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최씨 금석문 등/최씨 관련 삼국유사

최씨 관련 인물 자료

아베베1 2013. 1. 14. 23:06

 

 

 

 
경주최씨(慶州崔氏)

[요약정보]

본관명 경주(慶州)
성씨명 최씨(崔氏)
본관소재지 경상북도(慶尙北道) 경주시(慶州市)
본관이칭 월성최씨(月城崔氏)
시조명 원조 최소벌도리공(崔蘇伐都利公) / 시조 최치원(崔致遠)

[상세내용]

본관 연혁

경주(慶州)는 경상북도 남동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기원전 57년 경에 6촌(六村)이 연합하여 고대국가를 형성할 때 수도가 되었고 명칭을 금성(金城)이라 하였다. 935년(고려 태조 18) 신라 마지막 임금인 경순왕이 왕건에 항복하자 경주로 개칭하였다. 987년(성종 6) 동경(東京)으로 개칭하고 유수(留守)를 두어 영동도(嶺東道)에 속하게 하였다. 1008년(목종 11) 때 낙랑군(樂浪郡)이라 별칭하다가 1030년(현종 21) 삼경(三京)의 제도가 실시되자 동경(東京)을 설치하고 충렬왕 때 계림부(鷄林府)로 개편하였다. 1202년(신종 5) 경주 야별초의 반란으로 지경주사(知慶州事)로 강등되었다가 1219년(고종 6) 동경으로 환원되었다. 1413년(태종 13) 계림부를 경주부로 개칭한 이후 1415년 병마절도사영을 두었다가 1417년 울산으로 이전하였다. 1637년(인조 15)에 속현인 자인현이 분리 독립하였다. 1895년(고종 32) 군면 폐합으로 경주군이 되었고, 1955년 경주읍과 내동면 전역, 천북면과 내남면 일부가 통합되어 경주시로 승격했다.

성씨의 역사

삼한시대 진한 사로 6촌 중 돌산고허촌장 원조 소벌도리(蘇伐都利)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의하면 박혁거세를 양육하여 왕으로 추대한 천강인으로 신라 건국에 큰 공을 세워 개국 좌명공신(佐命功臣)이 되었다. 서기 32년 돌산고허촌(突山高墟村)이 사량부(沙梁部)로 개편되며 최씨(崔氏) 성을 받았고 516년에 충선공(忠宣公)으로 시호(諡號)되었으며, 658년에 문열왕(文烈王)에 추봉되었다. 경주 양산재에서 매년 6부 대부족장들의 개국원훈에 감은하는 "신라대제"가 국가 문화제로 봉행된다. 삼한, 신라 기원 최씨들은 최소벌도리공과 24대손인 “한문학의 시조” 최치원(崔致遠)을 상하대로 세계를 이어 왔다.
신라 대표지성 최치원은 당에 유학하여 18세에 빈공과에 장원 급제하였다. 최승우도 890년에 급제하여 명성을 날렸고, 최언위는 885년 급제 후 집사성 시랑을 지내고, 고려 개국 시 삼한벽상공신으로 태자사부, 문한, 평장사를 역임했다. 중국 과거에 급제한 3천재를 “신라3최”라 불렀고 최씨가문은 가장 많은 급제자를 배출하였다. 최치원은 등과 후 율수현위가 되었고, “황소의 난”을 토벌할 때 《토황소격》을 지어 명성을 떨쳤으며 승무랑시어사내공봉을 역임하고 당 황제에게 자금어대를 하사받고 귀국하여 시독겸 한림학사, 수부시랑 지서서감, 국사(國師) 등에 제수되었다. 신라말의 혼란을 걱정하며 《시무십조》를 올렸고 한시문집인《계원필경》등 많은 명저와 시문을 남겼다. 1020년 내사령(內史令)에 추증되고, 1023년 문창후(文昌侯)에 추봉되었고 태인 무성서원, 경주 서악서원, 함양 백연서원, 영평 고운영당 등에 제향되었다. “신라10현” “신라3문장”인 최치원은 공자와 같이 문묘에 모셔져 추앙받는 해동 최초 성현군자로 설총[신라2군자]과 함께 국자감, 조선 성균관과 234여개 향교에 “동방18賢”으로 모셔지며, 중국 양주의 "최치원기념관"에서 한.중선린외교의 효시로 추모되고 있다. 만년에 해인사에서 모형(母兄)인 대승려 별대덕(別大德) 현준(賢俊) 및 정현사(定玄師), 희랑(希朗)과 함께 학문과 득도에 전념했다.
고려 때는 문벌귀족 권문세족으로 광종 때 태자태사 문하시중을 지낸 최량, 성종 때 대를 이어 문하시중을 지냈고 《시무28조》를 올린 최승로(崔承老), 최숙(崔肅), 최제안(崔齊顔), 현종 때 검교태부수문하시랑 최항(崔沆), 충숙왕 때 성균관 대사성을 지낸 최해(崔瀣), 명종 때 정당문학을 지낸 최여해(崔汝諧) 등을 배출하였다.
조선에 와서도 동학을 창시한 최제우(崔濟愚), 동학 2대 교주 최시형(崔時亨), 한말의 거유(巨儒)이자 의병장으로 활동하다 순국한 최익현(崔益鉉), 한국판 “노블리스 오블리제”의 표상이자 선행으로 잘 알려진 "10대 진사, 12대 만석, 400년 보시"의 “경주 최부자” 최준(崔浚), 일제 강점기 겨레의 스승이며 독립운동가인 한글학자 최현배(崔鉉培) 등과 같은 많은 학자, 명신, 지도자를 배출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씨족이자, 삼한 신라시대 이래의 전통적 명문거족이다.

분적종 및 분파

한국의 삼한 신라 기원 최씨들은 원조 최소벌도리공과 24대손 시조 최치원을 중심으로 상하대에서 분적, 분파되었는데, 통일신라 때 한반도 전체로 번창하여 고려말경 문헌상 386여본까지 확대되었다가 다시 통폐합되어 현재 시조가 확인되는 본관은 45여개이다. 한국최씨의 대종가 경주최씨는 26파로 나뉘는데, 관가정공파(觀稼亭公派), 광정공파(匡靖公派), 정랑공파(正郞公派), 사성공파(司成公派), 화숙공파(和淑公派), 충렬공파(忠烈公派) 등 6대파를 주축으로, 2,100여년간 세계를 이어 오는 삼한시대 기원 삼한갑족(三韓甲族)으로 80여세의 대종(大宗)을 이루고 있다.

