彩鳳飛雲154_313c之兆。生而明秀。器度異凡。三歲而孤。六歲。就外傳。自知屬文。季父益城君聖民命以猫字作句。公應聲曰。猫鳴驚千鼠。益城大奇之。每歎曰。吾兄仁德。未享遐福。興吾宗者。其在此兒乎。年十四。讀書江上。鄭松江來訪。令公賦詩。援筆立就。意多箴諷。松江大加稱賞。庚寅。中司馬。壬辰倭寇。奉柳夫人。入關東。先是公知亂將作。經營避地計。時方昇平。人多笑之。後乃服。芝川黃公。與其子獨石公。承朝命。陪兩王子。向北關。獨石。卽公外舅也。相遇於鐵原。要與北上。辭不行。及芝川公在北遭難。一行無得免者。衆皆推其先見。甲午。154_313d擢文科別試選。隷承文院。陞成均館典籍。庚子。拜司諫院正言。入玉堂爲修撰。移吏曹佐郞。兼侍講院司書。選知製敎。辛丑。詔使顧天峻出來。月沙李公爲儐使。極選僚佐。朴南郭,李東岳及公爲從事官。石洲權公以白衣從行。車天輅,金玄成爲製述官。文章之盛。爲一時所艷稱。時一番人用事。鄭仁弘爲都憲。劾公罷職。癸卯。拜禮曹正郞。轉司藝。差京畿左道量田御史。兵荒之餘。經界紊亂。公隨地均賦。輕重不失。畿民賴之。甲辰。出牧星州。居三年罷還。戊申。拜校理。自司成移應敎。賜暇湖堂。中重試甲科。陞堂上。己酉。差都154_314a司迎慰使還。拜江原道觀察使。公在星州。治頗尙嚴。及莅關東。見民事凋瘵。尙寬仁。行部。屛騶從舍車而乘馬。遇之者不知其爲按使也。明黜陟減征徭。政化大行。庚戌。拜承政院同副承旨。兼承文副提調。以禮曹參議。差聖節使赴燕還。遇建州夷入貢者。先是夷人遇我使行。輒肆劫掠。至是駐馬招譯胥。只問燕中蔘價。一行皆賀。公愀然曰。夷虜劫掠。乃其習性。今者鈐束如此。可見法令嚴明。此天下之憂也。壬子。又拜承旨。光海引見平安兵使李守一。公同侍前席。陳建夷可憂狀。仍言中國城制甚悉。光海謂守一曰。備154_314b禦之策。卿宜盡心。城池規劃。宜一如承旨所言。守一改築寧邊城。是年夏。誣獄起。獨石公罹禍。公陳疏乞免遭罷。自是絶意世事。杜門屛居。公之外黨。方乘時用事。勸公隨世低昂。怵以利害。嚴辭斥之。公聲望素重。雖屛廢。每當有事。輒議起用。毛文龍始至。儐接難其人。備局請以公差送。爲媢嫉者所沮。又以詔使將至。欲藉以華國。請起廢用之。一時坐廢諸人。因此多被甄收。而獨公及北渚金公,淸陰金公愚伏鄭公。竟寢不用。時彝倫旣斁。昏亂日甚。宣廟舊臣。皆屛散在外。公日夜憂憤。與北渚金公。密謀匡濟。奉仁廟154_314c正位。寔天啓癸亥三月也。卽拜兵曹參議。旋移吏曹。遞拜大司諫,右副承旨。兼槐院副提調。秋。策勳賜奮忠贊謨靖社功臣號。進階封益寧君。轉左副承旨右副。例兼刑房。時大獄連起。公隨事敷奏。多所平反。上甚任之。在銀臺凡二年。終不換房。甲子。西帥适反。臨津守兵潰。上倉卒南狩。命公扈慈殿。仍以標信付公曰。臨急便宜從事。公受命而出。馳至崇禮門。夜已深。守門者皆散去。城門閉。大駕且至。前隊阻不得出。人馬騈闐。公撞破門鎖。門旣開。軍馬決驟無阻。公先至漢江。舟者中流。呼不應。武人禹尙中從154_314d公行。素多力能水。使往取之。尙中卽游至江中。擊仆船人。得五六艘。乃得利涉。時夜未晨。將士與從官。紛挐將潰散。公謂大將申景禛曰。至尊尙未登舟。賊若猝逼。則不可言也。公宜急收軍伍。陳于高阜。建旗鼓明燈燭。賊雖來。我有備。必不敢輕犯。申公乃結陣鳴柝。衆心乃定。及賊平。進嘉義。爲右承旨,兵吏參判。兼同知經筵,成均館事,世子右副賓客。仍兼籌司堂上。俄拜副提學。移都承旨。丙寅。詔使姜曰廣出來。又以副學差鐵山迎慰使。丁卯之亂。上幸江都。以都承旨從。秋。以副學拜,大司諫,大司成,吏曹參判。戊154_315a辰。柳孝立等謀逆。