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신묘년 산행 /2011.12.16.수락산 산행

2011.12.16. 수락산 산행 (서계 선생, 정재선생의 유적지를 찾아서)

아베베1 2011. 12. 16. 17:29

 

 서계선생의 고택앞에 수백년을 자랑하는 은행나무

  저가 사랑하는 도봉산의 모습

 수락산 주봉의 모습

  명품소나무 인듯

 기차바위 홈통바위위에서 본모습

 

 아래부분의 바위

 아래에서 본모습

 건너편에서 본정상부

 

 

성씨와 본관

반남박씨(潘南朴氏)

[요약정보]

본관명 반남(潘南)
성씨명 박씨(朴氏)
본관소재지 전라남도(全羅南道) 나주시(羅州市)
본관이칭
시조명 박응주(朴應珠)

[상세내용]

본관 연혁

반남(潘南)은 전라남도 나주시(羅州市)에 속해있는 지명으로 백제 때에는 반내부리현(半奈夫里縣: 일명 半那夫里縣)이라 불렸고, 대방주(帶方州: 羅州)의 관할이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반남군(潘南郡)으로 이름을 바꾸고, 야로(野老)와 곤미(昆湄: 珍島로 추정)를 관할하였다. 고려시대에 현으로 강등되어 1018년(현종 9)에 나주에 속하였다. 1995년에 나주군과 통합된 나주시의 반남면(潘南面)이 되었다.

성씨의 역사

반남박씨(潘南朴氏) 시조 박응주(朴應珠)는 고려조에서 반남호장(潘南戶長)을 역임했으며 6세손 박은(朴訔)이 조선 태종(太宗) 때 왕자의 난에 공을 세워 익대동덕좌명공신(翊戴同德佐命功臣)에 올라 반남군(潘南君)에 봉해졌다가 금천부원군(錦川府院君)에 봉해진 이후로 오랫동안 세거하게 되어 그 후손들이 박응주를 시조로 반남을 본관으로 삼게 되었다.

분적종 및 분파

《姓氏의 고향》에서는 6세손 박은(朴訔)이 추충공신(推忠公臣)에 책록되었다고 기술하고 있다.
참판공규파(參判公葵派), 세양공강파(世襄公薑派), 부윤공훤파(府尹公萱派), 지후공인파(祗候公仁派), 교위공귀근파(校尉公貴謹派), 학생공영창파(學生公永昌派), 도사공진창파(都事公震昌派), 정자공충파(正字公冲派), 감찰공현수파(監察公玄修派), 학생공초생파(學生公初生派), 직장공송생파(直長公松生派)

주요 세거지

경상북도 영주시 가흥2동           전라북도 완주시 봉동읍 구미리    경상남도 산청군 생초면 어서리  황해도 은율군 이도면 어양리
황해도 은율군 장연군 명암리

인구분포

2000년 통계청이 발표한 결과에 의하면 반남박씨는 43,300가구 총 139,438명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참고문헌]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尹昌鉉, 보명사, 1929)     《한국지명연혁고(韓國地名沿革考)》(權相老, 동국문화사, 1961)
《韓國人의 姓譜》(삼안문화사, 1986)                               《姓氏의 고향》(중앙일보사, 2002)      
뿌리를 찾아서(http://www.rootsinfo.co.kr)                      傳統族譜文化社(http://www.genealogy.co.kr)
디지털한국학(http://koreandb.kdaq.empas.com/)             반남박씨종친회(http://www.bannampark.org)

[집필자]   장규언

반남박씨(潘南朴氏)

[요약정보]

본관명 반남(潘南)
성씨명 박씨(朴氏)
본관소재지 전라남도(全羅南道) 나주시(羅州市)
본관이칭
시조명 박응주(朴應珠)

[상세내용]

본관 연혁

반남(潘南)은 전라남도 나주시(羅州市)에 속해있는 지명으로 백제 때에는 반내부리현(半奈夫里縣: 일명 半那夫里縣)이라 불렸고, 대방주(帶方州: 羅州)의 관할이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반남군(潘南郡)으로 이름을 바꾸고, 야로(野老)와 곤미(昆湄: 珍島로 추정)를 관할하였다. 고려시대에 현으로 강등되어 1018년(현종 9)에 나주에 속하였다. 1995년에 나주군과 통합된 나주시의 반남면(潘南面)이 되었다.

성씨의 역사

반남박씨(潘南朴氏) 시조 박응주(朴應珠)는 고려조에서 반남호장(潘南戶長)을 역임했으며 6세손 박은(朴訔)이 조선 태종(太宗) 때 왕자의 난에 공을 세워 익대동덕좌명공신(翊戴同德佐命功臣)에 올라 반남군(潘南君)에 봉해졌다가 금천부원군(錦川府院君)에 봉해진 이후로 오랫동안 세거하게 되어 그 후손들이 박응주를 시조로 반남을 본관으로 삼게 되었다.

분적종 및 분파

《姓氏의 고향》에서는 6세손 박은(朴訔)이 추충공신(推忠公臣)에 책록되었다고 기술하고 있다.
참판공규파(參判公葵派), 세양공강파(世襄公薑派), 부윤공훤파(府尹公萱派), 지후공인파(祗候公仁派), 교위공귀근파(校尉公貴謹派), 학생공영창파(學生公永昌派), 도사공진창파(都事公震昌派), 정자공충파(正字公冲派), 감찰공현수파(監察公玄修派), 학생공초생파(學生公初生派), 직장공송생파(直長公松生派)

주요 세거지

경상북도 영주시 가흥2동
전라북도 완주시 봉동읍 구미리
경상남도 산청군 생초면 어서리
황해도 은율군 이도면 어양리
황해도 은율군 장연군 명암리

인구분포

2000년 통계청이 발표한 결과에 의하면 반남박씨는 43,300가구 총 139,438명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참고문헌]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尹昌鉉, 보명사, 1929)
《한국지명연혁고(韓國地名沿革考)》(權相老, 동국문화사, 1961)
《韓國人의 姓譜》(삼안문화사, 1986)
《姓氏의 고향》(중앙일보사, 2002)
뿌리를 찾아서(http://www.rootsinfo.co.kr)
傳統族譜文化社(http://www.genealogy.co.kr)
디지털한국학(http://koreandb.kdaq.empas.com/)
반남박씨종친회(http://www.bannampark.org)

[집필자]

장규언

[반남박씨(潘南朴氏)의 인물들]

박강(朴薑) 박규(朴葵) 박규수(朴珪壽) 박규양(朴奎陽) 박기수(朴綺壽){1}
박기수(朴岐壽){2} 박기양(朴箕陽) 박난수(朴蘭壽) 박노수(朴潞壽) 박대하(朴大夏)
박돈수(朴惇壽) 박돈양(朴暾陽) 박동량(朴東亮) 박동로(朴東老) 박동망(朴東望)
박동서(朴東緖) 박동선(朴東善) 박동언(朴東彦) 박동열(朴東說) 박동현(朴東賢)
박두망(朴斗望) 박두양(朴斗陽) 박록(朴漉) 박만서(朴晩緖) 박맹지(朴孟智)
박면중(朴冕中) 박명원(朴明源) 박명회(朴明會) 박문빈(朴文彬) 박미(朴瀰){2}
박병(朴炳) 박부양(朴富陽) 박사(朴㴲) 박사덕(朴師德) 박사백(朴師伯)
박사석(朴師錫) 박사수(朴師洙) 박사익(朴師益) 박사정(朴師正) 박사창(朴師昌)
박사해(朴師海) 박사형(朴師亨) 박상덕(朴相德) 박상래(朴相來) 박상로(朴相老)
박상면(朴相冕) 박상집(朴相集) 박상철(朴相喆) 박상충(朴尙衷) 박서양(朴敍陽)
박서원(朴瑞源) 박선수(朴瑄壽) 박성양(朴聖陽) 박성양(朴性陽){2} 박성원(朴盛源){2}
박세견(朴世堅) 박세교(朴世橋) 박세당(朴世堂) 박세량(朴世樑) 박세모(朴世模)
박세상(朴世相) 박세성(朴世城) 박세장(朴世樟) 박세집(朴世集) 박세채(朴世采)
박세현(朴世鉉){1} 박세후(朴世后) 박소(朴紹){2} 박숭질(朴崇質) 박승간(朴承侃)
박승무(朴勝武) 박승봉(朴勝鳳) 박승산(朴勝山) 박승욱(朴承郁) 박승임(朴承任)
박승진(朴勝振) 박시원(朴時源) 박억년(朴億年) 박엽(朴燁) 박영교(朴泳敎)
박영효(朴泳孝) 박완서(朴婉緖) 박용(朴墉) 박용수(朴容壽) 박용원(朴用元)
박운수(朴雲壽) 박원도(朴元度){2} 박원양(朴元陽) 박유(朴瀏) 박유굉(朴裕宏)
박윤수(朴崙壽) 박윤원(朴胤源) 박은(朴訔){1} 박응남(朴應男) 박응복(朴應福)
박응순(朴應順) 박응인(朴應寅) 박응천(朴應川) 박의(朴漪){2} 박이양(朴彝陽)
박익지(朴益智) 박인정(朴仁亭) 박일원(朴一源){1} 박재원(朴在源) 박정(朴炡){1}
박정서(朴禎緖) 박정양(朴定陽) 박정원(朴井源) 박제경(朴齊璟){1} 박제경(朴齊絅){2}
박제관(朴齊寬) 박제교(朴齊敎) 박제근(朴齊近) 박제대(朴齊大) 박제명(朴齊明)
박제문(朴齊聞) 박제빈(朴齊斌) 박제성(朴齊晟) 박제소(朴齊韶) 박제순(朴齊純)
박제인(朴齊寅){2} 박제일(朴齊一) 박제헌(朴齊憲) 박제환(朴齊瓛) 박종갑(朴宗甲)
박종겸(朴宗謙) 박종경(朴宗慶) 박종길(朴宗吉) 박종덕(朴宗德) 박종보(朴宗輔)
박종신(朴宗臣) 박종악(朴宗岳) 박종여(朴宗輿) 박종열(朴宗說) 박종황(朴宗璜)
박종훈(朴宗薰) 박종휴(朴宗休) 박종희(朴宗喜) 박종희(朴宗禧) 박주(朴洲)
박주양(朴周陽) 박준양(朴俊陽) 박준원(朴準源) 박지영(朴之英) 박지원(朴趾源){1}
박찬(朴璨){1} 박찬범(朴贊汎) 박창수(朴昌壽) 박취원(朴取源) 박치륭(朴致隆)
박태두(朴泰斗) 박태만(朴泰萬) 박태보(朴泰輔) 박태삼(朴泰三) 박태상(朴泰尙)
박태서(朴泰緖) 박태손(朴泰遜) 박태순(朴泰淳) 박태원(朴泰遠){1} 박태유(朴泰維)
박태은(朴泰殷) 박태장(朴泰長) 박태정(朴泰定) 박태징(朴泰徵) 박태창(朴泰昌)
박태초(朴泰初) 박태항(朴泰恒) 박태회(朴泰晦) 박필간(朴弼幹) 박필건(朴弼健)
박필규(朴弼逵) 박필균(朴弼均) 박필기(朴弼基) 박필기(朴弼夔) 박필기(朴弼琦)
박필리(朴弼理) 박필명(朴弼明) 박필몽(朴弼夢) 박필부(朴弼傅) 박필성(朴弼成)
박필순(朴弼淳) 박필시(朴弼時) 박필영(朴弼英) 박필재(朴弼載) 박필주(朴弼周)
박필창(朴弻昌) 박필현(朴弼顯) 박호수(朴鎬壽) 박호양(朴鎬陽) 박호양(朴顥陽)
박홍수(朴弘壽) 박홍양(朴弘陽) 박홍준(朴弘儁) 박환(朴煥) 박황(朴潢){2}
박회무(朴檜茂) 박회수(朴晦壽) 박희양(朴熙陽) 유빈박씨(綏嬪朴氏) 의인왕후(懿仁王后)
인성왕후(仁聖王后) 죽서박씨(竹西朴氏)