주요 세거지

경상북도 월성군 내남면 이조리
경상북도 영일군 죽장면 일원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금천리
경상남도 합천군 봉산면 술곡리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장덕리
전라북도 익산군 황등면 일원
전라남도 광산군 대촌면 양조리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 중옥리
경기도 포천군 신북면 가채리
강원도 철원군 서면 와수리
황해도 송화군 진풍면 수산리
평안남도 성천군 삼덕면 신덕리
평안남도 평원군 용호면 용강리
평안북도 영변군 북신헌면 용응동
평안북도 의주군 함원면 서하리
함경남도 함주군 천서면 고양리
함경남도 서천군 복귀면 복평리
함경북도 경원군 용덕면 용신리
함경북도 무산국 영북면 양영동 등 한반도에 155여곳 세거지[한국인의 족보(일신각)]

[참고문헌]

舊唐書, 新唐書, 三國史記, 三國遺事, 三國史節要, 高麗史, 高麗史節要, 東國文獻備考
성씨의 고향(중앙일보),韓國人의 姓譜(삼안문화사), 韓國人의 族譜(일신각), 韓國人의 姓譜(민중서관), 韓國人의 姓氏(창조사)

[집필자]

오윤정

 

경주최씨(慶州崔氏)

[요약정보]

본관명 경주(慶州)
성씨명 최씨(崔氏)
본관소재지 경상북도(慶尙北道) 경주시(慶州市)
본관이칭 월성최씨(月城崔氏)
시조명 원조 최소벌도리공(崔蘇伐都利公) / 시조 최치원(崔致遠)

[상세내용]

본관 연혁

경주(慶州)는 경상북도 남동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기원전 57년 경에 6촌(六村)이 연합하여 고대국가를 형성할 때 수도가 되었고 명칭을 금성(金城)이라 하였다. 935년(고려 태조 18) 신라 마지막 임금인 경순왕이 왕건에 항복하자 경주로 개칭하였다. 987년(성종 6) 동경(東京)으로 개칭하고 유수(留守)를 두어 영동도(嶺東道)에 속하게 하였다. 1008년(목종 11) 때 낙랑군(樂浪郡)이라 별칭하다가 1030년(현종 21) 삼경(三京)의 제도가 실시되자 동경(東京)을 설치하고 충렬왕 때 계림부(鷄林府)로 개편하였다. 1202년(신종 5) 경주 야별초의 반란으로 지경주사(知慶州事)로 강등되었다가 1219년(고종 6) 동경으로 환원되었다. 1413년(태종 13) 계림부를 경주부로 개칭한 이후 1415년 병마절도사영을 두었다가 1417년 울산으로 이전하였다. 1637년(인조 15)에 속현인 자인현이 분리 독립하였다. 1895년(고종 32) 군면 폐합으로 경주군이 되었고, 1955년 경주읍과 내동면 전역, 천북면과 내남면 일부가 통합되어 경주시로 승격했다.

성씨의 역사

삼한시대 진한 사로 6촌 중 돌산고허촌장 원조 소벌도리(蘇伐都利)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의하면 박혁거세를 양육하여 왕으로 추대한 천강인으로 신라 건국에 큰 공을 세워 개국 좌명공신(佐命功臣)이 되었다. 서기 32년 돌산고허촌(突山高墟村)이 사량부(沙梁部)로 개편되며 최씨(崔氏) 성을 받았고 516년에 충선공(忠宣公)으로 시호(諡號)되었으며, 658년에 문열왕(文烈王)에 추봉되었다. 경주 양산재에서 매년 6부 대부족장들의 개국원훈에 감은하는 "신라대제"가 국가 문화제로 봉행된다. 삼한, 신라 기원 최씨들은 최소벌도리공과 24대손인 “한문학의 시조” 최치원(崔致遠)을 상하대로 세계를 이어 왔다.
신라 대표지성 최치원은 당에 유학하여 18세에 빈공과에 장원 급제하였다. 최승우도 890년에 급제하여 명성을 날렸고, 최언위는 885년 급제 후 집사성 시랑을 지내고, 고려 개국 시 삼한벽상공신으로 태자사부, 문한, 평장사를 역임했다. 중국 과거에 급제한 3천재를 “신라3최”라 불렀고 최씨가문은 가장 많은 급제자를 배출하였다. 최치원은 등과 후 율수현위가 되었고, “황소의 난”을 토벌할 때 《토황소격》을 지어 명성을 떨쳤으며 승무랑시어사내공봉을 역임하고 당 황제에게 자금어대를 하사받고 귀국하여 시독겸 한림학사, 수부시랑 지서서감, 국사(國師) 등에 제수되었다. 신라말의 혼란을 걱정하며 《시무십조》를 올렸고 한시문집인《계원필경》등 많은 명저와 시문을 남겼다. 1020년 내사령(內史令)에 추증되고, 1023년 문창후(文昌侯)에 추봉되었고 태인 무성서원, 경주 서악서원, 함양 백연서원, 영평 고운영당 등에 제향되었다. “신라10현” “신라3문장”인 최치원은 공자와 같이 문묘에 모셔져 추앙받는 해동 최초 성현군자로 설총[신라2군자]과 함께 국자감, 조선 성균관과 234여개 향교에 “동방18賢”으로 모셔지며, 중국 양주의 "최치원기념관"에서 한.중선린외교의 효시로 추모되고 있다. 만년에 해인사에서 모형(母兄)인 대승려 별대덕(別大德) 현준(賢俊) 및 정현사(定玄師), 희랑(希朗)과 함께 학문과 득도에 전념했다.
고려 때는 문벌귀족 권문세족으로 광종 때 태자태사 문하시중을 지낸 최량, 성종 때 대를 이어 문하시중을 지냈고 《시무28조》를 올린 최승로(崔承老), 최숙(崔肅), 최제안(崔齊顔), 현종 때 검교태부수문하시랑 최항(崔沆), 충숙왕 때 성균관 대사성을 지낸 최해(崔瀣), 명종 때 정당문학을 지낸 최여해(崔汝諧) 등을 배출하였다.
조선에 와서도 동학을 창시한 최제우(崔濟愚), 동학 2대 교주 최시형(崔時亨), 한말의 거유(巨儒)이자 의병장으로 활동하다 순국한 최익현(崔益鉉), 한국판 “노블리스 오블리제”의 표상이자 선행으로 잘 알려진 "10대 진사, 12대 만석, 400년 보시"의 “경주 최부자” 최준(崔浚), 일제 강점기 겨레의 스승이며 독립운동가인 한글학자 최현배(崔鉉培) 등과 같은 많은 학자, 명신, 지도자를 배출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씨족이자, 삼한 신라시대 이래의 전통적 명문거족이다.

분적종 및 분파

한국의 삼한 신라 기원 최씨들은 원조 최소벌도리공과 24대손 시조 최치원을 중심으로 상하대에서 분적, 분파되었는데, 통일신라 때 한반도 전체로 번창하여 고려말경 문헌상 386여본까지 확대되었다가 다시 통폐합되어 현재 시조가 확인되는 본관은 45여개이다. 한국최씨의 대종가 경주최씨는 26파로 나뉘는데, 관가정공파(觀稼亭公派), 광정공파(匡靖公派), 정랑공파(正郞公派), 사성공파(司成公派), 화숙공파(和淑公派), 충렬공파(忠烈公派) 등 6대파를 주축으로, 2,100여년간 세계를 이어 오는 삼한시대 기원 삼한갑족(三韓甲族)으로 80여세의 대종(大宗)을 이루고 있다.