遣其黨。載兵器入城。刻日犯闕。危機甚急。許䙗聞其謀。走報公。公急通于廟堂。設機擒捕。諸賊皆伏誅。錄勳賜竭忠效誠炳幾寧社功臣號。超階正憲。拜漢城判尹。兼知義禁。俄拜大司憲移禮曹判書。己巳。拜議政府右參贊。兼弘文提學。復改禮判。兼知經筵。時國家連有事變。軍需罄竭。諸衙門各自興販射利。多擾民。公筵白自古軍興之時。需用無極。故必先理財。此雖不可廢。然方今民窮財竭。貿販多門。民不能堪。宜停罷以紓民力。其言剴切。識者韙之。羅公萬甲以銓選通塞。語侵銓長。北渚相公上154_315b章論之。上疑其專擅。遽命竄流。谿谷張公陳箚救之。上怒。出補羅州。以此朝論有岐異之形。公陳于筵中曰。萬甲言語間。雖或差失。其心斷無他。豈有專擅之事。至於張維則操心和平。處事信實。無一毫私心。亦豈偏護萬甲。今此流放斥補。甚駭瞻聆。今若洞察兩臣心事。平心處之。則允合於群情矣。上嘉納。累拜大憲,禮判。庚午冬。拜吏曹判書。辛未。仁穆大妃違豫。旣而平復。以侍藥勞陞崇政。時上將追崇章陵。廷臣交爭之。延平李公貴素主追崇之議。傅會者見斥於政注。延平以此怒銓地。遂於上前斥154_315c公曰。當此之時。洪某豈可爲銓長。仍詆公至誤擧注擬事。大臣陳其非實。上燭其事狀。因公辭疏。累下溫音。公連章力辭。而疏中稱朴彭年忠臣。上怒命推考。因此遞職。癸酉。拜左參贊。移禮判。甲戌。拜兵曹判書。兼藝文提學。詔使盧惟寧至。公爲館伴。乙亥。元宗祔廟禮成。以都監勞陞崇祿。復拜禮判。兼兩館大提學,判義禁。是歲變異疊見。朝野以爲憂。公於講筵極論曰。古云元日至人日。多陰晦則最可憂。今年正月以後。絶無開朗之時。日月告凶。示警非常。社稷省牲時。祭牛逬出。逼傷祭官。此亦古所罕聞。傳曰。154_315d不見其形。願察其影。變陰沴爲休祥。只在聖上一念。且廓開言路。乃當今急務。近來言者固多狂妄。然不計利害。惟懷一端憂愛。何至深罪。請並宥還。不納。時因爭論廟議。被譴逐者。久未蒙放。故公言如此。其七月。京城大風。折拔太廟垣中木七十餘章。公又進言。風動物也。多係兵象。其應尤速。宋劉錡爲將。遇暴風曰。此乃虜至之象。整軍以待。得大捷。辛卯。京都有風變。迎恩門鐵鎖中斷。其明年。倭寇大至。今虜釁方生。風災甚於辛卯。不可無先事之戒。縷縷不已。時廟算劻勷。卒不得有所施行。丙子。進拜議政府右154_316a議政。仁烈王后喪。爲摠護使。俄陞左議政。司諫趙絅上章誣公。以受人賂馬。上疑之。令政院詰問其言誰所受。絅不肯首。上欲下絅吏。詢諸大臣。北渚金公及仙源金公尙容以謂臺諫雖重。不過與宰相等耳。今絅所論大臣事非細故。不可不究覈處之。於是上遂命下吏推問。時公出江上。陳章待罪。聞絅就獄。上疏言絅不的指言根。亦有所守。國家二百年待臺諫之道。緣臣壞了。後雖有可言。臺諫以言爲戒。緘口不言。則非國家之福也。言者亦以逮問臺官爲未安。遂寢不問。淸陰金公時爲吏判。上疏力辨陳絅154_316b因宿嫌構誣。仍極言人心世道之不可救。棄官歸田。公辭疏十餘上。呈告四十度。始遞。是年十二月。淸兵大來。上將避兵。復拜公左議政。扈駕入南漢。翌日有移蹕江都之議。命公留守本城。大駕纔出而復入。不果行。旣而長圍合。上命公往虜陣議和。聞命卽行。自此淸人數至城下。求見我人。上輒命公出應。隨事周旋。咸中機宜。凡往返十數。丁丑正月晦。和議成。隨駕還都。三月。將送使瀋陽。上引見大臣六卿曰。助兵一事最難處。將何以應之。公對曰。我國與大明。有父子之義。一朝以兵刃相加。義所不忍。不154_316c佞先祖遲川公所對。與公一致。朝廷初頗堅拒。末後所處。卒不能如公言。俄遭內艱。戊寅。倭書來。意在探試朝廷。時當大亂之餘。人情洶洶。公自以義同休戚。