[반남박씨(潘南朴氏)의 과거 및 취재 합격자]

고려문과
박상충(朴尙衷) 박은(朴訔) 박의(朴宜)
무과
박명순(朴命珣) 박봉기(朴鳳起) 박봉장(朴鳳章) 박사검(朴師儉) 박사유(朴師維)
박성지(朴性之) 박승혼(朴承湣) 박정세(朴挺世) 박제갑(朴濟甲) 박제긍(朴齊兢)
박종간(朴宗衎) 박필록(朴弼祿) 박필화(朴弼華) 박형엽(朴亨曄) 박형좌(朴亨佐)
박홍원(朴弘遠) 박홍좌(朴弘佐) 박흥좌(朴興佐)
무관
박선양(朴善陽) 박원양(朴元陽) 박제성(朴齊聲) 박제항(朴齊恒) 박종철(朴宗喆)
박지수(朴芝壽)
문과
박거인(朴居仁) 박경양(朴慶陽) 박광원(朴廣源) 박규수(朴奎壽) 박규수(朴珪壽)
박규양(朴揆陽) 박규현(朴奎賢) 박기수(朴岐壽) 박기수(朴綺壽) 박기양(朴基陽)
박기양(朴箕陽) 박길원(朴吉源) 박난수(朴蘭壽) 박노수(朴潞壽) 박능원(朴能源)
박대겸(朴大謙) 박도원(朴道源) 박돈수(朴惇壽) 박돈양(朴暾陽) 박동량(朴東亮)
박동로(朴東老) 박동망(朴東望) 박동선(朴東善) 박동열(朴東說) 박동현(朴東賢)
박두양(朴斗陽) 박렴(朴簾) 박맹지(朴孟智) 박명세(朴命世) 박명수(朴明壽)
박민고(朴敏古) 박민수(朴民壽) 박사눌(朴師訥) 박사륜(朴師崙) 박사성(朴師聖)
박사수(朴師洙) 박사유(朴師游) 박사익(朴師益) 박사일(朴思一) 박사제(朴師悌)
박사진(朴師晋) 박사창(朴師昌) 박사해(朴師海) 박상갑(朴相甲) 박상덕(朴相德)
박상래(朴相來) 박상로(朴相老) 박상면(朴相冕) 박상수(朴商壽) 박상악(朴相岳)
박상진(朴祥震) 박상철(朴相喆) 박서원(朴瑞源) 박선수(朴瑄壽) 박성원(朴盛源)
박세견(朴世堅) 박세당(朴世堂) 박세등(朴世登) 박세모(朴世模) 박세성(朴世城)
박세장(朴世樟) 박세준(朴世㷪) 박소(朴紹) 박수수(朴綏壽) 박순남(朴順男)
박숭고(朴崇古) 박숭질(朴崇質) 박승간(朴承侃) 박승길(朴勝吉) 박승덕(朴勝悳)
박승려(朴勝驪) 박승목(朴勝穆) 박승수(朴昇壽) 박승억(朴勝億) 박승원(朴升源)
박승임(朴承任) 박승항(朴勝恒) 박시수(朴蓍壽) 박시원(朴時源) 박신(朴愼)
박심수(朴心壽) 박안도(朴安道) 박양(朴讓) 박억년(朴億年) 박엽(朴燁)
박영(朴詠) 박영교(朴泳敎) 박영동(朴榮東) 박영수(朴永壽) 박영훈(朴泳薰)
박영훈(朴泳薰) 박예양(朴澧陽) 박용수(朴容壽) 박용천(朴龍天) 박우원(朴祐源)
박원(朴垣) 박원도(朴元度) 박윤수(朴崙壽) 박율(朴慄) 박응남(朴應男)
박응복(朴應福) 박의(朴漪) 박이양(朴彛陽) 박익양(朴益陽) 박인기(朴仁基)
박인수(朴寅壽) 박재시(朴載時) 박재원(朴在源) 박정(朴炡) 박정(朴炡)
박정수(朴鼎壽) 박정양(朴定陽) 박정원(朴正源) 박제경(朴齊璟) 박제관(朴齊寬)
박제교(朴齊敎) 박제명(朴齊明) 박제문(朴齊聞) 박제빈(朴齊斌) 박제선(朴齊璿)
박제성(朴齊晟) 박제성(朴齊聖) 박제소(朴齊韶) 박제순(朴齊純) 박제승(朴齊承)
박제연(朴齊淵) 박제영(朴齊永) 박제용(朴齊用) 박제인(朴齊寅) 박제일(朴齊一)
박제창(朴齊昌) 박제헌(朴齊憲) 박제황(朴齊璜) 박제휘(朴齊輝) 박조년(朴兆年)
박종겸(朴宗謙) 박종경(朴宗京) 박종경(朴宗慶) 박종기(朴宗琦) 박종길(朴宗吉)
박종범(朴宗範) 박종신(朴宗臣) 박종심(朴宗心) 박종정(朴宗正) 박종학(朴宗學)
박종형(朴宗珩) 박종황(朴宗璜) 박종훈(朴宗薰) 박종휴(朴宗休) 박주수(朴周壽)
박주양(朴周陽) 박준원(朴浚源) 박지원(朴志源) 박지희(朴志喜) 박창서(朴昌緖)
박창수(朴昌壽) 박창원(朴昌源) 박취원(朴取源) 박치륭(朴致隆) 박태만(朴泰萬)
박태보(朴泰輔) 박태삼(朴泰三) 박태상(朴泰尙) 박태상(朴泰尙) 박태소(朴泰素)
박태손(朴泰遜) 박태수(朴台壽) 박태순(朴泰淳) 박태유(朴泰維) 박태창(朴泰昌)
박태항(朴泰恒) 박태흥(朴泰興) 박필간(朴弼幹) 박필기(朴弼夔) 박필기(朴弼琦)
박필리(朴弼理) 박필명(朴弼明) 박필몽(朴弼夢) 박필수(朴弼燧) 박필순(朴弼淳)
박필원(朴弼遠) 박필위(朴弼渭) 박필재(朴弼載) 박필철(朴弼哲) 박필현(朴弼賢)
박호수(朴皓壽) 박호양(朴顥陽) 박호원(朴鎬源) 박혼원(朴混源) 박홍수(朴弘壽)
박홍양(朴弘陽) 박홍준(朴弘儁) 박황(朴潢) 박회수(朴晦壽) 박효삼(朴孝參)
박휘등(朴彙登) 박휘등(朴彙登) 박희보(朴熙輔) 박희양(朴憙陽) 박희진(朴熙晋)
생원시
박경룡(朴慶龍) 박계순(朴桂筍) 박교양(朴敎陽) 박구수(朴龜壽) 박구원(朴龜源)
박근원(朴根源) 박긍수(朴兢壽) 박기수(朴岐壽) 박기수(朴祺壽) 박기양(朴岐陽)
박길원(朴吉源) 박내수(朴徠壽) 박노(朴銠) 박노수(朴魯壽) 박능원(朴能源)
박도양(朴道陽) 박동로(朴東老) 박만원(朴晩源) 박만원(朴萬源) 박면원(朴沔源)
박문진(朴文鉁) 박민고(朴敏古) 박민수(朴民壽) 박봉양(朴鳳陽) 박사건(朴師建)
박사경(朴師經) 박사덕(朴師德) 박사만(朴師萬) 박사백(朴師伯) 박사수(朴師洙)
박사집(朴師緝) 박사철(朴師轍) 박사후(朴師厚) 박상구(朴象耉) 박상렬(朴相烈)
박상복(朴相復) 박상옥(朴相玉) 박상정(朴相定) 박상진(朴象眞) 박상하(朴相夏)
박선등(朴選登) 박성원(朴成源) 박세당(朴世堂) 박세성(朴世城) 박세항(朴世恒)
박소(朴紹) 박수수(朴綏壽) 박수원(朴洙源) 박순양(朴順陽) 박승우(朴勝愚)
박승철(朴勝喆) 박시인(朴時寅) 박시행(朴諟行) 박안검(朴安儉) 박영달(朴泳達)
박영수(朴泳壽) 박영진(朴泳振) 박용첨(朴龍瞻) 박우원(朴祐源) 박원양(朴元陽)
박인수(朴仁壽) 박일원(朴一源) 박정렬(朴鼎烈) 박정수(朴定壽) 박정수(朴廷壽)
박정양(朴定陽) 박정원(朴定源) 박제갑(朴齊甲) 박제경(朴齊敬) 박제근(朴齊近)
박제면(朴齊冕) 박제문(朴齊文) 박제빈(朴齊賓) 박제선(朴齊善) 박제성(朴齊性)
박제성(朴齊聖) 박제순(朴齊恂) 박제영(朴齊暎) 박제완(朴齊完) 박제완(朴齊琬)
박제원(朴齊元) 박제인(朴齊寅) 박제칠(朴濟七) 박제헌(朴齊憲) 박제형(朴齊衡)
박제홍(朴齊弘) 박조년(朴兆年) 박조원(朴祚源) 박종간(朴宗幹) 박종길(朴宗吉)
박종대(朴宗大) 박종문(朴宗聞) 박종민(朴宗民) 박종보(朴宗輔) 박종우(朴宗羽)
박종학(朴宗鶴) 박종항(朴宗恒) 박종형(朴宗珩) 박종호(朴宗浩) 박종호(朴宗虎)
박종홍(朴宗洪) 박종후(朴宗厚) 박좌양(朴左陽) 박주양(朴周陽) 박주원(朴周源)
박준양(朴濬陽) 박준원(朴準源) 박지수(朴芝壽) 박진양(朴晋陽) 박천구(朴天龜)
박천원(朴天源) 박취경(朴就卿) 박태래(朴泰來) 박태순(朴泰淳) 박태장(朴泰章)
박팽수(朴彭壽) 박필규(朴弼揆) 박필민(朴弼敏) 박필순(朴弼淳) 박필우(朴弼禹)
박필재(朴弼載) 박필현(朴弼顯) 박하양(朴夏陽) 박헌수(朴憲壽) 박헌양(朴獻陽)
박현수(朴賢壽) 박형동(朴亨東) 박형원(朴瀅源) 박형원(朴衡源) 박홍원(朴弘源)
박홍준(朴弘儁) 박화수(朴華壽) 박효양(朴孝陽) 박흥수(朴興壽) 박희수(朴喜壽)
박희수(朴希壽)
음관
