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세 연촌공 휘 덕지/연촌공 처가 평양조씨 관련자료

연촌공 사위 김총 관련 자료

아베베1 2015. 1. 29. 16:46

艮齋先生文集後編續卷之七

烟邨崔先生神道碑銘 幷序 

本朝作成之化。莫盛於世文兩廟之際。禮樂文物。彬彬有三代風。於是才俊盈庭。贊襄鴻猷。咸以功名自奮。蓋亦千載一時。時則有烟邨崔先生。歷敭內外。可以有爲。而決然投紱。嘉遯自樂。及再被恩召。亦纔出旋歸。未幾。國家多難。淸流之禍甚慘。世之篤論者以爲。悅卿今之伯夷。六臣今之方練。烟邨,霧巷。比六臣較高者。是也。先生諱德之。字可久。自號烟邨迂叟。系出全州。高麗門下侍中諡文成諱阿玄孫。曾祖諱龍鳳。中郞將。祖諱乙仁。司醞直長同正。考諱霮。入本朝直提學。妣全州朴氏。經德齋諱從壽女也。先生自幼。承襲家庭。德器夙成。永樂乙酉登第。由承文院。選入翰苑。歷玉堂臺閣。累典州郡。皆有成績。嘗爲淸道郡守。上疏論貢法損實便否。此可見爲政施措之一端。後以南原府使。退居靈巖永保邨。扁書樓以存養。若將終身。文廟元年辛未。特召以藝文館直提學。兼春秋館記注官。明年冬。上書乞退。上謂近臣曰。曩於召對。見其爲人純實。年未甚老。予欲留之。咸曰。歸志已定。必不留。不如從之以遂其高。先生卽日治裝。諸名卿賢大夫。咸與載酒送之江之滸。欽慕而歌頌者。凡四十餘篇。享年七十二而卒。葬于全州所陽面周德山酉坐原。崇禎三年庚午。湖南士林建祠於靈巖月山下。肅廟辛酉。賜額鹿洞。又享于全州西山院南原舟巖祠。朝廷錄用其子孫。事載國乘。配平壤趙氏。中郞將安鼎女。別葬于羅州元井洞艮坐原。有三男二女。男長淍。護軍。次潎。司勇。季淑。生員。女適忠贊金總。通禮愼後庚。護軍生四男。曰岱,嵆,崐,崗。司勇生四男。曰大成,智成,集成,忠成。生員無子。以司勇子智成。爲後。先生遺稿。散逸於兵燹。惟遺事一卷。傳於世。而諸賢論述亦附焉。朴忠文彭年曰。先生在朝。其聲名爵位。當不止此。而今也退休田里。已不與世相關。而萬口咨嗟。稱頌不已。其所以感人心而負物望。有不在彼而在此也。李文質芮曰。居官守道。一以古人自處。仕已無喜慍色。又曰。富貴榮華。皆無足以動其心。高風餘韻。足以使貪夫廉而懦夫立。又曰。一出一處。大有關於名敎。李文康石亨曰。無求於世兮。樂夫天命。逍遙一室之內兮。尙友千古之賢聖。李文靖植曰。先生純實之行著於聖諭。諄德也。中歲納祿。遯跡山海。高節也。存心養性。揭扁自警。正學也。有一於是。尙可師範百世。况兼之乎。又曰。急流勇退。道與神謀。自不蹈於大難。朴文純世釆曰。至德範世。而民或不知其所以爲賢。至於尤菴先生。則又推先生上言中損實踏驗者。而贊之曰。此實朱夫子所嘗眷眷者。而所謂業去稅存四字。則夫子當時極其痛歎。必欲變通者也。豈謂五百年之後。復見於先生文字閒耶。農巖先生嘗製書院請額疏。亦曰。不以一節自喜。而志於大道。不以閒散自適。而力於實踐。又引朱子所謂取舍之分明。然後存養之功密。存養之功密。則其取舍之分益明者。而質之曰。若某者。其庶乎此矣。合而論其世。考其實。則先生天稟甚高。德學甚粹。蓋其稟也高。故灑落如光風。其德也粹。故渾實如良玉。建乎居閒旣久。充養益篤。行之家。施之邦。沛然無所迂滯。而明知達識。超乎事物幾微之表。深造厚積。進乎精密正大之域。以至淸風高節早然爲百世師。然迹其平生。謙虛沈晦。不求異於人。人亦無能盡知者。嗚呼。此先生之所以爲先生也已矣。後孫圭庠,圭燮。謁余以隧道之文。累辭不獲。遂爲之銘曰。
殷師敎逖。羅麗治慌。天啓我朝。人文宣朗。英陵繼作。浸淫三古。百工煕載。萬物咸覩。允矣先生。誕膺盛運。學具體用。德孚遠近。翺翔館閣。歷選州牧。展布所蘊。爛然聲績。顯陵嗣位。再膺召命。宸眷彌重。同朝相慶。一朝卷懷。于彼巖堧。我讀我書。我食我田。天下煕煕。爵祿是榮。天下穰穰。名利是嬰。孰如先生。惟道是視。一出一處。實關世紀。易曰知幾。詩云明哲。愷悌君子。不俟終日。存心養性。敬以事夫。我庸勒石。昭示後賢。

 

 