不可以身在憂服爲嫌阻。遂疏陳接應備豫之道。上優答。己卯服闋。拜領議政。庚辰冬。淸人疑我國密通明朝。責致首相及吏判都承旨於灣上。旣至。拘係數月。無所撓屈。淸將歎服。辛巳春。以風疾乞免。不許。壬午。固辭得遞。甲申。復拜領相未幾。因北渚拜相。公降爲左相。乙酉。昭顯世子新喪。元孫沖弱。儲位久虛。上以孝宗有聖德。欲立爲世子。詢于群154_316d臣。領相對無異辭。公進曰。聖意以宗社爲重。有此非常之問。而創業之後。世承宗統。是守經之道。判府事李公敬輿曰。左相之言。萬世之經常也。上不納。是歲熒惑入東井。星官言大臣厄。七月。公屬疾危苦。上遣右承旨問疾。內醫看病。八月八日考終。享年七十四。訃聞。上震悼輟朝三日。遣都承旨。致弔問孤。加賜賵襚。其十月。官庀襄事。葬于積城治南先塋側坐壬之原。從治命也。公狀貌不及中人。而資性簡重。識量深遠。早以國器稱。平居冠帶必飭。未嘗設惰容。對人言笑樂易。和氣藹如。然見人涉於非義。若154_317a將浼焉。事母夫人。左右無違。及丁憂。年垂七十。猶致毀。饋奠必躬親。人或勉其節抑。公曰。三歲失怙。未行喪制。今何忍以年老而不自盡乎。事季父益城公。移孝盡誠。敦族婣恤朋友。曲有恩義。在朝或遭橫逆。初不芥滯於胸中。延陽李相公時白兄弟。以延平之故。頗有自阻意。公待之坦然。每稱延陽忠厚有才。薦爲守禦使。其後延陽兄弟。俱有危疑事。禍將不測。公極意救解。事竟得已。洪都憲茂績嘗以事侵公。公則夷然戒子弟曰。臺諫言雖過當。不宜較量。爾輩愼勿置懷。洪公聞而語人曰。洪相度量。人不可及。再策勳。恩154_317b賜之外。無所增益。爵位崇顯。被服不用華美。母夫人嘗謂曰。汝年位已高。雖服錦段。非不衷也。對曰。素無才德。濫冒至此。每思之惕然兢懼。服飾華侈。心所不欲也。爲文章。遒健奧深。尤長於詩。自成一家。李東岳詩名振一世。見公詩。輒瞠然推服。與北渚淸陰二公。童丱交游。並躋卿相。迭秉文衡。一時稱爲盛事。所著述多逸於兵燹。遺藁若干卷刊行于世。噫。公當宣廟煕運。早蜚英館閣。旋値昏朝。錮蟄累年。及其遭遇風雲。位極台鉉。艱危之際。勞勩弘多。齒爵齊尊。功言並偉。允爲上下所倚重。顧以時丁板蕩。鍾標季百六154_317c之厄。嘉謨英猷。竟不得大有展布焉。然觀人必於晩節。當建儲之議。在朝諸公。率多順旨。其能守經毋撓者。獨公與白江數公而已。非夫斷斷之心。不恤一身之禍福。孰能如是。嗚呼。此可以觀公風節矣。夫人長水黃氏。從封儷美。名相翼成公喜之後。祖府院君諱廷彧。考承旨諱赫。卽芝川,獨石也。後公一年生。先公一年沒。葬與公同塋異室。夫人柔和有則。奉君子無違行。姑柳夫人性嚴。敬愼愉適。未嘗少忤。丁丑之亂。避兵于江都。見虜兵。以刀自刺仆船中。救之堇穌。時子婦李,外孫婦羅同船。見夫人剚刃。皆赴海。兩孫子154_317d儀,子同。年方髫齔相隨溺死。節義相聯。亦可見公之家法矣。擧一男一女。男命一文科歷淸顯。官至觀察使。女適大司憲朴潢。觀察初娶完山李氏。卽節婦。生一女。適進士趙相鼎。再娶綾城具氏。生二男一女。男處宇縣令。處宙通政府使。女適,判決事洪萬恢。朴都憲四男。世相郡守,世柱署令,世桓,世楠。處宇三男。九澤九采判官。次九行。女適生員金昌緝。處宙二男。九鼎縣令。次九章。三女適士人鄭夏臣,生員柳時模士人朴敍揆。趙相鼎二男。仁壽都事,大壽舍人。二女適僉正李成朝,僉正沈廷協。洪萬恢一男重聖參奉。五154_318a女適監司李㙫,士人尹漴,監司李光佐,奉事趙尙慶,士人鄭錫疇。世相四男。泰辰參奉,泰春監役,泰淳大司成。次泰珍。女適佐郞韓配義。世柱無子。以泰春爲後。世桓二男。泰延縣監。次泰進。世楠一男泰遜吏曹參議。女適左議政金昌集。內外曾玄摠四十餘人。錫鼎生晩。不及登門望顏色。以祖世同盟之故。契好不替。每覽遺集。傾仰實深。殆若洪鐘之在序。熒斗之垂天。公孫府使君屬余以徑樹之文。義不敢辭。謹敍次而系以銘。銘曰。