박경수(朴京壽) 박경수(朴京壽) 박경수(朴慶壽) 박계양(朴啓陽) 박계양(朴啓陽)
박규수(朴珪壽) 박규원(朴奎源) 박규원(朴奎源) 박규현(朴奎賢) 박긍원(朴肯源)
박기양(朴基陽) 박난수(朴蘭壽) 박남원(朴南源) 박내수(朴萊壽) 박내수(朴萊壽)
박노수(朴魯壽) 박대수(朴大壽) 박대수(朴大壽) 박대수(朴岱壽) 박대수(朴岱壽)
박돈수(朴惇壽) 박두양(朴斗陽) 박만수(朴晩壽) 박민수(朴民壽) 박봉양(朴鳳陽)
박봉양(朴鳳陽) 박상수(朴商壽) 박선수(朴瑄壽) 박선수(朴瑄壽) 박성수(朴星壽)
박성수(朴星壽) 박순수(朴醇壽) 박순수(朴醇壽) 박순양(朴順陽) 박순양(朴順陽)
박승수(朴升壽) 박승수(朴升壽) 박승수(朴昇壽) 박승원(朴升源) 박영수(朴永壽)
박영훈(朴泳薰) 박용천(朴龍天) 박운수(朴雲壽) 박운수(朴雲壽) 박원양(朴元陽)
박유수(朴有壽) 박유수(朴有壽) 박응수(朴膺壽) 박익양(朴益陽) 박인수(朴麟壽)
박인수(朴麟壽) 박인수(朴寅壽) 박정양(朴定陽) 박제갑(朴齊甲) 박제갑(朴齊甲)
박제관(朴齊寬) 박제관(朴齊筦) 박제관(朴齊寛) 박제교(朴齊敎) 박제근(朴齊近)
박제근(朴齊近) 박제만(朴齊萬) 박제만(朴齊萬) 박제문(朴齊文) 박제문(朴齊文)
박제범(朴齊範) 박제빈(朴齊斌) 박제빈(朴齊賓) 박제빈(朴齊賓) 박제상(朴齊尙)
박제상(朴齊尙) 박제상(朴齊相) 박제선(朴齊璿) 박제성(朴齊性) 박제성(朴齊聲)
박제성(朴齊晠) 박제소(朴齊韶) 박제소(朴齊韶) 박제승(朴齊承) 박제승(朴齊承)
박제신(朴齊臣) 박제신(朴齊臣) 박제안(朴齊顔) 박제안(朴齊顔) 박제억(朴齊億)
박제연(朴齊淵) 박제영(朴齊瑛) 박제영(朴齊瑛) 박제영(朴齊韺) 박제영(朴齊韺)
박제완(朴齊琬) 박제완(朴齊琬) 박제용(朴齊用) 박제인(朴齊寅) 박제인(朴齊寅)
박제평(朴齊平) 박제항(朴齊恒) 박제헌(朴齊憲) 박제형(朴齊珩) 박제형(朴齊珩)
박제홍(朴齊弘) 박제홍(朴齊弘) 박제홍(朴齊鴻) 박제홍(朴齊鴻) 박제휘(朴齊輝)
박조수(朴祖壽) 박종경(朴宗敬) 박종구(朴宗球) 박종길(朴宗吉) 박종대(朴宗大)
박종대(朴宗大) 박종대(朴宗岱) 박종대(朴宗岱) 박종돈(朴宗敦) 박종돈(朴宗敦)
박종렴(朴宗濂) 박종문(朴宗聞) 박종문(朴宗聞) 박종민(朴宗民) 박종범(朴宗範)
박종복(朴宗復) 박종숙(朴宗塾) 박종숙(朴宗塾) 박종완(朴宗琬) 박종완(朴宗琬)
박종유(朴宗有) 박종유(朴宗有) 박종채(朴宗采) 박종항(朴宗恒) 박종호(朴宗浩)
박종휴(朴宗休) 박종희(朴宗喜) 박종희(朴宗喜) 박주양(朴周陽) 박준양(朴峻陽)
박준양(朴峻陽) 박증수(朴曾壽) 박증수(朴曾壽) 박지수(朴志壽) 박지수(朴志壽)
박진수(朴晉壽) 박진수(朴晋壽) 박창수(朴昌壽) 박초수(朴初壽) 박초수(朴初壽)
박초수(朴楚壽) 박초수(朴楚壽) 박최수(朴最壽) 박최수(朴最壽) 박춘수(朴春壽)
박춘수(朴春壽) 박헌수(朴巘壽) 박헌수(朴巘壽) 박헌양(朴憲陽) 박헌양(朴憲陽)
박헌양(朴獻陽) 박헌양(朴獻陽) 박현양(朴顯陽) 박현양(朴顯陽) 박형원(朴馨源)
박호수(朴鎬壽) 박호수(朴鎬壽) 박호양(朴顥陽) 박호양(朴顥陽) 박호원(朴鎬源)
박홍수(朴弘壽) 박홍양(朴弘陽) 박화원(朴和源) 박회수(朴晦壽) 박회수(朴會壽)
박흥수(朴興壽) 박흥수(朴興壽) 박희수(朴喜壽) 박희수(朴喜壽) 박희양(朴憙陽)
박희양(朴憙陽)
의과   
박윤열(朴允說)
진사시
박간(朴暕) 박경수(朴京壽) 박경수(朴慶壽) 박경신(朴敬身) 박경양(朴敬陽)
박경양(朴景陽) 박관수(朴觀壽) 박관양(朴寬陽) 박규원(朴奎源) 박기수(朴岐壽)
박기양(朴箕陽) 박기원(朴淇源) 박남수(朴南壽) 박노수(朴潞壽) 박담수(朴聃壽)
박대수(朴岱壽) 박대양(朴大陽) 박돈양(朴敦陽) 박동양(朴東陽) 박명수(朴蓂壽)
박사동(朴師東) 박사량(朴師亮) 박사석(朴師錫) 박사소(朴師邵) 박사옥(朴師沃)
박사유(朴師游) 박사인(朴師寅) 박사적(朴師迪) 박사정(朴師鼎) 박사집(朴師緝)
박사집(朴師集) 박사창(朴師昌) 박사철(朴師喆) 박사휴(朴師休) 박상래(朴相來)
박상록(朴相祿) 박상악(朴相岳) 박선수(朴善壽) 박선수(朴瑄壽) 박선양(朴宣陽)
박성수(朴性壽) 박성원(朴成源) 박세견(朴世堅) 박세모(朴世模) 박세장(朴世樟)
박수원(朴綏源) 박승구(朴勝九) 박승만(朴勝萬) 박승봉(朴勝鳳) 박승수(朴升壽)
박승수(朴昇壽) 박승영(朴勝泳) 박승일(朴勝一) 박승준(朴勝駿) 박승직(朴勝稷)
박승학(朴勝學) 박시수(朴蓍壽) 박시영(朴時英) 박여수(朴呂壽) 박영서(朴英緖)
박영원(朴盈源) 박영학(朴泳學) 박영훈(朴泳薰) 박예규(朴禮奎) 박예원(朴禮源)
박용수(朴龍壽) 박용후(朴用厚) 박우양(朴宇陽) 박원서(朴元緖) 박원양(朴元陽)
박유원(朴有源) 박응수(朴膺壽) 박의수(朴義壽) 박의양(朴毅陽) 박인수(朴麟壽)
박인양(朴寅陽) 박인원(朴麟源) 박인원(朴寅源) 박재설(朴載卨) 박정(朴炡)
박정엄(朴廷淹) 박정원(朴晸源) 박정원(朴鼎源) 박제경(朴齊璟) 박제관(朴齊觀)
박제대(朴齊大) 박제덕(朴濟德) 박제돈(朴齊暾) 박제만(朴齊萬) 박제보(朴齊普)
박제봉(朴濟鳳) 박제봉(朴齊鳳) 박제봉(朴齊鳳) 박제상(朴齊相) 박제성(朴齊晟)
박제소(朴齊韶) 박제순(朴齊淳) 박제승(朴齊承) 박제억(朴齊億) 박제영(朴齊永)
박제영(朴齊韺) 박제운(朴齊運) 박제익(朴齊翼) 박제인(朴齊寅) 박제정(朴齊政)
박제형(朴濟衡) 박제훈(朴齊薰) 박조수(朴肇壽) 박종경(朴宗慶) 박종교(朴宗喬)
박종구(朴宗球) 박종규(朴宗圭) 박종렴(朴宗濂) 박종묵(朴宗默) 박종복(朴宗復)
박종성(朴宗性) 박종숙(朴宗塾) 박종영(朴宗永) 박종오(朴宗五) 박종완(朴宗琬)
박종우(朴宗雨) 박종유(朴宗儒) 박종유(朴宗有) 박종현(朴宗鉉) 박종훈(朴宗薰)
박종흠(朴宗欽) 박준양(朴準陽) 박중원(朴重源) 박진수(朴晋壽) 박진원(朴晋源)
박창수(朴昌壽) 박천수(朴天壽) 박천주(朴天柱) 박철원(朴澈源) 박초수(朴初壽)
박치수(朴致壽) 박태수(朴台壽) 박태수(朴泰壽) 박태순(朴泰淳) 박태원(朴台源)
박태원(朴泰遠) 박풍서(朴豊緖) 박필대(朴弼大) 박필동(朴弼東) 박필시(朴弼時)
박필욱(朴弼彧) 박필증(朴弼曾) 박필채(朴弼采) 박필함(朴弼咸) 박필해(朴弼諧)
박필현(朴弼顯) 박필협(朴弼恊) 박필형(朴弼衡) 박헌양(朴憲陽) 박헌양(朴軒陽)
박현수(朴鉉壽) 박호양(朴鎬陽) 박호원(朴好源) 박홍양(朴弘陽) 박화원(朴華源)
박회무(朴檜茂) 박회수(朴晦壽) 박회수(朴會壽) 박횡수(朴紭壽) 박훈(朴鑂)
박훈양(朴薰陽) 박희양(朴熙陽) 박희양(朴羲陽) 박희천(朴希天)
수정일 수정내역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을 통해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정재 박태보선생을  기리는 노강서원 (정재 선생이 전남 진도로 유배중  노량진에서 사망하여 노강서원이 있었으나 

