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관련 자료 /도봉산 도봉사

삼각산 북한산성 과련자료

아베베1 2012. 4. 23. 22:07

 
 
 
     
 

 

북한산성금위영이건기비(北漢山城禁衛營移建紀碑)  
 
 

 

 

북한산 금위영 이건기

숙종이 37년 신묘년 4월에 훈련도감과 어영청, 금위영에 명을 내렸다. “백제의 옛 성을 개축한 뒤 각각 군영을 설치한 다음 목적지에 군량을 저장하고 무기를 준비하여 국가가 변란을 맞아 다급할 때 장차 서울의 백성들과 함께 하늘이 내린 이 요새를 지킬 수 있게 하라.”
그 해 10월 성을 완축한 뒤 금위영을 설치했다. 용암(龍巖) 동남쪽으로부터 보현봉(普賢峯) 아래까지는 2821보이고 1,065개의 살받이가 있다. 성문은 대동문(大東門)과 소동문(小東門) 둘이고 문 위에 초루(譙樓)와 암문(暗門) 두 개를 설치했다. 시단봉(柴壇峯)에 장대를 짓고 그 아래 방옥(房屋) 10간을 두니 성랑 61채에 모두 178간이다. 보국사(保國寺), 보광사(普光寺), 용암사(龍巖寺), 태고사(太古寺)의 네 절에 소속시켰다.
군대의 영사와 창고는 90여 간으로 처음에는 소동문 안에 세웠는데, 그 지세가 높고 비바람이 거셀 뿐만 아니라 모퉁이에 물길이 나서 무너지기 쉬워 을미년(1715년) 3월에 보국사 아래로 옮겨 세웠다.
초관 곽의빈(郭義賓)이 재력을 잘 관리하고, 파총 장우진(張友軫)이 공사를 잘 감독하여 8월에 완성을 고하게 되었다. 돌계단 120보를 쌓고 중당은 부손(負巽:동남을 뒤로 함) 방향으로 지었는데, 중군 이하가 거처할 곳과 창고, 행랑 등 모두 해서 145간이다.
산이 깊은 물을 품고 있어 맺은 것이 더욱 완고하니 영원히 보호할 만한 곳이라고 한다. 을미년(1715)은 곧 대명 숭정 갑신년 후 72년이다.

도제조 이이명(李頤命) 기록.

 

北漢山城禁衛營移建記碑

    北漢山城禁衛營移建記
     今上三十七年辛卯四月分 命訓
  局御營及本營改築百濟古城各
  置軍營御信地廋糧備械 國家
  異日緩急將與都民共守此天險
  也其十月城役完本營等自龍巖
  東南至普賢峯下二千八百二十
  一步一千六十五垜城門二曰大
  東小東皆上設譙樓暗門二柴壇
  峯爲將臺下有房屋十間城廊六
  十區凡一百七十八間保國普光
  龍巖太古四寺屬焉營舍倉庫九
  十餘間初設于小東門內以其地
  勢高風雨萃倉隅當水道易傾壞
  乙未三月移建于保國寺下哨官
  郭義賓經紀財力把摠張友軫董
  領攻役至八月告成石砌一百二
  十步中堂負巽中軍以下各所及
  倉廏門廊共一百四十五間山抱
  水深結構增固可以永護儲胥云
  乙未卽 大明崇禎甲申後七十
  二年也 都提調李頣命識

 
 

 

 

 

 

북한산승도절목명문(北漢山僧徒節目銘文)

 

 

北漢僧徒節目」
北漢山城卽保障重地也寺刹之剏建僧徒之募」
入是豈徒然哉卽由於爲山城守護之意是去」
乙夫何挽近以來僧殘寺敗莫保朝夕此曷故焉」
盖僧徒之不殫燥濕竭力奉公者渠之所望惟」
在於摠攝一窠而每當差代城外僧圖差之弊」
比比有之由是而僧無固志散而之四勢所固然」
今當摠攝瓜遆之時若不申明定式以圖永久」
則其何以慰悅僧徒俾盡守護之責哉況受」
敎定式不啻鄭重則其在遵奉之道豈敢少」
忽茲成節目刻之于石爲去乎依此遵行毋墜成」
憲事」
一 摠攝有闕差代時依今番例初受缿笛更捧」
圈點後以多點施行俾知其公平無私之意是」
齊」
一 今此申明定式之後如有城外僧圖差者城內」
諸僧以受 敎定式及今番節目齊訴營門」
期無毀劃之地是齊」
一 今番定式寔出於爲僧徒支保之意則摠攝」
軆此憧憧之心寺弊則期於矯革奉公則克盡」
恪勤俾有來頭實效之地是齊」
乙卯五月 日寺洞金 等內」

 

 

 

 

북한산승도절목명문(北漢山僧徒節目銘文)
 
 
시대
조선
연대
1855년(철종6년)
유형/재질
비문 / 화강암
문화재지정
비지정
크기
가로 227cm, 세로 109cm
출토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소재지
(한국)경기도박물관-경기도 용인시 기흥읍 상갈리 85
서체
해서(楷書)
찬자/서자/각자
  미상 / 미상 / 미상
1855( 6) ().
325 19 , 3 . .
, 1980 .
 
(), 1998,,
 

 

 

 

북한산성금위영이건기비(北漢山城禁衛營移建紀碑)
 
 
시대
조선
연대
1715년(숙종41년)
유형/재질
비문 / 돌
문화재지정
시도지정문화재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 87호
크기
높이 112cm, 너비 235cm, 두께 22cm
출토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132번지
소재지
(한국)경기도박물관-경기도 용인시 기흥읍 상갈리 85, (한국)-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132번지
서체
해서(楷書)
찬자/서자/각자
  미상 / 미상 / 미상
 
 
() . () () , . , () () . , () ( 調) 1715( 41) . .
37 4 (), (), () () 10 . () () 2,821() . 1,065 2 (, ) . (), (), . () 4 90 3 4 . 8 .
.
 
(), , , 1999
() ; , , , 1999
(), 1998, · ,
() ; , 1998,,
(), , ,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