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명3/전주최씨 관련기사

전주최씨 연원및 과거급제자 등

아베베1 2008. 12. 28. 18:57
전주(全州)는 본래 백제의 완산(完山)이다.
신라 진흥왕 16년 완산주(完山州)를 두었다가 동(同)26년 폐하였고 경덕왕 15년에는 지금 이름으로 개칭하여 구주(九州)를 완비 하였다. 고려조 성종 12년 승화절도안무사(承化節度按撫使)로 하였고 현종 9년에는 안남대도호부(安南大都護府)로 승격하였다가 다시 전주목(全州牧)으로 고쳤다.  조선조 태조 1년 임금의 고향이므로 완산유수부(完山留守府)로 승격시켰고 태종 3년 지금 이름으로 다시 개칭하였으며 세조때는 진(鎭)을 두었다.
1895년 군(郡)이, 1935년 부(府)로, 1949년 시(市)로 승격되어 오늘에 이르렀다.
주요 성씨로는 최(崔) ㆍ 이(李) ㆍ 김(金) ㆍ 도(都) ㆍ 동(董) ㆍ] 동(童) ㆍ 연(連) ㆍ 류(柳) ㆍ 유(劉) ㆍ 마(馬) ㆍ 변(邊) ㆍ 선(宣) ㆍ 심(沈) ㆍ 애(艾) ㆍ 오(吳) ㆍ 장(張) ㆍ 전(全) ㆍ 정(鄭) ㆍ 주(朱)씨 등이 있었다.


氏族의 연원

최씨(崔氏)는 우리나라의 성씨(姓氏)가운데 가장 오래된 역사를 지닌 씨족(氏族)의 하나여서 상계(上系)가 여러 계통으로 갈려진 최씨(崔氏)가 있다. 그래서 전주최씨(全州崔氏)도 그 시원(始源)은 신라 돌산(突山)의 고허촌장(高墟村長)인 소벌도리(蘇伐都利)이지만 그뒤의 계대(系代)가 확실치 않아 고려때에 크게 활약한 인물들을 중심로 시조를 삼아 전주최씨(全州崔氏)라는 씨족으로 뭉쳐있다.  그리고 ‘전주최씨총계보(全州崔氏總系譜)’를 보면 본관은 같으면서 계통(系統)이 다른 4파(派)가 있는데 최순작(崔純爵)을 1세로 하는 문렬공파(文烈公派). 둘째로는 고려 충숙왕 때 문하시중(門下侍中)으로 완산군(完山君)에 봉해진 최아(崔阿)를 기세조(起世祖)로 하는 문성공파(文成公派). 다음으로 고려 인종 때 문과에 올라 예부낭중(禮部郎中)을 지냈으며 동북로도지휘사(東北路都指揮使)로 있다가 서경유수(西京留守) 조위총(趙位寵)에게 죽임을 당한 최균(崔均)을 1세조로 하는 사도공파(司徒公派). 마지막으로 고려 때 문하시중평장사(門下侍中平章事)를 지내고 완산부원군(完山府院君)에 봉해졌으며 문충(文忠)이라 시호(諡號)된 최군옥(崔群玉)을 시조로 하는 문충공파(文忠公派)가 그것이다.

파명록

문렬공파(文烈公派) - 예의판서공파(禮儀判書公派) ㆍ 판윤공파(判尹公派) ㆍ 양도공파(襄度公派) ㆍ 지평공파(持平公派) ㆍ 경절공파(敬節公派) ㆍ 첨추공파(僉樞公派) ㆍ 감무공파(監務公派)
문성공파(文成公派) - 안렴사공파(按廉使公派) ㆍ 대호군공파(大護軍公派) ㆍ 판사공파(判事公派) ㆍ 중랑장공파(中郞將公派)
문충공파(文忠公派) - 군수공파(郡守公派) ㆍ 현감공(현감공(縣監公)(여정(汝貞))파(派)) ㆍ 절도사공파(節度使公派) ㆍ 현감공(현감공(縣監公)(여달(汝達))파(派)) ㆍ 영중추공파(領中樞公派) ㆍ 현감공(현감공(縣監公)(여격(汝激))파(派)) ㆍ 절도사공(節度使公)(억룡(億龍))파(派)) ㆍ 부정공파(副正公派)
사도공파(司徒公派) - 완성군파(完城君派) ㆍ 판서공파(判書公派) ㆍ 총랑공파(摠郞公派)

주요 세거지

문헌(文獻)에 보면, 문렬공(文烈公) 최순작(崔純爵)의 5대손 최득평(崔得枰)이 처향(妻鄕)인 충북 청원군(淸原郡) 북이면(北二面) 대율리(大栗里)에 가 살았던 사실이 나타나 있다. 이로 미루어 이무렵부터 자손들이 청원(淸原)을 중심으로 한 충청도 일대에 많이 살게 되었다고 믿어진다.


최득평(崔得枰)의 자손들 가운데 예의판서공파(禮儀判書公派)는 음성(陰城)과 예천(醴泉)에 나뉘어 살았고, 판윤공파(判尹公派)는 16세 최돈이 1526년경에 지금의 충남 천원(天原)에 자리잡은 것을 비롯하여 당진(唐津) ㆍ 연기(燕岐) ㆍ 진천(鎭川) ㆍ 광산(光山) ㆍ 곡성(谷城) ㆍ 나주(羅州) ㆍ 영암(靈岩) 등지와 경기도 시흥(始興) ㆍ 안성(安城), 황해도 평산(平山) ㆍ 신천(信川), 평남 개천(价川) ㆍ 성천(成川), 함남 단천(端川) ㆍ 함흥(咸興) ㆍ 영흥(永興) 등지에 세거했던 것 같다.
또한 양도공파(襄度公派)가 시흥(始興) ㆍ 양주(楊州) ㆍ 평택(平澤) 등 경기도 일원과 강원도 양구(楊口) ㆍ 통천(通川), 예천(醴泉) ㆍ 완주(完州) ㆍ 공주(公州) ㆍ 청양(靑陽) ㆍ 부여(扶餘) ㆍ 논산(論山) ㆍ 서산(瑞山) ㆍ 청주(淸州) 등지, 신계(新溪) ㆍ 평산(平山) ㆍ 영흥(永興) ㆍ 옹진(甕津) ㆍ 북청(北靑) ㆍ 홍원(洪原) 등지에 폭넓게 산거했으며 지평공파(持平公派)는 경기지역과 황해도 안악(安岳)에, 경절공파(敬節公派)는 11세 최효충(崔孝忠) ㆍ 최효량(崔孝良)의 후계(後系)가 삼척(三陟) ㆍ 개성(開城) ㆍ 양주(楊州) ㆍ 당진(唐津)에 자리잡은 것을 비롯하여 영변(寧邊) ㆍ 진천(鎭川) ㆍ 서천(舒川) ㆍ 부여(扶餘) ㆍ 영덕(盈德) ㆍ 황주(黃州) ㆍ 삼척(三陟) ㆍ 음성(陰城) ㆍ 연기(燕岐) 등지에 살았다.
그리고 첨성공파(僉城公派)는 김제(金堤) ㆍ 여천(麗川) ㆍ 순천(順天) ㆍ 익산(益山) ㆍ 나주(羅州) ㆍ 달성(達城) ㆍ 단양(丹陽)과 평북 철산(鐵山)에, 감무공파(監務公派)는 11세 최희보(崔希輔)가 단종손위(端宗遜位)때 전주(全州)로 퇴거했던 것을 비롯하여 진천(鎭川) ㆍ 서산(瑞山) ㆍ 평창(平昌) ㆍ 인제(麟蹄) ㆍ 보은(報恩) ㆍ 완주(完州) ㆍ 익산(益山) ㆍ 제천(堤川) 등지와 황해도 서흥(瑞興)에 세거했던 것 같다.
한편 문성공(文成公) 최아(崔阿)의 자손들 가운데 안렴사공파(按廉使公派)는 경상도 안렴사(安廉使)를 지낸 최용생(崔龍生)이 경남 사천(泗川)에 터를 잡았던 이래로 창원(昌原) ㆍ 고성(固城) ㆍ 통영(統營) ㆍ 진주(晋州) ㆍ 의령(宜寧) ㆍ 산청(山淸) ㆍ 하동(河東) ㆍ 남해(南海) 등 경남 일대와 선산(善山) ㆍ 칠곡(漆谷) ㆍ 광양(光陽) 등지에 정착했고, 대호군공파(大護軍公派)는 임실(任實) ㆍ 김제(金堤) ㆍ 익산(益山) ㆍ 전주(全州) ㆍ 남원(南原)등 전북 일원과 충남 논산(論山)의 은진(恩津)에 많이 살았다.
최아(崔阿)의 셋째아들 최용갑(崔龍甲)의 자손들인 판사공파(判事公派)는 무주(茂朱) ㆍ 거창(居昌) ㆍ 남원(南原) ㆍ 대구(大邱)등지에 세거했고, 중랑장공파(中郞將公派)는 고흥(高興) ㆍ 부안(扶安) ㆍ 김제(金堤) ㆍ 영암(靈岩) ㆍ 신안(新安) ㆍ 정읍(井邑) ㆍ 고창(高敞) ㆍ 익산(益山) ㆍ 완주(完州) ㆍ 임실(任實) ㆍ 보령(保寧) ㆍ 강원도(江原道) 원성(原城) 등지에 나뉘어 정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사도공(司徒公) 최균(崔均)의 자손들은 완성군파(完城君派)가 함남 덕원(德源)과 개성(開城) ㆍ 장단(長湍) 등지에, 판서공파(判書公派)는 고창(高敞) ㆍ 영광(靈光) ㆍ 장성(長城) ㆍ 개성(開城) ㆍ 장단(長湍) ㆍ 연천(漣川) ㆍ 화천(華川) ㆍ 평강(平康) 등지와 황해도 평산(平山) ㆍ r금천(金川), 함남 함흥(咸興) 등지에 세거했다.
최균(崔均)의 8대손 최정지(崔丁智)의 자손들인 총랑공파(摠郞公派)는 파주(坡州)의 교하(交河) ㆍ 가평(加平) ㆍ 연천(漣川) ㆍ 장단(長湍) ㆍ 개성(開城)등 경기지역과 황해도 일원에 많이 살았던 것 같다.
1930년경에 이르러 전주최씨(全州崔氏)는 경기도 화성군(華城郡) 정남면(正南面), 강원도(江原道) 인제군(麟蹄郡) 북면(北面) ㆍ 서하면(瑞下面), 충북 음성군(陰城郡) 원남면(遠南面), 충남 청양군(請陽郡) 사양면(斜陽面), 전북 무주군(茂朱郡) 무풍면(茂豊面), 남원군(南原郡) 산동면(山東面), 정읍군(井邑郡) 덕천면(德川面), 부안군(扶安郡) ㆍ 김제군(金堤郡) 일원, 전남 승주군(昇州郡) 상사면(上沙面), 영암군(靈岩郡) 덕진면(德津面), 무안군(務安郡) 현경면(玄慶面), 경북 달성군(達城郡) 구지면(求智面), 경남 의령군(宜寧郡) 가례면(嘉禮面), 고성군(固城郡) 일원, 황해도 금천군(金川郡) 우봉면(牛峰面), 안악군(安岳郡) 안곡면(安谷面), 수안군(遂安郡) 수안면(遂安面) ㆍ 율계면(栗界面), 평남 성천군(成川郡) 일원, 평북 귀성군(龜城郡) 일원, 선천군(宣川郡) 대산면(臺山面), 철산군(鐵山郡) 일원, 후창군(厚昌郡) 후창면(厚昌面), 함남 함주군(咸州郡) 하기천면(下岐川面), 홍원군(洪原郡) 홍원읍(洪原邑), 단천군(端川郡) 신만면(新滿面), 함북 학성군(鶴城郡) 학중면(鶴中面) 등지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었다.
오늘날의 대표적인 집성촌으로는 경남 고성군(固城郡) 하일면(下一面) 학림리(鶴林里) 학동(鶴洞)마을을 꼽는다.
문성공(文成公) 최아(崔阿)의 큰아들 최용생(崔龍生)이 경상도 안렴사(安廉使)를 지낸뒤 경남 사천(泗川)으로 옮겨가 살면서 그 후손들이 인근의 진주(晉州) ㆍ 함안(咸安) ㆍ 고성(固城) 등지에 퍼져 전주최씨(全州崔氏)는 경남 서부의 손꼽히는 대성(大姓)으로 세력을 떨치게 됐다.
이곳에 처음 뿌리를 내리게 된 것은 임진란(壬辰亂) 때에 고성(固城) 구만면(九萬面)에서 의병을 일으켜 무공을 세운 최균(崔均)의 현손(玄孫) 최형태(崔亨泰)가 임란(壬亂)후, 고조(高祖)의 묘소를 모신 이마을 산아래에 집을 짓고 살면서부터이다.
현재 50여가구에 달하는 전주최씨(全州崔氏) 자손들이 살고 있다.

