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성공 안렴사공파/崔君斗望墓表(안렴사공)

崔君斗望墓表 (안렴사공)

아베베1 2012. 3. 18. 22:01

 인재집 ( 訒齋集 )
형태서지 | 저 자 | 가계도 | 행 력 | 편찬 및 간행 | 구성과 내용
  형태서지
권수제  訒齋先生文集
판심제  訒齋集
간종  목판본
간행년  1778年刊
권책  原集 13卷, 別集 2卷, 拾遺, 年譜, 附錄 합 9책
행자  10행 21자
규격  22×16.2(㎝)
어미  上下二葉花紋魚尾
소장처  原集ㆍ別集 : 서울대학교 규장각, 年譜ㆍ附錄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도서번호  규장각 : 古3428-682, 국립중앙도서관 : 한46-가1149
총간집수  한국문집총간 67
 저자
성명  최현(崔晛)
생년  1563년(명종 18)
몰년  1640년(인조 18)
 季昇
 訒齋
본관  全州
시호  定簡
특기사항  金誠一, 鄭逑의 門人. 李潤雨, 盧景任과 교유
 가계도
 崔致雲
 參奉
 崔深
 
 東萊鄭氏
 鄭熙佐의 女
 德陽奇氏
 敎導 奇遇의 女
 星山李氏
 秉節校尉 李智源의 女
 崔昕
 
 崔晛
 
 義城金氏
 府使 金復一의 女
 崔山輝
 府使
 朱應邦의 女
 
 昌寧曺氏
 
 載寧李氏
 
 女
 
 李景祿
 忠義衛

기사전거 : 行狀(李象靖 撰), 崔深墓碣銘(張顯光 撰, 旅軒集 卷12), 崔深言行錄(崔晛 撰)에 의함
 행력
왕력 서기 간지 연호 연령 기사
명종 18 1563 계해 嘉靖 42 1 6월 10일, 善山府 海平縣 松山 私第에서 태어나다.
선조 3 1570 경오 隆慶 4 8 杜谷 高應陟에게 수업하다.
선조 4 1571 신미 隆慶 5 9 8월, 모친상을 당하다.
선조 8 1575 을해 萬曆 3 13 金烏書院에서 공부하다.
선조 14 1581 신사 萬曆 9 19 봄, 臨河에서 鶴峯 金誠一을 뵙고 수업을 청하다. ○ 7월, 義城金氏와 혼인하다.
선조 20 1587 정해 萬曆 15 25 2월, 부인 金氏의 상을 당하다.
선조 21 1588 무자 萬曆 16 26 3월, 生員試에 합격하다. ○ 昌寧曺氏와 혼인하다.
선조 22 1589 기축 萬曆 17 27 6월, 부친상을 당하다.
선조 25 1592 임진 萬曆 20 30 봄, 金吾郞에 추천되다. ○ 여름, 왜란이 일어나자 義兵을 일으켜 盧景任을 義兵將으로 삼고 자신은 掌書가 되다. ○ 8월, 義城으로 피난하다. ○ 9월, 右巡察 鶴峯先生에게 편지를 올려 방어책을 논하다. ○ 12월, 부인 曺氏의 상을 당하다.
선조 26 1593 계사 萬曆 21 31 1월, 金谷에서 지내다. ○ 載寧李氏와 혼인하다. ○ 鶴峯先生을 곡하다.
선조 27 1594 갑오 萬曆 22 32 1월, 巡察 韓孝純에게 글을 올려 善山에 屯田을 설치하도록 청하다. ○ 〈琴生異聞錄〉이 완성되다.
선조 28 1595 을미 萬曆 23 33 〈友愛箴〉을 짓다.
선조 29 1596 병신 萬曆 24 34 1월, 體察使 李元翼에게 편지를 올려 三綱九目을 진달하다.
선조 30 1597 정유 萬曆 25 35 1월, 體府 從事官 金涌에게 편지를 보내 山城에 木柵을 설치할 계책을 논하다. ○ 健齋 朴遂一을 哭하고 先妣 李氏를 上林에 改葬하다.
선조 31 1598 무술 萬曆 26 36 2월, 健元陵 參奉이 되다. ○ 王子師傅에 擬望되다. ○ 南還하여 九條疏를 올리다. ○ 9월, 典牲署 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다.
선조 33 1600 경자 萬曆 28 38 1월, 郭再祐에게 편지하여 방어책을 논하다.
선조 36 1603 계묘 萬曆 31 41 4월, 朝命으로 「亂中雜錄」을 撰輯하다.
선조 37 1604 갑진 萬曆 32 42 李彥迪을 伸辨하는 疏를 올리다.
선조 39 1606 병오 萬曆 34 44 9월, 文科에 丙科로 합격하다.
선조 40 1607 정미 萬曆 35 45 3월, 薦擧로 藝文館 檢閱에 제수되다. ○ 7월, 사직소를 올리고 고향으로 내려가다. ○ 10월, 「杜谷先生遺集」을 찬수하다.
선조 41 1608 무신 萬曆 36 46 2월, 待敎가 되다. ○ 3월, 說書가 되다. ○ 5월, 정언이 되다. ○ 〈九知銘〉을 짓다. ○ 8월, 冬至使 書狀官으로 중국에 가다.
