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전고/도성과 궁궐

북한산성자료

아베베1 2013. 10. 15. 22:30

 

 

 

 

 

 

軍政編三
확대원래대로축소
 捴戎廳
[北漢山城]

北漢○北漢山城在三角山溫祚舊基。肅宗辛卯。相臣李濡建請。築山城建行宮。峙餉糓,軍器。以爲保障之所。城周七千六百二十步。城廊一百二十一。將臺三。池二十六。井九十九。大門四。暗門十。倉庫七。大寺十一。小寺三。置管城所。 城餉。自宣惠廳劃送。城堞,軍器。訓,禁,御三營設倉分守。置經理廳。在鄕校洞。 以勾管矣英宗丁卯。以北漢當爲捴戎廳信地。特敎罷經理廳。合屬本廳。專管北漢。加設敎鍊官三員。仍差訓,禁,御三倉監官。○正宗壬寅。捴戎使李昌運作减額大節目。减經理軍官四員只存本廳軍官三員。 正宗癸丑。捴戎使李邦一以本廳凋殘。城堞修築。啓請還屬三軍門。管城所木代錢二百兩。取殖。補用於每年北漢治道。○公廨,寺刹修補時。添餉條,月課條,或空名帖,補土所錢等。請得以用。 別牙兵千捴管城將一員。正宗壬寅。以勿拘階梯。擇人自辟。專管糶糴。周年交遞定式。辛卯築城後。以曾經閫帥人啓下。始稱行宮所衛將。後稱都別將。壬寅。改稱管城將。英廟丁卯。罷經理廳合屬本廳後。中軍例兼。甲申。改軍制爲五營時。以防禦使履歷擇差。兼中部千捴。恒留本城。辛卯。因捴戎使金孝大所啓。管城將。依前以中軍兼差。正宗壬子。改軍制爲三營時。改號爲別牙兵千捴兼管城將。 把捴一員。哨官五員。別破陣哨官一員。守堞捴二員。敎鍊官四員。旗牌官五員。軍器監官一員。軍官三員。付料軍官二十員。每朔試射。計劃。付料。內山直監官三員並入。 門部將三員。守堞軍官二百人。散在畿邑。 山城員役四十六名。書員五名。庫直十一名。大廳直二名。使令五名。軍士十二名。門軍士十一名。 軍制。一司五哨。把下軍三十名。別破軍二百名。牙兵五哨。散在畿邑。 標下軍一百九名。十九名。有料。 ○置僧兵號曰緇營。在重興寺。 捴攝一人。本以原居僧差出矣。正宗丁巳。因水原留守趙心泰所啓。以龍珠寺僧輪差。 中軍僧一人。將校僧四十七人。有料。 僧軍三百七十二名。七十三名。有料。 太古寺。在太古臺下。一百三十六間。○藏經書,通史,古文,唐詩板。 重興寺。在登岸峯下。一百四十九間。○緇營所在。 輔國寺。在禁倉下。七十六間。 鎭國寺。在露積峯下中城門內。一百四間。 扶旺寺。在鵂巖峯下。一百十一間。 國寧寺。在義相峯下。七十間。 普光寺。在大城門下。七十五間。 元覺寺。在甑峯下。八十一間。 龍巖寺。在日出峯下。八十八間。 祥雲寺。在靈鷲峯下。八十九間。 西巖寺。在水口門內。閔漬菴舊基。○一百七間。 右十一寺。各置僧將一人。首僧一人。番僧三名。奉聖菴。在龜巖峯下。二十五間。 元曉菴。在元曉峯下。十間。 文殊菴。在文殊峯下。○行宮。在上元峯下。內正殿二十八間。行閣十五間。水剌間六間。廁三間。內門三間。外正殿二十八間。行閣十八間。中門三間。月廊二十間。外門四間。山亭門一間。 ○管城所。在上倉。大廳十八間。內衙十二間。餉米庫六十三間。軍器庫三間。執事廳三間。軍官廳四間。書員廳四間。庫直家五間。月廊二間。各門七。 中倉。大廳六間。餉米庫七十八間。庫直家五間。大門二間。 下倉。大廳六間。餉米庫三十四間。庫直家八間。大門二間。 別庫。在行宮傍。○大廳三間。餉米庫十二間。庫直家五間。大門二間。 右。上倉,中倉,下倉,別庫。謂之管城四倉。○別舘四。山暎樓十間。射亭六間。東將臺三間。御製碑閣一間。○東將臺。壬辰。因特敎建置。 訓倉。大廳十八間。內衙八間。餉米庫六十間。軍器庫十六間。中軍所四間。郞廳所五間。書員廳五間。拘留間三間。行閣十一間。 禁倉。大廳十八間。內衙六間。餉米庫五十四間。軍器庫十三間。中軍所五間。書員廳四間。月廊八間。 御倉。大廳十八間。內衙七間。餉米庫四十八間。軍器庫十間。中軍所四間。書員廳二間。月廊十二間。 ○山城附近之地。分定外字內。新屯,淸潭,西門下,橋峴下爲訓倉字內。彌阿里,靑水洞,加五里,牛耳洞爲禁倉字內。津寬里,小興洞,女妓所,三千洞爲御倉字內。 ○屬屯四。甲士屯。在楊州樓院。○本。兵曹牧場。肅宗甲午。以本屯當爲北漢犄角之勢。筵禀請得。屬之北漢。隨起收稅。置還米盡分取耗。接濟屯屬。餘數添付元還。 水逾屯。在楊州。附於甲士屯。○本。粮餉廳屯。景宗辛丑。經理堂上閔鎭厚請得。屬之北漢。置還租。 黔巖屯。在楊州黔巖。○肅宗己亥。買置。置還租盡分取耗。接濟屯屬。 新屯。在北漢西門外。附於黔巖屯。○肅宗庚子。經理堂上閔鎭遠買置。 ○甲士,黔巖二屯皆有別將。黔巖別將。英宗辛巳。以故別將李聖臣子寅亮永差別將。代代承差事。受敎。