씨족史

전주최씨(全州崔氏)는 서로 시조를 달리하는 4파가 있는데, 최순작(崔純爵)을 시조로 하는 문렬공파(文烈公派)와 최아(崔阿)를 시조로 하는 사도공파(司徒公派), 최군옥(崔群玉)을 시조로 하는 문충공파(文忠公派)가 그것이다.
네 파가 모두 선조가 전주(全州)에 봉군(封君)을 받는 등 인연으로 전주(全州)를 근거지로 가문을 창립했으나 서로간의 관계는 밝히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대동보(大同譜)’는 내지 못하고 있으나 종친회 활동은 함께 하는 등 동성동본(同姓同本)의 우의를 다지고 있다.
전주최씨(全州崔氏)는 고려조에 예부시랑(禮部侍郞)을 지낸 최균(崔均)을 비롯하여 그의 아들 평장사(平章事) 최보순(崔甫淳), 찬성사(贊成事)를 지낸 그의 증손 최성지(崔誠之), 공민왕 때 전리판서(典理判書)를 지낸 최재(崔宰)와 같은 명신(名臣)을 배출하여 가문을 빛냈다.
고려말에 쌓은 위와 같은 가세(家勢)에 힘입어 조선조에 모두 1백 9명의 문과급제자를 내 최씨(崔氏) 가운데 본관별로 가장 많은 숫자를 기록했고, 그 중 정승이 3, 대제학이 2, 청백리가 5명이다.
3명의 정승, 2명의 대제학은 모두 문렬공(文烈公)파이고, 청백리는 문렬공(文烈公)파가 3, 문성공파(文成公派)가 2명이다. 그러나 고려조에는 사도공파(司徒公派)가 가장 융성을 나타냈다.
파별 숫자로는 문렬공파(文烈公派)와 문성공파(文成公派)가 많다.
문렬공파(文烈公派)는 7개 분파(分派)로 세분된다. 최사미(崔思美)의 후손이 예의판서공파(禮儀判書公派), 최사위(崔士威)의 후손이 판윤공파(判尹公派), 최사의(崔士儀)의 후손이 양도공파(襄度公派), 최사규(崔士規)의 후손이 지평공파(持平公派), 최사강(崔士康)의 후손이 경절공파(敬節公派), 최사용(崔士庸)의 후손이 첨추공파(僉樞公派), 최사흥(崔士興)의 후손이 감무공파(監務公派)다.
문성공파(文成公派)는 4개 분파(分派)로 나누어진다. 최용생(崔龍生)의 후손이 안렴사공파(按廉使公派), 최용각(崔龍角)의 후손이 대호군공파(大護軍公派), 최용갑(崔龍甲)의 후손이 판사공파(判事公派), 최용봉(崔龍鳳)의 후손이 중랑장공파(中郞將公派)이다.
사도공파(司徒公派)는 3개파(派)로 나누어지는데 최을의(崔乙義)의 후손이 완성군파(完城君派), 최병례(崔丙禮)의 후손이 판서공파(判書公派), 최정지(崔丁智)의 후손이 총랑공파(摠郞公派)다.
사도공파(司徒公派)의 시조인 최균(崔均)은 인종조에 과거에 올랐으며 예의(禮儀)에 밝았다. 의종조에 재상 최윤의(崔允儀)의 추천으로 합문지후(閤門祗侯)가 되고 명종이 즉위하자 호부원외랑(戶部員外郞)에 발탁되어 내시(內侍)에 속하게 되었다. 명종조는 무인(武人) 정중부가 정권을 잡고 있을 때인데, 서경유수(西京留守) 조위총(趙位寵)이 정중부토벌을 내세우고 서북(西北)사람들과 함께 반란을 일으키자 동북로도지휘사(東北路都指揮使)가 되어, 이 반란에 동조하고 있던 동북(東北)의 여러 성(城)을 회유하게 되었다. 화주(和州)(영흥)에 들어갔다가 조위총의 부장이던 김박승(金朴升)에게 잡혀 살해되었다.
그는 초서, 예서를 잘 썼고 행정실무에 밝았었는데 이렇게 일찍 죽자 사람들이 애석해하였다. 예부상서(禮部尙書)의 관직이 추증되었다.
그의 아들 최보순(崔甫淳)은 아버지가 일찍 죽었으므로 어려서 고아가 되어 힘써 공부하여 과거에 올라 황주장서기(黃州掌書記)가 되었는데, 정치가 청백(淸白)하였다. 강종 2년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로서 동지공거(同知貢擧)를, 고종 9년 참지정사(參知政事)로서 지공거(知貢擧)를 겸했으며,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 판병부사(判兵部事), 다음해 수문전태학사(修文殿太學士) 동수국사(同修國史)를 역임하고 1226년 감수국사(監修國史)로서 수찬관(修撰官) 김양경(金良鏡), 임경숙(任景肅)등과 함께 ‘명종실록(明宗實錄)’을 편찬했다. 1228년 수태사판이부사(守太師判吏剖事)가 되었다.
최윤개(崔允愷)는 최보순(崔甫淳)의 아들로 상서우승(尙書右丞)에 올랐다. 성품이 강직하여 집권자이던 최의(崔

