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신묘년 산행 /2011.6.28. 수락산 탐방

20116.28. 수락산 탐방

아베베1 2011. 6. 29. 17:59

 

 

 

 

 

 

 

 

 

 

 

 

 

 

 

 

 

 

 

 

매월당집 ( 梅月堂集 )
형태서지 | 저 자 | 가계도 | 행 력 | 편찬 및 간행 | 구성과 내용
  형태서지
권수제  梅月堂集
판심제  梅月堂詩集
간종  활자본(改鑄甲寅字)
간행년  1583年刊
권책  詩集 15권ㆍ文集 8권 합 9책
행자  10행 18자
규격  26.4×16.9(㎝)
어미  上下三葉花紋魚尾
소장처  日本 蓬左文庫
소장도서번호  
총간집수  한국문집총간 13
 저자
성명  김시습(金時習)
생년  1435년(세종 17)
몰년  1493년(성종 24)
법명  雪岑
 悅卿
 梅月堂, 東峯, 淸寒子
본관  江陵
시호  淸簡
특기사항  南孝溫ㆍ安應世ㆍ洪裕孫 등과 교유
 가계도
 金元侃
 郞將
 金日省
 忠順衛
 仙槎張氏
 
 金時習
 
 南氏
 訓鍊院都正 南孝禮의 女
 安氏
 

기사전거 : 世系圖 등에 의함
 행력
왕력 서기 간지 연호 연령 기사
세종 17 1435 을묘 宣德 10 1 서울 명륜동에서 태어나다.
세종 21 1439 기묘 正統 4 5 李季甸 문하에서 「중용」ㆍ「대학」을 읽다. ○ 세종의 부름을 받고 〈三角山詩〉를 짓다. 詩才를 인정받아 비단 50필을 하사받다. ○ ‘五歲童子’로 불리다.
세종 29 1447 정묘 正統 12 13 金泮ㆍ尹祥에게 수학하다.
세종 31 1449 기사 正統 14 15 모친상을 당하다.
~ ~ ~ ~ ~ ~ ~ 訓鍊院 都正 南孝禮의 딸과 결혼하다.
세조 1 1455 을해 景泰 6 21 三角山 重興寺에서 독서하던 중 단종이 遜位한 사실을 알고 서책을 태우고 승려가 되다. 法名을 雪岑이라고 하다.
~ ~ ~ ~ ~ ~ ~ 水落山(水落精舍)ㆍ金鰲山 등지에서 修道하다.
세조 4 1458 무인 天順 2 24 〈遊關西錄〉을 짓다.
세조 6 1460 경진 天順 4 26 〈遊關東錄〉을 짓다.
세조 9 1463 계미 天順 7 29 〈遊湖南錄〉을 짓다.
~ ~ ~ ~ ~ ~ ~ 孝寧大君의 권고로 세조의 불경언해 사업을 도와 內佛堂에서 교정의 일을 맡다.
세조 11 1465 을유 成化 1 31 慶州 남산에 金鰲山室을 짓고 독서하다. 茸長寺 梅月堂書齋에서 「金鰲新話」를 짓다.
세조 13 1467 정해 成化 3 33 효령대군의 청으로 圓覺寺 낙성식에 참석하다.
세조 14 1468 무자 成化 4 35 금오산에서 〈山居百詠〉을 짓다.
~ ~ ~ ~ ~ ~ ~ 仙槎縣(蔚珍) 酒泉臺 옆에 우거하다. 근처 聖留窟에 머물다.
성종 12 1481 신축 成化 17 47 還俗하여 祖父의 祭祀를 지내다.
~ ~ ~ ~ ~ ~ ~ 安氏와 결혼하다.○ 부인상을 당하고 다시 산에 들어가 중이 되다.
성종 16 1485 을사 成化 21 51 〈禿山院記〉를 짓다.
성종 21 1490 경술 弘治 3 56 9월, 重興寺에 머물던 중 金馹孫ㆍ南孝溫의 방문을 받고, 함께 白雲臺ㆍ도봉산을 유람하다.
성종 22 1491 신해 弘治 4 57 雪岳山에 들어가다.
성종 24 1493 계축 弘治 6 59 2월, 鴻山縣 無量寺에서 졸하다.
선조 16 1583 계미 萬曆 11 - 王命으로 芸閣에서 문집을 간행하다.(李山海의 序)
현종 11 1670 경술 康熙 9 - 梅月祠(慶州)에 專祀되다.
숙종 11 1685 을축 康熙 24 - 彰節書院(寧越)에 享祀되다.
숙종 30 1704 병술 康熙 43 - 西山書院(咸安)에 享祀되다.
영조 38 1762 임오 乾隆 27 - 八賢祠(寧越)에 享祀되다.
정조 6 1782 임인 乾隆 47 - 이조판서에 추증되다.
정조 8 1784 갑진 乾隆 49 - ‘淸簡’의 시호를 받다.
- - 1927 정묘 - - - 후손 金鳳起가 문집을 간행하다.