광해군 1 1609 기유 萬曆 37 47 5월, 張顯光을 찾아 뵙고 「周易」과 「太極圖說」을 강하다. ○ 10월, 정언에 제수되었으나 길에서 呈狀하여 체차되다. ○ 12월, 不知巖에서 泗水로 가서 寒岡先生을 뵙고 書院入享事와 喪禮諸條를 논하다.
광해군 2 1610 경술 萬曆 38 48 2월, 지평이 되다. ○ 실록청 겸춘추가 되다. ○ 4월, 弘文錄에 들다. ○ 5월, 평안도 암행어사로 나가다. ○ 10월, 體府 從事官이 되다. ○ 12월, 舟師勾管司 從事官에 차임되다.
광해군 3 1611 신해 萬曆 39 49 2월, 辭朝하고 南下하다. ○ 洗兵館에서 統制使 李慶濬과 兵事를 논하다. ○ 6월, 玉山에 이르러 晦齋先生 사당을 배알하다. ○ 11월, 鏡城 判官에 제수되었으나 곧 체직되다.
광해군 4 1612 임자 萬曆 40 50 2월, 실록청 겸춘추가 되다. ○ 3월, 舟師 從事官으로서 兩南 巡撫御史를 겸하다. ○ 10월, 수찬이 되다. ○ 11월, 鳥嶺 主屹山城 巡審御史가 되어 聞慶에 내려가 山城의 형세를 살피다. ○ 부교리가 되다. 비변사의 鳥銃廳 都廳을 겸하다.
광해군 5 1613 계축 萬曆 41 51 3월, 시강원 문학이 되다. ○ 4월, 정언이 되다. ○ 5월, 피혐하고 그날로 富平에 우거하다. ○ 7월, 고향으로 돌아오다. ○ 12월, 金溪에 있으면서 「鶴峯先生言行錄」을 찬집하다.
광해군 6 1614 갑인 萬曆 42 52 1월, 金溪에 머물면서 「鶴峯先生遺集」을 校讎하다. ○ 11월, 「冶隱先生行錄」 및 「杜谷先生遺集」을 校讎하다.
광해군 7 1615 을묘 萬曆 43 53 9월, 부인 李氏의 상을 당하다.
광해군 8 1616 병진 萬曆 44 54 1월, 尋源에 가서 머물다. ○ 9월, 還鄕하다.
광해군 10 1618 무오 萬曆 46 56 〈一善誌〉를 완성하다.
광해군 11 1619 기미 萬曆 47 57 4월, 寒岡을 뵙고 鶴峯 行狀을 考訂하다. ○ 7월, 靑松 椒井에서 無語坪으로 돌아오다.
광해군 12 1620 경신 泰昌 1 58 1월, 寒岡을 哭하다.
인조 1 1623 계해 天啓 3 61 3월, 反正이 일어난 뒤 수찬이 되다. ○ 8월, 응교가 되다. 이후 司藝, 사도시 정, 사인, 집의, 응교, 사성, 보덕을 역임하다.
인조 2 1624 갑자 天啓 4 62 1월, 體府 從事官이 되다. ○ 지제교, 춘추관 편수관이 되다. ○ 사인이 되다. ○ 督戰御史가 되다. ○ 7월, 병조 참지를 거쳐 동부승지가 되다. ○ 10월, 대사간이 되다. ○ 11월, 병조 참지가 되다. ○ 12월, 呈辭하고 還鄕하다.
인조 3 1625 을축 天啓 5 63 봄, 형조 참의를 거쳐 예조 참의, 대사성, 부제학이 되다. 八務箚를 條陳하다. ○ 대사성 겸 승문원 부제조가 되다.
인조 4 1626 병인 天啓 6 64 2월, 우부승지를 거쳐 좌부승지가 되다. ○ 延慰使가 되어 定州에 가다. ○ 8월, 강원도 관찰사가 되다.
인조 5 1627 정묘 天啓 7 65 오랑캐가 平山에 들어오자 漢江을 防守하고 道內에 檄文을 띄워 義兵을 일으키다. ○ 龍骨山城의 義兵將 鄭鳳壽에게 軍需를 보내어 돕다.
인조 6 1628 무진 崇禎 1 66 會寧에 유배되었다가 특명으로 放還되다.
인조 8 1630 경오 崇禎 3 68 겨울, 무함을 받아 감옥에 갇혔으나, 곧 특명으로 석방되다.
인조 10 1632 임신 崇禎 5 70 「東國通鑑」을 저술하다.
인조 14 1636 병자 崇禎 9 74 12월, 淸兵이 쳐들어오자 고향에서 義兵을 일으키다.
인조 15 1637 정축 崇禎 10 75 1월, 軍旅를 정돈하여 聞慶 杜谷에 진을 치다. ○ 3월, 아들 崔山輝를 哭하다. 張顯光을 곡하다.
인조 18 1640 경진 崇禎 13 78 6월 4일, 金山 鳳溪의 別墅에서 卒하다. ○ 8월, 예조 판서에 贈職되다. ○ 9월, 善山 默語坪으로 返葬되다.
숙종 33 1707 정해 康熙 46 - 4월, 鄕人이 松山에 社를 세워 位版을 봉안하다.
영조 52 1776 병신 乾隆 41 - 9월, 松山社를 昌林洞으로 移建하다. ○ 李象靖이 行狀을 짓다.
정조 2 1778 무술 乾隆 43 - 6대손 崔光璧이 三治堂에서 문집을 간행하다. (崔光璧의 後識)
정조 9 1785 을사 乾隆 50 - 6대손 崔光璧이 續集을 간행하다. (李獻慶의 續集序)