崇禎三年庚午。湖南士林建祠於靈巖月山下。肅廟辛酉。賜額鹿洞。又享于全州西山院南原舟巖祠。朝廷錄用其子孫。事載國乘。配平壤趙氏。中郞將安鼎女。別葬于羅州元井洞艮坐原。有三男二女。男長淍。護軍。次潎。司勇。季淑。生員。女適忠贊金總。通禮愼後庚。護軍生四男。曰岱,嵆,崐,崗。司勇生四男。曰大成,智成,集成,忠成。生員無子。以司勇子智成。爲後。先生遺稿。散逸於兵燹。惟遺事一卷。傳於世。而諸賢論述亦附焉。朴忠文彭年曰。先生在朝。其聲名爵位。當不止此。而今也退休田里。已不與世相關。而萬口咨嗟。稱頌不已。其所以感人心而負物望。有不在彼而在此也。李文質芮曰。居官守道。一以古人自處。仕已無喜慍色。又曰。富貴榮華。皆無足以動其心。高風餘韻。足以使貪夫廉而懦夫立。又曰。一出一處。大有關於名敎

 

 

과거 및 취재

김굉필(金宏弼)

 

  • [ 원문이미지보기 ]

[생원시] 성종(成宗) 11년(1480) 경자(庚子) 식년시(式年試) [생원] 3등(三等) 32위(62/100)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AE40AD49D544B1454X0
대유(大猷)
생년 갑술(甲戌) 1454년(단종 2)
합격연령 27세
본관 서흥(瑞興)
거주지 합천(陜川)

[관련정보]

[이력사항]

선발인원 100명
전력 유학(幼學)

[가족사항]

 
[부] 성명 : 김유(金紐)
품계 : 어모장군(禦侮將軍)
관직 : 행충좌위사직(行忠佐衛司直)

[출전]

「성화16년경자3월초3일사마방목(成化十六年庚子三月初三日司馬榜目)」(『세촌선생실기(細村先生實紀)』, 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57-가618])

 

 

서흥 김씨

   초성본에는 현풍인으로 기록되어있다

   1805년 족보에는 서흥김씨  한훤당 김굉필의 숙부로  기록되어 있다   

   아마도 산당공이 현풍에 살고 기거를 하시던 한헌당의 김굉필의 문화에서 배울수 있었던것이 이런 연유일것으로 추정되는 부분이다

대표시청각
한자 瑞興 金氏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성씨/성씨
지역 전라남도 영암군
집필자 박선미

    [상세정보]

[정의]
김보를 시조로 하고 김총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남도 영암군의 세거 성씨.

[개설]
서흥 김씨는 영암 지역의 사족이었다. 입향조는 김총(金緫)으로, 영암 지역 대표 사족인 전주 최씨 최덕지(崔德之)의 사위이며 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의 숙부이다.

[연원]
서흥(瑞興)은 황해북도 북부에 위치한 곳으로, 시조는 김보(金寶)이다. 김보는 신라 왕실의 후예로 경순왕의 넷째 아들 대안군(大安君) 김은열(金殷說)의 5세손이다. 고려 중엽에 금오위정용중랑장(金吾衛精勇中郞將)을 지냈다. 김보의 손자 김천록(金天祿)은 고려 때 김방경(金方慶)의 부장으로 삼별초를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1274년(원종 15) 여원 연합군(麗元聯合軍)이 일본 대마도를 정벌할 때도 참전하여 큰 공을 세워 서흥군(瑞興君)에 봉해졌다. 이후 후손들은 김보를 시조로 삼고 서흥을 본관으로 하여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입향 경위]
영암 입향조 김총은 1500년(연산군 6)에 김굉필이 순천으로 유배되자 조카를 위로하기 위해 순천으로 내려왔으나, 자신 때문에 화를 당할 것을 우려한 김굉필이 처가인 영암으로 피신하도록 권유하면서 영암에 정착했다고 전한다. 영암에 정착한 후 김총의 딸은 남평 문씨 문맹화와 혼인을 하였고, 이후 김총의 후손들은 신안군 자은면, 나주시, 전라북도 진안군 등으로 이주하였다.

[현황]
영암군 학산면에 입향조 김총을 제사하는 익모재(益慕齋)가 있다. 매년 음력 3월 3일에 시제가 있으며, 시제 때는 호남 각 지역에 거주하는 서흥 김씨들이 모인다. 또한 학산면 용산리 용산 수원지 부근에는 세장산(世葬山)이 있다. 하지만 후손들이 영암에서 나주시 다시면·노안면, 전라북도 진안군 등으로 거주지를 옮겨 가 현재 영암군에 남아 있는 서흥 김씨 가구는 없다.

 

 

 

 









 

 

 

 

 

 

 

 

 

 

 

 

 

 

 

 

 

 

 

 

 

 

 

 

 

 

 

 

 

 

 

 

 

 

 

 

 

 

 

 

 

 

 

 

 

 

 

 

 

 

 

 

 

 

 

 

 

 

 

 

 

 

 

 祭存養崔先生 德之 文 b029_417b 편목색인

      
係利與害。雖小必審。處豐及約。取舍皆甚。不懸其處。歸蓬玄禁。不大其係。止安行懔。於玆脫然。最高人品。德卲于世。質異于寢。恭承玉汝。當道爲任。有幾斯見。江上餞飮。存心養性。一樓高枕。龍飛汝翼。薄就歸諗。名流遠將。桑梓多蔭。旣正且靜。天篤其禀。風聲悠久。鄙夫心凜。偉玆菟裘。人多沉浸。尙闕尊瞻。輝光久掩。遠邇同聲。新祠有儼。思皇駿奔。制不侈儉。猗歟晩六。百世模範。同堂齊享。兩美無欠。於千萬年。無替無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