)에게 아부하지 않았다. 최의가 그의 성품이 검소하고 공평한 것을 알고 우부승선(右副承宣)에 임명하여 이부(吏部), 병부(兵部)의 인사권을 장악했다. 추밀원사어사대부(樞密院使御史大夫)에 올랐다.
최성지(崔誠之)는 찬성사(贊成事) 최비일(崔毗一)의 아들이며 최윤개(崔允愷)의 손자이다. 충렬왕 대 과거에 급제하고 사한(史翰)이 되어 춘궁(春宮)에 속했다가 충선왕을 따라서 원(元)나라에 갔다. 1307년에 충선왕과 함께 원(元)나라 무종(武宗)이 즉위하는 데 공이 컸으며, 지감찰사사(知監察司事)가 되었다. 충렬왕이 죽고 충선왕이 귀국, 즉위한 후 동지밀직사사대사헌(同知密直司事大司憲)이 되고, 첨의평리(僉議評理) 등을 거쳐 찬성사(贊成事)에 올라 추성량절공신(推誠亮節功臣)이 되고, 광양군(光陽君)으로 봉해졌다. 충숙왕 때 일부 부원세력에 의해 고려에서 입성(立省)책동이 벌어졌을 때 김정미(金廷美) ㆍ 이제현 등과 함께 원(元)에 상소하여 입성론(立省論)을 잠잠하게 한다. 시(詩)와 글씨에도 뛰어났으며, 그가 원(元)나라에서 배워온 역수(易數)의 학(學)(수시력(授時曆))은 그뒤 고려의 학계(學界)에 큰 공헌을 했다.
그의 아들 최문도(崔文度)는 원(元)에서 숙위하면서 성리학(性理學)을 배워왔고, 관직은 첨의평리(僉議評理)에 이르렀다.
문정공(文貞公) 최재(崔宰)는 충렬왕 때 과거에 오르고 충선왕 때에 선부전서(選部典書)에 올랐던 최득평(崔得枰)의 아들이다. 충숙왕 때 과거에 급제, 중부령(中部令)을 거쳐 지평(持平)이 되었다. 총목왕 때 정치도감(整治都監)이 설치되어 각도의 양전(量田)이 실시될 때 판관(判官)에 임명되었으나 병을 핑계로 나가지 않았다. 이어 전법정랑(典法正郞)을 거쳐 지흥주사(知興州事)로 나갔다가 인정승(印政승)에게 미움을 받아 파직되었다. 충정왕 때 지양주사(知襄州事)로 있다가 원(元)나라 강향사(降香使)가 존무사(存撫使)를 욕보이는 것을 개탄, 벼슬을 버리고 귀가했으나, 이 사실이 왕(王)에게 알려져 감찰장령(監察掌令)에 특진되었다. 감찰대부(監察大夫)를 거쳐 전리판서(典理判書)에 승진(陞進), 5년 후 완산군(完山君)에 개봉(改封)되었다.
문성공(文成公) 최아(崔阿)는 충숙왕 때 문하시중(門下侍中)으로 완산군(完山君)에 봉해졌고, 그의 아들 최용각(崔龍角)은 충숙왕 때 학행(學行)과 충절(忠節)로 이름이 높았고, 보문각대제학(寶文閣大提學) ㆍ 검교대호군(檢校大護軍)을 역임했다.
최재(崔宰)의 아들 평도공(平度公) 최유경(崔有慶)은 고려말 조선초에 전주최씨(全州崔氏)를 중흥시킨 인물로, 조선조의 전주최씨(全州崔氏) 3정승, 2대제학이 모두 그의 후손이다.
공민왕때 판도좌랑(版圖佐郞) ㆍ 사녕장령(司寧掌令)을 지냈고, 우왕 14년 요동정벌 때는 서북면전운사겸찰방(西北面轉運使兼察訪)으로 참여하였다. 조선 개국 후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이 되고 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 참찬의정부사(參贊議政府事), 중추원사(中樞院使),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를 역임했다. 태종조에 청백리(淸白吏)에 뽑혔다. 남대문(南大門)은 태조 7년에 세워졌는데, 당시 경기도관찰사이던 그가 감역(監役)했다는 상량문(上樑文)이 최근에 발견되었다.
평도공(平度公)은 사위(士威), 사의(士儀), 사규(士規), 사강(士康), 사용(士庸), 사흥(士興)의 여섯 아들을 두었는데, 모두 현달했다. 최사위(崔士威)는 한성판윤(漢城判尹)을 지냈고, 최사의(崔士儀)는 판돈녕부사(判敦寧府使)로 청백리(淸白吏)에 뽑혔으며, 최사규(崔士規)는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을, 최사강(崔士康)은 우찬성(右贊成), 최사용(崔士庸)은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를 지냈다.
이중에서 최사강(崔士康)의 후손이 조선조에서 가장 현달했는데, 병자호란 때 주화파(主和派) 대신으로 이름이 높은 지천(遲川) 최명길(崔鳴吉)은 최사강(崔士康)의 7대손이다.
문충공파(文忠公派)의 최칠석(崔七夕)은 우왕 7년 해도만호(海島萬戶)가 되고, 1388년 밀직부사(密直副使)로 원수(元帥)가 되어 왜구(倭寇) 소탕에 공을 세웠으며 창왕 때 박위와 함께 대마도(對馬島)를 정벌했다. 공양왕 2년에는 이초(彛初)의 옥사(獄事)에 연루되어 한때 유배되었고, 1392년 조선개국 후 밀직부사(密直副使)로서 경기우도수군절제사(京畿右道水軍節制使)가 되었다.
최양(崔瀁)은 고려말 고관에 올랐으나 조선개국에 반대하여 은둔한 인물이다. 우왕 때 문과에 급제, 이부상서(吏部尙書) ㆍ 대제학(大提學)에 이러렀으나, 1392년 고려가 망하자 사직하고 전주 대승동에 퇴거(退居)했다. 조선 태종이 친구로 대우하며 전록(田祿)을 하사했으나 받지 않았다.
최덕지(崔德之)는 문성공(文成公)의 현손으로 태종 5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급제한 후 추천을 받아 사관(史官)이 되었고, 뒤에 3사(司)의 벼슬을 역임하였다. 남원부사(南原府使)가 되었다가 사퇴, 후에 문종이 즉위하자 예문관직제학(藝文官直提學)이 되었으나 다음해 노령(老齡)으로 사직, 고향에 돌아갔다. 아버지 최담과 형인 광지(匡之), 직지(直之), 6촌형제인 구지(久之)가 모두 제학(提學), 부제학(副提學)에 올라 <5제학(提學)집>으로 불렸다.
병자호란 때의 주화파(主和派) 대신 지천(遲川) 최명길(崔鳴吉)은 영흥부사(永興府使) 최기남(崔起男)의 아들이다. 선조 38년 문과에 급제하고, 광해군의 폭정을 보고 김류 ㆍ 이귀(李貴) 등과 인조를 영립(迎立)해 정사공신(靖社功臣) 1등이 되고 완성군(完城君)에 봉해졌다. 인조 3년 부제학(副提學)이 되어 대동법(大同法)의 시행이 재론되자, 그 선행조건으로 호패법(號牌法)의 실시를 주장, 호패청(號牌廳) 당상(堂上)이 되어 이를 관장했다.
1627년(인조5) 정묘호란(丁卯胡亂)때 주화론(主和論)을 주장, 화의가 긑나 호병(胡兵)들이 돌아간 후 명분론을 중시하는 주자학자들을 비롯한 많은 사람들로부터 많은 지탄을 받았다. 그후 예조판서(禮曹判書)를 거쳐 이조판서(吏曹判書)로 대제학(大提學)을 겸했다.
1636년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으로 있을 때 병자호란(丙子胡亂)이 일어나자 홍익한(洪翼漢) 등을 비롯하여 조정은 주전론 일색이었으나, 명분보다 현실적 정세에 적응키 위해 강화(講和)를 해야 한다고 주화론(主和論)을 주장, 수차에 걸쳐 청진(淸陣)에 왕래하여 강화의 조건을 타진했고, 항복이 결정되자 항서(降書)를 초안했다. 1637년 우의정(右議政)을 거쳐 좌의정(左議政)이 되어 사은사(謝恩使)로 심양(瀋陽)에 가서 포로의 석방과 척화신(斥和臣)의 귀환을 교섭, 다음해 귀국하여 영의정(領議政)에 올랐다. 1645년 완성부원군(完城府院君)에 진봉(進封)되고 어영청도제조(御營廳都提調)를 지냈다.
성리학(性理學)과 문장(文章)에도 뛰어나 일가를 이루었을 뿐만 아니라 글씨에 있어서는 동기창체(董其昌體)로 유명했다. 저서로 ‘지천집(遲川集)’ 19권, ‘경서기의(經書記疑)’, ‘병자봉사(丙子封事)’가 전하고 있다.
지천(遲川)의 형 최내길(崔來吉)은 동생과 함께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공을 세워 정사공신(靖社功臣) 3등이 되고, 이괄(李适)의 난에 왕을 호종하여 완산군(完山君)에 봉해졌다. 도총관(都摠管)을 지내고 공조판서(工曹判書)에 이르렀다.
최명길(崔鳴吉)의 손자인 석정(錫鼎)과 석환(錫桓) 형제는 숙종조, 경종조에 나란히 정승에 오르고, 석환(錫桓)은 ‘소론(少論) 4대신’으로 꼽혔던 정계의 중진이었다.
최석정(崔錫鼎)은 숙종 25년(1699) 좌의정(左議政)에 올라 대제학(大提學)의 겸임하여 ‘국조보감(國朝寶鑑)’ 속편(續編) 편찬과 ‘여지승람(輿地勝覽)’의 증보(增補)를 주청, 이를 실현P 했다. 다음해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에 전임했다가 1701년 영의정(領議政)이 되었다. 노론(老論) ㆍ 소론(少論)의 당쟁 속에서 소론(少論)의 영수(領袖)로 많은 파란을 겪으며 전후 여덟 번 영의정(領議政)을 지냈다. 1710년 영의정(領議政)으로 내의원도제조(內醫院都提調)를 겸했고, 뒤에 다시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지냈다.
문장(文章)과 글씨에 뛰어났고 조부(祖父) (명길(鳴吉))의 학문을 계승, 정제두(鄭齊斗)와 함께 당시 배척을 받던 양명학(陽明學)을 발전시켰으며, ‘경세정운도설(經世正韻圖說)’을 저술하였다. 숙종의 묘정에 배향되었고, 저서로 ‘명곡집(明谷集)’이 남아 있다.
최석환(崔錫桓)은 숙종 6년 별시문과(別試文科)에 급제하고 관직에 나아가 경종 1년 이조판서(吏曹判書)를 거쳐 좌참찬(左參贊)이 되었다. 소론(少論)4대신(大臣)의 한 사람으로 경종조에 소론(少論)정권이 수립되자 우의정(右議政)이 되었다. 경종 3년 실록청총재관(實錄廳總裁官)으로 ‘숙종실록(肅宗實錄)’의 편찬을 주재하고, 다음해 좌의정(左議政)이 되었다.
문성공(文成公)파의 후손에서 최기필(崔琦弼)은 임진왜란(壬辰倭亂)때 의병을 일으켜 진주성(晋州城)싸움에서 순국했고, 최균(崔均) 또한 아우 최강(崔堈)과 함께 창의(倡義), 역전의 공을 세우고 공신록에 올라 훗날 형은 이조판서(吏曹判書), 아우는 병조판서(兵曹判書)로 추증됐다.
역시 임란(壬亂)에서 스님들을 모아 의병을 일으켜 8도 승병(僧兵)의 총수가 됐던 서산대사(西山大師) 휴정(休靜)이 또한 전주최씨(全州崔氏)의 후손이다. 사명당(四溟堂)의 스승이기도 한 서산대사(西山大師)는 불도(佛道)의 연구와 수련에도 높은 경지에 이른 고승으로, 그가 남긴 ‘선가귀감(禪家龜鑑)’ 등 저술은 오늘날까지 불가(佛家)수행의 지침서로 쓰인다.
김성일(金誠一)의 문인(門人)인 최만(崔晩)은 천문(天文), 지리(地理), 병법(兵法) 등에 밝았다. 1606년 증광별시(增廣別試) 생원과(生員科)에 1등으로 합격하여 검열(檢閱)이 되었다. 광해군(光海君) 때 술사(術士)의 주장으로 천도론(遷都論)이 일어나자 이를 극력반대, 그 계획을 중지케 했다.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사인(舍人), 부제학(副提學)을 거쳐 강원도관찰사(江原道觀察使)에 이르렀으며 인조 5년 이인거(李仁居)의 모반에 관련되었다는 혐의를 받고 투옥되었으나 왕(王)의 특명으로 석방되었다.
근대이후의 인물로는 기독교개척에 헌신한 최병헌(崔炳憲) 목사를 들 수 있다. 한학자였던 그는 성경을 연구하다 기독교에 입신, 끝내는 목사가 되고 「아펜젤러」목사의 동반자로 기독교 전도 ㆍ 민권신장 ㆍ 항일에 계몽적 역할을 했다.