기사전거 : 年譜에 의함
 편찬 및 간행
저자의 시문이 편찬, 간행된 경위는 6대손 崔光璧이 적은 後識에 자세히 언급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유고는 家禍로 散佚되고 또 몇 권의 手稿도 화재로 소실되었다. 이에 族孫 崔象乾ㆍ崔斗南이 代를 이어 遺稿를 모았으나 책을 이루지는 못하였다. 그 후 5대손 崔壽頤 등이 여러 일가에 소장되어 있던 유고를 모아 비로소 草稿를 만들어 成編하고, 權斗寅과 權斗經의 校正을 받았다. 이어 권두인에게 墓碣銘을, 권두경에게 跋文을 받았으나 서문이 없어 간행하지 못하였다. 그 시기는 權斗經의 跋文이 지어진 1718년(숙종 44)경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후 6代孫 崔光璧을 비롯한 族人들이 재차 간행을 도모하여 財源을 마련하고, 이미 만들어진 定稿本을 바탕으로 淨寫하여 李象靖, 蔡濟恭, 丁範祖에게 질정을 받는가 하면 李象靖에게 行狀을, 蔡濟恭에게 神道碑銘과 序文을, 丁範祖에게 墓誌銘과 序文을 부탁하여 받았다. 또한 여러 族人의 집안에서 찾아낸 手本日記 등을 바탕으로 經筵講義 및 年譜를 만들고, 關西錄 1권, 逸稿 2권과 함께 李象靖과 朴孫慶에게 질정을 받았다. 그리하여 최종적으로 편차를 마쳐 原集 13권, 別集 2권, 拾遺 1권, 年譜 1권, 附錄 1권 합 18권으로 만들어 1778년(정조 2)에 三治堂에서 목판으로 開刊하고 고을 士林들의 도움을 받아 4개월 만에 완성하였다. 《초간본》 「鏤板考」에 의하면 본집의 판목이 善山의 松山書院에 소장되어 있었는데, 문집 간행이 저자의 세거지인 善山의 族人들에 의해 완료된 뒤 저자가 배향된 松山書院에 판목이 보관된 것으로 보인다. 현재 규장각(古3428-682), 국립중앙도서관(한46-가1149)에 소장되어 있는데, 규장각장본에는 年譜와 附錄이 빠져 있다.
7년 뒤인 1785년(정조 9)에는 또 崔光璧에 의해 續集이 간행되었는데, 朝天錄과 初刊에 누락되었던 詩文을 모아 7권 3책으로 만들어졌고 李獻慶이 序文을 썼다. 《속집》 권1~5는 朝天錄이고, 권6은 朝天 때의 呈文, 狀啓, 中原禁物, 書冊禁物, 中原物價, 所經路呈이며, 권7은 拾遺로 詩, 書, 序, 雜著, 祭文과 附錄이다. 이 속집은 현재 誠庵古書博物館(4-898), 계명대학교 중앙도서관(오811. 081)에 소장되어 있다.
본서의 저본은 1778년 간행된 초간본으로, 원집과 별집은 규장각장본이고 연보와 부록은 국립중앙도서관장본이다.

기사전거 : 序(丁範祖, 蔡濟恭 撰), 跋(權斗經 撰), 後識(崔光璧 撰), 續集序(李獻慶 撰)에 의함
 구성과 내용
본 문집은 原集 13권, 別集 2권 拾遺, 年譜, 附錄으로 구성되어 있다.原集은 권수에 1775년에 쓴 丁範祖의 序와 1778년에 쓴 蔡濟恭의 序가 실려 있고, 이어 目錄이 있다.권1은 詩 128題와 敎文 4편이다. 詩는 크게 오언시(28), 칠언시(52), 만시(48)의 차례로 편차되어 있고, 각기 절구, 율시, 고시의 순으로 실려 있다. 여러 곳에 자세한 自序가 실려 있고, 編者註도 달려 있다. 맨 앞에 晦齋先生의 遺宅을 지나며 지은 〈澄心臺〉(1594)와 不知巖에 들러 旅軒先生을 만나 지은 〈次張旅軒韻〉(1617)을 실어 尊師의 의미를 두었다. 1608년 冬至使 書狀官 때 지은 〈過首陽山有感〉과 〈山海亭詠懷〉, 1611년 舟師 從事官으로 全州를 지나며 지은 〈威鳳寺有感〉, 1620년 西厓先生의 꿈을 꾸고 지은 〈記夢見西厓先生〉 등이 있고, 輓詩는 鄭宗溟, 鄭經世, 張顯光, 鄭逑 등에 대한 것이다. 敎文은 1610년 知製敎, 1623년 舍人, 1624년 兵曹 參知로서 지어 올린 교문들이다.권2~5는 疏, 箚子, 啓, 書啓, 狀啓이다. 疏는 1598년 고향에 물러나 있으면서 올린 〈陳時務九條疏〉 이하 15편이 연대순으로 편차되어 있고, 맨 끝에 1624년에 逆賊의 供招에서 이름이 나왔다 하여 올린 〈兵曹參知時原情疏〉가 있다. 箚子는 交河 遷都를 반대하며 올린 4편의 玉堂箚가 앞쪽에 있고, 그 뒤로 玉堂과 司諫院 시절 올린 차가 5편이 있다. 啓는 1613년 正言 시절 올린 避嫌啓부터 1626년 承旨로서 올린 계사까지 8편이 연대순으로 실려 있다. 書啓는 1608년 冬至使 書狀官으로 중국에 갔을 때 別單으로 올린 1편이다. 狀啓는 1627년 江原 監司 시절 丁卯胡亂을 당하여 올린 4편이다.권6~7 앞부분은 講義이다. 1608년(선조 41) 4월부터 5월 사이에 행한 書筵講義와 1623년(인조 1) 4월, 5월, 6월, 10월과 1624년 7월부터 9월 사이에 행한 經筵講義에 대한 일기 형식의 글이다. 이는 후손 崔光璧이 手本日記 등을 찾아 정리한 부분이다.권7~9 앞부분은 書 28편이다. 대표적인 서찰로 1592년 9월에 右巡察使 鶴峯 金誠一에게 보낸 편지와 1600년 兵使 郭再祐에게 보낸 편지가 맨 앞쪽에 편차되어 있고, 그 뒤로 다시 왜란 기간 중 金誠一, 朴晉, 韓孝純, 李元翼 등에게 보낸 편지와 1596년 이후 曺友仁, 鄭仁弘, 尹文擧, 朴惺, 金長生, 鄭經世 등에게 보낸 편지가 있다.권9~13은 雜著(18), 序(4), 記(7), 跋(5), 箴(1), 銘(1), 箋(2), 祝文(2), 祭文(26), 墓碣(4), 墓誌(6), 行錄(4)이다. 雜著는 앞쪽에 1603년 亂後 事蹟을 찬집할 때 道內에 通文한 글과 1604년 善山의 月巖書院 건립을 위해 一鄕에 통문한 글, 왜란 때 開寧의 義兵을 일으키며 지은 통문이 실려 있고, 檄文, 書, 論, 呈文, 遺書 등 다양한 글이 있다. 跋은 「寒岡集」, 「杜谷集」에 대한 跋 등이며, 祭文은 丹山과 月巖書院 奉安文과 金誠一, 鄭逑, 高應陟 등에 대한 제문이다. 行錄은 先考, 杜谷 高應陟, 鶴峯 金誠一의 言行錄 등이다.別集은 2권으로, 앞에 目錄이 있다.권1은 關西錄이다. 1610년(광해군 2) 平安道 暗行御史 시절 지은 狀啓, 書啓 등을 모아 놓은 것이다. 권2는 書啓와 狀啓이다. 원집에서 누락되었던 3편을 실어 놓았는데, 1612년 巡審御史로서 赤裳山城을 살피고 나서 올린 書啓, 1608년 冬至使 書狀官으로 갔을 때와 1624년 李适의 난을 평정하고 올린 狀啓이다.拾遺는 원집과 별집에 빠진 글들을 다시 모은 것인데, 앞에 目錄이 달려 있고 詩 3수, 書 2편, 事蹟이 실려 있다. 〈嘲鄭仁弘〉 詩와 〈答鄭仁弘書〉 등 鄭仁弘을 배척하였음을 나타내는 글과 〈三仁事蹟〉으로 籠巖 金澍, 丹溪 河緯地, 耕隱 李孟專 등 月巖書院에 봉안된 세 선생의 事蹟이다.끝에 1718년 權斗經이 지은 跋과 1778년 崔光璧이 初刊 때 지은 後識가 있다.그 뒤에 年譜와 附錄으로 李象靖이 지은 行狀(1776), 權斗寅이 지은 墓碣銘(1716), 蔡濟恭이 지은 神道碑銘(1778), 丁範祖가 지은 墓誌銘(1775), 기타 仁祖의 賜祭文, 祭文, 挽詞가 실려 있다.