 서계 선생이 동봉 김시습 선생의 영정을 모시던 창절사 자리로    후손이 노강서원을 지었다는 내용임  

    노江書院  정조왕 신해년 사액  

 

 

 

 

 

 

 

 노강서원 담이가려서

 창풍정 유지

 

 세월의 무상함을 궤산정

 

 차가운 날씨로 얼음이

 서계선생이 석천동이라 새긴 암각화

 

 

서계집 제8권
 기(記) 4수(四首)
석천동기(石泉洞記)


석천동(石泉洞)은 잠수(潛叟)가 사는 곳이다. 잠수가 조정에서 시종(侍從)으로 벼슬한 지 10년이었는데, 어느 날 병으로 물러나 선부봉(仙鳧峯) 아래에 은거하고는 사는 곳의 샘물을 ‘석천(石泉)’이라 이름하고 이어 그 골짜기를 ‘석천동(石泉洞)’이라 이름하였다. 이 지역이 도성의 동쪽에 해당되기 때문에 또 그 산등성이를 ‘동강(東岡)’이라 하고, 시내를 ‘동계(東溪)’라 하였으며, 또 이곳에 잠수가 산다고 하여 그 물을 ‘잠수(潛水)’라 하고 언덕을 ‘잠구(潛丘)’라 하였다.
‘석천’이라 이름한 까닭은 산속의 뭇 샘물이 모여 이 시내가 되었고, 온 산이 모두 바위인데 시냇물이 구불구불 흘러서 바위를 따라 오르내리며 담(潭)이 되기도 하고 폭포가 되기도 하였다. 그러므로 ‘석천’이라 이름한 것이다. 맑은 샘물이 바위 위로 흐르고 하얀 바위가 샘물에 씻겨 샘물은 바위 때문에 더욱 맑고 바위는 샘물 때문에 더욱 희니, 아름답고 즐겁도다. 잠수가 사는 곳이여. 잠수는 날마다 짚신을 신고 지팡이를 끌며 아침저녁으로 수석(水石) 사이를 소요(逍遙)하는데, 질병과 우환이 있지 않으면 이곳에 거닐지 않은 적이 없었으니, 그야말로 즐거워 늙음이 닥쳐오는 줄도 모르는 자라 하겠다.
시내에서 북쪽으로 8, 9보 떨어진 곳에 집이 있으니 곧 잠수가 거처하는 집이요, 집에서 동쪽으로 수백 보 떨어진 곳에 언덕이 있으니 곧 잠수의 무덤자리이다. 이 언덕을 ‘낙구(樂丘)’라 하고, 이 집을 ‘정사(精舍)’라 하였으니, 잠수가 살아서는 여기에 거처하고 죽으면 이곳에 묻힐 것이다. 비록 삽을 메고 따라다니게 한 유령(劉伶)과는 다를 법하지만, 잠수의 경우 또한 자신을 위한 도모를 잘 하였다고 할 만할 것이다.
그 회일(回日)ㆍ영월(迎月)ㆍ백학(白鶴)ㆍ채운(彩雲)ㆍ선부(仙鳧) 등 봉우리들의 기이함과, 선유(仙游)ㆍ도장(道藏)ㆍ토운(吐雲)ㆍ서하(栖霞) 등 계곡들의 빼어남과, 취선대(聚仙臺)ㆍ초학대(招鶴臺)와 수옥정(漱玉亭)ㆍ난가정(爛柯亭)과, 객성기(客星磯)와 음우담(飮牛潭)과 크고 작은 폭포와 샘물의 빼어난 경치로 말하면 도성 근교에서 보기 드문 경치인데, 잠수가 골라서 이름을 붙인 곳까지 합하면 이루 다 기록할 수 없을 정도이다. 그리하여 지금 우선 그중에 한두 곳을 기록하여 후인(後人)들로 하여금 잠수가 이곳에서 즐거워한 바를 알게 하노라.


 

[주D-001]잠수(潛叟) : 잠수는 박세당의 호이다. 무신년(1668, 현종 9) 1월 40세에 벼슬을 버리고 양주 수락산(水落山) 석천동(石泉洞)에 은거하였다.
[주D-002]삽을 …… 유령(劉伶) : 유령은 진(晉)나라 때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이다. 성품이 남달리 술을 좋아하여 늘 녹거(鹿車)를 타고 술을 담은 호로병 하나를 가지고 다녔는데, 한 사람에게 삽을 메고 따라다니게 하여 자기가 죽으면 그 자리에 묻어 달라고 하였다. 그가 지은 주덕송(酒德頌)이 《고문진보(古文眞寶)》 후집(後集)에 실려 있다. 《晉書 卷49 劉伶傳》

 서계유거 암각화 (西溪幽居) 서쪽계곡에 그윽하게 나는집이란 뜻인데 ??  

 서계유거 마모되어서 확인하기 힘들다

 

薊山紀程卷之四
三月
初六日 乙未

乍陰。柵內留。


      西溪小酌
使行例待車卜。同時出柵。而今行則以泥濘未知何日齊到。柵內西北。有溪水環之。頗淸澈可喜。午後從三使到溪上。張網得大小魚數十尾。因斫鱠佐酒。乘月歸店舍。
       盤陀經雨滑如泥。輕屧斜陽解共携。浴鷺忽驚漁網集。一羣飛散水東西

 겨울이라서 얼음이 ..