洪氏之先。實自中國。浮海而東。南陽是宅。有佐麗祖。154_318b策功匡翼。簪組蟬嫣。世載名德。亹亹成均。厥有詞學。補衍經義。成廟動色。內翰無年。是生石壁。再鳴以文。知申繼跡。公濟厥美。受材英特。鶱于科試。翔于禁掖。儐幕竗選。公應其辟。湖堂累世。衆所罕覿。方面司喉。綽有裨益。運値昏淫。倫常斁蝕。公奮其忠。與建大策。翊扶聖主。鞏安社稷。逆帥詬犬。三京霧塞。王狩于南。公執羈靮。遂長論思。遂參籌劃。迺師儒宮。迺賓儲席。克淸內訌。重勘勳籍。遞秉兩銓。振揚淹側。文苑主盟。頡頏谿澤。請開言路。宥還罪謫。思遏利源。保養民力。恒陰以風。憂在兵革。先事陳謨。證曏古昔。154_318c上察忱誠。人推遠識。相府潭潭。公乃峻陟。有評以衊。有辨以晢。困敦之冬。虜騎充斥。彼砠漢山。從王矢石。易子爨骸。禍迫朝夕。奔走先後。益殫勞勣。北人徵師。錦州之役。同我先祖。奏對懇激。父母之邦。服事二百。再造洪恩。寧忘萬曆。兵刃相加。我心攸衋。時際艱虞。義深休戚。邊情實封。豈嫌憂服。西船泛海。大致隣嘖。公以首相。係于徽纆。元良新喪。望屬季歷。議多順旨。公對以直。忠鯁之操。老而彌篤。象緯告災。離日俄昃。隱卒有加。哀榮備極。公有勳業。著在竹帛。公有文章。粲如珪璧。莘莘後承。善慶攸積。子壻並顯。義154_318d烈騈植。峽岫峨峨。寔藏公魄。我作銘詩。昭玆千億。
계곡선생집 제25권
오언 고시(五言古詩) 162수

 

서산 군수(瑞山郡守)로 나가는 홍택방을 전송한 시[送洪澤芳出守瑞山]

 


홍후가 처음 군수 발령 받았을 때 / 洪侯初作郡
안색이 무척이나 환해지기에 / 顔色頗敷腴
내가 농담삼아 홍후에게 물었었지 / 我戲問洪侯
고을 수령 나가는 게 좋은 계책 되겠는가 / 作郡非良圖
영원이 비록 산관(散官)이라 하더라도 / 伶院雖冗官
사무를 총괄하는 중대부로서 / 判事中大夫
녹봉(綠俸) 말고도 따로 더 지급 받고 / 俸外有支給
굽실거리는 수행원도 어디 한둘인가 / 馬前多騶徒
가끔씩 관사에 들르게 되면 / 有時到官舍
하루 종일 실컷 즐거움 맛보나니 / 盡日饒歡娛
법부에선 함지(咸池)며 소호(韶頀)를 연주하고 / 法部奏咸韶
교방엔 미녀들 늘어서 있지 / 敎坊羅娃姝
궁중 음악 한 번 연습시키면 / 高頭一按拍
합주곡 은은히 울려 퍼지고 / 鍾鼓雜笙竽
질리게 듣다가 시끄럽게 느껴지면 / 聒耳却厭聽
궤안(几安)에 기대어 에헴 하면 되는 것을 / 隱几時捋鬚
장남은 그야말로 공주의 부마(駙馬) / 大兒尙貴主
번화가(繁華街)에 위치한 크고도 넓은 저택 / 甲第臨通衢
오후정 따위야 말할 것 없고 / 何論五侯鯖
대궐의 음식까지 함께 맛본다네 / 內膳分天廚
바둑 친구에 술 친구들 / 棋朋與酒伴
낮이고 밤이고 서로들 불러 모아 / 日夕相招呼
못 가게 잡아 놓고 함께 술잔 비우면서 / 投轄共擧白
장이야 멍이야 노름판도 벌이는데 / 對枰爭呼盧
모르겠네 지방으로 내려가서도 / 不知作郡去
이런 즐거움을 누릴 수 있을런지 / 還有此樂無
책상에 쌓인 문서 산더미 같고 / 文書積几案
드나들 때면 주묵(朱墨)에 눈이 아찔 / 出入眩墨朱
독우에겐 허리를 구십 도 꺾고 / 折腰向督郵