필자 : 金圻彬

 

寓軒先生文集卷之七

 墓表
崔君斗望墓表 a_147_127c


嗚呼。余尙忍銘君墓耶。余不天。纍然在疚。猶視息此世。而見君之入土。余不死是毒。忍能操筆爲君銘耶。顧君之淑而文。迺不克自見于世。其生也不少延。死147_127d而遂泯焉。非我一言。其孰知君者。又孰知夫四尺高之爲君封耶。君名斗望。字君重。完山人。高麗時有諱均爲禮部侍郞。贈尙書左僕射。僕射之子諱甫淳。守太師門下侍郞平章事修文殿太學士諡文定。崔氏始大顯。君其後也。高祖諱晛號訒齋。以文學鳴。官至觀察使。贈禮曹判書完城君。曾祖諱山輝。靑松府使。贈戶曹判書完海君。始觀察使嘗詿誤吏議。就理事叵測。完海公泣守圓門外。會有圖不軌者。公卽上變。觀察使以故得釋。公錄勳得竭忠效誠寧社功臣號。兩世封錫。忠孝以著。祖諱爾博司果。考諱應147_128a乾副護軍。皆早世不曜。護軍娶苞山郭氏爲繼室。是生君。郭氏世稱多聞人。典籍諱瀜。君外祖也。君幼俊異。六歲始讀書。警悟強記。敎者不勞。八九歲出語穎脫。人咸奇之。年十五。護軍歿于京。君隨母南歸。旣早孤。惟慈訓是承。語及家世。輒痛泣自奮。稍長博通諸子。爲文必尋求古作者軌躅。不止爲進取計。其舅郡守公世楗亟稱其文章才。旣又從漆谷李參奉榮世學。李公篤厚有文行。愛君誠懇。磨勵警飭。業益進。公對人稱道吃吃。謂訒齋翁有孫。君服公義。感公衷款。亦亹亹譚公懿不敢忘。蓋不顓以文詞相許也。旣冠147_128b聘于豐山。吾女也。余與之處。叩其所存。益信二公言不虛。每相對語竟夕。余未嘗不自失。又自賀得彊輔也。君性地安和。志行修潔。奉慈顏無違志。旣迎婦。歸語曰吾失學。無以悅吾親。君能一意愉婉以順適之。吾望也。居恒循默。語不及家務。視產業泊如。又不喜與人徵逐。觀於人惡夫性坌而言夸。遇拙訥者。卽曰是也。常謂人惟虛受方有進。樂聞人訂砭。至語道理看文字。見解精透。多人所不及。潛思有得。必有箚錄。孜孜求益。意不在速化。其趣尙又如此。君素多病。壬戌春。遇癘幾殆。少間有事于京。以暑行以寒歸。病增147_128c劇。以十月二十七日不起。距生年戊戌二十五。方疾劇。示余一篇文藁。乃近作也。讀之鬱然有體格。氣力較奇健。余慰曰文若是。病無憂也。竟不驗。悲夫。以君之資與志。宜遠到者。而至於斯。非命也耶。用明年二月癸巳。窆君于上林山未向之原。君祖塋隔一壟。南距默坪舊居數百武。君婦抱一子甫三歲。名壽傑。孩提學語。呼孃而不知爺。嗚呼。余尙忍見諸銘曰。
嗟維君宅玆麓。邇乃祖傍故屋。尙安歸壅後福