                 

 

 北漢山城禁衛營移建記碑
北漢山城禁衛營移建記
今上三十七年辛卯四月分 命訓
  局御營及本營改築百濟古城各
  置軍營御信地廋糧備械 國家
  異日緩急將與都民共守此天險
  也其十月城役完本營等自龍巖
  東南至普賢峯下二千八百二十
  一步一千六十五垜城門二曰大
  東小東皆上設譙樓暗門二柴壇
  峯爲將臺下有房屋十間城廊六
  十區凡一百七十八間保國普光
  龍巖太古四寺屬焉營舍倉庫九
  十餘間初設于小東門內以其地
  勢高風雨萃倉隅當水道易傾壞
  乙未三月移建于保國寺下哨官
  郭義賓經紀財力把摠張友軫董
  領攻役至八月告成石砌一百二
  十步中堂負巽中軍以下各所及
  倉廏門廊共一百四十五間山抱
  水深結構增固可以永護儲胥云
  乙未卽 大明崇禎甲申後七十
  二年也 都提調李頣命識

 

 
 
  북한산 금위영 이건기

숙종이 37년 신묘년 4월에 훈련도감과 어영청, 금위영에 명을 내렸다. “백제의 옛 성을 개축한 뒤 각각 군영을 설치한 다음 목적지에 군량을 저장하고 무기를 준비하여 국가가 변란을 맞아 다급할 때 장차 서울의 백성들과 함께 하늘이 내린 이 요새를 지킬 수 있게 하라.”
그 해 10월 성을 완축한 뒤 금위영을 설치했다. 용암(龍巖) 동남쪽으로부터 보현봉(普賢峯) 아래까지는 2821보이고 1,065개의 살받이가 있다. 성문은 대동문(大東門)과 소동문(小東門) 둘이고 문 위에 초루(譙樓)와 암문(暗門) 두 개를 설치했다. 시단봉(柴壇峯)에 장대를 짓고 그 아래 방옥(房屋) 10간을 두니 성랑 61채에 모두 178간이다. 보국사(保國寺), 보광사(普光寺), 용암사(龍巖寺), 태고사(太古寺)의 네 절에 소속시켰다.
군대의 영사와 창고는 90여 간으로 처음에는 소동문 안에 세웠는데, 그 지세가 높고 비바람이 거셀 뿐만 아니라 모퉁이에 물길이 나서 무너지기 쉬워 을미년(1715년) 3월에 보국사 아래로 옮겨 세웠다.
초관 곽의빈(郭義賓)이 재력을 잘 관리하고, 파총 장우진(張友軫)이 공사를 잘 감독하여 8월에 완성을 고하게 되었다. 돌계단 120보를 쌓고 중당은 부손(負巽:동남을 뒤로 함) 방향으로 지었는데, 중군 이하가 거처할 곳과 창고, 행랑 등 모두 해서 145간이다.
산이 깊은 물을 품고 있어 맺은 것이 더욱 완고하니 영원히 보호할 만한 곳이라고 한다. 을미년(1715)은 곧 대명 숭정 갑신년 후 72년이다.