주요 세거지

경상북도 월성군 내남면 이조리
경상북도 영일군 죽장면 일원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금천리
경상남도 합천군 봉산면 술곡리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장덕리
전라북도 익산군 황등면 일원
전라남도 광산군 대촌면 양조리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 중옥리
경기도 포천군 신북면 가채리
강원도 철원군 서면 와수리
황해도 송화군 진풍면 수산리
평안남도 성천군 삼덕면 신덕리
평안남도 평원군 용호면 용강리
평안북도 영변군 북신헌면 용응동
평안북도 의주군 함원면 서하리
함경남도 함주군 천서면 고양리
함경남도 서천군 복귀면 복평리
함경북도 경원군 용덕면 용신리
함경북도 무산국 영북면 양영동 등 한반도에 155여곳 세거지[한국인의 족보(일신각)]

[참고문헌]

舊唐書, 新唐書, 三國史記, 三國遺事, 三國史節要, 高麗史, 高麗史節要, 東國文獻備考
성씨의 고향(중앙일보),韓國人의 姓譜(삼안문화사), 韓國人의 族譜(일신각), 韓國人의 姓譜(민중서관), 韓國人의 姓氏(창조사)

[집필자]

오윤정

[경주최씨(慶州崔氏)의 인물들]

각안(覺岸) 소벌도리(蘇伐都利) 연창궁부인(延昌宮夫人) 최강(崔江) 최경로(崔慶老)
최경지(崔敬止) 최경헌(崔景憲) 최경홍(崔景弘) 최경환(崔京煥) 최계(崔誡)
최광유(崔匡裕) 최광윤(崔光胤) 최규남(崔奎南) 최규헌(崔奎憲) 최남두(崔南斗)
최대성(崔大晟) 최덕중(崔德重) 최동량(崔東亮) 최동보(崔東輔) 최동언(崔東彦)
최동직(崔東?) 최동집(崔東㠍) 최량(崔亮) 최림(崔琳) 최명상(崔命相)
최몽란(崔夢鸞) 최몽량(崔夢亮) 최무열(崔武烈) 최백륜(崔伯倫) 최벽(崔璧)
최병식(崔秉軾) 최봉천(崔奉天) 최상룡(崔象龍) 최상유(崔尙柔) 최상익(崔商翼)
최석민(崔錫敏) 최석순(崔錫淳) 최성규(崔性奎) 최성준(崔成峻) 최소심(崔小心)
최숙(崔肅) 최숙생(崔淑生) 최승로(崔承老) 최승우(崔承祐) 최시술(崔蓍述)
최시형(崔時亨) 최신남(崔藎楠) 최양업(崔良業) 최언위(崔彦撝) 최여해(崔汝諧)
최영년(崔永年) 최영호(崔永浩) 최옥(崔) 최용신(崔容信) 최웅(崔雄)
최원(崔元) 최원신(崔元信) 최유덕(崔有德) 최유윤(崔惟允) 최유태(崔裕泰)
최윤식(崔允植) 최은함(崔殷諴) 최응허(崔應虛) 최이정(崔利貞) 최익현(崔益鉉)
최인(崔認) 최인교(崔仁敎) 최인규(崔仁圭) 최일휴(崔日休) 최장한(崔鏘翰)
최정석(崔鼎錫) 최제안(崔齊顔) 최제우(崔濟愚) 최주진(崔周鎭) 최준(崔浚)
최준문(崔竣文) 최중복(崔仲福) 최중제(崔仲濟) 최중태(崔重泰) 최진(崔鎭)
최진남(崔鎭南) 최진립(崔震立) 최찬벽(崔燦壁) 최찬식(崔瓚植) 최청(崔淸)
최치덕(崔致德) 최치원(崔致遠) 최필번(崔必蕃) 최하갑(崔河甲) 최학승(崔鶴昇)
최항(崔沆){1} 최해(崔瀣) 최해두(崔海斗) 최행귀(崔行歸) 최헌상(崔獻祥)
최현달(崔鉉達) 최현배(崔鉉培) 최형한(崔亨漢) 최화진(崔華鎭) 최확(崔確)
최효술(崔孝述) 최훈교(崔薰敎) 최흥립(崔興岦) 최흥원(崔興遠)

[경주최씨(慶州崔氏)의 과거 및 취재 합격자]

