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석문 신도비 등/토정 이지함 선생 시장

贈資憲大夫。吏曹判書兼知義禁府事,五衛都摠府都摠管,成均館祭酒,世子侍講院贊善行宣務郞,牙山縣監李公諡狀

아베베1 2013. 7. 14. 12:45

 

 

 

 

 

 

 토정유고(土亭遺稿)
형태서지 | 저 자 | 가계도 | 행 력 | 편찬 및 간행 | 구성과 내용

  형태서지
권수제  土亭先生遺稿
판심제  土亭集
간종  목판본
간행년  1720年刊
권책  原集 2권, 附錄 합 2권 1책
행자  10행 20자
규격  23.1×17.9(㎝)
어미  上下二葉花紋魚尾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도서번호  奎570
총간집수  한국문집총간 36
 저자
성명  이지함(李之菡)
생년  1517년(중종 12)
몰년  1578년(선조 11)
 馨伯, 馨仲
 土亭, 水山
본관  韓山
시호  文康
특기사항  徐敬德의 문인
 가계도
 李長潤
 縣監
 李穉
 縣令
 光山金氏
 金克成의 女
 李之蕃
 郡守
 李山海
 領議政
 아계유고(鵝溪遺稿)
 李山光
 
 李之茂
 進士
 李山甫
 吏判
 李之菡
 
 全州李氏
 毛山守 李呈琅의 女
 李山斗
 早歿
 李山輝
 
 側室
 
 李山謙
 

기사전거 : 諡狀(李觀命 撰) 및 墓碣銘(李山海 撰, 鵝溪遺稿 卷六)에 의함
 행력
왕력 서기 간지 연호 연령 기사
중종 12 1517 정축 正德 12 1 9월 20일, 태어나다.
중종 38 1543 계묘 嘉靖 22 27 姪 李山海를 수학시키다. ○ 弱冠의 徐起를 데리고 漢拏山 등지를 유람하다.
명종 3 1548 무신 嘉靖 27 32 장인 毛山守의 獄事 連累를 예견하고 처자를 데리고 保寧으로 移居하다.
명종 14 1559 기미 嘉靖 38 43 成悌元이 은거하는 俗離山에 徐敬德과 함께 방문하다.
선조 4 1571 신미 隆慶 5 55 배움을 청하는 趙憲에게 李珥, 成渾, 宋翼弼를 스승으로 삼도록 권유하다.
선조 5 1572 임신 隆慶 6 56 趙憲과 함께 頭流山을 유람하다. 이곳 紅雲洞에 은거하는 徐起를 방문하여 講學하다.
선조 6 1573 계유 萬曆 1 57 5월, 卓行之士로 천거되어 6品官에 오르다. 趙穆, 成渾, 崔永慶, 鄭逑, 金千鎰, 柳夢井, 柳夢鶴, 金沔 등이 함께 천거되다. ○ 抱川 縣監이 되다.
선조 7 1574 갑술 萬曆 2 58 8월, 抱川의 活民策을 조정에서 받아들이지 않자 병을 핑계로 縣監을 사직하다. ○ 서울 南小門洞에 寓居하다.
선조 8 1575 을해 萬曆 3 59 兄 李之蕃의 喪을 당하여 保寧에서 서울로 올라와 心喪 三年을 행하다.
선조 9 1576 병자 萬曆 4 60 겨울, 麻浦에 土亭을 짓고 잠시 기거하다. 이때 李恒福, 韓浚謙이 왕래하며 講話하다. ○ 保寧에 머물다가 順天으로 가서 鄭松江의 棲霞樓를 거쳐 證心寺에서 유숙하고, 高敬命을 만나 ‘不已’란 齋名을 지어 주다.
선조 11 1578 무인 萬曆 6 62 3월, 大司諫 李珥의 사직을 만류하다. ○ 5월, 牙山 縣監이 되다. 〈陳弊上疏〉를 올리다. ○ 7월 17일, 서울 麻浦 土亭에서 痢疾로 졸하다. 保寧縣 서쪽 高巒 先塋에 묻히다.
광해군 2 1610 경술 萬曆 38 - 保寧縣 東靑蘿洞의 花巖書院에 향사되다.
숙종 12 1686 병인 康熙 25 - 花巖書院에 賜額되다.
숙종 39 1713 계사 康熙 52 - 吏曹 判書에 贈職되다. ‘文康’의 시호를 받다.
숙종 46 1720 경자 康熙 59 - 玄孫 李禎翊이 慶州에서 文集을 간행하다. (鄭澔의 序)