역대 주요 인물

(문렬공파(文烈公派))
▲고려조
최순작(崔舜爵) (신호위상장군(神虎衛上將軍))
최숭(崔崇) (호부상서(戶部尙書))
최남수(崔南數) (직제학(直提學))
최전(崔佺) (비서소윤(秘書少尹))
최정신(崔正臣) (병부시랑(兵部侍郞))
최득평(崔得枰) (선부전서(選部典書))
최직평(崔直枰) (예부시랑(禮部侍郞))
최재(崔宰) (전리판서(典理判書))
최사미(崔思美) (예의판서(禮儀判書))
최서(崔恕) (안렴사(按廉使))

▲조선조
최덕성(崔德成) (삼사좌윤(三司左尹))
최유경(崔有慶) (의정부사(議政府事))
최사위(崔士威) (한성판윤(漢城判尹))
최사의(崔士儀)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최사규(崔士規) (지평(持平)) 최사강(崔士康) (찬성(贊成))
최사용(崔士庸) (중추부사(中樞府事)) 최후(崔厚) (돈녕(敦寧))
최신기(崔信基) (참판(參判))
최사흥(崔士興) (대흥감무(大興監務))
최숙행(崔淑行) (판서(判書)) 최선민(崔善敏) (관찰사(觀察使))
최덕인(崔德仁) (절도사(節度使))
최내길(崔來吉) (공조판서(工曹判書))
최명길(崔鳴吉) (字 : 자겸(子謙) · 호(號) : 지천(遲川) · 시(諡) : 문충(文忠) · 완성부원군(完城府院君) · 영의정(領議政)) 최혜길(崔惠吉) (참판(參判)) 최흘(崔屹) (만호(萬戶))
최종무(崔宗武) (만호(萬戶)) 최관(崔寬) (좌참찬(左參贊))
최석정(崔錫鼎) (영의정(領議政))
최창대(崔昌大) (대사성(大司成))
최석항(崔錫恒) (좌의정(左議政)) 최달(崔達) (판서(判書))
최옥명(崔玉明) (목사(牧使)) 최옥순(崔玉筍) (목사(牧使))
최계사(崔季思) (부사(府使))
최안지(崔安智) (전주부윤(全州府尹))
최방귀(崔邦貴) (정랑(正郞))
최삼준(崔三俊) (종성부사(鐘城府使))
최사정(崔斯正) (참판(參判)) 최언영(崔彦英) (절도사(節度使))
최홍달(崔弘達) (부사(府使)) 최집(崔집) (부사(府使))
최간 (목사(牧使)) 최계웅(崔繼雄) (부사(府使))최창국(崔昌國) (부사(府使)) 최철견(崔鐵堅) (부사(府使))
최희(崔禧) (군수(郡守)) 최천건(崔天健) (이조판서(吏曹判書))
최성대(崔成大) (대사간(大司諫)) 최예수(崔禮秀) (통례(通禮))
최홍문(崔弘們) (전라감사(全羅監司)) 최개(崔漑) (부사(府使))
최기남(崔起南) (부사(府使)) 최국한(崔國翰) (만호(萬戶))
최남(崔湳) (돈녕도정(敦寧都正)) 최후량(崔後亮) (좌윤(左尹))
최명주(崔命柱) (절도사(節度使))
최상달(崔尙達) (좌수사(左水使)) 최창억(崔昌億) (목사(牧使))
최창민(崔昌敏) (목사(牧使)) 최승성(崔承聖) (만호(萬戶))
최완 (만호(萬戶)) 최홍보(崔弘輔) (목사(牧使))
최흥조(崔興祚) (목사(牧使)) 최주일(崔柱一) (참판(參判))
최항(崔沆) (목사(牧使))

(문성공파(文成公派))

▲고려조
최아(崔阿) (시(諡) : 문성(文成) · 완산군(完山君) · 문하시중(門下侍中)) 최용생(崔龍生) (경상안렴사(慶尙按廉使))
최용각(崔龍角) (대호군(大護軍)) 최용갑(崔龍甲) (판사(判事))
최용봉(崔龍鳳) (중랑장(中郞將)) 최철(崔哲) (판서(判書))