기사전거 : 金時習傳(李珥 撰)ㆍ文集附錄 등에 의함
 편찬 및 간행
저자의 시문은 散失된 自書詩稿를 李耔가 구하여 이것을 補寫ㆍ추가하여 3권으로 엮고 1521년 序를 지었다. 그 후 朴祥ㆍ尹春年이 시문을 수집하고, 尹春年이 저자의 傳을 붙여 간행하였는데《舊本》, 구본은 전하지 않는다.
1583년(선조 16)에 선조가 芸閣에 명하여 改鑄甲寅字로 간행하게 하였다.《甲寅字本》 갑인자본은 구본을 증보한 것으로 보여지며, 권수에 이자ㆍ李山海가 지은 序 2편과 윤춘년ㆍ이자가 지은 傳 2편이 실려 있고 詩集과 文集으로 나누어 총 23권 9책으로 편차되어 있다. 이 본은 현재 국내에는 完本이 없고 日本 蓬左文庫에 完本이 소장되어 있다. 서울대학교 규장각에는 이 본의 傳寫本이 소장되어 있으며,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만송문고에는 零本 2책(권8~9, 권12~13)이 소장되어 있다.
그 후 인조 때 17권 9책으로 改刊되었다고 「朝鮮圖書解題」에 기술되어 있으나 확인되지 않고, 1927년에 후손 金鳳基가 附錄을 부편하여 新活字로 간행하였다.《新活字本》 신활자본은 詩集 15권ㆍ文集 6권ㆍ부록 2권 합 23권 6책으로 되어 있으며, 附錄에는 여러 문헌에서 뽑은 저자관계 기록ㆍ서원봉안문ㆍ祭文 등이 실려 있다. 또한 畫像과 遺筆ㆍ世系圖가 첨부되어 있는데, 畫像과 遺筆에는 각각 宋時烈이 지은 跋이 실려 있다. 권미에 후손 金鳳起의 跋과 任事錄이 있다. 이 본은 현재 간송미술관, 고려대학교 만송문고, 국립중앙도서관, 규장각, 성균관대학교 중앙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으며, 규장각본에는 附錄이 빠져 있다.
文集과 별도로 詩集만이 1583년에 癸酉字로 간행되었는데, 완본은 전하지 않고 고려대학교 만송문고에 零本으로 소장되어 있다. 또한 關西ㆍ關東ㆍ湖南ㆍ金鰲를 유람하면서 지은 詩로 엮은 「四遊錄」이 두 차례에 걸쳐 간행되었다. 간행 년도와 간행자는 모두 불명인데, 두 편의 後序로 보면 저자의 自書詩稿에서 「四遊錄」과 紀行詩 수십 수를 뽑고 권수에 肖像과 淸寒圖書를 첨부, 간행한 것이 初刊이고 그 후 초간본을 바탕으로 木板 1책으로 간행한 것이 중간본이다. 중간본은 문집 甲寅字本 이후에 慶州尹 尹貽永의 협조를 받아 간행된 것이다. 「四遊錄」은 현재 간송미술관, 고려대 만송문고, 규장각, 성균관대, 연세대 중앙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본서의 저본은 1583년에 간행된 改鑄甲寅字本으로 日本 蓬左文庫藏本이다. 이 중 권13의 第11板이 권23의 제11판으로 錯簡되었으므로 同一本인 고려대학교 晚松文庫藏本에서 補完하였고, 또 권17의 제3판이 落張이므로 同本의 傳寫本인 서울대학교 규장각장본에서 補寫하였다.
 구성과 내용
본 문집은 詩集 15권ㆍ文集 8권 합 9책으로 되어 있다.
권수에는 1521년에 쓴 李耔의 序, 1583년에 쓴 李山海의 序와 尹春年이 지은 〈梅月堂先生傳〉 그리고 선조의 명으로 1582년에 지은 李珥의 〈金時習傳〉이 실려 있다. 이어 目錄이 있다.
詩集 권1~8에는 各體詩를 주제나 제재(내용) 혹은 문체별로 묶어 小題를 달아 편차하였다. 권별 소재를 보면, 권1에는 古風ㆍ紀行ㆍ述懷, 권2에는 詠史ㆍ詠東國故事ㆍ懷舊ㆍ時事ㆍ宮殿ㆍ陵廟ㆍ題人居室ㆍ居室ㆍ閑適ㆍ卽景ㆍ堂宇ㆍ城郭ㆍ田圃, 권3에는 仙道ㆍ釋老ㆍ隱逸ㆍ寺觀ㆍ節序, 권4에는 夢ㆍ晝夜ㆍ月ㆍ雨雪ㆍ風雲ㆍ山岳ㆍ江河ㆍ泉石ㆍ溪澗ㆍ樓閣ㆍ亭榭ㆍ園林ㆍ燕飮ㆍ菓實ㆍ書畫ㆍ文章ㆍ婦女ㆍ文房ㆍ器用ㆍ燈燭, 권5에는 食物ㆍ酒ㆍ茶ㆍ禽ㆍ獸ㆍ蟲ㆍ魚ㆍ竹ㆍ木花草, 권6에는 菜ㆍ菌蕈ㆍ投贈ㆍ簡寄ㆍ尋訪ㆍ酬答ㆍ惠貺ㆍ送別ㆍ遊賞ㆍ題詠, 권7에는 疾病ㆍ醫藥ㆍ傷悼ㆍ山居集句ㆍ調詞ㆍ樂章, 권8에는 歌ㆍ行ㆍ吟ㆍ和陶가 각각 실려 있다. 권9~14에는 遊覽時 지은 작품들을 엮어 편명을 달았는데, 권9에는 1458년에 엮은 〈遊關西錄〉, 권10에는 1460년에 엮은 〈遊關東錄〉, 권11에는 1463년에 엮은 〈遊湖南錄〉, 권12에는 1473년에 엮은 〈遊金鰲錄〉이 실려 있고 위 「四遊錄」 末尾에는 각각 後志가 첨부되어 있다. 권13에는 〈關東日錄〉, 권14에는 1486년경에 지은 〈溟州日錄〉이 실려 있다. 권15에는 賦와 雜體詩가 실려 있다.
권16 이하는 文集으로, 권16~17에는 雜著 20편, 권18에는 論 4편, 권19에는 贊 31편이 각각 실려 있다. 권20에는 傳(10편)ㆍ說(9편)ㆍ辨(3편)ㆍ序(1편)ㆍ義(8편), 권21에는 銘(8편)ㆍ箴(3편)ㆍ記(1편)ㆍ誥(1편)ㆍ篇(1편)ㆍ書(3편), 권22에는 騷賦(7편)ㆍ琴操(1편)ㆍ辭(1편), 권23에는 騷註(1편)ㆍ雜說(3편)이 각각 실려 있다.

필자 : 吳世玉

 

수락산(水落山)

 

경기도 양주(楊州)에 있는 산. 사적으로 쌍암사(雙岩寺)·석림사(石林寺)·계림암(鷄林庵)·흥국사(興國寺) 등이 있음. 지금은 서울시 노원구(蘆原區), 경기도 의정부시(議政府市)·남양주시(南楊州市)에 속함.

 

四佳詩集卷之八○第七
 詩類
楊州水落山途中 a_010_334a


雨霽江天月似眉。楊城歸路細於絲。不愁昏黑人家遠。照眼棠花白雪奇。
松山山下雨新晴。稻田水白麥溝靑。小堤楊柳無人管。日暯微風絮自零。
細沙白石小回灣。嫩草幽花暮色寒。幾番水落山前過。玉立崔嵬仰面看

속동문선 제9권
 칠언절구(七言絕句)
수락산 성전암(題水落山聖殿庵)


김시습(金時習)

산중에 나무 치는 소리가 정정한데 / 山中伐木響丁丁
곳곳의 그윽한 새는 늦게 갠 날을 희롱한다 / 處處幽禽弄晩晴
바둑을 파하고 개울 늙은이 돌아간 뒤에 / 碁罷溪翁歸去後
푸른 그늘에 책상을 옮겨 놓고 황정을 읽네 / 綠陰移案讀黃庭

사가시집보유 제3권
 시류(詩類)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실려 있는 시
〈수락사시(水落寺詩)〉 서(敍)