고려문과
최량(崔亮) 최식(崔湜) 최여해(崔汝諧) 최원신(崔元信) 최유부(崔有孚)
최함일(崔咸一) 최항(崔沆) 최해(崔瀣)
고려사마
최해(崔瀣)
무과
최건(崔建) 최경로(崔慶老) 최경일(崔景鎰) 최경직(崔慶直) 최경호(崔景昊)
최계(崔誡) 최계남(崔繼男) 최계사(崔繼泗) 최계생(崔戒生) 최광석(崔光錫)
최광식(崔廣植) 최광윤(崔光胤) 최광집(崔光集) 최구서(崔龜瑞) 최구지(崔仇之)
최국성(崔國成) 최귀현(崔貴玄) 최극신(崔克信) 최기정(崔起廷) 최끝룡(崔唜龍)
최끝보(崔唜福) 최논만(崔論萬) 최늣보(崔㗡卜) 최달국(崔達國) 최대기(崔大起)
최대락(崔大落) 최대령(崔大齡) 최대운(崔大雲) 최대원(崔大元) 최대윤(崔大潤)
최대인(崔大仁) 최대채(崔大采) 최덕송(崔德松) 최덕수(崔德秀) 최덕영(崔德泳)
최도전(崔道傳) 최돈(崔㻻) 최동구(崔東龜) 최동륜(崔東崙) 최동욱(崔東郁)
최동필(崔東弼) 최동혁(崔東赫) 최두제(崔斗齊) 최두진(崔斗軫) 최두추(崔斗樞)
최두평(崔斗平) 최득강(崔得江) 최득립(崔得立) 최룡(崔龍) 최린(崔嶙)
최막생(崔莫生) 최만강(崔萬岡) 최만수(崔萬壽) 최명익(崔命益) 최몽직(崔夢稷)
최문징(崔文徵) 최민수(崔岷秀) 최백(崔栢) 최백명(崔白明) 최복련(崔福連)
최복희(崔福禧) 최봉립(崔奉立) 최봉상(崔奉上) 최봉상(崔奉尙) 최봉운(崔鳳運)
최사달(崔仕達) 최사박(崔嗣朴) 최사업(崔士業) 최사일(崔士馹) 최산룡(崔山龍)
최상(崔湘) 최상경(崔尚絅) 최상기(崔尙機) 최상복(崔尙福) 최상봉(崔尙奉)
최상주(崔尙周) 최상준(崔尙峻) 최상준(崔尙峻) 최상준(崔尙峻) 최상회(崔尙會)
최상흘(崔尙屹) 최생립(崔生立) 최석원(崔錫元) 최석종(崔錫宗) 최석지(崔錫祉)
최선남(崔善男) 최선원(崔先元) 최성룡(崔成龍) 최성준(崔成峻) 최세명(崔世命)
최세보(崔世輔) 최세욱(崔世郁) 최세흥(崔世興) 최수악(崔秀岳) 최순달(崔順達)
최순대(崔順大) 최순일(崔順一) 최순점(崔順點) 최승길(崔承吉) 최승선(崔承善)
최승운(崔勝云) 최시량(崔時樑) 최시준(崔時峻) 최시창(崔時昌) 최시혁(崔時赫)
최신(崔信) 최양룡(崔良龍) 최억림(崔憶霖) 최언남(崔彦男) 최업(崔業)
최여준(崔汝峻) 최엽(崔燁) 최영(崔楹) 최영현(崔榮顯) 최영호(崔泳湖)
최예귀(崔禮貴) 최오남(崔五男) 최완(崔梡) 최용린(崔龍麟) 최용택(崔龍澤)
최운달(崔雲達) 최운득(崔雲得) 최운주(崔雲柱) 최운해(崔雲海) 최운해(崔雲海)
최운화(崔雲華) 최원(崔源) 최유남(崔有南) 최유달(崔有達) 최유철(崔有哲)
최유태(崔有泰) 최유태(崔裕泰) 최유형(崔惟衡) 최유화(崔惟華) 최유환(崔惟煥)
최윤창(崔胤昌) 최응경(崔應慶) 최응규(崔應奎) 최응두(崔應斗) 최응룡(崔應龍)
최응현(崔應鉉) 최응현(崔應鉉) 최의건(崔義健) 최의대(崔義大) 최의성(崔義成)
최이원(崔以遠) 최익태(崔益泰) 최인건(崔仁巾) 최인흥(崔仁興) 최일관(崔日觀)
최일광(崔日光) 최임남(崔壬男) 최자근동(崔者斤同) 최정려(崔正麗) 최정민(崔貞民)
최정복(崔廷福) 최정석(崔鼎錫) 최정원(崔挺元) 최제백(崔齊白) 최종득(崔宗得)
최종우(崔宗遇) 최종욱(崔宗煜) 최종혁(崔宗赫) 최준(崔浚) 최준제(崔俊齊)
최준홍(崔俊弘) 최중상(崔重祥) 최중유(崔重裕) 최중태(崔重台) 최지(崔址)
최지일(崔智一) 최지현(崔祉鉉) 최지현(崔祉鉉) 최진백(崔鎭白) 최진성(崔振成)
최징흘(崔澄屹) 최창대(崔昌大) 최천■(崔天■) 최천건(崔天健) 최천성(崔千成)
최천주(崔天柱) 최천흥(崔天興) 최축방(崔丑方) 최춘근(崔春根) 최충검(崔忠儉)
최충선(崔忠善) 최치대(崔致大) 최치운(崔致雲) 최치원(崔致遠) 최큰봄(崔大春)
최태복(崔泰福) 최태준(崔泰俊) 최태후(崔太厚) 최태휘(崔泰輝) 최필(崔弼)
최필륜(崔必崙) 최필번(崔必蕃) 최필후(崔弼垕) 최필흥(崔弼興) 최한곤(崔漢崑)
최한명(崔漢明) 최한중(崔漢重) 최한홍(崔漢洪) 최해룡(崔海龍) 최해수(崔海壽)
최호인(崔好仁) 최홍규(崔弘奎) 최홍량(崔弘良) 최홍유(崔弘有) 최홍적(崔弘績)
최화제(崔華齊) 최효성(崔孝誠) 최흑탄(崔黑呑) 최흥철(崔興哲) 최희남(崔希男)
문과
최강진(崔岡鎭) 최경식(崔慶湜) 최경지(崔敬止) 최경지(崔敬止) 최경지(崔敬止)
최경홍(崔景弘) 최계운(崔啓運) 최관(崔灌) 최기겸(崔起謙) 최덕명(崔德明)
최덕중(崔德重) 최도빈(崔道彬) 최두석(崔斗錫) 최명상(崔命相) 최몽량(崔夢亮)
최문손(崔文孫) 최벽(崔璧) 최상익(崔商翼) 최송년(崔松年) 최숙생(崔淑生)
최시우(崔時遇) 최시환(崔時煥) 최아(崔涐) 최예(崔汭) 최용삼(崔龍三)
최운(崔雲) 최유종(崔有悰) 최융(崔瀜) 최응각(崔應珏) 최응허(崔應虛)
최익서(崔翼瑞) 최익현(崔益鉉) 최인간(崔仁簡) 최정(崔釘) 최정진(崔廷鎭)
최중태(崔重泰) 최진(崔鎭) 최진남(崔鎭南) 최진하(崔鎭夏) 최치익(崔致翼)
최학승(崔鶴昇) 최한경(崔漢卿) 최현필(崔鉉弼) 최형한(崔亨漢) 최효손(崔孝孫)
생원시
최계기(崔啓基) 최공복(崔公福) 최구령(崔龜齡) 최권(崔權) 최규한(崔奎翰)
최극명(崔克明) 최기(崔淇) 최기겸(崔起謙) 최기영(崔祈永) 최기종(崔起宗)
최남복(崔南復) 최덕익(崔德益) 최덕중(崔德重) 최동률(崔東嵂) 최락(崔洛)
최만선(崔晩善) 최만희(崔晩喜) 최명걸(崔命傑) 최명극(崔命極) 최명상(崔命相)
최몽균(崔夢均) 최박(崔璞) 최벽(崔璧) 최병(崔炳) 최병수(崔秉壽)
최보형(崔保衡) 최봉환(崔鳳煥) 최상경(崔尙敬) 최상룡(崔象龍) 최상호(崔尙灝)
최석규(崔錫圭) 최성진(崔星鎭) 최세구(崔世龜) 최세린(崔世麟) 최세하(崔世夏)
최수경(崔守經) 최수기(崔守琦) 최숙(崔䎘) 최숙(崔潚) 최언■(崔彦■)
최언충(崔彦沖) 최언충(崔彦漴) 최영원(崔永源) 최용상(崔鏞商) 최운오(崔雲五)
최응칠(崔應七) 최응태(崔應泰) 최의발(崔義發) 최이중(崔履中) 최익(崔瀷)
최익로(崔翼魯) 최익주(崔翼周) 최익준(崔益峻) 최익헌(崔翼憲) 최익호(崔益鎬)
최인령(崔仁齡) 최재공(崔再珙) 최재룡(崔在龍) 최정(崔釘) 최정진(崔廷鎭)
최제일(崔濟一) 최제칠(崔齊七) 최제택(崔濟宅) 최제한(崔濟漢) 최종대(崔宗大)
최종신(崔宗莘) 최중태(崔重泰) 최진태(崔鎭泰) 최창남(崔昌南) 최창억(崔昌億)
최치검(崔致儉) 최치규(崔致奎) 최치심(崔致心) 최치익(崔致翼) 최태연(崔泰然)
최태환(崔泰煥) 최학(崔翯) 최한신(崔漢臣) 최해갑(崔海甲) 최현규(崔鉉奎)
최형겸(崔亨謙) 최형남(崔衡南) 최형태(崔亨泰) 최효손(崔孝孫) 최휘(崔翬)
최흥국(崔興國) 최희령(崔希齡)
역과
최건기(崔建基) 최경(崔璟) 최경렴(崔景廉) 최경석(崔慶錫) 최계영(崔啓榮)
최구령(崔龜齡) 최구성(崔九成) 최국동(崔國棟) 최국량(崔國樑) 최국정(崔國楨)
최국환(崔國桓) 최규(崔奎) 최규륜(崔奎綸) 최규복(崔奎福) 최규항(崔奎恒)
최긍식(崔兢植) 최기창(崔祺昌) 최덕재(崔悳在) 최도(崔燾) 최도건(崔道健)
최도완(崔道完) 최만익(崔萬翼) 최면식(崔勉植) 최묵(崔默) 최상기(崔尙基)
최상립(崔尙立) 최상묵(崔相默) 최상욱(崔相昱) 최상혁(崔相赫) 최석(崔昔)
최석면(崔錫冕) 최석영(崔錫榮) 최석장(崔錫章) 최석조(崔錫祚) 최석호(崔錫祜)
최성(崔城) 최성건(崔性健) 최성선(崔性善) 최성학(崔性學) 최성효(崔性孝)
최성효(崔性斅) 최세격(崔世格) 최세송(崔世松) 최세즙(崔世楫) 최세훈(崔世勳)
최세희(崔世羲) 최소(崔昭) 최승립(崔承立) 최시우(崔時遇) 최시익(崔時翊)
최신흡(崔信翕) 최양섭(崔亮燮) 최억(崔檍) 최영림(崔永霖) 최예남(崔禮男)