▲조선조
최득경(崔得涇) (형조판서(刑曹判書)) 최반(崔盤) (참판(參判))
최영(崔濚) (한림(翰林)) 최의(崔의) (도승지(都承旨))
최돌(대사간(大司諫)) 최담 (제학(提學))
최광지(崔匡之) (제학(提學))
최득지(崔得之) (한성소윤(漢城少尹))
최직지(崔直之) (제학(提學)) 최덕지(崔德之) (직제학(直提學))
최윤신(崔潤身) (부사(府使)) 최한경(崔漢卿) (감사(監司))
최감손(崔坎孫) (목사(牧使)) 최기(崔琦) (참판(參判))
최진강(崔進江) (첨정(僉正)) 최명한(崔明漢) (도정(都正))
최처중(崔處中) (참판(參判)) 최석견(崔石堅) (참판(參判))
최몽현(崔夢현) (좌승지(左承旨)) 최진손(崔震孫) (감사(監司))
최연손(崔連孫) (참판(參判)) 최복정생(崔福正生) (부정(副正))
최세영(崔世榮) (감찰(監察)) 최득수(崔得壽) (효자(孝子))
최엄조 (경주부윤(慶州府尹))
최순성(崔順成) (목사(牧使))
최희정(崔希汀) (종성부사(鐘城府使))
최기완(崔起完) (참판(參判)) 최기준(崔琦準) (부사(府使))
최여신(崔汝信) (서산대사(西山大師))
최균(崔均) (의병대장(義兵大將)) 최응운(崔應雲) (참판(參判))최응룡(崔應龍) (참판(參判)) 최강(崔강) (좌부사(左府使))
최산휘(崔山輝) (청송부사(靑松府使)) 최거(崔渠) (참판(參判))
최현(崔晛) (대사성(大司成)) 최덕부(崔德溥) (좌찬성(左贊成))
최섬(崔섬) (죽산부사(竹山府使)) 최두원(崔斗元) (만호(萬戶))
최호(崔浩) (만호(萬戶)) 최가상(崔可常) (판윤(判尹))
최광벽(崔光璧) (참판(參判))
최만중(崔萬中) (호조참판(戶曹參判))
최한삼(崔漢三) (판윤(判尹)) 최원(崔瑗) (예조판서(禮曹判書))

(문충공파(文忠公派))

▲고려조
최군옥(崔群玉) (평장사(平章事))
최귀년(崔龜年) (대사헌(大司憲))
최희평(崔希平) (문하시랑(門下侍郞))
최유 (평장사(平章事)) 최송년(崔松年) (밀직사(密直司))
최자평(崔自平) (추밀부사(樞密府事))
최구(崔球) (절도사(節度使)) 최선능(崔善能) (찬성사(贊成事))
최칠석(崔七夕) (상장군(上將軍)) 최돈(崔沌) (대제학(大提學))
최만지(崔萬之) (절도사(節度使))
최양(崔瀁) (자(字) : 계함(季涵) · 호(號) : 만문당(晩文堂) · 시(諡) : 충익(忠翼) · 대제학(大提學))
최지(崔贄) (찬성사(贊成事))

▲조선조
최진성(崔進誠) (관찰사(觀察使))
최진형(崔進亨) (상호군(上護軍))
최억룡(崔億龍) (절도사(節度使))
최처해(崔處海) (충순위(忠順衛))
최여녕(崔汝寧) (영광군수(靈光郡守))
최여정(崔汝貞) (현감(縣監))
최여관(崔汝寬) (나주절도사(羅州節度使))
최여징(崔汝澄) (동추부사(同樞府事))
최여문(崔汝汶) (병조정랑(兵曹正郞))
최첨졸(崔添卒) (군수(郡守)) 최견수(崔堅粹) (만호(萬戶))
최익명(崔益命) (만호(萬戶)) 최추(崔湫) (현감(縣監))
최필(崔弼) (현감(縣監)) 최반(崔潘) (영광군수(靈光郡守))
최팔급(崔八及) (도승지(都承旨)) 최진강(崔進江) (목사(牧使))
최위 (부안현감(扶安縣監)) 최중호(崔仲浩) (현감(縣監))
최전(崔琠) (교리(校理)) 최언려(崔彦呂) (강원감사(江原監司))
최순(崔珣) (이조판서(吏曹判書)) 최전흥(崔全興) (현감(縣監))
최덕제(崔德濟) (만호(萬戶)) 최송제(崔松齊) (도총관(都摠管))
최언준(崔彦俊) (한성현감(漢城縣監))
최응일(崔應一) (이조판서(吏曹判書))
최개지(崔盖地) (현감(縣監)) 최륜(崔淪) (호조참판(戶曹參判))
최응수(崔應水) (부사(府使)) 최설(崔說) (첨정(僉正))
최군경(崔君敬) (도정(都正)) 최준(崔峻) (지평(持平))
최응성(崔應星) (순천부사(順天府使))
최후형(崔厚逈) (첨정(僉正))
최상급 (사복사정(司僕寺正))
최순립(崔順立) (호조참판(戶曹參判))
최엄(崔淹) (도호부사(都護府使))
최부(崔溥) (익산부사(益山府使))
최일장(崔日長) (호조판서(戶曹判書))
최운룡(崔雲龍) (군수(郡守))
최계천(崔繼天) (호조참판(戶曹參判))
최두칠(崔斗七) (현감(縣監))
최윤완(崔胤完) (돈녕도정(敦寧都正))
최세태(崔世泰) (호조판서(戶曹判書))
최우익(崔祐益) (사복사정(司僕寺正))
최희지(崔希遲) (사복사정(司僕寺正))
최치명(崔致明) (좌승지(左承旨)) 최중후(崔重厚) (군수(郡守))
최상기(崔相箕) (도총관(都摠管)) 최동진(崔東鎭) (좌윤(左尹))
최경악(崔景岳) (대사헌(大司憲))
최성악(崔成岳) (호조판서(戶曹判書))
최옥순(崔玉筍) (현감(縣監))
최경주(崔擎柱) (경기관찰사(京畿觀察使))
최창문(崔昌文) (대제학(大提學))
최상옥(崔尙玉) (호조판서(戶曹判書))
최수귀(崔壽龜) (옥과현감(玉果縣監))
최경일(崔敬一) (도총관(都摠管))
최효관(崔孝寬) (부총관(副摠管))
최순균(崔淳均) (이조판서(吏曹判書))

(사도공파(司徒公派))

▲고려조
최균(崔均) (예부낭중(禮部郎中))
최보순(崔甫淳) (평장사(平章事)) 최보연(崔甫涎) (상서(尙書))최윤이 (봉어(奉御)) 최윤개(崔允愷) (추밀(樞密))
최소 (호부상서(戶部尙書)) 최조(崔肇) (통례(通禮))
최성지(崔誠之) (자(字) : 순부(純夫) · 호(號) : 송파(松坡) · 시(諡) : 문간(文簡) · 광양군(光陽君) · 찬성사(贊成事))
최비일(崔毗一) (대제학(大提學))
최사검(崔思儉) (대제학(大提學))
최문도(崔文度) (전법판서(典法判書))
최우(崔宇) (대호군(大護軍)) 최을의(崔乙義) (상호군(上護軍))
최녕(崔寧) (지주사(知奏事))

▲조선조
최병례(崔丙禮) (예조판서(禮曹判書))
최정지(崔丁智) (전라도안렴사(全羅道安廉使))
최한생(崔漢生) (부사(府使)) 최세연(崔世衍) (참판(參判))최팽경(崔彭卿) (호조참판(戶曹參判)) 최금 (참판(參判))
최계완(崔繼完) (목사(牧使)) 최정완(崔挺完) (참의(參議))
최섭 (군수(郡守)) 최광연(崔廣淵) (효자(孝子))
최윤덕(崔潤德) (수사(水使))
최수심(崔秀深) (어모장군(禦侮將軍))
최수선(崔秀瑄) (찰방(察訪)) 최호신(崔虎臣) (첨정(僉正))
최대복(崔大福) (참판(參判)) 최세규(崔世珪) (군수(郡守))
최상기(崔尙耆) (군수(郡守)) 최주성(崔柱星) (참판(參判))
최천룡(崔天龍) (첨정(僉正))
최희중(崔希重) (병조참의(兵曹參議))
최형기(崔亨基) (부호군(副護軍))



[등과(登科) · 음사인명(蔭仕人名)]

▲고려조
문과(文科)
최보순(崔甫淳) (명종조)
최성지(崔誠之) (충렬왕조)
최용갑(崔龍甲) (충숙왕조)
최재(崔宰) (충숙왕조) 최담 (우왕조)
최양(崔瀁) (우왕조) 최녕(崔寧) (우왕조)
최권(崔淃) (우왕조) 최선(崔宣) (우왕조)
최굉(崔宏) (창왕조) 최광지(崔匡之) (창왕조)
최극부(崔克孚) (창왕조)
최직지(崔直之) (창왕조)