눈살 찌푸리며 세금 닦달해야 하리 / 顰眉責逋租
더구나 지금은 호구조사(戶口調査) 행하는 때라 / 況當料民日
대조 작업 벌이느라 한창 바쁠텐데 / 旁午煩追符
방추(防秋) 계획 약간만 차질이 나도 / 須防略差跌
혹독한 곤욕을 면하지 못하리라 / 不免暴肌膚
그러니 누구와 혹독한 술잔을 들며 / 酒醪誰與共
누구와 시 한 수 읊을 수 있겠는가 / 嘯咏誰與俱
하염없이 서울만 바라보면서 / 悠悠戀京闕
근심 띄운 낯빛으로 처자를 대하리니 / 悄悄對妻孥
고을 살림 육 년 간 떠맡다 보면 / 懸知六載間
홍안(紅顔)도 고목처럼 시들시들해지리라 / 贏得朱顔枯
이에 홍후가 대답하기를 / 洪侯向我道
그대는 어찌하여 나를 모르는가 / 子寧不知吾
남아로 태어나 한세상 살아가며 / 男兒處世間
스스로 유쾌하게 지내면 그뿐인 걸 / 適意自快媮
이익 명예 각축하는 세상을 보게 / 市朝競利名
한 발 내딛기가 겁나지도 않던가 / 著足成畏途
그래서 예로부터 배포 큰 사람들도 / 從來濩落人
벌써 스스로 머리 쓸 줄 알았다네 / 已自識頭顱
나는 옛날 동방삭처럼 / 不學東方朔
배우들과 어울려 살 줄도 잘 모르고 / 混迹群侏儒

장계응처럼 가을바람 불어오자 / 難追張季鷹
순채국 생각나서 사직하기도 어렵다네 / 發興思蓴菰
그러니 어떤가 관리로 숨어 살며 / 何妨兼吏隱
강호에 노닐면서 만족스럽게 사는 것이 / 滿意遊江湖
동평의 완씨(阮氏)는 얼마나 질탕했고 / 跌宕東平阮
전당의 소씨(蘇氏)는 풍류 어떠하였던가 / 風流錢唐蘇
전세(田稅) 거두어 납부를 한 뒤엔 / 公田旣收秫
어민들이 농어를 바칠 터이니 / 漁戶時供鱸
아전들과 어울려 노래를 하고 / 歌呼和吏胥
취토록 마시며 한껏 뻐기리라 / 醉飽聊於于
세금 독촉이나 백성 돌보는 일 / 催科與撫字
그저 일따라 소탈하게 처리하고 / 隨事任疎迂
뜻에 안 맞으면 당장에 인끈 풀고 / 意䦨便投紱
귀거래사(歸去來辭) 읊으면 될 것 아닌가 / 歸去田園蕪
아 훌륭하다 홍후의 인품이여 / 洪侯眞可人
이제는 떠나시라 주저치 말고 / 去矣莫踟蹰
이내 몸 가소로운 늙은 좨주는 / 笑殺老祭酒
소금밥 먹고서 아침 저녁 보내는데 / 虀鹽度朝晡
시 한 수 지어서 전송하려니 / 作詩欲相送
귀신이 야유할까 두려웁구나 / 恐被鬼揶揄


[주C-001]홍택방(洪澤芳) : 택방(澤芳)은 홍영(洪霙)의 자(字)이다.
[주D-001]영원(伶院) : 장악원(掌樂院)을 말한다. 홍영이 인조 4년(1626)에 장악원 정(掌樂院正)으로 있다가 서산 수령에 부임하였다.
[주D-002]법부에선 …… 연주하고 : 궁중의 정통 음악을 들을 수 있다는 말이다. 함지는 요(堯) 임금의 음악이고 소호는 순(舜) 임금의 음악이다. 법부는 원래 법곡(法曲)으로서 악곡(樂曲)의 이름인데, 여기에서는 음악을 담당하는 부서(部署)의 뜻으로 쓰였다.
[주D-003]교방(敎坊) : 일종의 기생 학교로서, 장악원의 좌방(左坊)에서는 아악(雅樂)을 가르치고 우방(右坊)에서는 속악(俗樂)을 가르쳤다.
[주D-004]장남은 …… 부마(駙馬) : 홍영의 장남 주원(柱元)이 선조(宣祖)의 딸 정명공주(貞明公主)에게 장가들었다.