기사전거 : 諡狀(李觀命 撰), 遺事에 의함
 편찬 및 간행
저자의 시문은 저자가 평소 저술을 좋아하지 않아 家藏되어 있는 原稿가 미미하였는데, 李選이 1672년(현종 13) 7월부터 약 2~3년간 弘文館 應敎로 재직하던 중 前賢의 遺集을 考閱하면서 저자의 遺稿 1帙을 묶어「土亭遺稿」라 하고 校書館에 소장해 두었다.
이것을 玄孫 李禎翊이 가져다 열람하고는 家藏된 옛 기록들과 서로 참고하여 刪潤을 가하고 합하여 한 편을 만들어서 玄孫 李禎億, 外玄孫 趙世煥과 함께 간행을 도모하였다. 이에 宋時烈에게 跋文을 받고 또한 序文을 청하였는데, 己巳換局(1689년)으로 序文은 받지 못하였다. 그 후 1712년(숙종 38) 權尙夏에게 跋文을 받고, 1720년(숙종 46)에 李禎翊이 慶州 府尹으로 나갔을 때 2권 1책의 木板으로 간행하였다. 이때 鄭澔에게 序文을 받고 李禎翊의 跋文을 첨부하였다. 이 본이 初刊本이자 單一本이다. 《초간본》
현재 규장각(奎570)에 소장되어 있으며,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寫本이 전한다.
본서의 저본은 규장각장본이다.

기사전거 : 序(鄭澔 撰), 跋(宋時烈 撰)에 의함
 구성과 내용
본 문집은 原集 上ㆍ下 2권과 附錄 합 2권 1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卷首에는 1720년에 지은 鄭澔의 序文과 目錄이 실려 있다.
卷上에는 저자의 시문을 모두 모아 놓았는데, 五言排律의 〈次宋雲長韻〉 1수와, 辭로 〈次陶靖節歸去來辭〉 1편, 說로 〈大人說〉ㆍ〈避知音說〉ㆍ〈寡欲說〉 3편, 疏로 〈莅抱川時上疏〉와 〈莅牙山時陳弊上疏〉 2편이 전부이다.
이 가운데 저자의 인생관을 엿볼 수 있는 글이 짤막한 3편의 說인데, 〈大人說〉은 靈强富貴를 바라는 인간의 심성을 간파하고 오직 大人만이 진정한 靈强富貴를 누릴 수 있음을 말하였다. 〈避知音說〉은 賢士는 자기를 알아주는 財用과 權勢를 지닌 사람을 만나는 것이 재앙의 씨앗이니 이를 피하고 山水와 田野 사이의 자기를 알아주는 사람을 만나면 될 것이라는 글이다. 〈寡欲說〉은 孟子의 寡欲說을 나름대로 해석한 글로, 저자의 대표적인 저술로 꼽힌다. 이 글들은 乙巳士禍 이후의 정치 상황에서 官界에 진출하는 것을 달가와하지 않고 각처로 떠돌며 講學하였던 그의 행적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
그 뒤 2편의 상소는 그의 유일한 관력인 抱川 縣監과 牙山 縣監 시절에 올린 것으로, 앞의 것은 抱川의 피폐한 재정 상황을 구제할 방책을 제시하였고, 뒤의 것은 牙山의 軍政의 폐단을 논하고 시정을 요구한 것이다.
卷下에는 李珥의 「石潭日記」, 李廷馨의 「東閣雜記」 등 家藏 文獻 및 所記에서 저자의 행적을 채록한 遺事가 실려 있고, 附錄으로 高敬命, 趙憲이 지은 詩와 書院營建通文 및 賜額祭文, 家姪 李山海가 지은 墓碣銘 그리고 贈爵과 賜諡를 청하는 啓狀이 실려 있다. 이어 李禎翊의 家乘에 의해 李觀命이 지은 諡狀이 실려 있다. 卷尾에 宋時烈, 權尙夏가 지은 跋文 및 본 문집의 간행 경위를 밝힌 李禎翊의 跋文이 첨부되어 있다.