 

 

 

艮翁先生文集卷之十六
 
成均生員。贈嘉善大夫戶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五衛都捴府副捴管松湖崔公墓誌銘。 a_234_335c


獻慶少宦嶺外。屢途洛東西。聽於邦人之臚言。有錫類之福曰崔上舍。富而好禮曰崔上舍。其後四十餘年。至今與兵部左侍郞崔君光璧。相遇於京師。從遊甚歡。君盖上舍公之第三郞也。一日以公行狀授獻慶。請墓銘甚懇。義不敢辭。謹受而讀之。槩不出舊所聞。而實過於聞者尙多。侍郞君亦善士。以制守之有方。知承受之有自。於乎可銘也夫。公諱壽仁字得之。234_335d其先全州人。高麗門下侍中文成公諱阿實爲鼻祖。其後自麗入我。簪纓不絶。至諱水智。文科縣監。贈都承旨。始居善山之海平。遂爲善山大姓。又四世有諱晛。宣廟朝登文科。以文學名德。歷敭淸顯。至副提學江原監司。世稱訒齋先生。後以胤子諱山輝錄寧社勳。推恩贈禮曹判書完城君。山輝通政府使贈戶曹判書完海君。於公爲高祖。曾祖諱爾博副司果。祖諱體乾贈太僕正。考諱斗樞贈左承旨。妣贈淑夫人坡平尹氏。郡守以復之女。戶曹判書毅立之曾孫也。公以肅宗丙子十一月十八日生。234_336a幼有至性。得父母歡心。旣長能盡志物之養。常有愉婉之色。侍疾必謹。喪致毁祭致敬。終身慕不衰。遇珍果異味。輒泫然語曰。雖欲孝。誰爲孝。戒諸子母遠親側曰事親日短。吾常恨之。伯氏早歿。事嫂如事伯。捨己長子而命之後。處姊妹兄弟。靡不恩厚。待朋友隣里。各盡忠欵。訓誨子侄。榘法斬絶。各因其材而篤之。其偏而矯之曰某也當若是。某也不當若是。又曰士當以恭儉忠信爲本。汝曹若不加意於此。吾何望乎。周愼寡默。隱惡揚善。平居接物。恂恂以和。至爭義理。毅然有立。輕財喜施。貧竆皆歸。嘗連歲大饑。悉盖藏234_336b以賑貸之。州里全活者甚多。卒焚券以捐之。聞者義之。少治擧業。屢發鄕解。庚申中生員試。選曹聞公名。擧擬寢郞者屢。竟不得沾一命。公議惜之。晩卜訒齋松山遺址。爲棲隱之所。琴書以自娛。人謂松湖翁。公雖老于家。身泰名完。子孫盛多。四時進醵。斑衣繞膝。咸稱福厚之人。正色率下。持家嚴整。閨門之內。常若朝廷。不失法家之舊。斯非錫類之效。好禮之驗歟。乙丑丁母夫人憂。因毁成疾。戊辰十月五日。考終于正寢。享年五十三。葬于海平縣東反伊洞酉坐之原。配恭人眞城李氏祔于墓南負庚爲塋。實同兆異原也。234_336c恭人縣令守謙之女。縣令公實主退溪先生祀。敎子女必以先生家訓。故恭人自幼服習。有女士行。及歸于公。所以事親奉祭。治公家衆。助公家範。悉由是訓推焉。以甲戌十一月十四日生。庚子三月二十八日歿。壽八十七。以子光璧貴。公贈嘉善大夫戶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五衛都捴府副捴管。恭人贈貞夫人。有六男二女。長光玉進士。次光岳俱中生員進士。次光璧文科參判。次光翊進士。次光稷生員。次光廸進士。光玉出爲伯父後。光岳主公祀。婿嚴球前縣令。南憲老前敎官。光玉生三男。溟羽進士。陽羽,章234_336d羽。三女南巖老參奉,權尙燦,李敬儒。光岳生二男鳳羽,龍羽。一女李致淳。光璧無子。以陽羽爲後。生員直長。三女洪義浩文科承旨權堪,張時翰。側室男女皆幼。光翊生二男鶴羽,鴻羽。六女李汝榦,朴基敬,鄭夏澗,金星久,朴光新,洪喆休。光稷有繼子文羽。光廸生二男五女。男舜羽,文羽。女李載延,李鼎賚,餘幼。嚴球生三男。思建進士,思憲文科修撰,思彦。二女南庚老,李應德。南憲老生二男履緯,履綏。二女任希紹進士,朴東載。內外曾孫不錄。銘曰。
衆刦刦以馳。獨坦坦以嬉。我仁是求。天被維祺。匪亟234_337a匪徐。俟乎久遠而益知。

