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 관련 사항 /충북 괴산 관련 자료

충북 괴산군 관련자료

아베베1 2013. 3. 6. 22:41

 

 아들이 지난 3월  4일날 국방의 임무를 위하여  중앙군사학교에 입교를 하였다   

  저와 처가 함께 아들을 군사학교에 입교를 시키고 왔는데  괴산이란는 지명을 느티나무괴자를 쓴다고

  하여 괴산의 자료를 찾아 보았다  

l

 

신증동국여지승람 제14권
확대원래대로축소
 충청도(忠淸道)
괴산군(槐山郡)


동쪽으로 연풍현(延豐縣) 경계까지 22리이고, 남쪽으로 청안현(淸安縣) 경계까지 38리이고, 서쪽으로 음성현(陰城縣) 경계까지 29리이고, 북쪽으로 충주(忠州) 경계까지 17리이고, 서울까지의 거리는 2백 94리이다.
【건치연혁】 본래 고구려 잉근내군(仍斤內郡)인데 신라에서 괴양군(槐壤郡)으로 고치고, 고려에서 괴주(槐州)로 고치었다. 현종(顯宗) 9년(1018)에 충주(忠州)에 붙였다가 뒤에 감무(監務)를 두었고, 본조(本朝) 태종(太宗) 3년(1403)에 지괴주사(知槐州事)로 승격하고, 13년에 지금 이름으로 고치고 규례에 따라 군(郡)을 만들었다.
【관원】 군수(郡守)ㆍ훈도(訓導) 각 1인.
【군명】 잉근내(仍斤內)ㆍ괴양(槐壤)ㆍ괴주(槐州)ㆍ시안(始安).
【성씨】 본군 강(强)ㆍ안(安)ㆍ음(陰)ㆍ피(皮)ㆍ방(邦)ㆍ진(秦)ㆍ지(智)ㆍ라(羅) 모두 속성(續姓)이다. 이(李)ㆍ노(盧)ㆍ신(申)ㆍ점(占)ㆍ백(白)ㆍ율(律)ㆍ택(宅)ㆍ물(物)ㆍ직(直)ㆍ형(刑)ㆍ박(朴)ㆍ안(安) 모두 일본(日本)이다. 모갑 장(張)ㆍ종(宗)ㆍ석(石).
【산천】 금산(錦山) 군 서쪽 2리에 있는데, 진산(鎭山)이다. 대원산(大原山) 군 동쪽 1리에 있다. 원성산(元城山) 군 동쪽 21리에 있다. 산 남쪽은 바로 경상도 경계이다. 송명산(松明山) 군 동쪽 12리에 있다. 보광산(普光山) 군 남쪽 26리에 있다. 산 꼭대기에 작은 우물이 있다. 남산(南山) 군 남쪽 3리에 있다. 군대산(軍岱山) 군 동쪽 13리에 있다. 소마산(小馬山) 군 서쪽 25리에 있다. 목소산(目所山) 군 북쪽 10리에 있다. 송현(松峴) 군 서쪽 20리에 있다. 모현(茅峴) 군 동쪽 20리에 있다. 구을현(仇乙峴) 군 남쪽 13리에 있다. 도차의현(道車衣峴) 군 북쪽 20리에 있다. 괴진(槐津) 군 동쪽 7리에 있는데, 곧 충주(忠州) 달천(達川)의 상류이다. 남천(南川) 군 남쪽 2리에 있다. 그 근원이 둘이 있는데, 하나는 구을현에서 나오고 다른 하나는 송현에서 나온다. 북천(北川) 군 북쪽 1리에 있다. 근원이 도차의현에서 나와서 대원산(大原山) 밑을 지나 남천과 합류하여 괴탄(槐灘)으로 흘러 들어간다.
【토산】 옻[漆]ㆍ지치[紫草]ㆍ인삼(人蔘)ㆍ꿀[蜂蜜]ㆍ안식향(安息香)ㆍ복령(茯笭)ㆍ산무애뱀[白花蛇]ㆍ누치[訥魚].
【누정】 존빈루(尊賓樓) 객관(客館) 북쪽에 있다. 군수 안요경(安堯卿)이 중수하고, 관찰사 이숙함(李叔瑊)이 누(樓)의 편액(扁額)을 고쳐 읍취(挹翠)라 하였다. ○ 이승소(李承召)의 시에, “장정(長亭)과 단정(短亭)을 지나 다하니, 푸른 산 깊은 곳에 외로운 성이 있다. 높은 다락이 뾰족 솟았으니 하늘 바람이 내리고, 비가 자욱히 내리니 시내 물이 난다. 버들은 허리를 흔들어 묘한 춤을 보이고, 산은 그린 눈썹을 비끼어 한가한 정(情)을 자아낸다. 사신의 질탕히 노는 것 사람들이 웃는 대로 놔두고, 사롱(紗籠)으로 내 이름을 보호하게 말라.” 하였다. 피서정(避暑亭) 객관 서쪽에 있다.
【학교】 향교(鄕校) 군 서쪽 1리에 있다.
『신증』지금은 옮겨서 군 북쪽 2리에 있다.
【역원】 인산역(仁山驛) 군 동북쪽 2리에 있다. 탄제원(灘濟院) 괴진(槐津) 언덕에 있다. 풍정원(楓井院) 군 남쪽 13리에 있다. 북암원(北巖院) 군 북쪽 5리에 있다. 반상원(伴相院) 군 동쪽 7리에 있다. 익철원(益哲院) 군 서쪽 34리에 있다.
『신증』 【교량】 괴탄교(槐灘橋) 군 동쪽 7리에 있다.
【불우】 의상암(義相庵) 원성산(元城山)에 있다. 성불사(成佛寺) 송명산(松明山)에 있다. 보광사(普光寺)ㆍ소마사(小馬寺) 모두 보광산(普光山)에 있다.
【사묘】 사직단(社稷壇) 군 서쪽에 있다.
『신증』지금은 옮겨서 군 동쪽 2리에 있다. 문묘(文廟) 향교에 있다. 성황사(城隍祠) 군 동쪽 2리에 있다. 여단(厲壇) 군 북쪽에 있다.
【고적】 유창(柳倉) 옛날에는 세이창(世伊倉)이라고 일컬었다. 군 동쪽 21리에 있다. 옛날 공세(貢稅)를 거두던 곳이다. 세우처(世于處)ㆍ사량저처(沙良渚處) 군 서쪽 20리에 있다. 모갑소(毛坤所)ㆍ주을장이소(主乙長伊所)
【제영】 금조모설괴성(今朝冒雪槐城) 남긍(南兢)의 시에, “지난날에는 양계(楊界)에서 순시풍속을 관찰하였더니, 오늘 아침에는 괴성(槐城)에서 눈을 무릅쓴다. 어찌 이가 남가(南柯)의 태수리요. 또한 동곽 선생(東郭先生)도 아니다.” 하였다. 난산취옹고성(亂山翠擁孤城) 안극인(安克仁)의 시에, “두 줄기 물은 맑아서 비옥한 들판을 돌고, 어지러운 산은 푸르러 외로운 성을 옹위했다.” 하였다. 심여청산유소(心與靑山有素) 이구(李玖)의 시에, “소문은 이미 괴읍(槐邑)을 지났는데, 행색(行色)은 오히려 예성(蘂城)에 머물러 있다. 마음은 청산과 교분이 있고, 일은 백일(白日)을 따라 다시 생긴다. 거울에 비치느니 눈(雪) 같은 살쩍이 하도 싫더니, 꽃을 보니 풍정(風情)을 금할 수 없네. 스스로 발당(茇棠)의 유애(遺愛) 없거니, 아이야, 누가 오얏[李]을 가리켜 이름을 하리.” 하였다. 사산위사층성(四山圍似層城) 조계생(趙啓生)의 시에, “한 줄기 물은 흰 비단 같이 흐르고, 사면의 산은 층층이 성같이 둘렸다. 백성이 편안하매 임금의 힘을 알지 못하고, 손 노릇한 지 오래매 고향 생각을 금하기 어렵다. 언덕을 격하여 둥그런 초가집이 서로 접하고, 담을 연하여 무성한 나무가 질서 있게 났다. 다락에 올라 푸른 병풍을 대하고 앉으니, 두견새가 달 아래에서 제 이름을 부른다.” 하였다. 산색계성구불속(山色溪聲俱不俗) 이승소(李承召)의 시에, “도롱이를 입고 비를 무릅쓰고 산을 곁하여 오니, 구비구비 맑은 시내 소리가 우레 같다. 산 빛과 시내 소리 속되지 않아, 일시에 비와 섞여 시(詩) 생각에 들어온다.” 하였다. 『신증』 풍우무단만성(風雨無端滿城) 최숙생(崔淑生)의 시에, “구름과 연기는 특별히 눈을 막고, 바람과 비는 무단히 성에 가득하다. 마루와 창에 더위 물러가는 것이 참으로 기쁘구나. 베개와 돗자리에 서늘한 기운 남을 갑자기 놀래노라. 푸른 산은 시흥(詩興)을 돋우려 하고, 흰 터럭은 벼슬에 대한 정이 저절로 희박해진다. 말 위에서 공연히 세월을 허비하였고, 거울 속에 공명(功名)이 우습구나.” 하였다.

