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석문 신도비 등/연산군 부인 거창신씨 지석

연산군부인(燕山君夫人) 신씨묘지명(愼氏墓誌銘)

아베베1 2013. 2. 21. 16:23


 

 도봉구 방학동 조선의 10대 임금이신 연산군, 거창신씨 묘지가 위치하고 있다  

   (). 1537(32)    5  () ,  () . (1476~1537) 1488( 19)  (),   () , 1506( )()    .   ()()    ,         1513( 8) () .       ,  362  .  ()     .


연산군부인(燕山君夫人) 신씨묘지명(愼氏墓誌銘)
가선대부 한성부윤 겸동지성균관사 오위총 부부총관(嘉善大夫 漢城府右尹 兼同知成均館事五衛都摠府副摠管) 정사룡(鄭士龍)은 찬(撰)하노라.

신씨(愼氏)의 선계(先系)는 거창(居昌)에서 나와 세상에 드러난 것은 신라(新羅)때 부터이다.휘(諱) 이충(以衷)은 판이천현사(判利川縣事)를 지냈고 의정부우찬성(議政府右贊成)에 증직이 되고 휘(諱) 전(詮)은 황해도관찰사(黃海道觀察使)를 지냈고 의정부 영의정(議政府領議政)에 증직이 되었다. 부(父) 휘(諱) 승선(承善)은 괴과(魁科)에 급제하였고 또 발영시(拔英試)에서 발탁이 되어 참익재좌리공신(參翼載佐理功臣)이 되었다.
벼슬은 의정부 영의정(議政府 領議政) 거창부원군(居昌府院君)에 이러렀고, 시호를 내리고 글을 지어 귀하게 여겨 삼대(三代)를 미루어 증직이 되었다.
중모현주(中牟縣主) 는 진실로 임영대군(臨瀛大君) 의 딸이다. 덕(德) 아름답고 능히 태어나 부인(夫人)의 총명하고 지혜로움을 남달라 태어난 지 여섯 해가 되어 현주(縣主)가 되어 ~ 결 ~ 를 번거롭게 여기지 않았다. 부인은 성화(成化) 무신년(戊申年)에 동궁(東宮)으로 선발이 되어 들어가 사전(四殿)을 받들어 모시기를 정성을 다하고 삼가 소학(小學)과 내훈(內訓) 등 여러 편(篇)을 수업 받으면서 끝까지 이해하지 않은 것이 없었다. 갑자년(甲子年)이후로 연산(燕山)이 황패해지자 부인(夫人)이 일마다 바로잡아 준 것이 자못 많았다. 병인년(丙寅年) 연산(燕山)이 폐위가 되어 사저(私邸)로 쫓겨나자 지금의 왕께서 왕이 되시어 민망하게 여겨 빈(嬪)의 예를 더하여 주었다. 또 서울에 집을 내리고 정현왕후(貞顯王后)께서 특별히 종을 내리셨다. 가정(嘉靖) 정유년(丁酉年) 부인이 병으로 죽자 왕께서 다시 부의(賻儀)를 내려 제사를 지내게 하고 왕후고▨(王后考▨)의 예로 장사를 지내게 하였으니 이는 모두 남다른 대우였다. 부인(夫人)은 조용하면서도 정중하고 말이 적어 연산군(燕山君)이 죽기 30여 년 동안 친척들이 ▨를 우러러 보았다. 종들이 어루만지고 사랑해주심을 받들어 대대로 이로써 종질하는 자들이 많았다. 부인(夫人) 성화(成化) 병신년(丙申年) 11월 29일에 태어나 가정(嘉靖) 정유년(丁酉年) 4월 8일죽으니
향년 61세였다. 그해 6월 26일에 양주(楊州) 도봉산(道峯山) 해촌리(海村里)의 언덕에 장사를 지내니 연산(燕山)과는 같은 지역이면서 다른 봉분이다. 부인(夫人)은 4남 3녀를 낳았는데 모두 일찍 죽고 딸 하나 만이 능천군(綾川君) 구수영(具壽永)의 아들 문경(文璟)에게 시집을 가서 아들 하나를 낳으니 ?였다. 지금 활인서 별제(活人署 別提)가 되었다. 처음엔 첨정(僉正) 심사공(沈思恭)의 딸에게 장가를 갔다가 후사가 없어 참판(參判) 황헌지(黃孝獻)의 딸에게 다시 장가를 가 딸 하나를 두니 아직 어리다. 자신이 부인(夫人)의 행장(行狀)을 찬술하여 와서 명(銘)을 청하였다. 명(銘)하기를,