 凝川日錄[三]
戊辰


正月
初三日夕。竹山居二人告變。許逌擧兵謀逆。欲於初四日犯闕云。聞黃縉與其孼妹夫金日聲上來。使金詣政院告變云。竹山居二人告變。傳曰。大臣禁府堂上捕盜大將兩司長官兵判命招。問事郞廳尹坪朴潢李行遠李景奭。○初四日去夜庭鞫罪人李繼先尹繼倫金裕善柳養善柳宗善李慶恒李大奇金伊男李鄗永堅仇里金朴民貴希金克鑌得男莫乃林德發李伸英日年。告者申尙檜等二人。拿囚元情。守伊永己文孫張德武鄭進拿囚。貴希刑問十八度承服。李友明刑問一次。李繼先加刑一次。又黃縉許選玉選杜見許逌於今金拿囚。罪人貴希軍器寺前路行刑。罪人朴民仇里金放還。○初五日許逌招內。李友明言。大駕在江都時。廢主送密書于鄭昌衍趙挺金藎國崔瓘云。鞫廳稟旨。自上命勿爲拿問。去夜申尙檜杜見黃縉許選玉選放。告變人也。尹金伊裴丑鄭遴柳訒朴千億許逌拿囚。元情後。許逌永己鄭進刑問各一次。李繼先金伊男加刑各一次。李廷哲拿囚。金伊男承服。軍器寺前行刑啓。傳曰。告變人等。來在客托。不無飢餒之事。自內當饋酒饌。招來後啓知。告變人四人招來。解杻枷賜酒。大憲李弘胄大諫趙翼。以許逌招歷見柳訒云云。而不爲請鞫。引避見遞。傳曰。告變人金振聲等並放送。留待鞫廳。傳曰。大槩鞫廳兩司長官有故。則次官入參規例。而只請停鞫。不稟古規。當該承旨難免歇看逆獄之罪。拿推。承旨金蓍國拿囚。罪人李繼先鄭進永己壓沙。鄭遴刑問。李大奇李鄗放送。希世拿囚啓。罪人許逌李友明面質後。加刑承服。內官斐希道李暘拿囚。○初六日京監書目。竹山呈許逌妾等捉囚。許秘密上疏上送事。罪人許逵拿囚。希世放送。庭鞫罪人李繼先鄭進永己鄭遴加刑不服。李暘尹繼倫景龍裴丑張德武柳振亨天男玉成各刑問一次不服。裴丑承服。○初七日去夜罪人尹繼倫刑問一度。李暘刑問施爲次。玉成刑問二度幷承服。裴丑鄭遴面質。許逌李友明面質。許逵加刑承服。李繼先永己鄭進鄭遴壓沙。具山斗閔聖復鄭沁安執中南應敏拿囚。景龍加刑後壓沙。柳振亨天男加刑。具山斗鄭沁刑問一次。又鄭進景龍加刑不服。鄭遴加刑承服。金推近拿囚。罪人李暘玉成軍器寺前行刑。尹繼倫鄭沁面質。具山斗鄭沁加刑。安執中刑問。金就礪拿囚。鄭沁加刑六度承服。閔濬拿囚。李繼先火刑不服。許逵鄭遴行刑啓。鄭進景龍加刑不服。永己加刑承服。鄭漋拿囚。右相金瑬上疏。鐫臣本職及兼帶體察使之任。付臣司敗。議正臣罪事。槪聞鄭遴承服時。以右相爲首云。答曰。卿以元勳。位望俱重。故奸賊設此凶計。欲爲構陷而病國。其計可謂兇且慘矣。卿須勿爲介意。體予至懷。速出參鞫事。遣承旨敦諭。○初八日罪人金應虎金應彪拿囚。罪人斐希度火刑。安執中加刑承服。金就礪鄭漋刑問。閔濬刑問承服。斐希度壓膝後。與金應虎鄭洱拿囚。金推近放送。竹山罪人金孝立趙憲立金鶴拿來。裴希度承服。金崙柳孝立金應獅拿囚。假都事崔太根李起門拿囚。以柳孝立金崙過限拿來也。罪人鄭沁更推。李繼先加刑。鄭進加刑承服。景龍具山斗鄭漋加刑。內人業伊香伊拿囚。金就礪閔濬加刑。安執中裴胤壓沙。尹繼倫許逌壓沙。裴希度與內人香伊業伊面質。金世益拿囚。鄭漋壓沙。○初九日去夜罪人柳孝立柳養善柳宗善李廷哲金世益金應虎刑問。裴希道火刑。金應虎加刑。趙挺趙有道拿來。備忘大槪。逆獄事軆。至重且嚴。內官中姓裴者。仍在闕內不當之意下敎。則內官辛大容崔彥恂。顯有營救之色。幷拿推。罪人柳孝立宗善養善金應虎加刑。鄭漋閔濬李廷哲加刑。銀孫唜香趙海淵金鑊金璜拿來。李濰拿來。鄭沁與柳孝立面質。柳宗善加刑。安執中與趙有道面質。金世益加刑承服。柳斗立拿來。罪人許逌尹繼倫李友明裴希度鄭沁金永己安執中鄭進軍器寺前行刑。合司啓。仁城君珙出於諸賊之招者。前後非一。至有與賊濧親約。發家僮九十餘名等語。事至於此。則聖明雖欲保全。亦不可得矣。請令廟堂議處。答曰。因予不肖。逆變繼起。予實慚痛。無以爲心。今此賊招中。雖有凶慘之語。皆是凶徒借重之計。仁城豈有預知之理乎。更勿提起此論。以安予心。合啓。金克鑌早出賊口。辭語極緊。請依鞫廳啓辭刑推。答曰。令鞫廳更爲議處。罪人具山斗壓沙。李繼先金應虎柳養善加刑。閔濬壓沙。金應虎刑問。柳孝立加刑三度承服。景龍火刑。鄭漋壓沙。