도제조 이이명(李頤命) 기록.
 

 北漢僧徒節目」
北漢山城卽保障重地也寺刹之剏建僧徒之募」
入是豈徒然哉卽由於爲山城守護之意是去」
乙夫何挽近以來僧殘寺敗莫保朝夕此曷故焉」
盖僧徒之不殫燥濕竭力奉公者渠之所望惟」
在於摠攝一窠而每當差代城外僧圖差之弊」
比比有之由是而僧無固志散而之四勢所固然」
今當摠攝瓜遆之時若不申明定式以圖永久」
則其何以慰悅僧徒俾盡守護之責哉況受」
敎定式不啻鄭重則其在遵奉之道豈敢少」
忽茲成節目刻之于石爲去乎依此遵行毋墜成」
憲事」
一 摠攝有闕差代時依今番例初受缿笛更捧」
圈點後以多點施行俾知其公平無私之意是」
齊」
一 今此申明定式之後如有城外僧圖差者城內」
諸僧以受 敎定式及今番節目齊訴營門」
期無毀劃之地是齊」
一 今番定式寔出於爲僧徒支保之意則摠攝」
軆此憧憧之心寺弊則期於矯革奉公則克盡」
恪勤俾有來頭實效之地是齊」
乙卯五月 日寺洞金 等內」

 

 

1855( 6) ().
325 19 , 3 . .
, 1980 .
 
(), 1998,,
 
 
 
 

 

 

 

 

 

 

 

 

 

 

 

 

 

 

 

 

 

 

 

 

 

 

 

 

 

 

 

 

 

 

 

 

 

 

 

 

 

 

 

 

 

 

 

 

 

 

 

 

 

 군정편 3
확대원래대로축소
 총융청(摠戎廳)
북한산성(北漢山城)