▲조선조
문과(文科)
최진성(崔進誠) (사인(舍人) 최종해(崔宗海)
최덕지(崔德之) (직학(直學)) 최맹량(崔孟良) (감무(監務))
최수(崔修) (사성(司成)) 최지(崔池) (사성(司成))
최경신(崔敬身) (정랑(正郞)) 최니로(崔泥老) (헌납(獻納))
최육 최팔준(崔八俊) (병좌(兵佐)) 최유(崔濡) (사간(司諫))
최신한(崔信漢) (정언(正言)) 최을두(崔乙斗) (정언(正言))
최연손(崔連孫) (첨지(僉知)) 최순(崔珣) (첨지(僉知))
최해(崔瀣) (대간(大諫)) 최윤손(崔允孫) (부사(府使))
최순성(崔順成) (사성(司成)) 최극성(崔克成) (헌납(獻納))
최서린(崔瑞麟) (군수(郡守)) 최희맹(崔希孟) (수찬(修撰))
최권 (판결(判決)) 최홍문(崔弘們) (전백(全伯))
최희(崔禧) (판서(判書)) 최흡(崔洽) (부사(府使))최철견(崔鐵堅) (황백(黃伯)) 최천건(崔天健) (이판(吏判))
최산립(崔山立) (예좌(禮佐)) 최계옥(崔啓玉) (전적(典籍))
최기남(崔起南) (부사(府使)) 최명길(崔鳴吉) (영상(領相))
최현(崔晛) (강백(江伯)) 최내길(崔來吉) (공판(工判))
최구(崔衢) (수찬(修撰)) 최혜길(崔惠吉) (이참(吏參))
최탁(崔琢) (부사(府使)) 최계훈(崔繼勳) (집의(執義))
최근후(崔根厚) (형좌(刑佐)) 최후윤(崔後胤) (정언(正言))
최준언(崔俊彦) (현감(縣監)) 최관(崔寬) (참찬(參贊))
최계형(崔繼亨) (예좌(禮佐)) 최경(崔勁) (현감(縣監))
최준형(崔俊衡) (사정(寺正)) 최일륭(崔日隆) (예좌(禮佐))
최후상(崔後尙) (응교(應敎)) 최석정(崔錫鼎) (영상(領相))
최기(崔紀) (예좌(禮佐)) 최항제(崔恒齊) (보덕(輔德))
최석항(崔錫恒) (좌상(左相)) 최경중(崔敬中) (좌윤(左尹))
최휴(崔休) (현감(縣監)) 최숭제(崔崇齊) (직강(直講))
최창대(崔昌大) (부학(副學)) 최수경(崔守慶) (병정(兵正))
최운룡(崔雲龍) (현감(縣監)) 최수범(崔守範) (사서(司書))
최요(崔嶢) (현감(縣監)) 최창회(崔昌會) (승지(承旨))
최집(崔집) (장령(掌令)) 최익수(崔益秀) (장령(掌令))
최태두(崔泰斗) (전근(典筋)) 최형보(崔衡輔) (교리(校理))
최성대(崔成大) (대간(大諫)) 최경
최익주 (찰방(察訪)) 최경악(崔景岳)
최광벽(崔光璧) (공의(工議)) 최경유(崔敬裕) 최옥(崔鈺)
최익남(崔益男) (수찬(修撰)) 최희연(崔禧延)
최세량(崔世良) (교리(校理)) 최우관(崔宇觀) (장령(掌令))
최수로(崔粹魯) (부사(府使)) 최수침(崔守枕) (승지(承旨))
최식(崔湜) 최수원(崔守元) (승지(承旨))
최수로(崔守魯) (승지(承旨)) 최기겸(崔起謙) 최중규(崔重奎)
최이형(崔履亨) 최한익(崔漢翼) 최홍진(崔鴻晋)
최광태(崔光泰) (예참(禮參)) 최치익(崔致翼)
최수후(崔粹後) (정언(正言)) 최수준(崔秀俊)
최효기(崔孝基) (우윤(右尹)) 최명현(崔命顯) (승지(承旨))
최재후(崔在厚) (교리(校理)) 최용우(崔龍雨) (지평(持平))
최승우(崔昇羽) (정언(正言)) 최정헌(崔鼎獻) (지평(持平))
최석규(崔奭奎) (지평(持平)) 최희룡(崔熹龍) (지평(持平))
최규승(崔圭昇) (지평(持平)) 최홍주(崔弘周) (지평(持平))
최준(崔濬) (정언(正言))

무과(武科)
최효공(崔孝恭) (선전(宣傳)) 최언영(崔彦英) (수사(水使))
최극준(崔克寯) (군수(郡守)) 최주세(崔柱世) (주부(主簿))


[음사인명(蔭仕人名)]