○初十日罪人趙挺唜香銀孫放送。趙憲立元情承服。李天成李貴成韓惟吉李大明李碩果李挺李元培拿來。景龍金應虎閔濬加刑。柳宗善承服。金應獅加刑承服。柳養善加刑。金克鑌刑問。李繼先物故。柳孝立金世益軍器寺前行刑啓。柳斗立趙憲立刑問。金應虎壓沙。吳燦閔宏鄭藎朴應寶拿來。柳斗立加刑承服。金應虎承服。具山斗加刑。李貴成放送。鄭漋加刑。李廷哲姑停刑推。趙憲立加刑。柳養善壓沙。金克鑌加刑。具山斗閔濬火刑。玉堂箚。仁城快從合司之論事。答曰。賊招雖極兇慘。皆是借重之語。決不可取信。更勿瀆擾。院啓。判中樞趙挺供招之辭。有爲舊主懷二心之語。其心所在。斷可知矣。請絶島遠竄。府啓。趙挺供辭有曰。旣已委質於聖明。若爲舊主又懷二心。則死亦甘心。觀其語意。有若全不知光海之爲得罪於倫紀之人。請絶島安置事。答曰趙挺前無身犯之罪。不可以供辭中所失竄黜。罪人趙憲立加刑。柳養善壓沙。金克鑌加刑。具山斗閔濬火刑。○十一日禁府。崔晛會寧定配啓。京監書目。陰竹呈閔淵捕捉上送事。罪人具山斗金克鑌物故。府啓。柳斗立招內。柳忠立奴子。江華圍籬處。常常往來。上年十月書札。纔到堤川云。其不謹守直之狀。極爲駭愕。請其時內官幷拿推。答曰依啓。罪人金就礪閔濬李濰韓惟吉加刑。金應彪加刑承服。柳養善壓沙。金應虎閔淵面質。禮曹啓。告廟時。逆魁問於鞫廳。則以柳孝立爲魁云。不卜日以來。十二日告廟陳賀頒敎之意。敢啓。依啓。罪人鄭碩德鄭語鄭韵于音山莫金拿來。罪人金應獅金應虎金應彪趙憲立柳斗立行刑啓。閔淵刑問二次。柳養善壓沙後火刑不服。○十二日去夜閔淵壓沙。于音山放送。傳曰。判中樞鄭昌衍待命闕門外云。退去調理事。遣承旨諭之。罪人閔濬李廷哲物故啓。○十三日禁府書目。江華圍內內人一人段。以所持小刀。自剄卽斃。任姓人段置。亦爲自頸。不至大段。擔持上去事。江華內人愛英仁玉拿囚。罪人金就礪物故。罪人閔牒閔卓立金鐸拿囚。○十五日江監書目。原州囚鄭洎父大海致死事。賓廳。二品以上啓仁城君珙按律處置事。答曰。兇逆之徒。已盡伏誅。今雖容貸。似難更圖不軌。諸卿須軆予至意。勿爲更煩。罪人李廷韓惟吉加刑。權就成拿來。罪人李濰軍器寺前行刑啓。愛英仁玉元情。李廷韓惟吉壓沙。仁玉刑問。權就成元情。罪人閔淵物故啓。禁府。金蓍國李行遠李起行崔大根崔繼勳。蒙宥放送。內官辛大容崔彥恂元情。判付。罪犯非細。似不可全釋。已經大赦。除刑放送。罪人金鐸閔牒徐國才徐鎭卿刑問。仁玉加刑。○十六日傳曰。明日江華圍內當下送內人。禁府都事持開金下去。入內人後上來。政院啓。右議政使之安心參鞫事。傳敎矣。累出賊口。惶恐不敢入參云。傳曰。遣承旨敦諭。又出於金鐸招辭云。院啓。金裕韓仁發等。自有眞主之說。同出於逆賊仁居之招。韓仁發請幷拿鞫。依啓。罪人閔牒徐國才行刑。罪人韓惟吉李廷壓沙。假都事金俊元。以柳希亮處絞事。巨濟地出去。罪人李溥拿來。○十七日罪人朴英達龍伊拿囚。李廷韓惟吉仁玉物故。閔卓立承服後。年未滿濟州定配。朴英達李義景云。許龍伊愛英實伊刑問二次。景云加刑承服。李傅李義朴貴奉實伊壓沙。愛英加刑。鄭藎閔宏鄭碩德朴應寶金崙刑問二次。呂裀吉刑問。江都書目。守直內官傳言。光海不食呼泣辭緣事。府啓陽智縣監李厚培。偃然直啓。已極可駭。至於伸理犯逆罪人。其爲愚濫。不可不懲。請罷職。答依啓。○十八日禁府。呂裀吉物故。合啓趙挺事。答曰遠竄。罪人李傅朴英達實伊李義愛英閔宏鄭藎金崙鄭碩德林德發李坤榮龍伊柳振亨加刑。愛英姑停刑推。景云李坤英林德發行刑。啓李憬拿來。李義實伊朴英達鄭碩德朴應寶閔宏壓沙。○十九日罪人鄭藎金崙鄭碩德加刑。閔宏朴應寶壓沙。李溥李義火刑。朴英達龍伊加刑二次。韓忠實柳柏壽刑問。○二十日罪人愛英許龍伊朴英達閔宏鄭碩德金崙物故。宗室仁城君事啓辭。答曰。因予無似。遭此無前之變。日夜慚悶。無以爲心。宗戚諸卿。又出此言。尤極驚悶焉。屈情從法。予所不忍。須勿瀆擾。罪人李義加刑物故。鄭藎停刑。朴應寶柳振亨韓忠吉實伊加刑不服。吳燦放送一年。莫乃今鶴保放。李璟金伊守伊文孫放送。○二十一日罪人朴應寶物故。實伊柳振亨韓忠吉加刑。愛金伊放送。閔孝伯二男拿來。百官合司三啓。答曰。