필자 : 吳世玉

 

 

 
土亭先生遺事卷下
 土亭遺稿附錄諡狀
贈資憲大夫。吏曹判書兼知義禁府事,五衛都摠府都摠管,成均館祭酒,世子侍講院贊善行宣務郞,牙山縣監李公諡狀。 a_036_477a
[UCI] G001+KR03-KC.121115.D0.kc_mm_a166_av002_03_014:V1_0.S3.INULL.M01_XML     


先生諱之菡。字馨仲。自號土亭。以所居屋。土築爲亭也。韓山李氏。代有聞人。至稼亭諡文孝公諱穀。牧隱諡文靖公諱穡。父子仕麗朝。有大名。稼亭寔先生七代祖也。文靖生諱種善。入本朝。官至左贊成。諡良景。性至孝。遺址有旌表碑。贊成生諱季甸。府院君。贈領議政。諡文烈文。烈生諱堣。大司成。贈參判。參判036_477b生諱長潤。縣監。贈判書。判書生諱穉。縣令。贈左贊成。卽先生考也。以正德十二年丁丑九月二十日。生先生。生有異質。神氣淸爽。聲音弘亮。見者奇之。少孤從其伯省庵公學。及長。贅于毛山守呈琅之門。醮之翌日。出而暮還。家人見其新袍亡。問之則見丐兒寒。割而與之衣三兒。袍卽盡矣。平居讀書。竟晷達夜。出廣陵村莊。送奚取燈膏。毛山止之曰。郞嗜書過。恐傷也。乃腰斧入山中。斫松燎於堂。煙漲火熱。人爭避。先生端坐不倦者歲餘。羣聖人書。百家之文。無不貫穿。下筆爲文章。水湧山出。若將爲擧子業。隣有聞。喜036_477c設筵戱者。見而心賤之。後雖入科場。輒不製。製又不呈。人問之則。曰人各有所好。我自樂此。一日謂省庵公曰。吾觀婦門無吉氣。不去。禍將及。挈妻子。寓居保寧。眀年婦家果遘禍。其父母之葬也。相其地。當出兩相。而不利季子云。先生乃以季强之。自當其災。後兄子鵝溪山海忠簡公山甫。官至一品。先生之嗣。夭而不顯。先生常曰。吾子孫今雖零替。後必衆多。有顯者矣。以丘墓濱海。恐歲遠爲潮水囓。將築堤。非累鉅萬不可。仍自販於魚鹽商賈之間。靡所不爲。事來成而心不已。篤於誠孝類此。後歲大歉。慨然欲拯濟萬人。036_477d懋遷有無。積粟如山。盡散貧民。妻子有飢色。嘗作廣室。置寒乞人。敎之以手業。各周其衣食。最下無能者。與之藁。使作芒鞋。一日之工。無不辦斗米。與伯仲友愛篤。非遠離。未嘗一日異處。祭祀必依朱文公家禮。盡其誠。事先如事生。訓誨子姓。最戒女色曰。此而不嚴。餘無足觀。嘗乘船。涉海入濟州。州牧聞其名。迎入館。擇美妓薦枕。指倉穀謂曰。若得孝君幸。以此賞之。妓必欲亂之。達宵納媚。竟不汚。州牧益尊敬。聞省庵公在洛中病。自保寧徒步往見。及公歿。謂有師道。心喪三年。先生嚴於自治。壁立千匈。而接人則和氣藹036_478a然。聞人有一善。不遠千里而見之。安命世死非其罪。追悼不已。朴春茂恬靜自守。徐致武隱居樂道。先生終始勸勉以成就之。先生稟氣異常。而用力於克己上。寒暑飢渴不能入。或冬月裸體坐雪巖。或盛夏不飮水。或浹旬不火食。或徒步數百里。無困憊色。嘗携竹杖行路。而睡時則兩手據杖。鞠躬低頭。而兩足分踏定立。鼻息如雷。牛馬觸之退却。先生凝然山峙。少無動撓。南溟嘗見先生忍飢耐寒。而戱之曰。稟氣如此。何不學仙。先生斂容曰。何輕人若是。南溟笑而謝之。先生非果於忘世。而適値磁芑斬伐之餘。儉德避036_478b難。不欲使人知其畦町。故鞱光混世。累辭徵招。而嘗曰。得百里之邑而爲之。貧可富。薄可厚。亂可理。足以爲國家保障。晩年應辟。爲抱川縣監上疏。乃以道德人才百用之說。設爲三策。眷眷乎建極錫福之道。反復乎元首股肱之義。而末復推演生財救民之務曰。抱之民。如無母寒乞兒。五臟病而一身瘁。何忍立視其死乎。今若採海中無窮之魚。煑斥鹵不盡之水。