살아서 영광 지극하니
죽어서도 없어지지 않네.
자식에게 맡기니
세상에 능하다고 하네.
삼종(三從)의 의리가 있지만 
쫓아서 떨친 것이 가장 귀하다네.
무덤을 새겨 들이니
자손들 ▨하리.
 
燕山君 夫人 愼氏 誌石
1
燕山君夫人愼氏墓誌銘」  嘉善大夫漢城府右尹兼」   同知成均館事五衛都摠」 府副摠管鄭士龍 撰」

愼氏之先系出居昌其顯自」
新羅始有諱以衷判利川縣」
事 贈議政府右贊成諱詮」黃海道觀察使 贈議政府」
領議政考諱承善捷魁科又」擢拔英試參翼載佐理功臣」
2
官至議政府領議政居昌府」院君 贈謚章成以貴追贈」
三代▣中牟縣主寔臨瀛大」君璆之女也婫德儷美克生」
夫人聰慧異常生甫六歲縣」主▣不煩▣▣▣▣婦則成」
化戊申選入東宮奉承」      四殿備盡誠謹受小學內訓諸」
篇靡不究解甲子以後燕山」荒悖夫人隨事進規釐救頗」
3
多丙寅燕山廢出居私第」   今上卽祚憫念有加以嬪禮供」給又 賜京第」
貞顯特賜臧獲嘉靖丁酉夫人」寢疾卒」上復賜賻祭」
命以王后考妣禮營葬皆」
異數也夫人靜重寡言君未亡」
三十餘年親戚仰其賙急僕」
妾承其撫愛世以此多之夫」
4
人生于成化丙申十一月二」
十九日終于嘉靖丁酉四月」
初八日享年六十有二是年」
六月二十六日葬于楊州道」
峯山海村里之原與燕山同」
域異塋夫人生四男三女皆」
夭一女出嫁綾川君具壽永」
子文璟生一男曰渰今爲活」
人署別提初娶僉正沈思恭」
之女無嗣繼娶參判黃孝獻」
5
之女生一女尙幼渰自撰夫」
人行狀來請銘銘曰」
生極其榮 歿又不替 托」
嗣離孫 亦云能世 義有」
三從 最貴從奮 納刻玄」
竁 用詒子後」

 거창신씨(居昌愼氏)

[요약정보]

본관명거창(居昌)
성씨명신씨(愼氏)
본관소재지경상남도(慶尙南道) 거창군(居昌郡)
본관이칭
시조명신수(愼修)

[상세내용]

본관 연혁

거창(居昌)은 경상남도 북서부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동부 지역을 가소, 서북부 지역을 임례(稔禮) 혹은 남내(南內)라 하였다. 본래 거타(居陀)‧거열(居烈)이라 불리던 것을 757년(신라 경덕왕 16) 가소를 함음현(咸陰縣)으로, 남내를 여선현(餘善縣)으로 개편하여 거창군으로 통합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여선현을 감음현으로, 함음현을 가소현으로 고쳤다가 1018년(고려 현종 9) 합주(陜州: 陜川)에 통합되었다.
1414년(태종 14)에 거제현(巨濟縣)과 합하여 제창현(濟昌縣)이 되었다. 1496년(연산군 2)에 거창군으로 승격되었다가 중종 때 다시 현으로 강등되었다. 1658년(효종 9) 안음(安陰: 安義)에 편입시키고, 1739년(영조 15)에 거창부(居昌府)로 승격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거창군이 되었고, 1937년 거창면이 거창읍으로 승격되었다.