최순작(崔舜爵) (상장군(上將軍)) 최숭(崔崇) (중랑장(中郞將)) 최남부(崔南敷) (대호군(大護軍)) 최전(崔佺) (낭장(郎將))
최정신(崔正臣) (중랑장(中郞將)) 최득평(崔得枰) (전적(典籍))  최재(崔宰) (제학(提學) · 완산군(完山君))
최유경(崔有慶) (참찬(參贊)) 최사강(崔士康) (찬성(贊成))   최후량(崔後亮) (좌윤(左尹)) 최석진(崔錫晋) (정랑(正郞))
최홍보(崔弘輔) (부사(府使)) 최재수(崔在修) (현감(縣監))   최문현(崔文顯) (현감(縣監)) 최익봉(崔翼鳳) (목사(牧使))
최상호(崔湘皓) (현감(縣監)) 최난석(崔蘭錫) (통정(通政))   최학업(崔學業) (감역(監役)) 최사용(崔士庸) (첨추(僉樞))
최안례(崔安禮) (직장(直長)) 최숙부(崔淑父) (진사(進士))   최수형(崔壽亨) (참봉(參奉)) 최덕린(崔德麟) (장사랑(將仕郞))
최호인(崔豪仁) (학행(學行)) 최창업(崔昌業) (주부(主簿))   최기철(崔基澈) (가선(嘉善)) 최영식(崔永植) (참판(參判))
최병봉(崔炳鳳) (참봉(參奉)) 최사위(崔士威) (판윤(判尹))   최조(崔肇) (이판(吏判)) 최선민(崔善敏) (좌랑(佐郞))
최옥호(崔玉浩) (첨추(僉樞)) 최항(崔沆) (목사(牧使))    최덕순 (목사(牧使)) 최기 (봉사(奉事))
최혼 (통덕랑(通德郞)) 최광식(崔光植) (가선(嘉善))         최경식(崔景植) (참봉(參奉)) 최아(崔阿) (시중(侍中))
최용봉(崔龍鳳) (중랑장(中郞將)) 최을인(崔乙仁) (직장(直長))
최담 (호의(戶議)) 최윤(崔潤) (호군(護軍))         최대(崔岱) (부사(副使)) 최윤조(崔潤祖) (도사(都事))
최완(崔琬) (부장(部將)) 최득운(崔得雲) (도사(都事))  최영필(崔英弼) (가선(嘉善)) 최중우(崔重佑) (통정(通政))
최익문(崔翼文) (수정(修正)) 최규현(崔圭賢) (도정(都正))  최생명(崔生明) (밀직(密直)) 최계손(崔季孫) (진사(進士))
최계성(崔繼成) (생원(生員)) 최경성(崔竟成) (참봉(參奉))  최세정(崔世精) (통덕랑(通德郞)) 최선용(崔善用) (통정(通政))
최명수(崔命秀) (통정(通政)) 최경신(崔慶臣) (가선(嘉善))   최지문(崔祉文) (호군(護軍)) 최길문(崔吉文) (가선(嘉善))
최익문(崔翊文) (통정(通政)) 최병모(崔秉模) (가선(嘉善))   최병환(崔秉桓) (감찰(監察)) 최병건(崔秉建) (참봉(參奉))
최병유(崔秉侑) (통정(通政)) 최병오(崔秉伍) (오위장(五衛將))  최동렬(崔東烈) (참봉(參奉)) 최정렬(崔正烈) (주사(主事))
최봉권(崔鳳權) (제조(提調)) 최숙(崔淑) (사용(司勇))   최충성(崔忠成) (생원(生員)) 최연문(崔演文) (만호(萬戶))
최언린(崔彦潾) (진사(進士)) 최길남(崔吉男) (선무랑(宣務郞))  최영수(崔永守) (통훈(通訓)) 최경문(崔敬文) (동추(同樞))
최동기(崔桐起) (가선(嘉善)) 최익모(崔益模) (비서승(秘書丞)) 최지성(崔智成) (현감(縣監)) 최호문(崔浩文) (부사직(副司直))
최언청(崔彦淸) (생원(生員)) 최희수(崔稀壽) (판관(判官))  최응하(崔應夏) (감찰(監察)) 최박(崔璞) (생원(生員))
최세선(崔世先) (통정(通政)) 최복남(崔福南) (통정(通政))   최장윤(崔長允) (통정(通政)) 최시갑(崔時甲) (통정(通政))
최지복(崔之福) (통정(通政)) 최규익(崔圭益) (가선(嘉善))  최지문(崔之文) (통정(通政)) 최세정(崔世精) (가선(嘉善))
최선용(崔善龍) (통정(通政)) 최상오(崔相五) (참의(參議))  최보렬(崔譜烈) (참봉(參奉)) 최동홍(崔東鴻) (참봉(參奉))
최기련(崔基連) (진사(進士)) 최삼룡(崔三龍) (감정(監正))  최일석(崔日錫) (동추(同樞)) 최오동(崔梧東) (통정(通政))
최연팔(崔連八) (참봉(參奉)) 최사익(崔士益) (참봉(參奉))  최문홍(崔文洪) (참봉(參奉)) 최화일(崔化日) (절충(折衝))
최익(崔翼) (동돈(同敦)) 최성문(崔聖文) (증예참(贈禮參))   최봉완(崔鳳完) (오위장(五衛將)) 최선홍(崔善洪) (동돈(同敦))
최낙구(崔洛球) (참봉(參奉)) 최일구(崔一九) (참봉(參奉))   최봉조(崔鳳祚) (참봉(參奉)) 최두녕(崔斗寧) (동추(同樞))
최두련(崔斗連) (통정(通政)) 최형길(崔亨吉) (동추(同樞))   최용생(崔龍生) (안렴사(按廉使))
최전우(崔田雨) (판도정랑(版圖正郞))        최택(崔澤) (복창원위전(福昌院衛典))
최사필(崔斯泌) (사정(司正)) 최득경(崔得涇) (형판(刑判))    최효량(崔孝良) (참판(參判)) 최륜(崔崙) (첨정(僉正))
최자교(崔自郊) (참봉(參奉)) 최순문(崔順文) (찰방(察訪))    최치성(崔致成) (통정(通政)) 최중한(崔重翰) (사정(司正))최섭홍(崔燮洪) (참봉(參奉)) 최병준(崔秉俊) (의관(議官))  최병덕(崔秉德) (교관(敎官))
최군옥(崔群玉) (완산군(完山君) · 시호(諡號) : 문충(文忠))  최귀년(崔龜年) (완성군(完城君))
최희평(崔希平) (완산군(完山君))  최유 (평장사(平章事) · 시호(諡號) : 문숙(文肅))
최선능(崔善能) (상산군(商山君)) 최돈(崔沌) (대제학(大提學))  최지(崔贄) (찬성(贊成))
최양(崔瀁) (완산부원군(完山府院君) · 시호(諡號) : 충익(忠翼))    최진명(崔進明) (직제학(直提學)) 최여녕(崔汝寧) (군수(郡守))
최여정(崔汝貞) (현감(縣監)) 최여관(崔汝寬) (현감(縣監))  최여달(崔汝達) (현감(縣監)) 최전 (목사(牧使))
최연렴(崔沿濂) (통정(通政)) 최원(崔源) (통정(通政))  최주(崔澍) (통정(通政)) 최경붕(崔景鵬) (선전랑(宣傳郞))
최치권(崔致權) (감역(監役)) 최병순(崔秉淳) (진사(進士))  최병칠(崔秉七) (진사(進士)) 최병섭(崔秉燮) (참봉(參奉))
최연사(崔沿泗) (통정(通政)) 최애발(崔愛發) (동소) 최수남(崔壽南) (가선(嘉善)) 최영록(崔永祿) (동추(同樞))
최영진(崔永鎭) (감역(監役)) 최봉조(崔鳳祚) (감역(監役)) 최관 (교위(校尉)) 최충효(崔忠孝) (현감(縣監))
최한경(崔漢景) (의관(議官)) 최한호(崔漢鎬) (참봉(參奉))  최귀기(崔龜紀) (전력부위(展力副尉))
최귀한(崔龜漢) (자헌(資憲)) 최귀창(崔龜昌) (동추(同樞)) 최귀영(崔龜英) (통덕랑(通德郞)) 최동주(崔東柱) (통정(通政))
최수갑(崔秀甲) (오위장(五衛將)) 최진국(崔珍國) (참봉(參奉)) 최종길(崔宗吉) (통정(通政)) 최찬석(崔燦碩) (도정(都正))
최상륜(崔相崙) 최한익(崔漢翼) (충무위(忠武衛))  최석기(崔錫淇) (참봉(參奉)) 최귀수(崔龜壽) (판관(判官))
최순광(崔順光) (내금장(內禁將)) 최대운(崔大運) (호참(戶參)) 최예홍(崔禮弘) (진사(進士)) 최기선(崔起善) (동지(同知))
최명한(崔命翰) (첨추(僉樞)) 최석종(崔碩宗) (증승지(贈承旨)) 최만택(崔萬澤) (감역(監役)) 최흥택(崔興澤) (도사(都事))
최기식(崔奇植) (참봉(參奉)) 최양한(崔良翰) (사헌(司憲))  최석일(崔碩馹) (참봉(參奉)) 최남식(崔南植) (오위장(五衛將))
최병훈(崔炳勛) (의관(議官)) 최병만(崔炳晩) (감찰(監察))  최상규(崔相奎) (참봉(參奉)) 최진헌(崔鎭憲) (선전(宣傳))
최진명(崔鎭明) (통정(通政)) 최진화(崔鎭華) (오위장(五衛將)) 최지한(崔之翰) (감역(監役)) 최시구(崔時求) (도사(都事))
최정식(崔正植) (참봉(參奉)) 최연택(崔燕澤) (의관(議官))  최언립(崔彦立) (통정(通政)) 최옥준(崔玉俊) (통정(通政))
최진학(崔鎭學) (증가선(贈嘉善)) 최삼철(崔三澈) (참봉(參奉)) 최숙행(崔淑行) (자헌(資憲)) 최진관(崔鎭寬) (통정(通政))
최하연(崔河連) (서윤(庶尹)) 최운현(崔雲鉉) (군자정(軍資正)) 최갑식(崔甲植) (가선(嘉善)) 최병순(崔炳淳) (참봉(參奉))
최병로(崔炳櫓) (참봉(參奉)) 최병모(崔炳模) (참봉(參奉))   최학영(崔學榮) (감역(監役)) 최길동(崔吉同) (참봉(參奉))
최옥명(崔玉明) (판관(判官)) 최철(崔澈) (참봉(參奉))  최사홍(崔斯弘) (진사(進士)) 최병량(崔秉良) (오위장(五衛將))
최경환(崔景煥) (가선(嘉善)) 최홍식(崔弘植) (참봉(參奉)) 최훈각(崔勛珏) (가선(嘉善)) 최봉채(崔鳳采) (감찰(監察))
최시빈(崔時彬) (가선(嘉善)) 최봉협 (가선(嘉善))   최효은(崔孝殷) (도총관(都摠管))
최정귀(崔廷龜) (오위장(五衛將)) 최헌재(崔憲才) (통정(通政))  최만손(崔萬孫) (통훈(通訓)) 최원복(崔元福) (가선(嘉善))
최덕언(崔德彦) (사과(司果)) 최인권(崔仁權) (통정(通政))   최상운(崔相運) (참봉(參奉)) 최계손(崔繼孫) (교도(敎導))
최헌 (예원사(隸院事)) 최완(崔琬) (부장(部將)) 최제운(崔齊雲) (직장(直長)) 최위지(崔緯地) (판관(判官))
최귀립(崔龜立) (부장(部將)) 최계충(崔啓忠) (가선(嘉善)) 최현서(崔玄緖) (통훈(通訓)) 최봉성(崔鳳星) (남부장(南部將))
최처문(崔處文) (참봉(參奉)) 최득오(崔得五) (동지(同知))  최렴(崔濂) (가선(嘉善)) 최우홍(崔禹洪) (오위장(五衛將))
최병석(崔秉奭) (가선(嘉善)) 최치민(崔致珉) (도사(都事))  최복남(崔福男) (공신(功臣)) 최철(崔澈) (주부(主簿))
최정인(崔挺寅) (주부(主簿)) 최선휘(崔善徽) (가선(嘉善)) 최수홍(崔壽洪) (비승(秘丞)) 최지남(崔祉男) (봉사(奉事))
최항(崔沆) (첨지(僉知)) 최방로(崔邦老) (동지(同知))  최선우(崔善遇) (도정(都正)) 최치손(崔致遜) (정랑(正郞))
최창현(崔昌鉉) (가선(嘉善)) 최한식(崔漢植) (가선(嘉善)) 최종옥(崔宗獄) (감찰(監察)) 최정언(崔廷彦) (가선(嘉善))
최성필(崔聖弼) (통정(通政)) 최응진(崔應鎭) (동지(同知))   최장욱(崔長旭) (도정(都正))