〈설치 연혁(設置沿革)〉 북한산성은 삼각산(三角山)의 온조(溫祚)의 옛터에 있다. 숙종 37년 신묘(1711년)에 대신 이유(李濡)가 건의하여 산성을 쌓고 행궁(行宮)을 세우고 향곡(餉穀)ㆍ군기를 저장하여, 방위하는 곳을 만들었다. 성의 둘레 7,620보, 성랑(城廊) 121, 장대(將臺) 3, 못[池] 26, 우물 99, 대문 4, 암문(暗門) 10, 창고 7, 큰 절 11, 작은 절 3. 관성소(管城所)를 설치하였다. 성의 향곡은 선혜청에서 책정하여 보낸다. 성첩ㆍ군기는 훈련도감ㆍ금위영ㆍ어영청의 3개 영에서 창고를 설치하고 구역을 나누어서 지키며, 경리청(經理廳)을 설치 향교동(鄕校洞)에 있다 하여 관리하였다. 영종 23년 정묘(1747년)에 북한이 당연히 총융청의 근거지가 되어야 하므로 왕의 특명으로 경리청을 폐지하고, 합쳐서 본청에 붙이게 하고 전적으로 북한을 주관하게 하였다. 교련관 3명을 증설하여 그대로 훈련도감ㆍ금위영ㆍ어영청의 3창고의 감관으로 삼았다. ○ 정종 6년 임인(1782년)에 총융사(摠戎使) 이창운(李昌運)이 감원 대조규[減額大節目]를 작성하여, 경리군관 4명을 감원하고 본청 군관 3명만 남겨 두었다. 〈관제(官制)〉 정종(正宗) 17년 계축에 총융사 이방일(李邦一)이 본청의 재정이 피폐하므로 성첩을 수축하는 일을 삼군문(三軍門)에 환속시키기를 계청하였다. 관성소의 재목대금이 200냥인데 이식을 받아서 해마다 북한의 도로 수선에 보충 사용한다. ○ 청사ㆍ사찰(寺刹)을 수리할 때에는 군량증액조[添餉條]ㆍ월정고시조[月課條]ㆍ또는 공명첩(空名帖)ㆍ보토소(補土所) 등의 돈은 청구하여 사용한다. 별아병천총 관성장(別牙兵千摠管城將) 1명 정종 6년 임인에 관계의 차서에 구애됨이 없이 사람을 선택, 자의 임용하여 전적으로 곡물의 출납을 관리하고, 1주년마다 교체(交遞)하도록 규례를 정하였다. 숙종 37년 신묘에 성을 쌓은 뒤에 병사나 수사의 정력을 가진 사람으로 계청 임명하여 처음에는 행궁소 위장(行宮所衛將)이라 하였고, 뒤에는 도별장(都別將)이라 하였으며, 경종 2년 임인(1722년)에는 관성장이라 개칭하였다. 영묘(英廟) 23년 정묘(1747년)에는 경리청을 폐지하여 본청에 합속(合屬)한 뒤에 중군이 정례로 겸임하였고, 40년 갑신에 군제를 고치어 5개 영으로 만들 때[時]에 방어사(防禦使)의 경력이 있는 사람으로 선임[擇差]하여 중부천총(中部千摠)을 겸임하여 항시 본성에 머물게 하였다. 47년 신묘에 총융사 김효대(金孝大)의 계청에 의하여 관성장은 종전대로 중군이 겸임하도록 하였다. 정종 16년 임자(1792년)에 군제를 고치어 3개 영으로 만들 때에 아병천총겸관성장(牙兵千摠兼管城將)으로 명칭을 고쳤다. 파총 1명, 초관 5명, 별파진초관 1명, 수첩총(守堞摠) 2명, 교련관 4명, 기패관 5명, 군기감관 1명, 군관 3명, 부료군관 20명 매월에 궁술을 고시하여 성적을 봐서 유급으로 한다. 그 가운데 산직감관(山直監官) 3명도 들어간다. 문부장(門部將) 3명, 수첩군관 200명 경기의 각읍에 산재한다. 산성의 원역 46명. 서원 5명 고지기 11명, 대청지기 2명, 사령 5명, 군사 12명, 문군사 11명이다. 군제(軍制) 1사(司) 5초, 파하군(把下軍) 30명, 별파군 200명, 아병 5초 경기의 각 읍에 산재. 표하군 109명. 19명은 유급. 〈치영(緇營)〉 승병(僧兵)을 설치하고 치영이라 하였다. 중흥사(重興寺)에 있다. 총섭(摠攝) 1명 본시는 종전부터 거주하는 중으로 임명하였는데 정종 21년 정사(1797년)에 수원유수 조심태(趙心泰)의 계청에 의하여 용주사(龍珠寺)의 중으로 번갈아서 임명하게 하였다. 중군승(中軍僧) 1명, 장교승(將校僧) 47명 유급. 승군 372명 73명은 유급. 태고사(太古寺)는 태고대(太古臺) 아래에 있다. 136칸이다. ○ 경서(經書)ㆍ통사(通史)ㆍ고문(古文)ㆍ당시(唐詩)의 판목을 저장하였다. 중흥사는 등안봉(登岸峰) 아래에 있다. 149칸이다. ○ 치영이 있는 곳이다. 