성씨의 역사

신씨(愼氏)는 중국 천수(감숙성 위천도)에서 시작된 성씨이다.

우리나라 신씨는 송나라 개봉부 사람인 신수(愼修)가 고려 문종 때 사신으로 와서 정착한 것이 시초라 한다. 그는 문과에 급제하여 수사도(守司徒)와 좌복야(左僕射)와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역임하였으며, 1101년 사망하자 숙종이 공헌(恭憲)의 시호를 내렸다. 6세손 신집평(愼執平)이 강화도 천도 때 신호위대장군(神虎衛大將軍)으로 몽골에 대항하다 전사하였다. 그의 아들 신성(愼成)은 군기감사(軍器監司)를 역임하였으며 아버지가 사망하자 경상남도 거창에 내려가 살면서 거창신씨의 시원이 되었다.

분적종 및 분파

파명(派名)을 살펴보면, 참판공파(參判公派), 서령공파(署令公派), 양간공파(襄簡公派)로 나뉘어졌다.

주요 세거지

경기도 양평군 서종면 서후리
경기도 파주시 금촌읍 금릉리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대정리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노송리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노촌리

[참고문헌]

《姓氏의 고향》(중앙일보사, 2002)
《증보문헌비고》
《씨족원류》

[집필자]

오윤정

 성씨와 본관 
거창신씨(居昌愼氏)

[거창신씨(居昌愼氏)의 인물들]

단경왕후(端敬王后)신거관(愼居寬)신거이(愼居易)신경윤(愼景尹)신계선(愼啓善)
신공필(愼公弼)신광익(愼光翊)신구중(愼龜重)신권(愼權)신극성(愼克成)
신도성(愼道晟)신돈의(愼敦義)신명익(愼溟翊)신무(愼懋)신병조(愼炳朝)
신병항(愼秉恒)신사준(愼師浚)신사헌(愼思獻)신상흠(愼尙欽)신성흠(愼性欽)
신수(愼修)신수겸(愼守謙)신수근(愼守勤)신수영(愼守英)신승선(愼承善)
신안지(愼安之)신여경(愼餘慶)신여의(愼汝誼)신여필(愼汝弼)신영범(愼泳範)
신영수(愼榮壽)신유익(愼惟益)신의학(愼宜學)신이복(愼爾復)신이의(愼爾儀)
신이충(愼以衷)신인도(愼仁道)신자건(愼自健)신재지(愼栽芝)신재호(愼栽祜)
신종주(愼宗周)신집평(愼執平)신천익(愼天翊)신필황(愼必璜)신해익(愼海翊)
신후담(愼後聃)신후삼(愼後三)신희남(愼喜男)신희복(愼希復)신희천(愼希天)
폐비거창신씨(廢妃居昌愼氏)

[거창신씨(居昌愼氏)의 과거 및 취재 합격자]