[주D-005]오후정(五侯鯖) : 보통 맛볼 수 없는 진미(珍味)를 말한다. 한(漢) 나라 때 누호(婁護)라는 사람이 다섯 명의 제후에게서 얻은 각종 고기를 끓여 만든 요리라 한다. 《西京雜記 2》
[주D-006]주묵(朱墨) : 주필(朱筆)과 묵필(墨筆)을 가지고 장부를 정리하는 것으로서, 보통 관청의 사무를 집행하는 것을 말한다.
[주D-007]독우(督郵) : 지방 행정을 감찰하기 위해 나온 관원이다.
[주D-008]나는 …… 모르고 : 동방삭처럼 익살을 부리며 도회술(韜晦術)을 발휘할 줄을 모른다는 말인데, “옛날 사람은 깊은 산속에 들어가 세상을 피했지만 나는 조정에 들어와 세상을 피하고 있다.”는 동방삭의 말이 전해 온다. 《史記 卷126》
[주D-009]장계응(張季鷹) : 계응은 진(晉) 나라 장한(張翰)의 자(字)이다. 제왕 경(齊王冏)에게 벼슬하여 동조연(東曹掾)으로 있다가, 가을바람이 불어오자 불현듯 고향의 고채(菰菜)와 순채국과 농어회가 생각나, 마침내 관직을 그만두고 돌아갔다는 고사가 유명하다. 《晉書 卷92》
[주D-010]동평의 완씨(阮氏) :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으로 일찍이 동평상(東平相)이 되었던 완적(阮籍)을 가리킨다. 《三國志 卷21》
[주D-011]전당의 소씨(蘇氏) : 전당(錢唐)은 항주(杭州)로서, 송(宋) 나라 신종(神宗) 때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을 반대하다 항주 통판(杭州通判)으로 나갔던 소동파(蘇東坡)를 가리킨다. 《宋史 卷338》


學圃先生文集卷之五
 [銘]
神道碑銘 幷序○洪良浩 a_021_212d


檀君之時。有三神人降于瀛洲之漢挐山。開國稱乇羅。中世。渡海朝新羅。適有客星見。賜號星主。改良氏爲梁。東國之梁。皆本於耽羅。仕高麗多顯官。入我朝。有諱悌。判書雲觀事。於公爲高祖也。曾祖諱思渭。021_213a祖諱湛。考諱以河。文行世其美。妣海州崔氏。文憲公沖之後也。以成宗十九年戊申生先生。諱彭孫。字大春。自髫齔。穎達特異。七歲。魁白日場。邑宰見而奇之。勸留書室。公起拜而辭曰。臨民聽訟之堂。非邑子所居。方伯巡到召見之。欲試其才。命題以天地日月。公請紙筆卽書曰。天地爲吾量。日月爲吾明。方伯驚異之。手書以贈曰。海鶴之姿。秋月之精。他日龍門。大闡芳名。自是一道稱梁神童。十三。就學于知止堂宋公欽。留數日。論性理之學。宋公歎曰。吾東傳道之責。其在斯人。語主守曰。古稱子國有顏子。今子邑之梁021_213b秀才是也。自是從學於宋公。與同門羅松齋世纘,宋俛仰純。爲道義之交。常以小學律身。精密篤實。德器漸成。及長。聞靜菴趙先生倡明正學。執贄遠訪。昂然有致君澤民之志。先生爲之畏服。稱以需世之大器。中廟五年庚午。中生員第二名。靜菴爲同榜進士第一。相從講質無虛日。靜菴嘗曰。吾與梁同年語。如芝蘭之薰人也。贊其氣像曰。霽。後秋天。纖雲初捲。明月皎皎。入欲淨盡。丙子。又中文科。選湖堂。聲名蔚然。尋入瀛館。中廟方銳意求治。公以堯舜君民爲己任。程朱道學爲宗旨。每入經筵。必整衣肅容。齊心021_213c積誠。對方冊如敬神明。上問孔門之學所業何事。對曰。仁而已矣。上問何謂之仁。復對曰。仁。人心也。聖人因其本然之心。先致其知而誠其意。發爲仁政。措諸事業。故正朝廷。理萬民。必本於是心。上稱善。時靜菴感不世之遇。負兼濟之責。便欲唐虞斯世。