내가 젊었을 때 여러 산사(山寺)에서 글을 읽을 적에 수락산(水落山)도 두 번이나 왕래하면서 우연히 이 시를 벽상(壁上)에 남겨 두었었는데, 지금 이미 30여 년이 지났다. 그런데 일전에 일암(一庵) 전상인(專上人)이 이 시를 베껴 와서 나에게 보이며 말하기를 “장단(長湍) 백 태수(白太守)가 외우는 것을 적어 왔다.” 하면서, 나에게 잘못된 글자를 바로잡아 주기를 요청하였다. 나는 시를 지어도 짓는 족족 버리기 때문에 편언척자(片言隻字)도 상자 속에 남겨 둔 것이 없다. 더구나 방탕했던 소년 시절에는 남겨 전할 생각이 없었으니, 어찌 기록해 두려고 했겠는가. 32년 전의 일이라 아득하기가 마치 꿈속 같아서 그때 지은 시들은 기억하지도 못하는데, 또 어찌 잘못된 글자를 알 수 있겠는가. 그러나 한번 읽어 보매, 운자(韻字)를 단 것이나 글자를 놓은 것이 미진한 데가 있으니, 이는 아마도 내 유치함의 소치이거나 아니면 외워 전한 이가 잘못 전한 게 아닐까도 싶으나, 우선 그대로 두노라. 예전 일을 생각하니 느낌이 없을 수 있겠는가. 마침내 근체시(近體詩) 여섯 수를 지어서 일암 법좌하(法座下)에 기록하여 바치는 바이다. 일암이 지금 불암사(佛巖寺)에 있는데, 수락사와는 겨우 10여 리밖에 되지 않으니, 후일 서로 만나서 한번 놀게 되거든 이에 관한 말을 다하리라.

내 옛날 산중의 고사에 유학하던 시절이 / 山中古寺昔曾遊
손꼽아 헤어 보니 지금 삼십 년이 되었구나 / 屈指如今三十秋
나막신 신고 많은 시간 손과 함께 걸었고 / 步屐多時携客去
한가함 좋아해 스님과도 오래 머물렀었네 / 愛閑長日爲僧留
고운 꽃 빽빽한 대숲은 그윽한 경계 이루고 / 花濃竹細連幽境
고목나무 굽은 절벽은 누각을 옹위했었지 / 木古巖回擁小樓
다시 스님과 손잡고 한번 가 보고 싶어라 / 更欲携師一歸去
소년 시절의 옛일이 꿈같이 아득하구려 / 少年往事夢悠悠

지난 일 아득하여라 일찍이 소년 시절 / 悠悠往事少年曾
취중의 호탕한 기개에 필력이 날뛰었네 / 醉裡豪狂筆勢騰
나는 본디 벽 위에 시 쓸 마음 없었는데 / 我本無心題板壁
스님은 유독 다사하여 종이에 베껴 왔구려 / 僧偏多事寫花藤
벽사니 홍수니 함은 분에 넘쳐 부끄럽고 / 碧紗紅袖慙非分
세속에 찌든 백발은 늙음이 가증스러워라 / 白髮黃塵老可憎
다시 스님과 손잡고 한번 그곳에 가서 / 更欲携師一歸去
높은 봉우리를 유쾌히 거듭 올라 봤으면 / 有峯高處快重登

가장 높은 봉우리에 거듭 올라가고파라 / 重登準擬最高峯
정성 지나 삼성 만지면 가슴을 씻을 만하리 / 歷井捫參可盪胸
태양은 머리 위에 한 마리 새가 지나간 듯 / 白日頭邊過一鳥
푸른 산은 눈 아래 여러 용이 노는 듯하겠지 / 靑山眼底戲群龍
금은으로 장식한 불찰은 삼천대천세계요 / 金銀佛刹三千界
금수 같은 산하는 백이의 겹겹 요해거니 / 錦繡山河百二重
다시 스님과 손잡고 한번 그곳에 가서 / 更欲携師一歸去
차를 달이면서 석양까지 앉아 있어 봤으면 / 煮茶聲裡坐高舂

석양까지 차 끓는 소리 듣고 앉았노라면 / 高舂落日煮茶聲
청산은 거만하여 세정을 아랑곳 않을 텐데 / 偃蹇靑山不世情
굽어보면 조각구름은 평지에서 일어나고 / 俯視片雲平地起
쳐다보면 폭포가 반공중에 환히 쏟아지리 / 仰看飛瀑半空明
누각 가득 내린 꽃비는 옷을 다 적실 게고 / 滿樓花雨沾衣濕
베개맡의 솔바람은 뼛속까지 서늘하겠지 / 欹枕松濤徹骨淸
다시 스님과 손잡고 한번 그곳에 가서 / 更欲携師一歸去
청련사 결성하여 노년을 보내고 싶구려 / 靑蓮結社送殘生

노년의 청련사 결성은 처음 먹은 마음인데 / 殘生結社是初心
서글퍼라 연래에 비녀 가득해진 백발이 / 惆悵年來雪滿簪
소원 맺음이 미미하지 않음을 누가 알리오 / 結願誰知非淺淺
산에 듦은 마냥 깊지 못할까 염려했는걸 / 入山長恐不深深
고관대작은 연연하지 않은 지 오래거니와 / 蟬貂久矣無心戀
원숭이 학은 여전히 꿈마다 서로 찾는다오 / 猿鶴依然有夢尋
다시 스님과 손잡고 한번 가고 싶어라 / 更欲携師一歸去
불암산 밑 시골집이 총림에 가깝거니 / 佛巖村墅近叢林

총림이 가까이 불암산에 자리했는데 / 叢林近在佛巖山
불암산 밑에는 두어 칸 내 집이 있으니 / 山下吾廬屋數間
도잠의 삼경은 비록 적막할 뿐이지만 / 三徑陶潛雖寂寞
양로의 일구 집은 배회할 만하고말고 / 一區揚老可盤桓
순채 찾고 죽순 삶는 건 평범한 일이요 / 討蓴燒筍尋常事
국화 보내고 매화 맞음은 절로 한가롭지 / 送菊迎梅自在閑
다시 스님과 손잡고 한번 그곳에 가서 / 更欲携師一歸去
만년 신세를 스님과 함께 지내고 싶구려 / 暮年身世共追攀


 