予從前曲護仁城。期使安享。邦運不幸。遽遭大變。俯仰慚靦。無以爲心。私情雖重。公議難遏。故不得不勉從。今姑出置。以絶兇徒窺窬。合啓。趙挺絶島安置事。依啓。罪人閔孝伯刑問二次。壓沙承服。許拿來。問情放送。莫同刑問。金景善拿來。濟州書目。大靜圍籬罪人善胤物故。啓。罪人閔孝伯行刑。禁府。趙挺南海定配。啓。○二十二日罪人任性之拿來。韓忠吉實伊物故。莫同加刑。政院啓大槪。逆珙出置事。捧承傳事。傳敎云。宗室百官三司。方以按法論啓。不得捧之意。敢啓。傳曰。議于大臣。處之可矣。禁府啓。傳敎云云。議于大臣。則尹判府事三公議。人心危懼。一邊姑爲出置。似不可緩。令禁府急急擧行宜當。傳曰。依議施行。傳曰。李繼先許逌等奴婢田畓文書。令該曹區處。禁府啓大槪。姑先出置事。傳敎矣。議于大臣。則百官三司。方以按律論啓。姑先出置濟州旌義縣。此非尋常宰臣之類。本府都事同宣傳官。且令兵曹擇定別將押去。而令京畿忠淸全羅道。別定差事員。多率軍人擁護。次次交付何如。傳曰依啓。濟州太遠。出置于珍島。本郡定配罪人。幷移配于他道。傳曰。前仁城君赴配所時。中使及守直內官。當爲下去。一路給馬下送之意。言于禁府。罪人莫同任性之加刑三次後。壓沙不服。柳振亨金景善加刑。强順從元情後放送。禁都柳東輝別將李元榮宣傳官李允升。珍島珙押去。○二十三日罪人柳振亨物故。任性之分同莫同加刑後壓沙。○二十四日庭鞫。任性之莫同火刑。分同刑問二次。二男放送。鄭藎物故。備忘。今此兇逆之變。千古所無。許等聞卽馳告。使宗社危而復安。可謂忠貫日月。功存宗社。似當錄勳。以褒其忠。令大臣議啓。回啓曰。兇逆之徒。內外相應。犯闕之期。在於其夜。而許聞卽發告。其功偉矣。依聖敎錄勳宜當。傳曰依啓。禁府啓。逆魁孝立子益善。當爲緣坐。而時在堤川地。郞廳發遣處絞之意。敢啓。傳曰依啓。諸子中年未滿者。姑爲拿囚。罪人莫同任性之加刑壓沙。答百官合司曰。自古遭如此之變者。未嘗不參酌情法而處之。王法雖重。私恩不可偏廢也。以此觀之。則今日處置。實爲得中。而卿等猶不停止。不亦過乎。卿等經年論執。斷不可從。退而思之。○二十六日罪人任性之物故。大臣啓。許詣闕將勘勳。而言曰。在竹山時。以書送于洪瑞鳳處。京中上變等事。瑞鳳當知之。必須與瑞鳳議勘定之云。洪瑞鳳命招。使之勘定。傳曰依啓。合啓大槩。仁興君瑛絶島安置事。仁城君奴僕令該曹按簿移屬事。答曰。輕論不可論之意。昨日已諭。而今又更煩。予甚怪焉。爾等退而熟思。勿爲更煩。且奴僕今姑置之可矣。罪人鄭赫鄭蓂拿囚。罪人具廷赫刑問三次。鄭蓂還送捕盜廳。具廷赫壓沙。○二十七日罪人具廷赫。加刑二次後壓沙。○二十八日罪人柳性善拿來。具廷赫加刑後壓沙。洪瑞鳳許等上疏。鞫廳諸臣。明有幷錄之例。仰候睿裁事。踏啓字下。去夜大臣元勳。勘勳封入。○二十九日勘勳。一等許洪瑞鳳。二等金瑬申欽吳允謙黃性元許禊黃縉許選尹昉徐渻金自點韓汝溭李景稷李曙申景禛。三等李厚培李厚源李聖求鄭經世金尙憲尹墀朴潢李景奭金光炫李行遠金得聲金振聲申瑞檜李義培崔山輝李斗堅。右贊成李貴箚子大槪。以告變等第言之。告逆魁者。當爲首功。則崔山輝告賊魁柳孝立三父子。及鄭沁尹繼倫李繼先等。皆承服。而許告許逌等兇謀。山輝之功。不下於許。而許爲元勳。山輝僅參於三等末端。洪瑞鳳反爲第二元功。而沈命世終令山輝告變。而獨不得參。果可謂賞得其實乎。且治逆者錄勳。識者寒心。而今觀錄功。告變者有功。而反居三等。官高秩崇者。反居其上。後日告者落莫。亟罷參錄者。以其所給奴婢田畓。優給告者。以爲永壽國脉事。罪人梁應男具喆具珏拿囚。政院啓。元勳書三公名於等第中。故三公嫌逼未安避出。單子不得捧入之意。敢啓。答曰知道。三公箚大槪。勘勳只錄告變時宣力人等。亟停推官幷錄之命。答曰。卿等之功。過於己丑推官。今日參勳。少無不可矣。○三十日罪人具廷赫物故。政院啓。勘勳單子。昨已啓下。尙未捧承傳。今因問事郞廳並錄。有冒濫之敎。捧承傳事。何以爲之。傳曰。捧承傳可也。假都事金俊元。柳希亮緣坐處絞後入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