與沖菴金公。援引同志。協力共貞。朝著肅淸。公與金大柔,金老泉,奇子敬,安順之,蔡英之。往候鄭文翼公光弼。鄭公曰。贊襄治道。專在玉堂。今見公輩。吾無憂矣。一夜。南衮以竹杖便服乘月來訪曰。當今經濟之策。吾難獨任。環顧朝著。可與共事者。無出公右。公其不021_213d我遺耶。公正色答曰。如有經濟之志。何不見趙光祖乎。我遐方之人。高官顯職。自是分外。協贊之責。尤何敢當。衮誘說百端。公終不應。衮知其不可屈。去謂人曰。嘗聞南方之人寬和。今見梁某。愚而愎。決不可用也。當時講官。稱四學士。公及奇遵,朴世熹,崔山斗是已。與之更日侍講。公進言曰。大學之止至善。中庸之致中和。卽人主爲學之極功。而其本在於明德率性。其要在於愼獨。眞實之誠。主一之敬。卽一心之主宰。萬事之綱領。聖學所以徹頭徹尾者也。尤嚴於賢邪進退之幾曰。陰陽爲天地之大對。君子小人。互爲消021_214a長。自古聖王。深軫扶抑之方。君子之進。如茅斯拔。小人之退。如廬斯剝。此否泰二卦所以占治亂之源也。在前席。援據經傳。開釋旨義。自天人性命之理。王霸公私之辨。縱橫反覆。不避繁複。惟期開發聖心。朝講輒至日昃。晝講或致宵分。上竦然傾聽。然聖體疲倦。或欠伸作氣。御床戛戛有聲。群小傍伺暗揣。咸思陰中之計。公性度溫粹。體若不勝衣。言若不出口。而至於辨別淑慝。勇往直前。且以名節砥礪。有意激揚頹俗。嘗與靜菴。論及靖國勳曰。成希顏,朴元宗輩雖有大勳。素無學識。且陷於柳子光之譎計。猥錄其021_214b子弟之無尺寸勞者。人心咸憤。此非朝家小事也。靜菴曰。塞利源。勵世道。莫先於削勳錄也。己卯冬。靜菴爲大司憲。與諫長李成童合啓。請削勳券之僞濫者。上不允。公爲弘文校理。與副提學金絿,應敎奇遵,修撰沈達源。聯箚極論。上引見。諭以重難之意。十一月。靜菴又連啓。爭之甚力。十一日。上不得已許之。時南衮爲淸議所不容。常怏怏。至是知上意厭儒臣。與勳臣花川君沈貞,南陽君洪景舟密議。先以巧舌危言。宣播宮禁。假造蟲篆。恐動天聽。至十五日。諸臣將稟定勳券之當削者。是夜。衮貞,景舟等。從021_214c神武門乘昏潛入。合啓趙光祖等謀不軌。事機甚急。其辭曰。奸黨朋比。聲勢相倚。誣上行私。國勢顚倒。請付有司。明正其罪。皆詣閤外。張燭列坐。公方在禁直。與承旨尹自任,注書安珽相語曰。安有政院玉署不知而潛入之事乎。俄而中使申順剛。出召兵曹參議成雲爲承旨。雲趨入。安珽攀雲帶曰。史官在此。承旨何敢獨入。雲撞珽臂而去。飭門者禁他人。公與珽皆不得入。三更。緹騎四出。逮囚趙光祖,金淨等八人于獄。將殺之。公聞諸公在囚酌酒相訣之語。不勝悲憤。仰天垂涕。館學生及坊民樂工吏胥等。皆聯章訟冤。021_214d守闕號哭。公尤不欲生。與典翰鄭譍。率館僚抗疏力爭曰。國之有士猶人之有元氣。氣喪則人亡。士殄則國喪。建寧之黨禍起而漢祚衰。煕豐之正士銷而宋室危。斯固然之明鑑。旣覆之前轍也。言極剴切。至於叩頭流血。時領相鄭光弼涕泣牽裾。天怒小霽。遂得減死。分配靜菴綾城。沖菴錦山。凶黨又啓公及參贊李耔,應敎奇遵,承旨朴世熹。幷請拿處。賴領相力救。公與李耔獨免。公卽歸綾城舊居。靜菴適配此土。日夕相從。靜菴曰。吾兩人得從遊於此。殆不偶爾。與之切偲。以遂初志。庶無大過矣。未幾。李蘋爲大司諫。021_215a李沆爲大司憲。十二月十三日。合啓請加律趙光祖黨。幷書公名及安瑭,金安國,李若氷等三十九人于一紙以啓。又請罷賢良科。公惴惴若不保朝夕。與靜菴相守。每以處困不失亨交勉。怡然忘其牢騷。一日。靜菴謂公曰。吾儕此禍。實係時運。歎之何益。吾則死耳。二十日。靜菴賜死之命至。公執手相訣。皆無一言。但曰。自靖獻吾王而已。吾輩幾何不相從耶。是日。大雪深尺餘。風凄日慘。人不堪其寒。公獨坐謫廬外。終日哭泣。親自殮殯。設奠致哀。還誦愛君如愛父。