[주-고목나무 ……  옹위했었지 : 두목(杜牧)의 〈염석유(念昔遊)〉 시에 “이백이 일찍이 시를 제한 수서사에는, 고목나무 굽은 절벽에 누각 바람이로다.[李白題詩水西寺 古木回巖樓閣風]”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주D-002]벽사(碧紗)니 …… 부끄럽고 : 벽사와 홍수(紅袖)는 다음의 고사에서 온 말이다. 당(唐)나라 왕파(王播)가 일찍이 미천했을 적에 집이 몹시 가난하여 양주(揚州) 혜소사(惠昭寺)의 목란원(木蘭院)에 한동안 우거(寓居)하면서 중의 재식(齋食)을 얻어먹고 지냈는데, 나중에는 중들이 그를 싫어하여 그가 오기 전에 밥을 먹어 버리곤 했다. 그로부터 20여 년 뒤에 그가 고관(高官)이 되어 그 지방을 진무(鎭撫)하러 내려가서 옛날에 놀았던 그 절을 거듭 찾아가 보니, 자기가 옛날에 제(題)해 놓은 시들을 모두 깁으로 덮어서 보호하고 있으므로, 그가 다시 절구 2수를 지어 “당에 오르면 밥 다 먹고 동서로 각기 흩어졌기에, 스님네들 식사 후에 종 치는 게 부끄럽더니, 이십 년 동안 얼굴에 먼지 그득 분주하다가, 이제 비로소 푸른 깁에 싸인 시를 보게 되었네.[上堂已了各東西 慙愧闍黎飯後鐘 二十年來塵撲面 如今始得碧紗籠]”라고 하였다. 또 송대(宋代)의 시인 위야(魏野)가 명상(名相) 구준(寇準)을 수행하여 섬부(陝府)의 승사(僧舍)에 가 노닐면서 각각 시를 유제(留題)한 적이 있었는데, 뒤에 다시 함께 그 승사에 놀러 가서 보니, 구준의 시는 이미 푸른 깁으로 잘 싸서 보호하였으나, 위야의 시는 그대로 방치하여 벽에 가득 먼지가 끼어 있었으므로, 이때 마침 그 일행을 수행했던 총명한 한 관기(官妓)가 즉시 자기의 붉은 옷소매로 그 먼지를 닦아 내자, 위야가 천천히 말하기를 “항상 붉은 소매로 먼지를 닦을 수만 있다면, 응당 푸른 깁으로 싸 놓은 것보다 나으리.[若得常將紅袖拂 也應勝似碧紗籠]”라고 하였다.
[주D-003]정성(井星) …… 만하리 : 이백(李白)의 〈촉도난(蜀道難)〉에 “삼성 만지고 정성 지나 우러러 숨 헐떡거리고, 손으로 가슴 쓸며 앉아서 길이 탄식하네.[捫參歷井仰脅息 以手拊膺坐長歎]”라고 하였다. 《李太白集 卷2》 여기서는 단지 높은 데 오른 뜻만 취하였다.
[주D-004]금은(金銀)으로 ……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요 : 불교의 천문학(天文學)에서 수미산(須彌山)을 중심으로 하여 사방에 사대주(四大洲)가 있고, 그 밖의 주위는 철위산(鐵圍山)으로 둘러쌌다고 하는바, 이것을 하나의 세계 또는 하나의 사천하(四天下)라 하는데, 이 사천하를 천 개 합한 것이 하나의 소천세계(小千世界)요, 소천세계를 천 개 합한 것이 하나의 중천세계(中千世界)요, 중천세계를 천 개 합한 것이 하나의 대천세계(大千世界)라 한 데서 온 말로, 전하여 삼천대천세계는 천지 사방(天地四方), 즉 온 세상을 의미한다.
[주D-005]금수(錦繡) …… 요해(要害)거니 : 《사기(史記)》 권8 〈고조본기(高祖本紀)〉에 “진(秦)나라는 지세(地勢)가 뛰어난 나라로, 산하의 험고(險固)함을 띠고 천리 멀리 떨어져 있어, 제후의 창 가진 군사 백만을 대적함에 있어 진나라는 백분의 이로 당할 수 있다.[秦形勝之國 帶河山之險 縣隔千里 持戟百萬 秦得百二焉]”라는 말이 있다. 백이(百二)는 곧 100분의 2를 나타내는 말로, 전국 시대에 진나라의 지세가 매우 험고하여 진나라 군사 2만 명으로 제후의 군사 100만 명을 당해 내기에 충분하다고 한 데서 온 말이다. 또 일설에 의하면 “제후의 창 가진 군사 백만에 대하여, 진나라 지세의 험고함이 천하의 갑절이 되므로, 백만의 두 배를 얻었다는 것이다.[諸侯持戟百萬 秦地險固 一倍於天下 故云得百二焉]”라고도 한다.
[주D-006]꽃비[花雨] : 흔히 꽃 피는 계절에 내리는 비를 말한다. 또는 부처의 설법의 공덕을 찬미하여 ‘꽃을 비처럼 쏟아 내린다.[散花如雨]’라고 하는 데서, 전하여 고승(高僧)의 설법에 비유하기도 한다.
[주D-007]청련사(靑蓮社) …… 싶구려 : 동진(東晉) 때 여산(廬山) 동림사(東林寺)의 고승 혜원 법사(慧遠法師)가 일찍이 당대의 명유(名儒)인 도잠(陶潛), 육수정(陸修靜) 등을 초청하여 승속(僧俗)이 함께 염불 수행할 목적으로 백련사(白蓮社)를 결성하고 서로 왕래하며 친밀하게 지냈던 고사에 빗대서 한 말이다.
[주D-008]원숭이 …… 찾는다오 : 남제(南齊) 때 공치규(孔稚圭)가 일찍이 북산(北山)에 은거하다가 변절하여 벼슬길에 나간 주옹(周顒)을 매우 못마땅하게 여긴 나머지, 북산 신령(神靈)의 이름을 가탁하여 관청의 이문(移文)을 본떠서 〈북산이문(北山移文)〉을 지어 그로 하여금 다시는 북산에 발을 들여놓지 못하도록 하는 뜻을 서술했다. 그 대략에 “종산의 영령과 초당의 신령이 연기로 하여금 역로를 달려가서 산정에 이문을 새기게 하였다.……혜초 장막은 텅 비어 밤 학이 원망하고, 산중 사람이 떠나가니 새벽 원숭이가 놀란다.[鍾山之英 草堂之靈 馳煙驛路 勒移山庭……蕙帳空兮夜鶴怨 山人去兮曉猿驚]”라고 한 데서 온 말로, 전하여 원숭이와 학은 곧 깊은 산중의 은자의 처소를 의미한다. 《古文眞寶 後集 卷2》
[주D-009]총림(叢林) : 승려들이 함께 모여서 거처하는 곳을 말한 것으로, 승사(僧舍)를 가리킨다.
[주D-010]도잠(陶潛)의 …… 뿐이지만 : 삼경(三徑)은 세 오솔길이란 뜻으로, 본디 한(漢)나라 때 은사(隱士) 장후(蔣詡)가 자기 집 대나무 밑에 세 오솔길을 내고 구중(求仲)과 양중(羊仲) 두 사람하고만 종유했던 데서, 전하여 은자의 처소를 가리킨다. 《三輔決錄》 동진(東晉)의 처사(處士) 도잠 또한 일찍이 팽택 영(彭澤令)을 그만두고 지은 〈귀거래사(歸去來辭)〉에서 “세 오솔길은 묵었으나, 소나무와 국화는 아직 남아 있도다.[三徑就荒 松菊猶存]”라고 했던 데서 온 말이다. 《陶淵明集 卷5》
[주D-011]양로(揚老)의 일구(一區) : 양로는 한(漢)나라 양웅(揚雄)의 자이고, 일구는 주택 한 채를 지을 만한 땅을 말한다. 《한서(漢書)》 권87 〈양웅전(揚雄傳)〉에, 그가 민산(崏山)의 남쪽에 살았는데 “토지 일전이 있고, 집 일구가 있었다.[有田一廛 有宅一區]”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주D-012]순채 …… 일이요 : 순채를 찾고 죽순을 삶는다는 것은 곧 아주 평범한 야인(野人)의 생활을 뜻한다. 두보(杜甫)의 〈여이십이백동심범십은거(與李十二白同尋范十隱居)〉 시에 “종래에 귤송만 읊조려 왔거니, 누구와 함께 순챗국은 찾을거나.[向來吟橘頌 誰與討蓴羹]”라고 하였고, 소식(蘇軾)의 〈화채준낭중견요유서호(和蔡準郎中見邀遊西湖)〉 시에 “서로 이끌고 죽순 삶아 먹으러 고죽사에 가고, 다시 연꽃 물가에 내려와 연뿌리를 밟노라.[相携燒筍苦竹寺 却下踏藕荷花洲]”라고 하였다. 《杜陵詩集 卷1》 《蘇東坡詩集 卷7》