 서계선생 사랑체의 안내표지판

  경기도에서 인정  종가댁  반남박씨 서계공파 종중

 입구에서 바라본 서계 선생 고택 들어가지 못한다 개들이 지키니 사나운 개

藥泉集第二十五
家乘
先考通訓大夫行金城縣令淮陽鎭管兵馬節制都尉府君行狀 a_132_399b


公諱一星字德輝。姓南氏。宜寧人也。得姓自羅朝英毅公諱敏。著籍自麗朝樞密院直副使諱君甫。九代祖領議政諡忠景公諱在。始仕我朝。忠景之孫諱智。官左議政諡忠簡公。仍祖孫爲相。事俱載國史。曾祖諱彥純。通政大夫承政院左承旨。祖諱柁。折衝將軍行龍驤衛副護軍。考諱烒。通訓大夫行平康縣監。妣宜人連山徐氏。贈參判澍之女。公生而穎異。學不132_399c勞師。年未弱冠。已有聲於場屋。屢占發解居人先。而率不遇於會闈。丙子以後時事艱虞。無意於進取。雖時以親命赴擧。非所好也。旋又廢不赴。是以竟不第。甲申冬大宜人患疾幾殆。公晝夜執湯藥扶臥起。不解帶不交目者累月。宗族鄕黨歎息以爲不可及。庚寅遭平康府君喪。服將闋。又遭大宜人喪。哭踊之戚。饋獻之誠。不懈不怠以終喪。乙未冬朝家命三品以上薦士。李參議有謙薦公居喪盡孝。適三公無知公者。都堂會勘時削不用。時公在結城鄕舍。寄書不肖孤曰薦中被削。不虞之譽。求全之毀。古人已言之矣。132_399d何足歎也。餘無他語。丙申十二月。拜內侍敎官。己亥七月。例陞掌樂院主簿。是年十二月。除鎭川縣監。鎭人素稱黠。前莅者率先以威刑。公一易以寬。民乃咸和。事亦不廢。邑有冤獄。經數官未斷者數案。公皆疏理決出。當於情法。吏民咸服。壬寅八月。有盜取縣殿牌。毀棄道上。公卽引咎請免于觀察使。觀察使微知邑中姦民爲衆所指者數人。收付縣案問。使之窮竟其事。公牒于觀察使曰今玆之變。由縣監不職。又以疑似加人以拷掠。則一邑之民。誰非可疑者。捶楚之下。無求不得。雖使吐款。可必信乎。遂解印歸。觀察132_400a使知公治理無虧。轉達朝廷。革縣而不譴公。九月還京第。卽授常平郞廳。所司金穀甚多。舊例凡其出納之剩。皆充私費。而公一切歸之公庾。鉤校巨細。靡密無漏。猾胥斂手。毫釐不敢有所欺隱。癸卯二月拜通禮院引儀兼漢城府參軍。且仍常平之任。俄以常平務緊。不可兼他職。遞新除。是歲九月。除金城縣令。縣居窮峽。地瘠民少。而貢賦煩重。又直北關孔道。候人日至。民不堪命。公簡以自奉。節縮儲偫。與民相假貸。推贏補缺。於以輸上供應賓館。無闕乏。不期歲。公私咸裕。民力大舒。於是增修學舍。置庠舍。敎諸生。日親132_400b課誦讀。正其章句。曉以旨義。諄諄於入孝出悌之道。始終如一日。闔縣承風。章甫滿席。且訪問高年。迎觴于公堂。親勸酬加。贈以肉帛佩囊。其病未來者。又命分饋于家。皆垂泣拜謝。以爲前所未見也。始公居憂五載。執禮過制。羸削日甚。衰白先於年。自數歲以來。時有風痺之患。乙巳春。舊疾發動。不能治官事。三月以病辭遞。四月始還京第。疾寖加。是月十二日。考終于寢。享年僅五十五。嗚呼。公之官次始終。只此而已。其德之深至者。固非不肖孤所敢知。然且以其耳熟目習者言之。公於孝。蓋出於天者也。不肖孤逮見公132_400c之事王父母。以及於喪葬祭祀。其誠意之篤。禮節之備。無一不可爲則於後者。甲辰夏。不肖孤覲于金城。値大宜人忌齋之夕。公謂不肖孤曰余幼時。大宜人手種瓜於庭。每飯摘其一以食余。至今未嘗忘其味之甘也。今余得祿。欲效反哺之誠。其何及也。祭而豐。不如養之薄。此之謂也。因涕泣不自勝。公之將祀。亦止於此矣。豈非忌必哀而終身慕者耶。公有一弟一妹。友愛極摰。弟吏部公。少與不肖孤同學於公。吏部公詞學日進。公奇愛之。每語家人曰人孰不愛子。我獨愛弟甚。豈才不才有重輕耶。抑同氣之義。踰於禪132_400d形耶。妹氏吳學士達濟夫人早寡。公與之同室共爨。及出宰鎭川。閔其無依。寄書曰吾養不及父母。吾不忍獨對妻孥。享此鼎食。若與妹同一日之飽。雖以此得罪。於吾心甘焉。迎之以去。與之終一年以歸。雖然常戒家人曰闔家旣食於此矣。愼毋以俸祿之餘。遺之子女。以爲我累。公於親黨知舊。恩意甚厚。所以周恤惟力是視。至有緩急。爲之盡心不避。己卯春。公姨兄鄭弼善雷卿陪世子在瀋中。爲龍馬兩胡所陷殺。方事之初發。公以布衣上疏。指陳計策。欲救其死。朝廷韙其言。而畏約不能用。公平日誨子弟。嚴而有132_401a方。而不肖孤荒嬉無成。以至今日。無可以明先人之訓者。不孝之罪。其何可量。始不肖孤之忝科第也。公曰吾家不顯數世矣。汝以蒙騃。早登朝籍。雖可喜。亦甚可懼。凡人之貴仕宦。爲其顯名於世。若奸貪驕敖。爲世所詆詬。則其位愈顯而其惡愈播。傳呼之寵。不足以易唾罵之辱。豈不失其所以貴之者哉。政事之才。文法之能。自有資材。非可學也。吾無以敎汝矣。吾所以望汝者。只在汝不失其所以貴之者耳。公之臨民。常曰欲民之畏我。正吾身而已。何重刑爲。欲民之愛我。善吾政而已。何私惠爲。欲財無乏。節吾用而已。132_401b何加斂於民爲。是以其居官也。唯欲無愧於心。未嘗求赫赫之聲。不以呴濡之恩。示德色於下。不以趣辦之才。沽能名於上。然安之而不擾。寬之而不急。其爲默施於民實多。其在鎭川歲荐荒。朝廷命減官祿幾半。乃以其餘。日贍飢民數百人。入少出多。而官儲猶不絀。其莅金城未滿再周。於其間補敉起廢。需用百端。然其歸也。倉積皆盈。公命發之以充縣民一歲之貢賦。其餘存者。猶且果然。公旣歸。觀察使適巡到縣。時當夏初。而舊穀之積。溢於村閭。民遮道曰此皆前縣令之所賜也。公中年以後。頗業於酒。子姓親知咸132_401c以爲憂。公曰世人之所共耽者。名利芬華聲色玩好。而吾皆泊然無足以嬰吾心者。惟是物不能去。是亦吾之病也夫。雖然吾所謂不適於世而無偶於人者也。非是物。孰與釋吾憂而全吾樂乎。是以公雖世居京師。不肯與人交遊往還。閉門却掃。終日澹如。游心於典籍。絶意於經營。目不見要人之面。耳不聞俗流之言。雖愛酒。亦引觴自適而已。未嘗有徵逐詡詡之歡。公之自金城歸。疾雖甚。言笑不異於常。怡怡然不覺其有苦。故家人不意其不可治。將行。不肖孤收拾案上書冊。其中有縣校家禮一部。不肖孤欲還之。公132_401d曰余有所疑。將有考而未及。且置行中。及京而還之。逮入京。謂吏部公曰我度我病殆不能復還。慮溘然中道。使家人顚倒於送終。爲是故齎家禮以來。今幸及京。返于吾廬。吾又何恨乎。及其疾革。家人侍立涕泣。蒼黃呼號。公開目視之。爲之揮止。氣息已微。神識愈明。浩然委命。顏色不動。言無及私。意無所戀。從容就化。視若晝夜之易於前。嗚呼。死生之際。人之大變也。苟無其實。不能容僞。觀於此。可以知公之素養矣。公少時面白如玉。鬚眉秀麗。不妄聲色。動容周旋。閒雅甚可觀。天性樂易。不事表襮。與人談。洞見肝膽。無132_402a所蓄。發言持論。根據精當。不可移易。爲文章。刊落藻飾。專以理勝辭達爲主。凡事情物理之不可名狀而難於口說者。形之於文。無不曉然明白。如指諸掌。於書無不觀。雖奇辭奧義人不能句者。亦皆條分縷析。達其歸趣。至如翰墨之藝。不屑爲也。而點畫構結。自然端重有榘度。公之始遊於黌舍也。風標挺拔。輝映左右。人皆慕與之交。謂朝夕必盛之玉堂。以大厥施。顧乃蹇連侘傺。久困於公車。中經喪亂。又荐之以巨創。才與命舛。志與時違。晩就祿仕。棲遲縣符。而天又嗇其壽。嗚呼痛哉。公娶嘉善大夫行江陵府使權公132_402b曗之女。生一男三女。男卽不肖九萬。女長適弘文館校理朴世堂。次適幼學李觀成。次適進士李漢翼。九萬有一男三女。男曰鶴鳴。女皆幼。朴世堂有二男。長泰維進士。次泰輔。李觀成有一女幼。李漢翼有一男幼。公生于萬曆辛亥十月初一日。乙巳八月初七日葬于龍仁縣花洞里平康府君墓之左兆子坐午向之原。丙午十月二十日。不肖孤九萬泣血謹狀。