최우식(崔宇植) 최운(崔澐) 최원(崔洹) 최유립(崔裕立) 최익근(崔益根)
최익정(崔益楨) 최익주(崔益柱) 최인식(崔寅植) 최정흠(崔廷欽) 최종로(崔宗魯)
최종식(崔鍾植) 최준(崔濬) 최준남(崔俊男) 최준식(崔俊植) 최중려(崔重呂)
최중세(崔重世) 최중연(崔重演) 최중철(崔重哲) 최중항(崔重恒) 최중호(崔重灝)
최치겸(崔致謙) 최태상(崔台相) 최한보(崔漢輔) 최한진(崔漢鎭) 최한창(崔漢昌)
최항(崔恒) 최형(崔逈) 최형원(崔衡源) 최훈(崔勳) 최흥식(崔興植)
최희설(崔希卨)
율과
최당(崔堂) 최석창(崔碩昌) 최석흥(崔碩興) 최성리(崔聖履) 최세진(崔世鎭)
최욱(崔旭) 최정준(崔廷俊) 최지(崔墀) 최진화(崔鎭華) 최치경(崔致敬)
최치민(崔致旻) 최항대(崔恒大) 최홍식(崔弘埴) 최희대(崔禧大)
음관
최강진(崔岡鎭) 최단주(崔端柱) 최두석(崔斗錫) 최만희(崔晩喜) 최익현(崔益鉉)
최학승(崔鶴昇) 최효술(崔孝述) 최효술(崔孝述)
음양과
최경렬(崔景烈) 최경식(崔景植) 최덕일(崔德一) 최복기(崔福基) 최상일(崔相一)
최석범(崔錫範) 최석의(崔錫毅) 최선기(崔選基) 최성필(崔性弼) 최엽(崔燁)
최인호(崔仁鎬) 최재익(崔載益) 최진(崔晉) 최해진(崔海鎭) 최황(崔煌)
의과
최경관(崔敬寬) 최광식(崔光植) 최구경(崔龜慶) 최규상(崔奎祥) 최규제(崔奎齊)
최규헌(崔奎憲) 최긍순(崔肯淳) 최길순(崔吉淳) 최동준(崔東峻) 최릉(崔琌)
최상요(崔尙燿) 최상우(崔相愚) 최상준(崔相駿) 최석교(崔錫敎) 최석기(崔錫基)
최석우(崔錫祐) 최석철(崔錫哲) 최석현(崔錫賢) 최선(崔墡) 최성근(崔性近)
최성민(崔性敏) 최성수(崔性綏) 최성협(崔性協) 최수경(崔修敬) 최수성(崔壽星)
최승원(崔承源) 최식(崔湜) 최원(崔源) 최원기(崔遠基) 최유량(崔惟亮)
최윤징(崔崙徵) 최은식(崔殷植) 최응선(崔膺善) 최인원(崔仁源) 최정호(崔挺豪)
최종형(崔宗衡) 최주경(崔周慶) 최중정(崔重挺) 최증(崔曾) 최진기(崔進基)
최학면(崔學勉) 최학명(崔學明) 최학수(崔學修) 최학원(崔學元) 최학인(崔學仁)
최한수(崔漢壽) 최한식(崔漢植) 최항진(崔恒鎭) 최항징(崔恒徵) 최혁기(崔赫基)
최형섭(崔亨燮) 최형징(崔衡徵) 최호식(崔好植) 최훤(崔暄)
진사시
최겸선(崔兼善) 최경(崔綗) 최경학(崔庚鶴) 최경홍(崔景弘) 최계수(崔季秀)
최곽(崔漷) 최규진(崔奎鎭) 최극겸(崔克謙) 최극순(崔克洵) 최극양(崔克讓)
최기(崔淇) 최기영(崔基榮) 최기주(崔起柱) 최담령(崔聃齡) 최동언(崔東彦)
최동집(崔東㠎) 최동치(崔東?) 최두양(崔斗瀁) 최명국(崔鳴國) 최몽량(崔夢亮)
최무림(崔茂林) 최문련(崔文璉) 최백령(崔栢齡) 최병흡(崔炳翕) 최병희(崔丙喜)
최복대(崔復大) 최붕원(崔鵬遠) 최상린(崔祥麟) 최상봉(崔商鳳) 최상영(崔商英)
최상우(崔商羽) 최상익(崔商翼) 최상호(崔尙浩) 최석률(崔錫律) 최석붕(崔錫鵬)
최성대(崔成大) 최성집(崔聖集) 최성현(崔聖鉉) 최세춘(崔世春) 최숙생(崔淑生)
최승명(崔昇明) 최시우(崔時遇) 최시환(崔時煥) 최신린(崔臣隣) 최양수(崔養守)
최언홍(崔彦泓) 최염(崔恬) 최영국(崔榮國) 최영설(崔永卨) 최영직(崔榮稷)
최영호(崔永浩) 최옥(崔沃) 최용기(崔容基) 최우서(崔禹瑞) 최운기(崔雲璣)
최운익(崔雲翼) 최윤곤(崔潤坤) 최응두(崔應斗) 최익서(崔翼瑞) 최익준(崔益峻)
최인규(崔麟圭) 최인령(崔仁齡) 최전(崔栴) 최정보(崔楨輔) 최정삼(崔禎三)
최정환(崔晶煥) 최종률(崔宗嵂) 최종주(崔宗周) 최중정(崔重鼎) 최중진(崔重璡)
최진남(崔鎭南) 최진룡(崔鎭龍) 최진형(崔鎭衡) 최징(崔澄) 최충립(崔忠立)
최태제(崔泰濟) 최학수(崔鶴壽) 최한구(崔翰求) 최한주(崔翰周) 최항진(崔恒鎭)
최해룡(崔海龍) 최현대(崔顯大) 최현설(崔鉉卨) 최현식(崔鉉軾) 최형제(崔衡濟)
최형한(崔亨漢) 최휘서(崔徽瑞)
취재
최경관(崔敬寬) 최경로(崔敬老) 최경립(崔敬立) 최경면(崔敬冕) 최경문(崔敬文)
최경삼(崔敬三) 최경운(崔慶運) 최경윤(崔敬允) 최경재(崔景在) 최경재(崔經在)
최경직(崔敬直) 최곤(崔坤) 최규상(崔奎祥) 최규원(崔奎源) 최근(崔根)
최급(崔岌) 최긍재(崔兢在) 최기(崔杞) 최기(崔淇) 최길원(崔吉源)
최달원(崔達源) 최담(崔禫) 최당(崔堂) 최돈(崔墩) 최두원(崔斗源)
최득대(崔得大) 최렴(崔濂) 최만(崔?) 최만원(崔萬源) 최명구(崔命龜)
최백원(崔百源) 최병겸(崔秉謙) 최병구(崔秉九) 최병칠(崔秉七) 최병항(崔秉恒)
최복대(崔復大) 최봉민(崔鳳民) 최봉운(崔鳳運) 최봉재(崔鳳在) 최붕운(崔鵬運)
최빈(崔彬) 최상각(崔相珏) 최상계(崔尙烓) 최상길(崔相吉) 최상엽(崔尙燁)
최상영(崔尙榮) 최상옥(崔相玉) 최상헌(崔相憲) 최상형(崔尙熒) 최상희(崔尙熹)
최석견(崔碩堅) 최석곤(崔錫崑) 최석구(崔錫龜) 최석규(崔錫珪) 최석로(崔錫魯)
최석룡(崔錫龍) 최석륜(崔錫崙) 최석린(崔錫璘) 최석봉(崔錫鳳) 최석순(崔錫淳)
최석우(崔錫禹) 최석조(崔錫肇) 최석창(崔碩昌) 최석창(崔錫昌) 최석현(崔錫賢)
최석호(崔錫浩) 최석황(崔錫璜) 최석흥(崔碩興) 최석희(崔錫熙) 최선재(崔善在)
최섭(崔燮) 최성교(崔性敎) 최성도(崔性道) 최성량(崔性良) 최성리(崔聖履)
최성립(崔誠立) 최성민(崔性敏) 최성수(崔性綏) 최성순(崔性舜) 최성열(崔聖說)
최성원(崔性源) 최성의(崔性儀) 최성집(崔聖集) 최성천(崔性天) 최성후(崔性厚)
최세원(崔世源) 최송(崔松) 최수원(崔守源) 최숙(崔塾) 최승운(崔承運)
최승환(崔升煥) 최시건(崔時建) 최시보(崔時輔) 최시욱(崔時煜) 최시찬(崔時燦)
최시태(崔時泰) 최시현(崔時顯) 최시형(崔時衡) 최시환(崔時煥) 최식(崔湜)
최신립(崔信立) 최신민(崔信民) 최양운(崔亮運) 최업(崔嶪) 최영재(崔永在)
최예민(崔禮民) 최용재(崔龍在) 최우(崔堣) 최원립(崔元立) 최원재(崔元在)
최유대(崔有大) 최윤강(崔胤康) 최윤기(崔允基) 최윤재(崔綸在) 최응운(崔膺運)
최의(崔嶷) 최의(崔漪) 최의립(崔義立) 최의민(崔義民) 최의현(崔義賢)
최익대(崔益大) 최익환(崔益煥) 최인민(崔仁民) 최일운(崔日運) 최재규(崔載奎)
최재기(崔載箕) 최재두(崔載斗) 최재운(崔載運) 최전(崔栴) 최정대(崔鼎大)
최정립(崔貞立) 최정운(崔正運) 최정재(崔廷在) 최제립(崔悌立) 최제성(崔悌誠)
최주(崔柱) 최주(崔椆) 최중화(崔重華) 최즙(崔楫) 최지(崔墀)
최진립(崔振立) 최진태(崔鎭泰) 최진항(崔鎭恒) 최진화(崔鎭華) 최창운(崔昌運)
최창재(崔昌在) 최천(崔梴) 최춘(崔杶) 최치대(崔致大) 최태운(崔台運)
최판(崔汴) 최필문(崔必聞) 최필선(崔必善) 최필섬(崔必暹) 최필성(崔必成)
최필수(崔必修) 최필엽(崔必燁) 최필희(崔必暿) 최학명(崔學明) 최학수(崔學修)
최학수(崔學秀) 최학신(崔學信) 최학인(崔學仁) 최학일(崔學一) 최학주(崔學周)
최한경(崔漢暻) 최한규(崔漢奎) 최한기(崔漢基) 최한명(崔漢明) 최한수(崔漢壽)
최한우(崔漢宇) 최한익(崔漢翼) 최한정(崔漢鼎) 최한추(崔漢樞) 최한표(崔漢杓)
최함(崔涵) 최항대(崔恒大) 최항재(崔恒在) 최헌(崔櫶) 최헌재(崔憲在)
최현재(崔顯在) 최형립(崔亨立) 최형재(崔衡在) 최호(崔浩) 최홍(崔泓)
최홍립(崔弘立) 최홍운(崔弘運) 최홍운(崔鴻運) 최환(崔桓) 최황(崔榥)
최효능(崔孝能) 최효대(崔孝大) 최효민(崔孝閔) 최효삼(崔孝三) 최효성(崔孝誠)
최효원(崔孝源) 최후(崔垕) 최후재(崔厚在) 최훈(崔櫄) 최흥운(崔興運)
최흥원(崔興源) 최희(崔爔) 최희대(崔禧大)