 


 

靑城集卷之二 昌山成大中士執著
 
和崔和仲丈韻 a_248_368c


頹然巾服是公初。水落淸颸灑滿裾。白首惟持觀世訣。緇塵不到草玄廬。莓苔陋巷斜陽住。琴瑟柴門衆248_368d籟虗。隔嶺煙霞堪對隱。東山吾已火銀魚。崔丈舊居水落山下。

屐園遺稿卷之十○玉局集
 謚狀
刑曹判書朴公謚狀 a_268_442d


公諱宗甲字同甫。潘南之朴。以新羅赫居世爲鼻祖。至麗季右文館直提學潘南先生諱尙衷。子孫仍籍268_443a焉。子諱訔左議政平度公。策本朝佐命勳。歷四世諱紹司諫號冶川。當中廟朝。見忤金安老。遯荒以歿。冶川之後有諱東善。左參贊貞憲公。諱炡吏曹參判錦洲君忠肅公。諱泰尙吏曹判書大提學文孝公。公卽文孝公玄孫也。曾祖諱弼純。禮山縣監贈吏曹參判。祖諱師任。同知敦寧府事贈吏曹判書。考諱麟源。工曹正郞贈吏曹判書。自潘南先生以來。正學直道。奕世相傳。而貞憲公之忠貞。錦洲君之風裁。文孝公之雅量。松筠氷蘗。標望一世。禮山公以後三世。隱德不顯。而邃學高風。冠冕士林。人得其一言268_443b而輕重焉。妣贈貞夫人坡平尹氏。工曹判書女。兵曹判書諱趾仁孫也。公以英廟壬戌十一月十六日生。自幼聦穎峭潔異凡兒。受學於同敦公。同敦公敎誨甚嚴。聞見忒早。八歲讀李斯傳。五遍成誦。見解超詣。看書纔開一板。便會一板大意。雖奇文僻書詰屈難讀者。一回紬繹。靡不通曉。素患阿睹。而攻工勤劬。不煩長者程督。才弱冠貫穿經史諸子。己卯丁正郞公憂。哀毁踰制。壬午莊獻世子薨逝。徊徨堂宇。號泣終日。公之根天之性。向國之忠。盖自韋布年少時。已可見矣。公素嫺功令各體。科詩尤淸警典268_443c雅。宿儒莫不斂手。而屢擧不利。戊子赴監會兩試。有姻家爲考官者。欲以關節要之。公笑不應。遂見屈。旣無悔色。亦未甞以此自多。庚寅冬登庭試丙科。公以名門世胄。宿負重望。及大闡。士大夫無論知不知。翕然聳喜。至以爲陽復之兆。放榜日。入侍英廟。手書一句詩以賜。異數也。辛卯除說書。癸巳陞六品。選瀛錄。特授校理。以臺䟽論中批違召。而已被選湖堂。詞苑峻選也。肅廟後存而不設者且六十年。英廟譽髦作成。追述故事。公逡廵不膺命。特差三田渡別將。旋命充永宗水軍。未幾放還。又授校理。促命入侍。268_443d不獲已入肅。刻燭賡進三題八韵。衮褒隆渥。仍宣醞賜紙墨。一世艶稱。大臣薦春坊久任人。公首膺選。連除兼司書,持平,司書,兼弼善,副應敎,東學敎授。甲午除兼司書,兼文學,輔德,應敎,掌樂,奉常正,漢學敎授。時正廟毓德春宮。睿學日新。妙選賓僚。三晝開筵。二十五年親賢右文之治。權輿於是。公自初除說書。已深蒙睿眷。禮遇顧問。最於諸僚。屢承編書之命。盖自辛卯至甲午四年之間。周流左右春坊。未甞數月見解。癸巳掌試湖南歸。間無宮啣。一日紫衣賫傳睿書若曰。久阻淸儀。益覺離索之嘆。文廟268_444a賜新薑於宮僚。繼有宸章之寵眷。盛事也。又况輔德每於講席。多陳箴規。爲益不少。聊以新薑一封賫去。以追故事。以答嘉惠。寶墨煒煌。藏于家。是歲上元。持被春坊。宣召上下番。令曰今夜好月。要與春坊共賞。仍賜唐橘一盤。拈韵賦詩。乙未除校理兼輔德應敎。爲松京按覈御史。論經歷李澤徵不法狀。是秋特除同副承旨。前一日夜對。更漏已深。不命之退。酬酌如響。屢示惜捨之意。翌日有陞資之命。序陞至右承旨。以玉署時乞養。出爲春川府使。爲治淸簡。吏慴民懷。有盜牛者就捕。公察其窮餓所廹。開諭惻怛。268_444b不施一杖而釋之。盜流涕而去。遂爲平民。公旣遆歸。猶候謁京第。冬遭尹夫人喪。丁酉夏因臺啓放逐鄕里。公纔釋褐。托契离筵。感激殊遇。慨然以堯舜君民爲期。知無不言。言無不盡。每筵敷陳文義。援古訂今。惟以格君心爲第一義。正廟虛心翕受。寵遇日隆。不悅傍伺者漸衆。賊臣洪相簡,閔恒烈等頻入春坊。潛倡他日瑤華之㐫論。浮言煽動。識者隱憂。跡陰計秘。人不敢顯言而明斥。一日公登筵。語及孔道輔事。令曰母后廢立。固非盛德。而批頰一事。當何以處之。對曰帝王之於后妃。如天之有地。日之有月。配268_444c德齊體。冐于人神。其禮貌紀綱之重。不比於匹庶間夫婦而已。禮貌紀綱。一有所損。則名分隳矣。郭后誤批帝頰。誠罪矣。然而臣則以爲仁宗有以啓之。自起救之。已失體貌。至於手勢之誤及。此豈非仁宗之失有以啓之耶。妬忌乃婦人之常性。自非樛木之聖德。容有不得免者。在仁宗篤恩義而正家法。明分限而塞爭端而已。不宜其暴揚而聲罪也。且方其廢立之時。帝猶疑之。則仁宗本意。未必必廢而後已。此正危微立判之際。一有忠志之士。剖析義理。從容導達。則必當犁然契合。不俟終日矣。惟彼呂夷簡一言。乘間268_444d抵隙。迎合於一安一危之際。小人情態。從古如此。可勝駭嘆。又引郅惲對光武之言。父不能得之於子。况臣之於君乎。臣不敢言。盖惲欲言而不敢言則已心知其不可矣。知其不可而不言則是吾君不能也。誣上賊義。罪不容誅。而光武英明之主也。只此一事。長爲千古之論。政由郅惲導之也。今此夷簡之心。不啻倍簁。使光武遇孔道輔諸人。則未必不納其言而救其失矣。由此而忠邪之分。危微之判。間不容髮。有如是矣。惟邸下念之。時徐文貞有臣亦在宮僚。引易之家人王格有家。交相愛也之訓。反復陳說。大被268_445a睿奬許以誠實忠愛。及丙申恒烈之獄。上敎曰瑤華之事。徐某以死爭之爲言。而汝以姓閔之人。潛圖其事。豈不叵測乎。於是乎一國臣民。莫不仰日月之光。非螮蝀所敢翳。而徐公之奏。始凜凜然塗人耳目。盖二公事。微顯雖不同。其義則一也。賊臣洪獜漢,鄭厚謙時又植黨鴟張。每欲引公爲重。公未甞一及其門。