서계선생은 약천 남구만의 자형 되시는 분이며 의령남씨의 외손이 되시는 분이다 

 

요약정보]

본관명 의령(宜寧)
성씨명 남씨(南氏)
본관소재지 경상남도(慶尙南道) 의령군(宜寧郡)
본관이칭
시조명 남군보(南君甫)

[상세내용]

본관 연혁

의령(宜寧)은 경상남도 중앙부의 낙동강 하류 서안에 위치한 지명이다. 본래 신라의 장함현(獐含縣)인데 757년(경덕왕 16)에 의령현으로 개칭하여 함안군의 영현을 삼았다. 1018년(고려 현종 9)에 진주(晉州)에 편입되었다가, 1390년(공양왕 2) 감무(監務)를가 파견되어 신번현(新繁縣)을 병합하였다. 1413년(태종 13)에 현으로 승격되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홍의장군 곽재우(郭再祐)가 최초로 의병을 일으켜 왜적을 물리친 곳으로 유명하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의령군으로 개칭되어 진주부 관할이 되었다가 1896년 경상남도(慶尙南道) 의령군이 되었다. 1979년에 의령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성씨의 역사

서기 755년(신라 경덕왕 14)에 안렴사(按廉使)로 일본에 다녀오다 풍랑을 만나 신라(新羅)에 표착(漂着)했던 중국(中國) 봉양부(鳳陽府) 여남(汝南) 사람, 김충(金忠)이 정착하면서 경덕왕(景德王)으로부터 남씨(南氏)를 사성(賜姓)받고 영양현(英陽縣)을 식읍으로 받은 후 민(敏)으로 개명(改名)하였다. 남민의 7대손 남진용(南鎭勇)의 세 아들 중 둘째인 남군보(南君甫)가 의령(宜寧)에 관적(貫籍)하여 의령남씨(宜寧南氏)의 시조(始祖)가 되었다.

분적종 및 분파

본관(本貫)에 50본(本) 이상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영양(英陽)·의령(宜寧)·고성(固城) 3본(本)을 제외한 나머지 본(本)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현재는 영양(英陽)·의령(宜寧)·고성(固城) 3본(本) 역시 남민(南敏)으로부터 분파되었으므로 합보(合譜)되었다.

인구분포   2000년 통계청이 발표한 결과에 의하면 의령남씨는 46529가구 총 150394명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참고문헌]

성씨의 고향   두산백과사전

[집필자]  유치석

성씨와 본관

의령남씨(宜寧南氏)

[요약정보]

본관명 의령(宜寧)
성씨명 남씨(南氏)
본관소재지 경상남도(慶尙南道) 의령군(宜寧郡)
본관이칭
시조명 남군보(南君甫)

[상세내용]

본관 연혁

의령(宜寧)은 경상남도 중앙부의 낙동강 하류 서안에 위치한 지명이다. 본래 신라의 장함현(獐含縣)인데 757년(경덕왕 16)에 의령현으로 개칭하여 함안군의 영현을 삼았다. 1018년(고려 현종 9)에 진주(晉州)에 편입되었다가, 1390년(공양왕 2) 감무(監務)를가 파견되어 신번현(新繁縣)을 병합하였다. 1413년(태종 13)에 현으로 승격되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홍의장군 곽재우(郭再祐)가 최초로 의병을 일으켜 왜적을 물리친 곳으로 유명하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의령군으로 개칭되어 진주부 관할이 되었다가 1896년 경상남도(慶尙南道) 의령군이 되었다. 1979년에 의령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성씨의 역사

서기 755년(신라 경덕왕 14)에 안렴사(按廉使)로 일본에 다녀오다 풍랑을 만나 신라(新羅)에 표착(漂着)했던 중국(中國) 봉양부(鳳陽府) 여남(汝南) 사람, 김충(金忠)이 정착하면서 경덕왕(景德王)으로부터 남씨(南氏)를 사성(賜姓)받고 영양현(英陽縣)을 식읍으로 받은 후 민(敏)으로 개명(改名)하였다. 남민의 7대손 남진용(南鎭勇)의 세 아들 중 둘째인 남군보(南君甫)가 의령(宜寧)에 관적(貫籍)하여 의령남씨(宜寧南氏)의 시조(始祖)가 되었다.

분적종 및 분파

본관(本貫)에 50본(本) 이상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영양(英陽)·의령(宜寧)·고성(固城) 3본(本)을 제외한 나머지 본(本)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현재는 영양(英陽)·의령(宜寧)·고성(固城) 3본(本) 역시 남민(南敏)으로부터 분파되었으므로 합보(合譜)되었다.

인구분포

2000년 통계청이 발표한 결과에 의하면 의령남씨는 46529가구 총 150394명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참고문헌]

성씨의 고향
두산백과사전

[집필자]

유치석

[의령남씨(宜寧南氏)의 인물들]

남간(南簡) 남경용(南景容) 남경우(南景祐) 남계당(南季堂) 남계영(南季瑛)
남계우(南啓宇) 남계하(南啓夏) 남계헌(南啓憲) 남곤(南袞) 남공보(南公輔)
남공철(南公轍) 남구만(南九萬) 남구익(南九翼) 남규희(南奎熙) 남극관(南克寬)
남극표(南極杓) 남근(南瑾) 남급(南伋) 남기제(南紀濟) 남노성(南老星)
남덕하(南德夏) 남도진(南道振) 남두병(南斗柄) 남두북(南斗北) 남두첨(南斗瞻)
남맹하(南孟夏) 남명학(南溟學) 남명한(南溟瀚) 남무성(南武星) 남벌(南橃)
남병(南鈵) 남병길(南秉吉) 남병철(南秉哲) 남복흥(南復興) 남상교(南尙敎)
남상문(南尙文) 남석하(南碩夏) 남선(南銑) 남세건(南世健) 남세준(南世準)
남세환(南世煥) 남순민(南舜民) 남언경(南彦經) 남언기(南彦紀) 남언순(南彦純)
남언진(南彦縝) 남연년(南延年) 남영(南嶸) 남옥(南玉) 남용익(南龍翼)
남유(南瑜) 남유상(南有常) 남유성(南有星) 남유용(南有容) 남윤함(南胤咸)
남윤협(南允協) 남은(南誾) 남을번(南乙蕃) 남을진(南乙珍) 남응개(南應凱)
남응룡(南應龍) 남응운(南應雲) 남응중(南膺中) 남이(南怡) 남이공(南以恭)
남이목(南履穆) 남이성(南二星) 남이신(南以信) 남이웅(南以雄) 남이준(南以俊)
남이흥(南以興) 남익훈(南益熏) 남일우(南一祐) 남장희(南章熙) 남재(南在)
남정(南瀞) 남정국(南定國) 남정순(南廷順) 남정익(南廷益) 남정중(南正重)
남정진(南廷縉) 남정찬(南廷瓚) 남정철(南廷哲) 남정필(南廷弼) 남정호(南廷浩)
남종삼(南鍾三) 남주관(南胄寬) 남주헌(南周獻) 남중유(南重維) 남지(南智)
남취명(南就明) 남치근(南致勤) 남치욱(南致勗) 남치원(南致元) 남치훈(南致熏)
남탁(南晫) 남태기(南泰耆) 남태량(南泰良) 남태온(南泰溫) 남태응(南泰膺)
남태저(南泰著) 남태적(南泰績) 남태제(南泰齊) 남태징(南泰徵) 남태혁(南泰赫)
남태회(南泰會) 남포(南褒) 남하정(南夏正) 남하행(南夏行) 남학명(南鶴鳴)
남한기(南漢紀) 남한조(南漢朝) 남한호(南漢皜) 남효문(南孝文) 남효온(南孝溫)
남효의(南孝義) 남후(南垕) 남훤(南翧) 남휘(南暉) 남흔(南忻)

[의령남씨(宜寧南氏)의 과거 및 취재 합격자]