 

 
간성최씨(杆城崔氏)

[요약정보]

본관명 간성(杆城)
성씨명 최씨(崔氏)
본관소재지 강원도(江原道) 고성군(高城郡)
본관이칭
시조명 최무동(崔茂東)‧최지순(崔之洵)

[상세내용]

본관 연혁

간성(杆城)은 강원도 북동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고구려 때에는 수성군(䢘城郡) 또는 가라홀(加羅忽)이라 불렸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는 수성현(守城縣)이라 했고, 1389년(고려 공양왕 1) 간성군(杆城郡)으로 고쳤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강릉부(江陵府)에 편입되었고, 1914년 군면 폐합으로 고성군(高城郡)이 간성군에 병합되었으나 1919년 간성군을 폐지하고 고성군으로 개편하였다. 이후 고성군의 일부로 간성면이 되었다가 1979년 간성읍으로 승격되었다.

성씨의 역사

간성최씨(杆城崔氏)는 최무동(崔茂東)을 시조로 하는 계통과 최지순(崔之洵)을 시조로 하는 두 계통이 있다. 최무동은 고려 태조의 부마로 대경(大卿)을 지내고 강릉군(江陵君)에 추봉되어 강릉최씨의 시조가 된 최흔봉(崔欣奉)의 20세손이며 최지순은 또 다른 강릉최씨의 시조 최필달(崔必達)의 15세손이라고 한다. 최지순은 고려 말 판도판서(版圖判書), 상호군(上浩軍), 첨의평리(僉議評理) 등을 역임하였고, 조선시대에는 호조참판(戶曹參判)을 지내고 간성군(杆城君)에 봉해졌다고 하나 문헌이 전하지 않아 확실치는 않다.

분적종 및 분파

간성최씨는 강릉최씨에서 분적된 계통으로, 최지순의 현손인 최준량이 함경남도 이원(利原) 지방에 정착하여 이원파조(利原派祖)가 되었다.