數年之內。可得數千斛穀。此豈非博施濟衆之一助乎。或者曰。君子言義而不言利。何敢以財利之事。達之於君父之前乎。忍哉言也。賓之初筵。責側弁坐遷036_478c之無禮。而赤子入井。將不正冠。顚側以救之。何暇責手容之不恭乎。昔子思先言利。朱子務糶糴。而呂尙聖人之徒。且通魚鹽之利。或人妄爲說。以沮救民之策。天必厭之。縷縷數千言。出於愛君憂民惻怛之誠。而其所謨猷。暗合乎文王之治岐。鄒聖之制産。眞所謂仁人之言。其利博哉。豈可與空言廓落無用者比哉。朝廷不能用。已而棄官歸。後爲牙山縣監。又陳疏請減軍額。除一族法。言亦眀白的當。而寢不用。邑有池養魚。使民歲漁納官。民甚苦。先生塞其池。絶後患。敎誘縣學章甫之徒。講習文武才。期備邦家之用。未036_478d幾。以疾卒于官。萬曆六年七月也。壽六十二。一邑之民。奔走號哭如悲親戚。先生俊偉高爽。淸心寡慾。識見超邁。貫徹天人。深晦遠引。若出範外。而夷考其行。允蹈規矩。其爲學。以主敬窮理。踐履篤實爲先。嘗曰。聖可學而能。唯患暴棄不爲耳。其於論義理辨是非。正大光明。通暢發越。引物連類。毫分縷柝。使人聳聽歆服。而昏者明。惑者解。若其天文地理。醫藥卜筮。律呂筭數。知音觀形等術。曲解旁通。而此特其緖餘耳。才足以匡時。行足以範世。智足以燭微。量足以容衆。德足以鎭物。而不得展布所蘊。晩試小邑。亦未究一036_479a二。齎志而歿。豈非天乎。先生不喜著述。其傳于家者無幾。其大人說曰。人有四願。內願靈强。外願富貴。貴莫貴於不爵。富莫富於不欲。强莫强於不爭。靈莫靈於不知。然而不知而不靈。昏愚者有之。不爭而不强。懦弱者有之。不欲而不富。貧窮者有之。不爵而不貴。微賤者有之。不知而能靈。不爭而能强。不欲而能富。不爵而能貴。唯大人能之。其寡慾說曰。孟子曰養心莫善於寡慾。寡者。無之始。寡而又寡。至於無寡。則心虛而靈。靈之照爲明。明之實爲誠。誠之道爲中。中之發爲和。中和者。公之父。生之母。肫肫乎無內。浩浩乎036_479b無外。有外者。小之始。小而又小。牿於形氣。則知有我而不知有人。知有人而不知有道。物欲交蔽。戕賊者衆。欲寡不得。況望其無乎。於此可見先生隻字片言。無非遏欲存理之意。而其中之所存者。可知也。嗚呼。眀宣在宥。天佑斯文。時則有若栗谷牛溪兩先生之道德。有若趙重峯之節義。竝耀一世。先生乃以道義之交。左右周旋。其勉戒之義。奬詡之辭。同出至誠。重峯天資樸厚。不事外飾。世無知者。雖諸先生。疑其才短不適用。只以伏節死義許之。先生獨曰。自古當大事者。恒出於安貧樂道。愛君憂國之人。趙君爲036_479c人。非凡人所知。一日往重峯家。時長星竟天。先生曰。星之應。當在十數年後。流血千里。君多讀古人書。勸人主以消災滅殃之道。則庶幾凶變爲吉。後十六年。果有壬辰之亂。栗谷將歸鄕里。先生責之曰。君何忍退歸。譬如親有病重。以藥進則親怒。或以椀擲地。爲子者。其可退去而不進藥乎。重峯上疏曰。臣所師者三人。李之菡李珥成渾也。三人者。學問所就雖各不同。其淸心寡慾。至行範世則同。又曰。李某樂善好義。出於天性。成渾李珥。最所敬重。出宰二縣。祛獘䀼窮。立宏遠之規。束奸御吏。不惡而嚴。一境稱神明。常懼036_479d一物失所。伊尹之志也。不以一毫自浼。東方之伯夷也。栗谷嘗稱之曰。先生天資寡欲。於名利聲色。淡如也。有時戱語不莊。人不能測其蘊也。又曰。馨仲比之物。是奇花異草。珍禽怪石也。又曰。先生水月情懷。大羹腸胃。忠信感物。孝友通神。得失榮辱。沸湯沃雪。知先生心。莫如三先生。而其所稱道若是。千載之下。可以此知先生之爲人也。其遺風餘韻。紛至今未沫。士林莫不有高山景行之慕。