《대동지지(大東地志)》
【방면】 일도(一道) 서쪽으로 끝이 5리이다. 이도(二道) 서쪽으로 처음이 5리, 끝이 10리이다. 동상(東上) 처음이 10리, 끝이 30리이다. 동중 처음이 10리, 끝이 35리이다. 동하(東下) 처음이 10리, 끝이 20리이다. 북상(北上) 처음이 15리, 끝이 25리이다. 북하 처음이 10리, 끝이 20리이다. 남상(南上) 서남쪽으로 처음이 10리, 끝이 35리이다. 남중(南中) 처음이 8리, 끝이 20리이다. 남하 동남쪽으로 처음이 15리, 끝이 40리이다. 서면(西面) 처음이 30리, 끝이 40리이다.
【성지】 고성(古城) 군대산(軍岱山)에 있으며, 백화성(白和城)이라 칭한다.
【진도】 괴탄진(槐灘津) 연풍(延豐)으로 통하며, 비가 오면 다리를 설치한다.
【토산】 쏘가리[錦鱗魚]ㆍ대추[棗].
【누정】 읍취루(挹翠樓).


 

[주D-001]오얏[李]을……하리 : 가표(賈彪)의 백성들이 아들은 가자(賈子), 딸은 가녀(賈女)로 하듯이 누가 이구(李玖)의 이(李)로 이름을 짓겠느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