고려문과
신수(愼脩)
고려사마
신유충(愼由衷)
무과
신덕용(愼德容)신덕창(愼德昌)신무택(愼無擇)신병대(愼炳大)신복룡(愼伏龍)
신사직(愼思稷)신상행(愼尙行)신석로(愼錫老)신성시(愼聖時)신여검(愼汝儉)
신영천(愼永天)신영천(愼永天)신용구(愼容九)신유(愼惟)신의신(愼義信)
신인길(愼仁吉)신인해(愼仁海)신지응(愼祉膺)신학명(愼鶴鳴)신행(愼行)
신형윤(愼亨胤)신호의(愼好義)신휘(愼徽)
문과
신거관(愼居寬)신경윤(愼景尹)신구중(愼龜重)신규성(愼奎晟)신기(愼幾)
신기경(愼基慶)신무일(愼無逸)신사직(愼師稷)신사헌(愼思獻)신상흠(愼尙欽)
신석태(愼碩泰)신성진(愼性眞)신승선(愼承善)신승선(愼承善)신시휘(愼始徽)
신언경(愼彦慶)신여필(愼汝弼)신유익(愼惟益)신의학(愼宜學)신이복(愼爾復)
신이익(愼爾益)신이진(愼爾晉)신인명(愼仁明)신재관(愼在寬)신재우(愼哉佑)
신전(愼詮)신종구(愼鍾龜)신종익(愼宗翼)신천익(愼天翊)신필복(愼必復)
신해익(愼海翊)신후갑(愼後甲)신후삼(愼後三)신희남(愼喜男)신희복(愼希復)
생원시
신거관(愼居寬)신거안(愼居安)신겸(愼謙)신경직(愼景稷)신광걸(愼光杰)
신광진(愼光進)신구중(愼龜重)신규인(愼奎仁)신규전(愼全)신낙범(愼洛範)
신돈(愼暾)신만(愼滿)신만중(愼萬重)신명천(愼命天)신무구(愼無咎)
신병곤(愼炳坤)신병규(愼炳奎)신병선(愼炳善)신병태(愼炳台)신석태(愼碩泰)
신성구(愼聖矩)신성도(愼性道)신세동(愼世東)신세익(愼世益)신신(愼信)
신여도(愼汝道)신여의(愼汝誼)신여필(愼汝弼)신여훈(愼汝訓)신영필(愼永弼)
신영희(愼英僖)신우익(愼友益)신의조(愼儀朝)신익(愼益)신제현(愼齊賢)
신종명(愼宗明)신종익(愼宗翼)신중권(愼重權)신중윤(愼重尹)신지권(愼持權)
신지헌(愼之憲)신지효(愼之孝)신집(愼㙫)신철(愼哲)신최경(愼㝡慶)
신치중(愼致中)신택인(愼擇仁)신필비(愼必伾)신하서(愼河瑞)신형(愼衡)
신황(愼璜)신후은(愼後恩)신후팽(愼後彭)신희눌(愼希訥)신희복(愼希復)
신희열(愼希說)신희천(愼希天)
역과
신석겸(愼錫謙)신영래(愼榮來)신위인(愼爲仁)신유경(愼惟慶)신유대(愼惟大)
신유적(愼惟迪)신유혜(愼惟惠)신유휘(愼惟徽)신이행(愼而行)신재온(愼在溫)
신재충(愼在忠)
음관
신규인(愼奎仁)신상흠(愼尙欽)신성진(愼性眞)신술인(愼述仁)신시휘(愼始徽)
신영익(愼永益)신영익(愼永益)신의묵(愼宜默)신의학(愼宜學)신재기(愼在璣)
신재기(愼在璣)신재우(愼載祐)신철인(愼徹仁)신택인(愼擇仁)신필복(愼必復)
진사시
신경윤(愼景尹)신극정(愼克正)신기문(愼起門)신대균(愼大鈞)신대련(愼大連)
신동진(愼東鎭)신득권(愼得權)신무(愼懋)신무일(愼無逸)신사적(愼思迪)
신사준(愼師浚)신사헌(愼思獻)신삼준(愼三俊)신상곤(愼相坤)신석삼(愼錫三)
신성윤(愼聖尹)신수갑(愼守甲)신술인(愼述仁)신약흠(愼若欽)신여즙(愼汝楫)
신우선(愼友善)신유(愼有)신유익(愼惟益)신이겸(愼爾謙)신이대(愼爾大)
신이익(愼爾益)신이헌(愼爾憲)신인룡(愼寅龍)신제원(愼濟遠)신준성(愼駿晟)
신처권(愼處權)신천익(愼天翊)신철흠(愼哲欽)신택경(愼宅慶)신필각(愼必珏)
신필인(愼必仁)신한(愼僴)신호겸(愼好謙)신후담(愼後聃)신휘(愼徽)
신휘전(愼徽典)신희남(愼喜男)신희집(愼希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