보국사(輔國寺)는 금위영의 창고 아래에 있다. 76칸 진국사(鎭國寺)는 노적봉(露積峰) 아래 중성문(中城門) 안에 있다. 104칸. 부왕사(扶旺寺)는 휴암봉(鵂巖峯) 아래에 있다. 111칸. 국녕사(國寧寺)는 의상봉(義相峯) 아래에 있다. 70칸. 보광사(普光寺)는 대성문(大城門) 아래에 있다. 75칸. 원각사(元覺寺)는 증봉(甑峰) 아래에 있다. 81칸. 용암사(龍巖寺)는 일출봉(日出峰) 아래에 있다. 88칸. 상운사(祥雲寺)는 영취봉(靈鷲峰) 아래에 있다. 89칸. 서암사(西巖寺)는 수구문(水口門) 안에 있다. 민지암(閔漬菴)의 옛 터. ○ 107칸. 이상의 11개 사찰에는 각각 승장 1명, 수승(首僧) 1명, 번승(番僧) 3명을 둔다. 봉성암(奉聖菴)은 귀암봉(龜巖峯) 아래에 있다. 25칸. 원효암(元曉菴)은 원효봉 아래에 있다. 10칸. 문수암(文殊菴)은 문수봉 아래에 있다. 행궁(行宮) 상원봉(上元峯) 아래에 있다. 내정전(內正殿) 28칸, 행각(行閣) 15칸, 수라간(水剌間) 6칸, 변소 3칸, 내문(內門) 3칸, 외정전 28칸, 행각 18칸, 중문(中門) 3칸, 월랑(月廊) 20칸, 외문 4칸, 산정문(山亭門) 1칸. 〈제창(諸倉)〉 관성소는 상창(上倉)에 있다. 대청 18칸, 내아(內面) 12칸, 향미고(餉米庫) 63칸, 군기고 3칸, 집사청(執事廳) 3칸, 군관청(軍官廳) 4칸, 서원청(書員廳) 4칸, 고지기 집[庫直家] 5칸, 월랑 2칸, 각문(各門)이 7. 중창(中倉) 대청 6칸, 향미고 78칸, 고지기 집 5칸, 대문 2칸. 하창(下倉) 대청 6칸, 향미고 34칸, 고지기 집 8칸, 대문 2칸. 별고(別庫) 행궁 옆에 있다. ○ 대청 3칸, 향미고 12칸, 고지기 집 5칸, 대문 2칸. 이상의 상창ㆍ중창ㆍ하창ㆍ별고를 ‘관성 4창(管城四倉)’이라 한다. ○ 별관(別館)이 4개처 산영루(山英樓) 10칸, 사정(射亭) 6칸, 동장대(東將臺) 3칸. 어제비각(御製碑閣) 1칸. ○ 동장대는 숙종 18년 임진에 왕의 특명에 의하여 세웠다. 훈련도감창[訓倉] 대청 18칸, 내아 8칸, 향미고 60칸, 군기고 16칸, 중군소 4칸, 낭청소(郞廳所) 5칸, 서원청 5칸, 구류간(拘留間) 3칸, 행각 11칸. 금위영창[禁倉] 대청 18칸, 내아 6칸, 향미고 54칸, 군기고 13칸, 중군소 5칸, 서원청 4칸, 월랑 8칸. 어영청창[御倉] 대청 18칸, 내아 7칸, 향미고 48칸, 군기고 10칸, 중군소 4칸, 서원청 2칸, 월랑 12칸. ○ 산성 부근의 토지는 구역을 나누어 획정한다. 신둔(新屯)ㆍ청담(淸潭)ㆍ서문하(西門下)ㆍ교현하(橋峴下)는 훈련도감창의 구역이며, 미아리(彌阿里)청수동(靑水洞)ㆍ가오리(加五里)ㆍ우이동(牛耳洞)은 금위영창의 구역이며, 진관리(津寬里)ㆍ소흥동(小興洞)ㆍ여기소(女妓所)ㆍ삼천동(三千洞)은 어영청의 구역이다. 속둔(屬屯) 4개소 : 갑사둔(甲士屯) 양주의 누원(樓院)에 있다. ○ 본시 병조의 목장이었는데 숙종 40년 갑오(1714년)에 본둔이 북한산성과 상호 보장(保障)해야 될 지점이라 하여, 연품하여 북한에 속하게 하고 토지를 개간하는대로 세를 징수하며, 환미(還米)를 두어서 모두 모곡을 받아서 둔속의 경비에 충당하고, 남는 액수는 원환곡(元還穀)에 보태게 하였다. 수유둔(水逾屯) 양주에 있다. 갑사둔에 속한다. ○ 본시 양향청(糧餉廳)의 둔이었는데 경종 원년 신축(1721년)에 경리청당상 민진후(閔鎭厚)가 요청하여 이를 북한에 속하게 하고 환조(還租)를 설치하였다. 금암둔(黔巖屯) 양주 금암에 있다. ○ 숙종 45년 기해(1719년)에 매입 설치하였다. 환조를 설치하고 모두 나누어서 모곡을 거두어 둔속의 경비에 충당한다. 신둔(新屯) 북한산성의 서문 밖에 있다. 금암둔에 속한다. ○ 숙종 46년 경자에 경리청 당상 민진원(閔鎭遠)이 매입 설치하였다. ○ 갑사ㆍ금암 2둔에는 모두 별장이 있다. 금암별장은 영종 37년 신사(1761년)에 고 별장 이성신(李聖臣)의 아들 인량(寅亮)을 영구히 별장에 임명하고 대대로 승전하도록 왕명을 받았다.


