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세 호조참의공 휘 담/4세 호조 참의공 최담 사적(기록)

전주최공 문성공 4세손 호조참의 한벽당 중수기

아베베1 2015. 4. 16. 08:55

 

 

 

 

  이미지사진은 도봉산의 운무 2015.4.14 담았다  

 전주최공 문성공 4세손

 호조참의 휘 담   20대조고 되시는 분이다

 

면암 최익현 선생의 문집에서

한벽당 중수기(寒碧堂重修記)

 


영락(永樂)ㆍ경태(景泰) 연간에 월당(月塘) 최공 담(崔公湛)이 직제학(直提學)으로 있다가 벼슬을 버리고 시골로 돌아오니, 공의 아들 연촌 선생(烟村先生) 휘(諱) 최덕지(崔德之)도 얼마 후 공을 뒤따라 물러났다. 그리하여 부자는 서로 지기(知己)가 되어 강호에서 늙으니 당시의 사람들이 청절(淸節)에 감복하여 옛날 소광(疏廣)ㆍ소수(疏受)에 비유하였다.
지금 전주부(全州府) 향교에서 동쪽으로 가면 석탄(石灘) 가에 숲이 우거져 상쾌한 곳에 있는데, 여기에 한벽당(寒碧堂)이 있다. 이곳은 월당공(月塘公)이 평소에 거처하던 곳이다. 당의 서북쪽에 참의정(參議井)이라는 우물이 있으며 우물가에는,
솔개는 하늘에서 날고 / 鳶飛戾天
물고기는 못에서 뛰노네 / 魚躍于淵
라는 8자를 크게 새겼는데, 이는 공의 필적이라 한다.
공의 15세손 최전구(崔銓九)가 한벽당을 중수한 뒤에 나를 비루하다 여기지 않고 기문 쓰는 문제를 상의해 왔다. 나는 다음과 같이 썼다.
선조의 집이 낡으면 자손들이 보수하는 것은 당연한 임무이니 말할 것이 못 되며, 산림(山林)과 천택(川澤)의 아름다움이나 풍연(風烟)과 운물(雲物)의 경치에 대한 것은 이 당에 오르는 자가 직접 목격할 것이므로 내가 말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후인의 천박한 식견으로 수백 년 전의 일을 놓고서 이러쿵저러쿵하는 것도 참람하기 그지없는 일이다. 하지만 오직 사군자(士君子)가 나아가 벼슬하고 물러나 은퇴하는 대의(大義)는 예나 지금이 다름없는데, 그 현조(賢祖)의 자손을 대하고 어떻게 묵묵히 있겠는가.
대체로 어려서 공부를 하고 장년이 되어 벼슬하여 늙어서 물러나는 것은 예경(禮經)의 밝은 교훈이요 상물(常物)의 대정(大情)이다. 그런데도 혹자는 세리(勢利)에 급급하고 높은 관작에 연연하여 물러나지를 못한다. 혹 물러났다 하더라도 맛있는 술과 고기를 마음껏 먹던 끝이라서 담박한 음식을 싫어하고 옛날 호화롭던 것을 회고하여 잊지 못한다. 그리고 한숨 쉬며 애통하여 스스로 ‘자리를 잡지 못했다.’고 생각하니, 이런 사람이 어찌 다시 물러남이 십분 시의(時義)임을 알아서 유감이 없을 것인가. 그러므로 벼슬에 나아가면서 나아감을 사양하지 않는 자는 반드시 행할 만한 도가 있는 자요, 물러나면서 물러남을 편안히 여기는 자는 반드시 견고한 내수(內守)가 있는 자이다.
아조(我朝)의 세종(世宗)ㆍ문종(文宗) 연간은 문명한 시대로 성인이 위에 있어 만물이 모두 우러러 준량(俊良)의 등용이 이때보다 성한 때가 없었는데 공이 잠시도 기다리지 않고 호연히 물러난 그 뜻이 어디에 있는지 참으로 알 수가 없다. 그러나 그 절조가 높고도 밝아서 봉황(鳳凰)이 천길을 나는 듯한 기상이 있으니, 이것이야말로 백세 후에 오히려 사람을 흥기시킬 만한 것이 있다. 만일 그가 자잘하게 작은 청렴이나 삼가는 데 힘써서 어치렁거리며 세속의 이목에 잘 보이려고 분주했을 뿐이라면 어떻게 당대에 이름이 나서 이처럼 후세까지도 무궁할 수가 있겠는가.
그렇다고 본다면, 공의 청풍(淸風)과 고절(高節)이 진실로 이 당(堂)으로 해서 전하게 되는 것은 아니지만, 후인들이 보고 느끼며 흠모하는 마음이 일어나는 것은 이 당이 아니고는 부칠 곳이 없으니, 이 당의 중수하는 일을 어찌 그만둘 수가 있겠는가. 주자(朱子)의 시에,
깎아 세운 푸른 모서리 / 削成蒼石稜
찬 못에 비쳐 푸르도다 / 倒影寒潭碧
라는 시구가 있으니, 한벽당이라고 이름 지은 것은 혹 여기에서 따온 것이 아닌가 한다.