고려문과
남겸(南謙)
무과
남간(南侃) 남건중(南建中) 남경례(南景禮) 남경성(南景誠) 남경욱(南慶頊)
남경훈(南慶薰) 남계일(南戒一) 남구(南球) 남구위(南九爲) 남극성(南極星)
남극성(南極星) 남극수(南極壽) 남극엽(南極燁) 남근중(南謹重) 남급(南級)
남기철(南耆喆) 남대성(南大星) 남대수(南大壽) 남대하(南大夏) 남덕승(南德升)
남두삼(南斗三) 남두성(南斗星) 남두수(南斗壽) 남두정(南斗井) 남두표(南斗杓)
남득구(南得龜) 남득로(南得老) 남명(南溟) 남명가(南命稼) 남명섭(南命燮)
남명진(南溟振) 남백영(南伯英) 남번(南翻) 남산수(南山壽) 남상구(南相龜)
남상순(南象淳) 남상진(南尙進) 남석구(南錫九) 남석우(南錫祐) 남석윤(南錫胤)
남석중(南錫中) 남석징(南碩澄) 남석희(南錫熙) 남세안(南世安) 남세형(南世馨)
남세흥(南世興) 남순우(南舜佑) 남승원(南承元) 남신(南愼) 남여희(南汝稀)
남오(南澳) 남옥(南沃) 남유(南囿) 남윤택(南潤澤) 남윤하(南允夏)
남응로(南應老) 남응방(南應方) 남응수(南應守) 남응호(南應浩) 남응호(南應浩)
남의생(南儀生) 남이용(南履容) 남이정(南履定) 남이진(南履晋) 남이철(南履喆)
남이한(南履漢) 남익년(南益年) 남익대(南益大) 남익령(南益齡) 남익명(南益明)
남익선(南益善) 남익중(南益重) 남익화(南益華) 남익화(南益華) 남전(南琠)
남전(南筌) 남정룡(南正龍) 남정윤(南正胤) 남정하(南正夏) 남제로(南濟老)
남조원(南朝源) 남종표(南宗標) 남종하(南宗夏) 남종하(南宗河) 남종혁(南宗爀)
남종훈(南宗熏) 남중진(南重振) 남중택(南重澤) 남지복(南志復) 남지욱(南志彧)
남지철(南指喆) 남철형(南喆衡) 남최언(南㝡彦) 남치온(南致溫) 남치욱(南致勗)
남치혁(南致赫) 남태로(南台老) 남태운(南泰運) 남태적(南泰績) 남택묵(南宅默)
남필수(南弼壽) 남하극(南夏極) 남한창(南漢昌) 남해일(南海一) 남형로(南衡老)
남형붕(南亨鵬) 남형징(南亨徵) 남호남(南好男) 남환선(南還善) 남흘(南屹)
무관
남경로(南慶老) 남계복(南啓宓) 남계정(南啓定) 남계준(南啓寯) 남공간(南公侃)
남기원(南起元) 남기철(南耆喆) 남대수(南大壽) 남대중(南大重) 남도수(南道壽)
남명선(南命善) 남명직(南命稷) 남백선(南百善) 남백영(南百榮) 남병추(南秉樞)
남석구(南錫龜) 남석규(南錫圭) 남석규(南錫圭) 남석룡(南錫龍) 남석우(南錫禹)
남석중(南錫中) 남석현(南錫玄) 남석희(南錫熙) 남석희(南錫羲) 남선원(南善元)
남성로(南成老) 남순원(南順元) 남승우(南承祐) 남영로(南永老) 남원교(南元敎)
남위원(南胃源) 남윤동(南允東) 남윤풍(南允豊) 남이복(南履宓) 남이완(南履完)
남이용(南履鎔) 남이정(南履定) 남익중(南益重) 남정륜(南正倫) 남제화(南濟和)
남주원(南周源) 남주희(南周熙) 남준원(南俊元) 남준희(南俊熙) 남지복(南志復)
남지심(南志) 남진원(南振源) 남치원(南致源) 남필원(南弼元) 남학원(南學元)
남형로(南衡老) 남형수(南衡壽) 남효원(南孝元) 남희(南熙) 남희중(南曦重)
문과
남간(南簡) 남강로(南絳老) 남경춘(南慶春) 남계당(南季堂) 남계당(南季堂)
남계영(南季瑛) 남곤(南袞) 남공철(南公轍) 남광철(南光轍) 남광희(南光熙)
남구만(南九萬) 남규채(南奎采) 남규희(南奎熙) 남근(南瑾) 남기(南䄎)
남기로(南綺老) 남길관(南吉寬) 남노(南潞) 남노성(南老星) 남노성(南老星)
남달손(南達孫) 남대유(南大儒) 남덕로(南德老) 남도규(南道揆) 남도익(南圖翼)
남도중(南度中) 남두첨(南斗瞻) 남명우(南溟羽) 남명익(南溟翼) 남명익(南溟翼)
남몽성(南夢星) 남벌(南橃) 남병관(南秉寬) 남병길(南秉吉) 남병문(南秉文)
남병철(南秉哲) 남복흥(南復興) 남상룡(南商龍) 남상하(南相夏) 남석연(南錫淵)
남선(南銑) 남성교(南性敎) 남성신(南省身) 남세건(南世健) 남세운(南世雲)
남세웅(南世雄) 남세준(南世準) 남세진(南世珍) 남세환(南世瑍) 남속(南涑)
남수언(南壽彦) 남수현(南壽賢) 남순민(南舜民) 남숭(南崧) 남양덕(南陽德)
남언욱(南彦彧) 남언창(南彦昌) 남연경(南延慶) 남옥(南玉) 남용익(南龍翼)
남용익(南龍翼) 남운로(南雲老) 남위로(南渭老) 남유상(南有常) 남유성(南有星)
남유용(南有容) 남윤관(南胤寬) 남윤종(南潤宗) 남윤희(南允熙) 남율(南慄)
남응용(南應龍) 남응운(南應雲) 남이경(南履烱) 남이공(南以恭) 남이관(南履寬)
남이무(南履懋) 남이성(南二星) 남이신(南以信) 남이웅(南以雄) 남이윤(南履輪)
남이익(南履翼) 남이준(南以俊) 남익원(南翊元) 남익훈(南益熏) 남일명(南一明)
남일우(南一愚) 남장희(南章熙) 남적명(南迪明) 남전(南躔) 남정숙(南廷淑)
남정술(南廷述) 남정중(南正重) 남정철(南廷哲) 남정필(南廷弼) 남정호(南廷皓)
남정호(南廷皓) 남제(南悌) 남제원(南濟元) 남종두(南宗斗) 남종분(南鍾盆)
남종삼(南鍾三) 남종순(南鍾順) 남종일(南鍾馹) 남주관(南胄寬) 남주원(南周元)
남주헌(南周獻) 남중(南重) 남중계(南重繼) 남중회(南重晦) 남지(南輊)
남지훈(南至熏) 남진명(南振溟) 남진문(南振門) 남처관(南處寬) 남취명(南就明)
남치훈(南致熏) 남탁(南晫) 남태경(南泰慶) 남태계(南泰階) 남태기(南泰耆)
남태량(南泰良) 남태온(南泰溫) 남태저(南泰著) 남태저(南泰著) 남태제(南泰齊)
남태혁(南泰赫) 남태회(南泰會) 남포(南褒) 남필석(南必錫) 남필성(南弼星)
남학로(南鶴老) 남학문(南鶴聞) 남학원(南鶴遠) 남학종(南鶴宗) 남학희(南學熙)
남헌교(南獻敎) 남헌진(南憲珍) 남현로(南玄老) 남혜관(南惠寬) 남혜로(南惠老)
남효순(南孝純) 남효의(南孝義) 남후(南垕) 남훤(南翧)
생원시
남건기(南建箕) 남건로(南建老) 남경려(南敬呂) 남경용(南景容) 남경운(南慶雲)
남경중(南絅中) 남경창(南景昌) 남경춘(南慶春) 남계응(南季膺) 남공현(南公鉉)
남굉(南翃) 남규(南圭) 남극관(南克寬) 남극정(南極井) 남극주(南極柱)
남극표(南極杓) 남기수(南夔壽) 남기중(南冀中) 남내로(南萊老) 남노성(南老星)
남대중(南大中) 남대해(南大海) 남덕신(南德新) 남덕훈(南德薰) 남도명(南道明)
남도혁(南道赫) 남돈(南墪) 남두원(南斗元) 남두첨(南斗瞻) 남두필(南斗弼)
남두희(南斗熙) 남득로(南得老) 남만년(南萬年) 남명거(南溟擧) 남명관(南命寬)
남명익(南溟翼) 남명학(南溟學) 남박(南樸) 남백하(南伯夏) 남벌(南橃)
남변(南忭) 남병익(南秉益) 남복흥(南復興) 남봉희(南鳳熙) 남사원(南士元)
남상기(南商綺) 남상본(南尙本) 남상봉(南相鳳) 남상익(南相翊) 남상일(南象一)
남상철(南商哲) 남상현(南商絢) 남석구(南錫九) 남석명(南錫明) 남석훈(南碩熏)
남선(南愃) 남성로(南省老) 남세강(南世綱) 남세웅(南世雄) 남세환(南世煥)
남수교(南壽喬) 남수규(南壽奎) 남수기(南壽箕) 남수일(南壽一) 남수정(南壽挺)
남숙(南潚) 남순민(南舜民) 남양리(南陽履) 남언경(南彦經) 남언극(南彦極)
남언기(南彦紀) 남언진(南彦縝) 남엽(南曄) 남영주(南永周) 남영진(南永璡)
남오훈(南五熏) 남용수(南龍壽) 남운명(南運明) 남윤명(南允明) 남이모(南以模)
남이목(南履穆) 남이범(南履範) 남이상(南履常) 남이석(南履錫) 남이성(南二星)
남이옥(南履玉) 남이철(南履喆) 남익(南熤) 남익로(南益老) 남익유(南益裕)
남익주(南益周) 남인로(南寅老) 남일(南鎰) 남일원(南一元) 남전(南躔)
남정두(南定斗) 남정래(南鼎來) 남정여(南正輿) 남정연(南正淵) 남정유(南挺㽔)
남정찬(南廷瓚) 남정필(南廷弼) 남제원(南濟遠) 남제인(南濟仁) 남종응(南鍾應)