 

[주D-001]온조(溫祚)의 옛터 : 백제의 서울을 뜻함. 온조는 백제의 시조. 고구려 동명왕(東明王)의 셋째 아들로 재위 B.C. 18년~A.D. 28년. 처음 위례성(尉禮城 : 광주(廣州))에 도읍을 정하고 국호를 십제(十濟)라 하였다가 백제로 고쳤으며, 말갈(靺鞨)의 침입이 잦아 타격을 받았다. B.C. 5년 서울을 남한산(南漢山)으로 옮겼음.
[주D-002]이유(李濡) : 1645년(인조 23)~1721년(경종 1). 자는 자우(子雨), 호는 녹천(鹿川), 본관은 전주(全州). 좌의정을 거쳐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에 이르렀음.
[주D-003]공명첩(空名帖) : 성명을 적지 아니한 서임서(叙任書).
[주D-004]김효대(金孝大) : 1721년(경종 1)~1781년(정조 5). 자는 여원(汝原), 본관은 경주(慶州). 영조 때 총융사를 지내고, 나중에 형조 판서에까지 이르렀음.
[주D-005]민지암(閔漬菴) : 암자(菴子)의 이름. 민지는 인명(人名). 1248년(고려 고종 35)~1326년(충숙왕 13). 자는 용연(龍涎), 호는 묵헌(黙軒). 정승을 지냄.
[주D-006]수라간(水剌間) : 궐내의 진지를 짓는 곳.
[주D-007]월랑(月廊) : 행랑의 별칭.
[주D-008]민진후(閔鎭厚) : 1659년(효종 10)~1720년(숙종 46). 자는 정순(靜純), 호는 지재(趾齋), 예조판서ㆍ한성부판윤을 거쳐 판돈령부사(判敦寧府事)에 오름.
[주D-009]민진원(閔鎭遠) : 1664년(현종 5)~1736년(영조 12). 자는 성유(聖猷), 호는 단암(丹巖), 본관은 여흥(驪興). 좌의정에 이름.
[주D1-001]관성소(管城所) : ‘관성소(管城所)’의 ‘所’가 어느 본에는 ‘將’으로 되어 있음.
[주D1-002]정종(正宗) : ‘정종(正宗)’의 ‘正’이 어느 본에는 ‘英’으로 되어 있음.
[주D1-003]공명첩(空名帖) : ‘공명첩(空名帖)’의 ‘名’가 어느 본에는 ‘亡’으로 되어 있음.
[주D1-004]교체(交遞) : ‘교체(交遞)’의 ‘遞’가 어느 본에는 ‘替’로 되어 있음.
[주D1-005]영묘(英廟) : ‘영묘(英廟)’의 ‘廟’가 어느 본에는 ‘宗’으로 되어 있음.
[주D1-006]때[時] : ‘때[時]’가 어느 본에는 ‘則’으로 되어 있음.
[주D1-007]선임[擇差] : ‘선임[擇差]’의 ‘差’가 어느 본에는 ‘定’으로 되어 있음.
[주D1-008]파하군(把下軍) : ‘파하군(把下軍)’의 ‘把’가 어느 본에는 ‘標’로 되어 있음.
[주D1-009]고문(古文) : ‘고문(古文)’의 ‘文’이 어느 본에는 ‘今’으로 되어 있음.
[주D1-010]104 : ‘104’가 어느 본에는 ‘百單四’로 되어 있음.
[주D1-011]향미고(餉米庫) : ‘향미고(餉米庫)’의 ‘餉’이 어느 본에는 ‘納’으로 되어 있음.
[주D1-012]5 : ‘5’가 어느 본에는 ‘4’로 되어 있음.
[주D1-013]60 : ‘60’이 어느 본에는 ‘16’으로 되어 있음.
[주D1-014]6 : ‘6’이 어느 본에는 ‘7’로 되어 있음.
[주D1-015]54 : ‘54’가 어느 본에는 ‘48’로 되어 있음.
[주D1-016]13 : ‘13’이 어느 본에는 ‘16’으로 되어 있음.
[주D1-017]2 : ‘2’가 어느 본에는 ‘4’로 되어 있음.
[주D1-018]12 : ‘12’가 어느 본에는 ‘20’으로 되어 있음.
[주D1-019]서문하(西門下) : ‘서문하(西門下)’의 ‘門’이 어느 본에는 ‘閘’으로 되어 있음.
[주D1-020]미아리(彌阿里) : ‘미아리(彌阿里)’의 ‘阿’가 어느 본에는 ‘河’로 되어 있음.
[주D1-021]청수동(靑水洞) : ‘청수동(靑水洞)’의 ‘靑’이 어느 본에는 ‘淸’으로 되어 있음.
[주D1-022]삼천동(三千洞) : ‘삼천동(三千洞)’의 ‘千’이 어느 본에는 ‘淸’으로 되어 있음.