[조선조 급제자]
 진성(進誠) (정종(定宗) 1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득평(得平) (정종(定宗) 1년 · 식년시(式年試) · 진사(進士)) 종해(宗海) (태종(太宗) 5년 · 식년시(式年試) · 진사(進士)) 덕지(德之) (태종(太宗) 5년 · 식년시(式年試) · 진사(進士)) 맹량(孟良) (태종(太宗) 8년 · 식년시(式年試) · 진사(進士)) 윤중(允中) (세종(世宗) 9년 · 친시(親試) · 을과삼(乙科三)) 수(修) (세종(世宗) 9년 · 친시(親試) · 을과삼(乙科三)) 지(池) (세종(世宗) 20년 · 친시(親試) · 정과(丁科)) 경신(敬身) (세종(世宗) 21년 · 친시(親試) · 을과(乙科)) 이로(泥老) (세종(世宗) 23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제남(悌男) (세종(世宗) 23년 · 식년시(式年試) · 정과(丁科)) 유(洧) (세종(世宗) 23년 · 식년시(式年試) · 정과(丁科)) 종복(宗復) (문종즉위(文宗卽位) · 식년시(式年試) · 정과(丁科)) 수지(水智) (단종(端宗) 1년 · 식년시(式年試) · 정과(丁科)) 팔준(八俊) (세조(世祖) 6년 · 별시(別試) · 을과이(乙科二)) 유(濡) (세조(世祖) 11년 · 식년시(式年試) · 정과(丁科)) 신한(信漢) (세조(世祖) 14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개지(蓋地) (예종(睿宗) 1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자축(自丑) (성종(成宗) 1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을두(乙斗) (성종(成宗) 6년 · 친시(親試) · 을과(乙科)) 연손(連孫) (성종(成宗) 20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순(珣) (성종(成宗) 21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해(瀣) (성종(成宗) 25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윤손(允孫) (연산(燕山) 10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순성(順成) (중종(中宗) 11년 · 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극성(克成) (중종(中宗) 11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서린(瑞麟) (중종(中宗) 16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권 (중종(中宗) 34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수청(水淸) (중종(中宗) 35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응룡(應龍) (명종(明宗) 1년 · 증광시(增廣試) · 갑과(甲科)) 홍간 (명종(明宗) 13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희(禧) (명종(明宗) 20년 · 알성시(謁聖試) · 을과(乙科)) 흡(洽) (선조(宣祖) 16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덕중(德重) (宣祖 16년 · 정시(庭試) · 을과(乙科)) 철견(鐵堅) (선조(宣祖) 18년 · 별시(別試) · 갑과(甲科)) 천건(天健) (선조(宣祖) 21년 · 알성시(謁聖試) · 병과(丙科)) 계옥(啓沃) (선조(宣祖) 27년 · 정시(庭試) · 을과(乙科)) 기남(起南) (선조(宣祖) 35년 · 알성시(謁聖試) · 병과(丙科)) 명길(鳴吉) (선조(宣祖) 38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내길(來吉) (광해(光海) 3년 · 별시(別試) · 을과(乙科)) 구(衢) (광해(光海) 10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혜길(惠吉) (인조(仁祖) 3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탁(琢) (인조(仁祖) 7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계훈(繼勳) (인조(仁祖) 11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계훈(繼勳) (인조(仁祖) 14년 · 중시(重試) · 병과(丙科)) 근후(根厚) (인조(仁祖) · 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후현(後賢) (인조(仁祖) 22년 · 별시(別試) · 갑과(甲科)) 후언(後彦) (효종(孝宗) 2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관(寬) (효종(孝宗) 2년 · 알성시(謁聖試) · 병과(丙科)) 계형(繼亨) (효종(孝宗) 2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경(勁) (효종(孝宗) 3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준형(俊衡) (효종(孝宗) 8년 · 알성시(謁聖試) · 갑과(甲科)) 일륭(日隆) (현종(顯宗) 4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후상(後尙) (현종(顯宗) 5년 · 정시(庭試) · 을과(乙科)) 석정(錫鼎) (현종(顯宗) 12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기(紀) (현종(顯宗) 14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항제(恒齊) (숙종(肅宗) 3년 · 알성시(謁聖試) · 병과(丙科)) 석항(錫恒) (숙종(肅宗) 6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경중(敬中) (숙종(肅宗) 9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휴(休) (숙종(肅宗) 10년 · 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숭제(嵩齊) (숙종(肅宗) 12년 · 정시(庭試) · 을과(乙科)) 창대(昌大) (숙종(肅宗) 20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수경(守慶) (숙종(肅宗) 23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운룡(雲龍) (숙종(肅宗) 28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수범(守範) (숙종(肅宗) 39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요(嶢) (숙종(肅宗) 39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창회(昌會) (숙종(肅宗) 40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준 (숙종(肅宗) 41년 · 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태두(泰斗) (경종(景宗) 3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제일(濟一) (영조(英祖) 2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성대(成大) (영조(英祖) 8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경 (영조(英祖) 20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익주 (영조(英祖) 26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광벽(光璧) (영조(英祖) 35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경악(景岳) (영조(英祖) 35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경유(慶裕) (영조(英祖) 37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옥(鈺) (영조(英祖) 38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익남(益男) (영조(英祖) 39년 · 증광시(增廣試) · 을과(乙科)) 희정(禧廷) (영조(英祖) 41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우관(宇觀) (영조(英祖) 47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식(湜) (영조(英祖) 49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수관(守觀) (영조(英祖) 51년 · 정시(庭試) · 을과(乙科)) 수원(守元) (영조(英祖) 51년 · 정시(庭試) · 을과(乙科)) 수로(守魯) (정조(正祖) 1년 · 식년시(式年試) · 갑과(甲科)) 중규(重圭) (正祖 7년 · 증광시(增廣試) · 을과(乙科)) 이형(履亨) (정조(正祖)) 10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한익(漢翼) (정조(正祖) 24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홍진(鴻晋) (순조(純祖) 1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수준(秀俊) (순조(純祖) 3년 · 별시(別試) · 을과(乙科)) 석현(錫玄) (순조(純祖) 7년 · 정시(庭試) · 을과(乙科)) 명현(命顯) (순조(純祖) 11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승우(昇羽) (순조(純祖) 14년 · 정시(庭試) · 을과(乙科)) 귀우(龜羽) (순조(純祖) 28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재엽(在燁) (순조(純祖) 29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재후(在厚) (헌종(憲宗) 1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복래(復來) (헌종(憲宗) 15년 · 정시(庭試) · 을과(乙科)) 홍주(弘周) (철종(哲宗) 2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석규(奭奎) (철종(哲宗) 11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용(溶) (고종(高宗) 2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봉명(鳳命) (고종(高宗) 3년 · 평안별시(平安別試) · 갑과(甲科)) 희룡(熹龍) (고종(高宗) 6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정헌(鼎獻) (고종(高宗) 8년 · 정시(庭試) · 을과(乙科)) 규승(圭升) (고종(高宗) 25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벌열(閥閱)]

●상신(相臣)
: 최명길(崔鳴吉) (인조조 · 영의정(領議政)) 최석정(崔錫鼎) (숙종조 · 領議政) 최석환(崔錫桓) (경종조 · 좌의정(左議政))
●공신(功臣)
: 최명길(崔鳴吉) (인조조 인조반정(仁祖反正)1등공신(等功臣)) 최래길(崔來吉) (인조조 인조반정(仁祖反正)3등공신(等功臣))
●문형(文衡)
: 최덕지(崔德之) (세종조) 최철견(崔鐵堅) (선조조) 최천건(崔天健) (광해조) 최명길(崔鳴吉) (인조조) 최동립(崔東立) (인조조) 최석정(崔錫鼎) (헌종조) 최석환(崔錫桓) (숙종조) 최창대(崔昌大) (숙종조) 최관(崔寬) (숙종조, 지중추(知中樞))
●절의(節義)
: 최칠석(崔七夕) (고려말 두문제현(杜門諸賢)) 최양(崔瀁) (고려말 두문제현(杜門諸賢))
●명륜(明倫)
: (효행(孝行)) 최익모(崔益模) (고종조 정려(旌閭)) 최학모(崔學模) (고종조 정려(旌閭))
열녀(烈女) 최씨(崔氏) (증참판(贈參判) 김련광(金鍊光)의 처, 증정부인(贈貞夫人))
(충(忠)) 최희정(崔希汀) (증가선(贈嘉善) · 병판(兵判)) 최대원(崔大元) (증병판(贈兵判))
●문집(文集)
:지천집(遲川集) (최명길(崔鳴吉)) 경서기의(經書記疑) (최명길(崔鳴吉)) 병자봉사(丙子封事) (최명길(崔鳴吉)) 경세정운도설(經世正韻圖說) (최석정(崔錫鼎)) 명곡집(明谷集) (최석정(崔錫鼎)) 좌씨집선편찬(左氏輯選編撰) (최석정(崔錫鼎)) 운회전요편찬(韻會箋要編撰) (최석정(崔錫鼎)) 전록통고편찬(典錄通考編撰) (최석정(崔錫鼎)) 예기류편편찬(禮記類篇編撰) (최석정(崔錫鼎)) 손와유고(損窩遺稿) (최석항(崔錫恒)) 청냉자유고(淸冷子遺稿) (최수철(崔守哲)) 곤륜집(昆侖集) (최창대(崔昌大)) 몽은집(夢隱集) (최철견(崔鐵堅)) 산당집(山堂集) (최충성(崔忠成)) 인재집 (최현(崔晛)) 일선지(一善志) (최현(崔晛)) 정수재집(靜修齋集) (최후량(崔後亮))
최거업

                  
                        

[출처] 전주최씨|작성자 아모라

'그룹명3 > 전주최씨 관련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가기행 전주최씨 지천 최명길   (0) 2008.12.28
300년 전의 보은 참배  (0) 2008.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