남종하(南鍾夏) 남종학(南鍾鶴) 남준(南埈) 남준구(南雋龜) 남준기(南駿冀)
남준상(南駿祥) 남중(南重) 남지훈(南至熏) 남지희(南持曦) 남진문(南振門)
남치훈(南致熏) 남태경(南泰慶) 남태선(南泰善) 남태시(南泰時) 남태온(南泰溫)
남태운(南泰運) 남태제(南泰齊) 남택만(南宅萬) 남필명(南弼明) 남필중(南弼中)
남하룡(南夏龍) 남하범(南夏範) 남하상(南夏尙) 남하정(南夏鼎) 남학종(南鶴宗)
남학증(南鶴增) 남한보(南漢普) 남한운(南漢運) 남해(南垓) 남헌구(南憲九)
남헌중(南憲重) 남형(南泂) 남혜(南嵇) 남호학(南好學) 남홍신(南鴻臣)
남홍중(南弘重) 남효문(南孝文) 남효순(南孝淳) 남효순(南孝純) 남훤(南翧)
남휘(南徽) 남흡(南翕) 남희로(南羲老) 남희연(南喜淵)
역과
남응수(南應壽)
율과
남세호(南世豪)
음관
남경중(南絅中) 남계륜(南啓輪) 남계준(南啓雋) 남계헌(南啓憲) 남공철(南公轍)
남교순(南喬淳) 남구순(南久淳) 남구순(南久淳) 남기중(南岐重) 남달손(南達孫)
남대유(南大儒) 남덕희(南德熙) 남면중(南勉中) 남면중(南勉中) 남명선(南命善)
남명익(南溟翼) 남명직(南命稷) 남백선(南百善) 남백영(南百榮) 남병길(南秉吉)
남병선(南秉善) 남병선(南秉善) 남병정(南棅正) 남병철(南秉哲) 남상교(南尙敎)
남상교(南尙敎) 남상본(南尙本) 남상본(南尙本) 남상열(南相說) 남석규(南錫圭)
남석룡(南錫龍) 남석현(南錫玄) 남성교(南性敎) 남세본(南世本) 남세원(南世元)
남세원(南世元) 남숙희(南肅熙) 남순조(南舜朝) 남영서(南永書) 남영서(南永書)
남영시(南永詩) 남영주(南永周) 남영주(南永周) 남영중(南英中) 남원교(南元敎)
남이륜(南履輪) 남이무(南履懋) 남이복(南履宓) 남이완(南履完) 남이용(南履容)
남이우(南履愚) 남이익(南履翼) 남이정(南履定) 남이헌(南履憲) 남이헌(南履憲)
남이형(南履炯) 남이환(南履煥) 남인로(南寅老) 남일우(南一愚) 남정관(南正寬)
남정관(南正寛) 남정교(南正敎) 남정기(南廷綺) 남정룡(南廷龍) 남정륜(南正倫)
남정하(南廷夏) 남정학(南廷鶴) 남정화(南正和) 남종두(南宗斗) 남종복(南鍾復)
남종복(南鍾復) 남종삼(南鍾三) 남종석(南鍾奭) 남종석(南鍾奭) 남종순(南鍾順)
남종우(南鍾友) 남종우(南鍾友) 남종원(南鍾遠) 남종응(南鍾應) 남종응(南鍾應)
남종익(南鍾益) 남종일(南鍾馹) 남종하(南鍾夏) 남종학(南鍾鶴) 남종현(南鍾玄)
남종현(南鍾玄) 남주원(南胄元) 남주희(南周熙) 남준성(南駿聲) 남준응(南駿應)
남준응(南駿應) 남준희(南俊熙) 남지구(南芝耉) 남지구(南芝耉) 남진화(南進和)
남진화(南進和) 남필교(南弼敎) 남필교(南弼敎) 남학연(南學淵) 남헌교(南獻敎)
남헌중(南獻中) 남호중(南鎬重) 남호중(南鎬重) 남홍중(南弘重) 남홍중(南弘重)
남효순(南孝淳) 남흥중(南興中) 남흥중(南興中) 남희원(南羲元) 남희중(南羲重)
의과
남승사(南承嗣)
진사시
남갑원(南甲元) 남강로(南絳老) 남건중(南建中) 남격(南格) 남경수(南慶壽)
남경훈(南景薰) 남계석(南啓錫) 남계선(南繼善) 남계술(南啓述) 남공보(南公輔)
남교중(南敎重) 남교희(南敎熙) 남구만(南九萬) 남규언(南奎彦) 남극명(南克明)
남근(南瑾) 남근명(南近明) 남기로(南綺老) 남기명(南紀明) 남기명(南紀溟)
남기원(南箕元) 남노(南潞) 남달명(南達明) 남대인(南大仁) 남덕로(南德老)
남도관(南度寬) 남도규(南道揆) 남도만(南圖萬) 남도선(南圖翧) 남도익(南圖翼)
남도철(南道轍) 남두승(南斗承) 남두장(南斗長) 남두징(南斗徵) 남두창(南斗昌)
남두첨(南斗瞻) 남득관(南得寬) 남득성(南得星) 남득하(南得夏) 남득화(南得華)
남면중(南勉中) 남명로(南命老) 남명우(南溟羽) 남명익(南溟翼) 남명하(南明夏)
남명핵(南溟翮) 남몽성(南夢星) 남무관(南懋寬) 남범수(南凡秀) 남변(南辯)
남변(南忭) 남병관(南秉寬) 남병극(南秉極) 남병선(南秉善) 남병정(南柄正)
남병철(南秉哲) 남병희(南秉熙) 남보연(南普淵) 남복명(南復明) 남붕익(南鵬翼)
남상목(南相穆) 남상용(南尙容) 남상중(南尙中) 남상하(南相夏) 남상학(南相學)
남상훈(南尙熏) 남서하(南瑞夏) 남선(南銑) 남설(南渫) 남성교(南聖敎)
남성훈(南聖薰) 남성희(南星熙) 남세건(南世健) 남세본(南世本) 남세빈(南世贇)
남세운(南世雲) 남세웅(南世雄) 남세정(南世楨) 남세준(南世準) 남세중(南世重)
남세진(南世珍) 남소헌(南昭獻) 남속(南涑) 남수린(南壽麟) 남수만(南受萬)
남수명(南壽明) 남수정(南壽挺) 남수제(南壽齊) 남수하(南壽夏) 남수현(南壽賢)
남숙(南潚) 남순(南詢) 남순민(南舜民) 남암로(南巖老) 남언진(南彦縝)
남언창(南彦昌) 남언필(南彦弼) 남언하(南彦夏) 남연(南淵) 남엽(南熀)
남영(南坽) 남영중(南英中) 남오훈(南五熏) 남용갑(南龍甲) 남용익(南龍翼)
남용하(南龍夏) 남용희(南龍熙) 남우정(南禹正) 남원명(南遠明) 남유상(南有常)
남유성(南有星) 남유용(南有容) 남유희(南有熙) 남육(南堉) 남윤관(南胤寬)
남윤수(南允秀) 남응룡(南應龍) 남응운(南應雲) 남의채(南義采) 남이규(南履奎)
남이로(南二老) 남이무(南履懋) 남이묵(南履默) 남이민(南以敏) 남이박(南履樸)
남이박(南履樸) 남이범(南履範) 남이성(南二星) 남이수(南履綏) 남이신(南以信)
남이영(南以英) 남이우(南履愚) 남이웅(南以雄) 남이정(南履鼎) 남이준(南以俊)
남이헌(南履憲) 남이환(南履煥) 남익(南翊) 남익(南熤) 남익중(南翼中)
남익하(南益夏) 남익훈(南益熏) 남익희(南益熙) 남일구(南一耉) 남일명(南一明)
남적명(南迪明) 남적윤(南嫡胤) 남적하(南迪夏) 남전(南躔) 남정(南侹)
남정관(南鼎寬) 남정길(南廷吉) 남정린(南廷麟) 남정섭(南正燮) 남정용(南正容)
남정중(南正重) 남정진(南廷晋) 남정팔(南廷八) 남정헌(南廷獻) 남정호(南廷皓)
남정호(南廷頀) 남정휘(南廷徽) 남제관(南濟寬) 남종기(南鍾夔) 남종복(南鍾復)
남종선(南鍾善) 남종순(南鍾順) 남종악(南鍾岳) 남종우(南鍾友) 남종원(南鍾遠)
남종익(南鍾益) 남종현(南鍾玄) 남주관(南胄寬) 남주로(南柱老) 남주팔(南柱八)
남주헌(南周獻) 남준(南浚) 남준명(南浚明) 남준성(南駿聲) 남중명(南重明)
남중유(南重維) 남중회(南重晦) 남지선(南止善) 남지순(南持順) 남지훈(南至熏)
남진(南鎭) 남진하(南鎭夏) 남진화(南進和) 남징(南澄) 남찰(南巀)
남창우(南昌宇) 남철명(南哲明) 남취명(南就明) 남침(南琛) 남탁(南晫)
남태관(南泰觀) 남태덕(南泰德) 남태량(南泰良) 남태선(南泰善) 남태순(南太淳)
남태승(南泰承) 남태시(南泰時) 남태연(南泰延) 남태윤(南泰胤) 남태응(南泰膺)
남태저(南泰著) 남태제(南泰齊) 남태헌(南泰憲) 남태혁(南泰赫) 남태회(南泰會)
남태희(南台熙) 남택관(南宅寬) 남택명(南宅明) 남파수(南播秀) 남필문(南弼文)
남하교(南夏敎) 남하운(南夏運) 남하정(南夏正) 남하준(南夏準) 남학기(南鶴耆)
남학문(南鶴聞) 남학중(南學中) 남학현(南鶴玄) 남한기(南漢紀) 남한동(南漢東)
남한명(南漢明) 남한종(南漢宗) 남항수(南恒秀) 남헌로(南憲老) 남헌중(南獻中)
남혁(南爀) 남혁로(南赫老) 남현로(南玄老) 남형규(南瀅圭) 남형수(南衡壽)
남형수(南衡秀) 남형원(南衡元) 남혜관(南惠寬) 남혜로(南惠老) 남호(南琥)
남호(南暭) 남홍우(南鴻祐) 남화로(南華老) 남효명(南孝明) 남효온(南孝溫)
남효중(南孝重) 남후(南厚) 남휘(南徽) 남흥중(南興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