 

 

 

 築北漢山城


九月修築北漢卽百濟故城判中樞李濡建白上令諸臣各陳築城便否諸議不一上曰都城咫尺有此天險之地
若不及今修築更待何時決爲築城

軍政編三
확대원래대로축소
 捴戎廳
[軍器]

軍器○鳥銃五千二百二十三柄。三千五百三十二柄。束伍軍,壯牙兵等分給。○倭銃七柄。別銃三十抦。長銃二十九柄。 循環砲四坐。一窩砲一坐。鳥銃體鐵五十柄。火藥一萬四千四百四十九斤八兩八錢四分。鉛丸四十四萬二千一百六十六箇。大鉛丸三千三百四十六箇。 火繩四百十五臺乃。火藥桶七百七十一箇。火箭四百八十七枝。火箭竹一千四百六十五枝。箭竹六萬四千四百十八箇。南飛箇一百六十五部。弓一千九十一張。三百十二張。壯牙兵,旗隊長等分給。○黑角弓五百五十二張。長弓一百五張。鄕角弓五張。 黑角弓弩弓二張。交子弓弩弓五十二張。長箭八百六十二浮二十八箇。三百十二浮。壯牙兵,旗隊長等分給。 片箭四百二十五浮二十五箇。弓弩箭四百八十浮八箇。長箭鏃二千二十二箇。片箭鏃二百十箇。筒兒二百六十三箇。弓弩機六十九部。環刀八百十八柄。四百八十二柄。壯牙兵,旗隊長,各色標下軍等分給。 倭長劒二柄。筒箇三百十部。黑鼠皮筒箇二十七部。 擔筒箇三百二十三部。三百十二部。壯牙兵,旗隊長等分給。 饒口槍三柄。菱鐵一萬七千三百二十九箇。一萬五千六百箇。壯牙兵等分給。 拒馬槍八百十二部。挾刀二十二柄。皷十七坐。大鼓二坐。小鼓六坐。 鉦十三坐。大鉦一坐。小鉦八坐。 黃燭八千八百七十八柄。石硫黃七十九斤一兩五錢。倭石硫黃三十六斤。 刁斗一百叢。銅爐口一百二十七坐。阿里金九十五巨里。銅釜二坐。鍮所羅十二坐。假耳七十五箇。以上。封不動。 木軍服俱三件三百五十領。紙油衫二百四十七領。木綿紅掛子四領。木綿黃號衣五十領。戰笠二百五十立。紅氈笠五十二立。紅緞揮巾一雙。貫耳箭二十八枝。令箭二十枝。朱杖五十箇。肅靜牌一雙。鐵絲乷四十八巨里。藍大緞令旗四十面。巡視旗六十四面。喇叭五雙。號笛五雙。螺角一雙。銅大角一雙。啫哱囉二雙。點子二雙。鑼一雙。摔鈸一雙。長皷一雙。三穴銃九柄。大緞大旗幟三十八面。大旗五面。神旗五面。高招旗五面。門旗十面。角旗八面。淸道旗二面。金鼓旗二面。豹尾旗一面。 二廣緞大旗幟三十八面。座纛旗一面。帥字旗一面。具懸索。 旗雨備一百二件。帽緞戰巾十立。千捴,把捴,哨官方色手旗三十三面。方色號衣三十三領。部,司神旗三十二面。部,司哨認旗三十四面。指路高招旗六面。旗捴旗七十八面。隊長旗二百三十四面。節一柄。鉞一柄。纛一柄。塘報旗十面。放機竹二箇。小燈鐵五十八箇。藍紗籠十三雙。油紙籠一百四箇。方色紙籠四十四箇。 大遮日二浮。大索具。 大地衣一浮。前,後遮帳四浮。軍幕四部。雨備具。 平軍幕六部。布揮帳二十六浮。木甲帳六十二浮。鐵末具。 油芚三十部。已上行用。隨毁新造。