賊臣洪國榮亦頻入春坊。公知其終非吉人。不假色辭。國榮甞踵門乞交。一不造謝。惟與徐文貞及李公義駿等同心共濟。自任啓沃。衆憾交集。而毅然不之顧。至是國榮嗾兩司發啓。言徐某朴某李某。甞於268_445b書筵。以盧聖中壬午後不着帽事仰達。爲後日媒寵之計。請遠竄。翌日又啓請拿鞫置極律。上不允。只命放逐。逬居楊州楸舍。盖臺啓所論。公未甞發諸口。且盧聖中壬午後。曾以郞職肅命。不着帽非其實也。公與聖中平生無雅。春坊伴直一面而已。臺言尤無理也。人或有問於公。公但曰有罪無罪。聖明在上。自可洞屬。而所恨者平生無寸能可以仰裨聖明。惟一段秉彜。無計較利害。庶爲藉手事君之資。而畢竟媒寵之目。至及於發軔之初。撫躬自悼。無以爲生。至若禍福自有定命。實非趨避之所可能也。公放268_445c逐未幾。國榮謀危壼位。戊戌己亥之間。㐫計無所不有。所忌畏者惟公及徐公。而名義昭揭。不敢爲驅人之計。假托烏有之說。搆捏二公者此也。朴忠獻戊戌䟽後。國榮之疑忌轉急。使人屢探動靜於二公所居。其禍之本於瑤華一事。尤灼然如見。國榮斥黜後。徐公之胤榮輔以閣臣登筵。上曰丙丁之間。權奸必欲甘心於卿父及朴某。其勢莫遏。若示不槪則計益急而禍尤大。故姑且任之。以待天理之自著。天地全保之大德。二公所以感泣忘死者也。公自憂患以來。對人未甞語及時事。以竹素自娛。吟咏絶罕。有作268_445d則多是戀主語。或帶鋤治圃。觀稼同饁。暇日徜徉水石間。往往悠然遠望。若有未敢言之意。數椽茅屋。不蔽風雨。簞瓢屢空晏如也。晩秀甞謁公于樓山雪中。公危坐對床書。顔髮如平昔。無憂患困苦色。甲辰夏遇赦蒙宥。禁堂臺臣迭請還收。皆不允。乙巳夏臺啓始停。庚戌夏以前望除刑曹參議。秋出爲安州牧使。壬子冬瓜歸。因繡啓就理。旋特放。甲寅除兵曹參議。以軍號事配義興。尋宥還。除承旨,兵曹參議,大司諫。以臺職義難行公引遆。乙卯特除吏曹參議。自後爲吏議者七。爲禮議者五。冬以吏議違牌。特除加平268_446a郡守。是月特除同義禁,禮曹參判,同經筵。丙辰除謝恩副使。旋除平安監司。律己廉約。莅事綜密。人不敢以非道干政。一路淸晏。戊午擢資憲。除工曹判書,典設提調,漢城判尹。平安監司閔鍾顯辭陛。上曰舊伯廉簡。不負所知。卿之爲治。如舊伯足矣。還朝以壯勇營耗糓作錢。勒定高價。貽弊西民。請一付道臣。壯營之關西設屯。有勒奪民田之弊。請寢之。上優批允之。至有本營支放從他給代之命。盖壯營設置。聖意深遠。寔出軍國大計。上猶慮夫法久弊滋。民或不便。臨筵屢勤諮訪。而諸臣莫有言之者。公之268_446b建白。上格天心。一言而蒙允。我寧考爲民之盛德至意。於斯益明。而公之平日契遇。亦可想矣。連除知義禁,氷庫提調,都揔管,知敦寧,知春秋,刑曹判書,掌樂提調,知經筵,社稷提調。文任之通擬也。公適値坐罷。特旨叙用。屢除司寇之任。議讞文字。明白簡當。情法俱到。覽者嗟賞。己未寢疾。考終于城東舊第。葬于楊州水落山東幕里乙坐原。配貞夫人全州崔氏。學生昌百女。諮議錫文孫。生先公二年。歿後公十年。祔公墓左。一男楚壽。三女適曺始振,鄭東壽,李大淵。公貌不踰中人。器宇莊重。端坐如山。望之嶄然不可268_446c犯。平居寡言笑罕徵逐。人或疑簡亢。而遇會心人。道古譚文。風流映發。內行篤至。常以早失嚴訓爲至痛。事尹夫人曁王母李夫人。有孺子愛。傳家淸貧。所居草堂。四世不增椽。雖致崇班歷腴藩。布褐糲飯。一如書生時。座上蕭然惟數部書一局棊。爲文不規規於作家軌範。而舂容爾雅。原本經傳。多積博發。混混若千頃之波。至議論高妙。識解超越處。多道古人未道語。詩亦淸麗雋永。曲寫情境。絶無斧鑿飣餖之病。善吟諷。每淸宵朗誦。聲若出金石。嫺禮書通數理。事有疑晦。澹然凝思。立辨是非。以至錢糓簿書。不待布籌。268_446d錙銖不遺。甞曰天下萬事。分數而已。分數明則文學政事。本無二致。自少志氣英邁。自負甚高。常有范希文先憂後樂之意。始乃六年雷肆。受知正廟。明良相遇。千載一有。若將有爲於斯世。旣又萋菲在前。坑陷在後。憂讒慮禍。事且不測。雖幸天日在上。蜮弩莫售。而荒郊屛跡。桑楡已暮。公之盛時蘊抱。無地展布矣。及夫羣凶廓掃。朝著淸明。白簡之躗言旣滌。靑瑣之舊班復尋。聖眷益隆。亨衢大闢。而天不假年。齎志九原。殄瘁之慟。輿人所同。盖甞俯仰公立朝始終。命塗之多舛歟。時運之莫回歟。記昔正廟臨筵。語268_447a及公曰朴某在宮筵。言必稱三代之治。其言似迂而其人可知。甞俯詢文衡當薦人。敎曰文學地望。恐無出朴某右。己未論枚卜。敎曰余甞注意朴某。今也則亡。深致嗟惜。卽晩秀之所承聆者也。公之弟都正君宗羽。以久任郞入侍。敎曰見汝更何言。曾不料如是之速也。辭旨懇惻。筵臣爲之聳感。夫漢之賈太傅。宋之蘓文忠。人非不賢也。時非不遇也。主眷非不隆且深也。宣室之召。奇才之褒。終止於不究其庸。百世之下。志士悲之。况公以若才學。以若志業。以若契合。蚤歲蜚英。旣詘復伸。聖主眷眷。曰篤不忘。268_447b詞垣之盟。金甌之卜。寢寢有黼黻柱石之望。晩節光華。有非賈蘓之比。而公不少留。光贊至治。以克副當日三代之奏。噫豈非所謂命也運也歟。公之先公。卽晩秀先君子之內兄也。先君子甞器重公。有著述必示公。公登第貽書曰故家興替。有關世道汚隆。今聞此報。喜而不寐。晩秀自童歲。慕仰公如家伯氏。詳習公言行本末。莫有如晩秀者。且晩秀甞撰徐文貞節惠之狀。卽其居家孝友。立朝廉直。高世之文章。範俗之風標。遇巷魚水之契。處坎松桂之操。离筵一奏扶倫之忠。盖二公略相彷彿。窃有感於李杜之同傳。268_447c謹叙次如右。以諗太常氏。