주요 세거지

함경남도 이원군 서면 대하전리
함경북도 온성군 남양면 세선동
함경북도 온성군 남양면 향당동
함경북도 온성군 미포면 장덕동
함경북도 온성군 미포면 풍교동
함경북도 온성군 미포면 풍인동

[참고문헌]


[집필자]

오윤정

 

 간성최씨(杆城崔氏)의 인물들]

[간성최씨(杆城崔氏)의 과거 및 취재 합격자]

 

강릉최씨(江陵崔氏)

[요약정보]

본관명 강릉(江陵)
성씨명 최씨(崔氏)
본관소재지 강원도(江原道) 강릉시(江陵市)
본관이칭
시조명 최필달(崔必達)‧최흔봉(崔欣奉)‧최문한(崔文漢)

[상세내용]

본관 연혁

강릉(江陵)은 기원전부터 성읍국가인 예맥족(濊貊族)의 예국(濊國)이 있던 지역으로 127년 이후에는 창해(滄海)와 임둔(臨屯)에 속하였다. 313년(고구려 미천왕 14)에 하서랑(河西良) 또는 하슬라(河瑟羅)라 불렸다. 550년(신라 진흥왕 11) 신라의 영토로 편입되었고, 639년(선덕여왕 8) 2월에는 북소경(北小京)을 두었고, 658년(무열왕 5) 말갈족과 인접해 있다는 이유로 소경을 폐지하고 하서주(河西州)로 개편하여 도독을 두었다. 757년(경덕왕 16) 명주(溟州)로 개편하여 명주도독부(溟州都督府)를 두었고 9군 25현을 관할하였다. 936년(고려 태조 19)에는 동원경(東原京)이라 칭하고 임영관(臨瀛館)을 두었다. 그 후 우계(羽谿)‧연곡(連谷)의 두 현을 두었다가, 1260년(원종 1) 공신 김홍취의 고향이라하여 경흥도호부(慶興都護府)로 승격되었다. 1389년(공양왕 1)에는 강릉대도호부(江陵大都護府)가 설치되었다. 1789년(정조 12)에 강릉부가 되었다. 1896년(고종 33) 강릉군으로 개칭하였다. 1931년 강릉면이 강릉읍으로 승격되었고, 1955년 강릉읍‧성덕면‧경포면을 통폐합하여 강릉시로 승격하면서 명주군을 분리시켰다가 1995년 강릉시와 명주군을 강릉시로 통합하였다.

성씨의 역사

강릉최씨(江陵崔氏)는 경흥부원군(慶興府院君)에 봉해졌던 충무공(忠武公) 최필달(崔必達)을 시조로 하는 경주계(慶州系), 대경(大卿) 최흔봉(崔欣奉)을 시조로 하는 전주계(全州系), 부마공(駙馬公) 충재(忠齋) 최문한(崔文漢)을 시조로 하는 강화계(江華系) 세 계통으로 나뉘어진다. 특히 최필달은 고려 개국에 공을 세워 삼한벽상개국찬화공신(三韓壁上開國贊化功臣)에 책훈되었고 삼중대광영첨의좌정승(三重大匡領僉議左政丞)에 올랐고, 최문한은 충숙왕의 부마로 삼중대광판군기시사(三重大匡判軍器寺事)에 올랐다고 전해진다.

분적종 및 분파

최필달계로 낭장공파(郎將公派), 사성봉파(四姓奉派), 양근파(楊根派), 비인공파(庇仁公派), 학산파(鶴山派), 용연동파(龍淵洞派), 행정파(杏亭派), 안동파(安東派) 등이 있고, 최흔봉계로 희경공파(僖景公派), 대사간공파(大司諫公派), 예성군공파(芮城君公派), 전서공파(典書公派) 등이 있으며, 그 밖에 수헌공파(睡軒公派), 문정공파(文正公派), 매창공파(梅窓公派), 생원공파(生員公派), 제학공파(提學公派), 사간공파(司諫公派) 등 많은 지파가 있다.

주요 세거지

강원도 강릉시 초당동
경상북도 문경군 산북면 소야리
경상북도 울진군 원남면 매화리
충청남도 보령군 태천면 소횡리
평안북도 의주군 옥당면 하경동
함경남도 문천군 도초면 주교리
함경북도 명천군 동면 삼호동
황해도 연백군 해월면 운산리

[참고문헌]

《姓氏의 고향》(중앙일보사, 2002)

[집필자]

오윤정

 

강릉최씨(江陵崔氏)

[요약정보]

본관명 강릉(江陵)
성씨명 최씨(崔氏)
본관소재지 강원도(江原道) 강릉시(江陵市)
본관이칭
시조명 최필달(崔必達)‧최흔봉(崔欣奉)‧최문한(崔文漢)

[상세내용]

본관 연혁

강릉(江陵)은 기원전부터 성읍국가인 예맥족(濊貊族)의 예국(濊國)이 있던 지역으로 127년 이후에는 창해(滄海)와 임둔(臨屯)에 속하였다. 313년(고구려 미천왕 14)에 하서랑(河西良) 또는 하슬라(河瑟羅)라 불렸다. 550년(신라 진흥왕 11) 신라의 영토로 편입되었고, 639년(선덕여왕 8) 2월에는 북소경(北小京)을 두었고, 658년(무열왕 5) 말갈족과 인접해 있다는 이유로 소경을 폐지하고 하서주(河西州)로 개편하여 도독을 두었다. 757년(경덕왕 16) 명주(溟州)로 개편하여 명주도독부(溟州都督府)를 두었고 9군 25현을 관할하였다. 936년(고려 태조 19)에는 동원경(東原京)이라 칭하고 임영관(臨瀛館)을 두었다. 그 후 우계(羽谿)‧연곡(連谷)의 두 현을 두었다가, 1260년(원종 1) 공신 김홍취의 고향이라하여 경흥도호부(慶興都護府)로 승격되었다. 1389년(공양왕 1)에는 강릉대도호부(江陵大都護府)가 설치되었다. 1789년(정조 12)에 강릉부가 되었다. 1896년(고종 33) 강릉군으로 개칭하였다. 1931년 강릉면이 강릉읍으로 승격되었고, 1955년 강릉읍‧성덕면‧경포면을 통폐합하여 강릉시로 승격하면서 명주군을 분리시켰다가 1995년 강릉시와 명주군을 강릉시로 통합하였다.

성씨의 역사

강릉최씨(江陵崔氏)는 경흥부원군(慶興府院君)에 봉해졌던 충무공(忠武公) 최필달(崔必達)을 시조로 하는 경주계(慶州系), 대경(大卿) 최흔봉(崔欣奉)을 시조로 하는 전주계(全州系), 부마공(駙馬公) 충재(忠齋) 최문한(崔文漢)을 시조로 하는 강화계(江華系) 세 계통으로 나뉘어진다. 특히 최필달은 고려 개국에 공을 세워 삼한벽상개국찬화공신(三韓壁上開國贊化功臣)에 책훈되었고 삼중대광영첨의좌정승(三重大匡領僉議左政丞)에 올랐고, 최문한은 충숙왕의 부마로 삼중대광판군기시사(三重大匡判軍器寺事)에 올랐다고 전해진다.