北漢訓,禁,御,僧倉
鳥銃八千二百六十六柄。訓三千柄。禁一千二百七柄。御一千七百八十三柄。僧二千二百七十六柄。 大長銃三百柄。禁。 喇叭別銃十柄。御。 中銃五十四柄。訓十七柄。禁二十柄。御十七柄。 三穴銃十五柄。御。 水鐵大砲六十七坐。訓十九坐。禁十八坐。御十八坐。僧十二坐。 威遠砲八十七坐。僧。 雙門砲一坐。銅砲十坐。禁。 木母砲六百二十六坐。訓四十坐。禁一百一坐。御一百九十五坐。僧二百九十坐。 鐵佛狼機母砲六十坐。僧。 鐵子砲三千九百八十二坐。訓四百坐。禁九百六十六坐。御五百五十坐。僧二千六十六坐。 單家砲五十四坐。水鐵單家砲體鐵一百七十九坐。禁。 鍮佛狼機四百十五坐。訓八十坐。禁一百二十坐。御一百五坐。僧一百十坐。 火藥五萬四千七百四十九斤十二兩九錢。訓二萬四千九百二十九斤八兩。禁一萬九千八百九十四斤十一兩四錢。御九千九百二十五斤九兩五錢。 鉛丸一百三十三萬五千二百十六箇。訓五十萬三千一百箇。禁五十萬六千八百六箇。御三十二萬五千三百一十箇。 水鐵丸九千四百四十六箇。訓四千五百三十八箇。禁四千九百八箇。 火藥桶九千三百二十五箇。禁五百箇。御一千箇。僧七千八百二十五箇。 耳藥升四千九百三十四箇。訓二百二十箇。禁一千七百六十七箇。御一千箇。僧一千九百四十七箇。 火繩九千三百七十六臺乃。訓七百臺乃。禁六千六十九臺乃。御一千七百六十七臺乃。僧八百四十臺乃。 火箭二千四百九十四枝。訓一千四百九十八枝。御九百九十六枝。 火箭竹一千四百九十八箇火箭鏃一千五百箇。藥線七百條。訓。 交子弓五千五百五十四張。禁一千張。御一千五百張。僧三千五十四張。 空弓弦五百箇。御。 長箭三千三百七十五浮。禁五百浮。御一千浮。僧一千八百七十五浮。 片箭二千五百七十五浮。禁五百浮。御五百浮。僧一千五百七十五浮。 筒兒二千一百二十五箇。禁五百箇。御五百箇。僧一千一百二十五箇。 環刀一千五十一柄。禁六百九十四柄。御二百柄。僧一百五十七柄。 胡劒一百柄。禁。 長槍八百九十六柄。禁三百柄。僧五百九十六柄。 千里鏡一部。訓。 黃燭四萬五千二百四十七柄。禁三萬柄。御一萬五千二百四十七柄。 鐵籠四百箇。禁一百箇。御三百箇。 帥字旗一面。御。懸索具。 二廣緞大旗幟三十八面。皷十八坐。大皷四坐。喇叭十一雙。鉦二十二坐。木大角十雙。銅爐口一百三十坐。阿里金一百雙。御。 食鼎一千四百二坐。訓五十一坐。禁六十五坐。僧一千三百八十六坐。 加時木鐵杖二百二十箇。訓。 簪鐵五百三十九箇。禁三百二十九箇。御二百十箇。 鐵凹心二十五箇。御。 童車三十二坐。禁。 絲乷釵丁二百十五箇。禁。

臨津鎭
鳥銃一百八十柄。火藥一百斤。鉛丸五千箇。環刀二百五十五柄。長箭二十四浮。擔筒箇二十四部。交子弓二十四張。扁擔十八箇。別將,哨官方色手旗三面。認旗三面。神旗五面。旗捴旗六面。隊長旗二十四面。以上。封不動。

長山鎭
鳥銃一百八十柄。火藥一百斤。鉛丸五千箇。環刀二百五十五柄。長箭二十四浮。擔筒箇二十四部。交子弓二十四張。扁擔十八箇。別將,哨官方色手旗三面。認旗三面。神旗五面。旗捴旗六面。隊長旗二十四面。以上。封不動。


 

 

 

 

 

 

 

 

 

 

摠戎廳, 지난 12月 29日의 北漢山城 訓倉火藥東庫의 失火로 所儲火藥 7,597片이 燒燼되었음을 啓聞하다. 該倉書員·庫直輩를 嚴覈케 하고 摠戎使 趙羲復을 罷職, 이어 分揀케 하다.
[출전]
承政院日記 高宗 14年 1月 4日·6日
日省錄 高宗 14年 1月 4日·6日
備邊司謄錄 高宗 14年 1月 4日·5日·6日
高宗實錄 高宗 14年 1月 4日
政治日記 丁丑年 1月 4日
本朝紀事 卷200 太皇帝朝 20 丁丑 14年 1月 4日·6日
公車日錄 4 丁丑年 1月 4日
 


[출처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

'지리전고 > 도성과 궁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리전고(地理典故) 도성과 궁궐  (0) 2011.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