 屐園遺稿卷之二○原集
 
朴同甫 名宗甲 之任關西伯序 a_268_060d


歲丙辰。命選明陵甲戌以後淸白之臣。以勵風敎。故吏曹判書文孝朴公。文孝公之孫故同敦寧公,故軍資正公。首登于薦。人無異辭。於是平安道觀察使難其人。特拜禮曹參判朴公。公文孝公之玄孫。同敦公之孫。軍資正公之從孫。而公之外曾王考外王考故判書尹公兩世。俱與是選。公將行。朝之士大夫執盞曰淸者伯夷之風也。盖千百歲一有。而公之門內268_061a外五公。炳烺耳目。所謂魯國多賢也。上以西門鎖鑰。擧以畀公。爲其世趾其美。而公之登車攬轡。參前倚衡者。其在斯歟。晩秀曰是淺之知公也。潘南之朴。自勝國奕世蟬嫣。有潘南先生焉。有冶川先生焉。有平度公焉。有錦洲君焉。有西溪先生焉。有白石,定齋兩公焉。源積流長。名德蔚然。世之袁楊崔盧。莫之先焉。其潛而不顯者。亦皆顔巷之簞瓢。鯉庭之詩禮。威儀棣棣。不可選也。而公之先大夫制行純篤。標識高遠。吾先子之所畏也。晩秀於公。弱弟行。㞐又共閈。每至公家。草屋數楹。僅庇風雨。室中有一床書一局碁。268_061b庭前老松一幹叢菊一畦。客來相對無語。日卓午。脫粟飯一盂而罷。見其竈間。老婢亦欣然有自得意。卽此而公之自少至老。朝夕左右。所傳承所擩染所習安者。可知已。雖日酌貪泉。將不得以易其平生之養。區區一關西伯。在公何有。且淸之爲德。君子之一節也。公之此行。任一面之重。革百年之弊。威望彈郡邑。德惠存士民。方不負我聖上簡心之眷。而眞所以無忝爾祖式克似之也。今徒以欝林片石。爲靑氊之業。則非人之所望公。而公之所自多也。况乎樓㙜綺羅之尤物移人。何足爲公而勉。