 

 

 

 


[주D-001]영락(永樂)ㆍ경태(景泰) 연간 : 영락은 명 성종(成宗)의 연호이며 경태(景泰)는 명 경종(景宗)의 연호인데, 서기 1403~1457년 사이라고 하나, 분명치 않다. 한벽당은 태종 4년(1404)에 최담이 낙향하여 세웠다는 전주읍지(全州邑誌)의 기록이 있다.
[주D-002]소광(疏廣)ㆍ소수(疏受) : 소광은 한 선제(漢宣帝) 때 사람으로, 태자 태부(太子太傅)가 되고, 조카인 소수는 소부(少傅)가 되었는데, 광이 수에게 말하기를 “벼슬이 높고 이름이 떨치면 후회할 일이 있을까 한다.” 하고 둘이 다 사직하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漢書 卷71 雋疏于薛平彭傳》


 

 

 

 

勉菴先生文集卷之二十
  

 


 

寒碧堂重修記
 



粤若永樂景泰年間。月塘崔公諱霮。以直提學。棄官而去。已而公之子烟村先生諱德之。踵公而退。父子相爲知己。而老於江湖之上。時人服其淸節。比325_488b擬二䟽。今全州府鄕校之東。石灘之上。邃密爽塏。而堂曰寒碧者。月塘公杖屨之所也。堂西北。有參議井。井傍刻鳶飛戾天魚躍于淵八大字。公之手蹟也。十五世孫銓九。以其重修有日。不余鄙夷。來謀所以記之者。余謂先人弊廬。子孫肯構之。是職耳。不足言。園林陂澤之勝。風烟雲物之景。登斯堂者。目擊焉不待言。其以後人淺見。揣摩數百年往事而軒輊低仰。又極僭易也。惟士君子出處大義。古與今無異同。則對其賢祖之雲仍。而亦安敢默然而已乎。蓋幼而學。強而仕。老而退。禮經之明訓。恒物之大情。或者怵迫勢325_488c利。睠睠於軒冕印紱之間。而不能退。或退矣而酣豢之餘。厭苦淡泊。回顧疇昔。不能忘情。方且咨嗟戚促。自以爲不得其所。復豈知退之爲十分時義而無憾乎。故進而不辭其進者。必其有可行之道者也。退而能安其退者。必其有內守之固者也。而况我朝英顯。文明之會也。聖人在上。萬物咸覩。俊良登庸。於斯爲盛。而乃公浩然斂退。不俟終日者。其微意所在。固不可知。第其亭亭皎皎。有鳳凰翔于千仞氣象。則百世之後。猶有使人興起者。若䂓䂓焉務爲小廉曲謹。翺翔徘徊以投世俗之耳目而已。則其何能名於一325_488d時。而垂無窮如此哉。然則公之淸風高節。固非有資於斯堂。而若夫後人之興慕觀感。非斯堂無所於寓矣。重修之役。又惡可已乎。朱子詩曰。削成蒼石稜。倒影寒潭碧。堂之命名。豈或有取於斯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