憂國若憂家之句。悲歌擊節曰。恨不與斯人同歸。021_215b每逢其受命之日。必齋沐奠酒果。痛哭乃止。衮旣殺靜菴。又議定黨人之律。或削奪官爵。或付處。或罷職外補。凡三十七人。而公名在削奪中。於是善類竄逐盡矣。越二年辛巳冬。宋祀連急書告安處謙與詩山正謀殺衮。逮詔獄鍛鍊。衮又上疏曰。安瑭以無狀小人。任銓衡爲領袖。趙光祖等二十二人。分授淸要。管執樞機。異己者則曰心術不正。附己者則曰頗有經術。群聚結朋。今其餘黨。包藏禍心。爲梟爲獍。幸賴天佑。凶謀敗露。請嚴刑峻法。明示顯罰。遂標榜禁錮。公自靜菴死後。屢登凶啓。禍將不測。遂絶意世事。築021_215c小堂于中條山中。扁其堂曰學圃。左右圖書。不出戶庭。衿懷沖澹而持敬益嚴。言行動遵矩矱。敎訓子弟。納於義軌。家庭肅然如朝廷。南中學者多摳衣請業。公皆謝遣曰。獨不見晦翁黨錮後蔡西山血脚事耶。癸巳。中廟始悔。先放流配人。公亦與金正國諸公。幷蒙收敍。公終不出。人有勸之曰。上心幡然。善類甄復何不一出展所學耶。公搖手止之曰。吾爲世大僇。何顏更出。遂託以痼疾。益自韜晦。未幾。金安老用事。復錮黨人。禍烈前日。人始服公之先見。丁酉。都憲梁淵。劾安老賜死。公及柳仁淑。首蒙甄用。召以021_215d經筵雷肆。終不膺。末乃除龍潭縣令。公曰。君命不可屢辱。強赴任。治化大行。有猛虎橫行。多殺傷人。公爲文祭于山。自是虎徙他境。人以比古之北渡河。未幾棄歸。乙巳。仁廟卽阼。臺啓請敍黨人。太學疏請靜菴復爵。上卽允之。是歲七月。上昇遐。公號痛日夜。竟以八月十八日終于家。享年五十八。葬于綾之雙峯里。公以高明之姿。純正之學。遭逢盛時。群賢彙征。庶幾致三代之隆。不幸壬人媾禍。網打善類。廢斥田野。若將終身。及至孝陵嗣位。邦運回泰。死者伸而竄者召。庶幾挽回世道。復見至治。昊天弗弔。021_216a龍馭遽昇。公亦未踰月而歿。嗚呼。民之無祿。於公何憾焉。世之論者。以信道直前。觸忤物情。病己卯士類。或謂之好名喜事者有以激成。雖以金思齋之學識。亦曰。鷄鳴煩啓。事近逼迫。日是罷講。自速厭倦。正如元祐黨人當分其責之語。惟退溪先生曰。今世爲士者。猶知尊王道黜霸術。尙正學排異端者。伊誰之功歟。斯可謂不易之正論矣。崇禎三年。士林建請以公配靜菴。餟享干綾州竹樹書院。又以子松川公貴。推恩贈吏曹參判。公之立朝僅四載。官職踐歷。平日著述。逸於兵火。皆無傳焉。配錦山金氏銛女。繼配021_216b淸州韓氏。孝恭女。子長應箕。有學行。應台。禮曹參議。應鼎。幷魁生員文科重試三場。官大司成。世稱松川。應畢應德。皆參奉。應國。早卒。女歸進士鄭仁富。參奉鄭仁洪。側室男知遯。能文章。參奉。知命。早夭。應箕子山立。以孝贈戶參。山翰早卒。山秀。軍資監正。山浚。早卒。山迥。宣務郞。女歸生員高季英。應台子山厚。別提。山重。女歸文九容。以烈旌閭。金洪匀。進士。應鼎子山海。贈戶參。山龍。生員。以孝旌閭。山璹。工曹佐郞。以忠立祠旌閭。贈左承旨。山軸。以孝旌閭。女歸金弘漢。李慶男。軍資監正。金光運。進士。以烈旌閭。側室021_216c男羲之。參奉。應畢子山旭。禮賓奉事。應德子山杭。寧海府使。女歸安重武。應國無嗣。女歸鄭昕。文科監察。鄭仁富子復。參奉。行,待。鄭仁洪子。溟,濚,。皆進士。澐縣監。銘曰。
國朝中興之業。莫盛於丙寅之靖國。而士林斬伐之禍。莫烈於己卯之憯毒。蓋其千載遭逢。明良相得。一朝危讒。如入左腹。余讀史至此。未嘗不掩卷而太息也。人或謂求治太銳。責難無漸。有違於大易之納約。然使斯人正誼而明道。尊王而黜霸。是誰之力也。惟公進退不失其正。出處不變其確。超然爲元祐完人。021_216d竊余仰其高識。鐫此數尺之石。永垂後人之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