尤齋先生題先生文集曰。先生才高氣淸。常超然於事物之外。平生著述之存於今者若干篇。而觀鳳一羽。足以知五采之成章。溯036_480a其本則皆自淸心寡慾中流出矣。噫。此可謂善觀而善言學者矣。世徒見其外。而或以爲高人逸士。或以爲卓犖不羈。亦可謂淺之知先生也。先生四男。長山斗。早歿。次山輝。餘未長而天。先生常稱。山斗德可以爲吾友。山輝德可以爲吾師。先生寢疾。親自擊缶。使山輝聽缶聲。以驗吉凶。山輝佯曰。聲甚和。病非可憂。亟出門。揮淚扣胸曰。病不可爲。未幾先生易簀。長孫曰據仁。別提。生二男二女。男曰述曰达。女適參奉趙碩。次適正郞李大淑。述一男一女。曰敬誼。贈承旨。女適李時昌。达六男三女。長必天。生員。僉樞五衛將。036_480b次必明次必晉。進士。次必亨。武科。次必烠。僉樞五衛將。次必相。女適崔友聖。次適鄭德恒。次適鄭奎。趙碩生一男世煥。文科監司。李大淑生一男以馨。察訪。敬誼生三男一女。長禎五,次禎來。文科正郞。次禎至。女適沈必英。必天生二男。長禎錫。生員。次禎翊。文科獻納。必明生二男三女。長禎麟次禎鳳。女適韓弘基。次適金夏鼎。次適具孝閔。必晉生三女。長適郡守朴起祖。次適任行遠。次適趙偵。必亨生一男二女。男禎胤。女適權須。次適金益瑞。必烠生四男一女。長禎植。次禎億。文科正言。次禎萬次禎達。女適兪彦弼。必相生036_480c二女。長適趙爾龍。次適朴台壽。崔友聖生四男四女。曰文海。進士。次應海。武科。餘皆幼。禎五二男二女。長溭。文科僉知。次潗。禎來五男三女。長滿。文科都事。次深。文科掌令。次浣。文科持平。次海次滋。文科佐郞。禎錫一男一女。曰澣。進士。女適沈廷赫。禎翊三男二女。長濤次次灦。女適進士金鐵根。次適尹得和。禎麟二男二女。長濬。進士。次瀜。進士。女適蘇相琦。次適韓昌欽。禎植一男一女。曰泓。女適趙尙鼎。禎億三男一女長津次洙次混。女幼。禎萬二男一女。長溥次澍。女幼。禎胤三男二女皆幼。朴起祖四男。長聖輯。佐郞。次036_480d聖輅。文科執義。次聖載次聖輔。溭三男。長命錫次慶錫。文科典籍。次應錫。潗四男。長鵬錫次鳳錫次鶴錫次鵠錫。滿一男翼登。深三男。長聖登次先登,次時登。浣一男曰壽登。海一男曰馨登。文科。澣五男。長大春次大受次大濟。餘幼。二男。長大囿。次幼。先生子孫。初則夭椓。不絶如縷。到今百年之後。顚木有㕀。內外孫曾。日益滋蕃。總百餘人。不能盡記。而世艶稱之。豈非先生不食之報。而先生之言又驗矣。牙山。曾所簪笏之地。保寧。乃是桑榟之鄕。而儒紳興慕。竝刱祠妥靈。上之十二年丙寅。賜額曰花巖。重峯於宣036_481a廟朝。疏請先生諡。萬曆戊寅。經筵官洪廸。請爵。三公國家多事。竟未施行。上之三十一年乙酉。判尹閔鎭厚。白請褒贈。癸巳。贈吏曹判書。判府事金宇杭。又請贈諡上特允之。哀榮之典。無復憾矣。不侫間嘗竊取先生高論奇蹟之雜出前輩文字中。擊節歎賞。而妄爲尙論曰。以內聖外王之學。超然自樂乎閑中之日月者。可謂先獲先生之志。而其在我東。花潭之造詣高明。南溟之立志牢礭。謂之伯仲者非耶。謹就先生玄孫獻納禎翊所錄家乘撰。次如右。以請易名之典云。
036_481b嘉善大夫。司憲府大司憲李觀命謹狀。 太常議諡上三諡。曰文康,曰文淸曰淸憲。  上以文康批下。道德博聞曰文。淵源流通曰康。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방문자수Total

  • Today :
  • Yesterd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