海左先生文集卷之十六
 
正宗大王輓章 a_239_341b


畵裡奇祥驗震鱗。吾王令德孝而仁。聖神授受三宗重。天地彌綸萬化新。黼座臨朝凝瑞日。淵襟酬物藹陽春。煕煕二紀昇平象。洋溢衢謠遍析津。

239_341c其二
陰虹豁盡揭朱陽。嗣服初年攬國綱。詎但天誅懲亂逆。遂令人類識倫常。綸頒象闕豚魚感。筆闡麟書斧鉞光。刑德慘舒皆造化。迓回新命萬年長。

其三
徽寧寶殿肅森森。親啓金縢淚血淋。天地感通千乘孝。日星昭著兩朝心。儀隆玉冊揄揚大。躬薦珠邱慟慕深。八達山前松栢路。邦人猶望翠華臨。

其四
239_341d箕訓傳家百世經。神孫御極一治馨。光臨大界無私照。全蓄羣流不測溟。誕誥朝紳懲黨習。愍恩泉壤泣潛靈。終看萬品歸鎔化。勳德難憑史筆形。

其五
賓筵纔退漏聲催。天祿羣書次第開。精一法從虞夏得。昭回章是典謨來。三元調燮皆資學。八域陶甄盡作才。文物煥然眞可述。却疑亭午運重迴。

其六
聖學皆基百行源。殿宮怡悅壼無言。禁林晝靜慈雲覆。宴閤晨開愛日暄。春帖每祈南極壽。晬239_342a辰均賚八方恩。請從人瑞編中驗。休運元因孝理敦。

其七
迎春簾閣欲斜暉。慟哭宮庭已出衣。內院多時宣召斷。朝班如昨問安非。浹膚仁澤深東海。窮髮哀聲接近畿。禮樂典章宏遠業。半途收斂馭雲歸。

其八
御路靑繩百里長。華城宮殿鬱相望。豈知玉輦天回處。遽作衣冠月出鄕。千古憑依先寢近。一239_342b秋蕭瑟壽堂凉。眞遊不待堯年倦。水落山空萬事荒。

其九
天意宗祊欲護持。嗣王睿質禀生知。精通經旨衣千歲。深墨哀容踐位時。已識謳歌歸貳極。不施聲色奠洪基。東朝幸有宣仁聖。裘冕端臨義訓垂。

其十
多年衰疾阻鵷班。有夢時朝紫闕還。自是踈頑同木石。胡然恩遇重邱山。支離寄息滄桑後。點檢239_342c除書涕淚間。白首無窮孤負恨。雲鄕歸侍更何顔。


眉山先生文集卷之八 淸州韓章錫稚綏著
 
水落山記 a_322_312a


往歲楓嶽之行。睨而過水落山。由是往來于中。志遊而未諧者又四三年矣。一日策短驢。省外大姑于靈芝山庄。退宿寒泉觀。戚叔李文卿居也。有樓甚高。貯書數千卷。又有林沼花石之勝。二客乘月至。對酌花下。共余賦詩。余問文卿。水落距此遠近。曰二十里而近。遂擧盃爲約。二客亦大喜願從。翼日理輕裝。早作從舍北山麓而行。歷訪李直殿322_312b世卿。共登靜觀齋池上小亭曰歸來亭。旁短碣曰先生之風。山高水長。盖靜觀先生讀書之處。而農巖先生從遊講學於此。歲久而墟。子孫因而新之者也。是洞之爲李氏所占。自先生刱。而背崇山襟長川。茂林週遭。泉甘土肥。居民甚多。而李氏爲之主。連墻接籬而居者。皆兄弟叔伯也。開門而出。跬步市朝。閉門而歸。俯仰山林。若張氏之靈壁焉。旣踰岡十里而爲松山。路旁讀圭齋南太史碑。吟曹子建詩生長華屋處。零落歸山邱。愴然久之。村秀林君圭淸圭澈昆季邀入午炊。與其里人南君仁獻又踵焉。過數帿地。山皆廻抱爲洞府而溪水出焉。雲霞攢翠。澄泓瑩綠。石亦往往逞其怪。有摺疊而麗立者曰屛巖。有蟠臥而平鋪者322_312c曰場巖。翔鳧蹲虎。皆類其名。過此水益淸而駛。石益皎而厲。洞益幽而明。磴道縈紆。依山偃頫。隨溪濶狹。纔轉數峰。氣象頓異。是爲玉流洞。鉅石橫截山腹。驚湍散下。激射其面者。皆噴薄爲珠璣。行焉繇一綫而上。四顧皆峙石澄泉。或渟或瀉。寒鏡絶瑕。皆可濯纓。相與躡雲根弄淸漪。坐無可擇。乃觴于石上。掬流磨墨。題左太冲招隱詩。樂而忘起。暝色蒼然。循溪前登。但聞珊珊山谷皆響。林嵐澗芳。紅燃翠染。徑轉灣折。洞天隨以開闔。鑿石爲棧。劣容一趾。攀躋過七十二級。始聞磬聲隱隱雲林間。望見蒼崖攔住。累級自成。水駕其上。色正黃。夕曦燭之。如跳金然。迫而察之。苔染石黝而爲此。强名之曰金流耳。內院庵棲其巓。靑叢蔚322_312d然。此山去平地極高。佛宇又占此山峭絶處。以其幽而敞。不知其高也。及夜憩東寮。推戶視之。四山巑岏。皆入眼底。雲木森然。縫其罅隙。以點綴遠勢。時當十五夜。月輪正圓。宛轉上嶺。一洞明晃如晝。遠眺豁然無翳。始覺飄飄有出塵意。朗吟三淵翁衆峰峭欲語鍾動正陽樓之句。忽想歇惺此境。神思奕奕又動矣。詰朝登七星閣。閣在寺右。逶迤屢十武。一僧守之。風佩與筧泉答響。龍巖鴨峰。儼然相拱揖。其淸敻幽悄。尤不似人境比。下山步履甚捷。不似昨日之艱。古人云從善如登。從惡如崩。信然。復過玉流。將分路興國寺由右。隱仙洞由左。衆皆盛言興國之侈麗。隱仙無足觀。余雅聞隱仙之勝。銳意排衆而左趨焉。出洞數里。爲322_313a黑石村。茂林葱蒨。茅茨如畫。漸聞水聲從山谷來。飛雪戛玉。乍隱乍現。曲折千變。漸有佳趣。夾澗入又數里。殷殷有撼壑聲。路將窮有石屛突起。繚其三面如雉堞狀。呀然中坼。大石架其頂。作梁欐形。高可十許丈。怒瀑懸焉。爲日光透射。晴雷紫烟。僅可指名。有石當其垠。中爲深窪。白日沉冥。陰風颯然。不可俯窺。峻湍至此。殺勢蓄而洩。其餘伏流石底。屢折而後偃馳。其下皆盤陀。靑松蔭之。棠梨躑躅爛然可愛。於是酌以匏。泛流盤旋而飮。爲曲水流觴之戱。以其境過淸不可久留。乃題詩石上而還。水落之觀。止於此矣。向從衆人言。幾失此奇觀也。嗚呼。毁譽之無定久矣。豈獨山乎哉。不謀於目。不察於心。耳食而臆斷。妄論人之臧322_313b否可乎。第論三洞甲乙。玉流淸而隘。金流雄而陋。水石皆不相稱。獨隱仙以蒼峭淸曠。擅其奇。雖然置之金剛。可以無名。漢北洞陰。亦不欲與之伯仲。以其無奇峰秀巒之映帶耳。然膾炙之飽不厭楂梨。麻絲之蓄無棄菅蒯。余於是樂而不能忘也。歸時紆路登太極亭。亭臨大川。據岸而高。靑楓匝之。遂成長林。是爲靈芝洞口。野田平蕪。嘉木淸流。兼有曠奧之致。奇巖揷水。鐫以澄心。卽靜觀翁釣魚臺。而亭則芝川公肯構云。曠感徘徊。帶月至寒泉觀。遇雨信宿而歸。文卿名秉翼。二客卽其族璿翼及隣居徐生。下山之日。實戊辰四月旣望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