분적종 및 분파

최필달계로 낭장공파(郎將公派), 사성봉파(四姓奉派), 양근파(楊根派), 비인공파(庇仁公派), 학산파(鶴山派), 용연동파(龍淵洞派), 행정파(杏亭派), 안동파(安東派) 등이 있고, 최흔봉계로 희경공파(僖景公派), 대사간공파(大司諫公派), 예성군공파(芮城君公派), 전서공파(典書公派) 등이 있으며, 그 밖에 수헌공파(睡軒公派), 문정공파(文正公派), 매창공파(梅窓公派), 생원공파(生員公派), 제학공파(提學公派), 사간공파(司諫公派) 등 많은 지파가 있다.

주요 세거지

강원도 강릉시 초당동
경상북도 문경군 산북면 소야리
경상북도 울진군 원남면 매화리
충청남도 보령군 태천면 소횡리
평안북도 의주군 옥당면 하경동
함경남도 문천군 도초면 주교리
함경북도 명천군 동면 삼호동
황해도 연백군 해월면 운산리

[참고문헌]

《姓氏의 고향》(중앙일보사, 2002)

[집필자]

오윤정

[강릉최씨(江陵崔氏)의 인물들]

[강릉최씨(江陵崔氏)의 과거 및 취재 합격자]

고려문과
최사립(崔斯立) 최수황(崔守璜) 최용회(崔用淮) 최유(崔濡) 최지(崔漬)
최지례(崔祗禮) 최지원(崔祗元) 최지의(崔祗義) 최지충(崔祗忠) 최흥유(崔興濡)
무과
최격(崔格) 최광운(崔光運) 최규환(崔奎煥) 최극일(崔克一) 최끝남(崔唜男)
최덕항(崔德恒) 최도소(崔道熽) 최도장(崔道章) 최두정(崔斗炡) 최두칠(崔斗七)
최득남(崔得男) 최명천(崔命天) 최산윤(崔山潤) 최산해(崔山海) 최상후(崔相垕)
최석남(崔碩男) 최세빈(崔世彬) 최세욱(崔世煜) 최세황(崔世晃) 최세흥(崔世興)
최수성(崔守星) 최시웅(崔時雄) 최시화(崔是華) 최애운(崔愛云) 최애춘(崔愛春)
최여숭(崔汝嵩) 최영건(崔永建) 최완(崔琓) 최완충(崔完忠) 최운제(崔雲齊)
최운협(崔韻悏) 최은(崔) 최일승(崔日陞) 최정수(崔廷秀) 최제남(崔悌男)
최준흥(崔峻興) 최창근(崔昌瑾) 최천량(崔天樑) 최태주(崔台柱) 최필환(崔弼煥)
최한주(崔漢柱) 최해민(崔海旻) 최혁(崔) 최후립(崔厚立) 최흥립(崔興立)
최희령(崔熙嶺)
문과
최강로(崔綱魯) 최광필(崔光弼) 최규태(崔逵泰) 최기백(崔基銆) 최명손(崔命孫)
최문식(崔文湜) 최문오(崔文澳) 최문활(崔文活) 최상은(崔相殷) 최세절(崔世節)
최수(崔洙) 최수(崔琇) 최암(崔庵) 최연(崔演) 최완(崔浣)
최우태(崔宇泰) 최운부(崔雲溥) 최응천(崔應天) 최응현(崔應賢) 최일규(崔一奎)
최일성(崔一星) 최자점(崔自霑) 최점(崔店) 최정룡(崔廷龍) 최진(崔璡)
최치운(崔致雲) 최필숭(崔必崇) 최현필(崔顯珌) 최호인(崔浩人) 최환(崔瑍)
최황(崔韹)
생원시
최광손(崔匡遜) 최극겸(崔克謙) 최극립(崔克岦) 최기백(崔基銆) 최기벽(崔基鐴)
최노경(崔魯卿) 최덕원(崔德源) 최덕일(崔德一) 최동로(崔東老) 최동익(崔東益)
최동즙(崔東楫) 최만재(崔萬栽) 최명격(崔命格) 최명원(崔命元) 최명은(崔命殷)
최명중(崔命重) 최문발(崔文潑) 최문해(崔文海) 최병윤(崔秉潤) 최병찬(崔秉瓚)
최복경(崔福慶) 최복형(崔復亨) 최복환(崔復煥) 최봉창(崔鳳昌) 최비원(崔斐遠)
최상은(崔相殷) 최서하(崔瑞河) 최성하(崔成河) 최세도(崔世道) 최세환(崔世桓)
최수(崔琇) 최수원(崔守源) 최수철(崔壽鐵) 최숙남(崔淑男) 최순원(崔舜元)
최시붕(崔始鵬) 최식(崔湜) 최심(崔淰) 최언휘(崔彦撝) 최연(崔演)
최영신(崔永臣) 최영현(崔永鉉) 최완(崔浣) 최용필(崔龍弼) 최운길(崔雲吉)
최운우(崔雲遇) 최원집(崔遠集) 최윤광(崔允光) 최윤규(崔允圭) 최윤문(崔允文)
최윤수(崔允秀) 최윤형(崔允馨) 최익원(崔益遠) 최일원(崔一元) 최일태(崔一泰)
최전(崔) 최진화(崔晉和) 최필숭(崔必崇) 최하종(崔夏宗) 최하천(崔河千)
최해웅(崔海雄) 최해조(崔海朝) 최현민(崔顯民) 최환(崔煥) 최환(崔懽)
최황(崔韹)
역과
최기만(崔起萬) 최문주(崔文柱) 최우(崔遇) 최학민(崔學民)
율과
최숙(崔淑)
음관
최강로(崔綱魯)
음양과
최긍원(崔肯遠) 최성민(崔聖民) 최성원(崔聲遠) 최영원(崔榮遠) 최완(崔浣)
최용진(崔容鎭) 최준(崔浚) 최희진(崔喜鎭)
의과
최관태(崔觀泰) 최득룡(崔得龍) 최유주(崔有柱) 최택희(崔宅熙) 최행태(崔行泰)
진사시
최경영(崔慶榮) 최경원(崔景遠) 최광보(崔光普) 최광즙(崔光湒) 최광필(崔光弼)
최광필(崔光弼) 최구현(崔九鉉) 최규태(崔逵泰) 최기란(崔奇鸞) 최기형(崔起衡)
최동준(崔東準) 최면진(崔冕鎭) 최명근(崔命根) 최문오(崔文澳) 최문한(崔文漢)
최방선(崔邦璿) 최병상(崔秉常) 최병철(崔秉澈) 최복흥(崔復興) 최사룡(崔士龍)
최상오(崔相五) 최상현(崔尙賢) 최석현(崔錫鉉) 최섭(崔涉) 최세덕(崔世德)
최수증(崔壽嶒) 최승안(崔承安) 최언침(崔彦琛) 최업(崔嶪) 최연(崔演)
최영순(崔榮淳) 최영필(崔英弼) 최용(崔瑢) 최용각(崔龍珏) 최운부(崔雲溥)
최운윤(崔雲潤) 최운해(崔雲海) 최유망(崔有望) 최유첨(崔有瞻) 최윤기(崔允璣)
최윤문(崔允文) 최윤설(崔允卨) 최윤성(崔允星) 최응천(崔應天) 최익령(崔益岭)
최인로(崔仁魯) 최일정(崔一鼎) 최재린(崔在璘) 최재태(崔載泰) 최중규(崔重珪)
최집(崔㠎) 최징(崔澂) 최찬두(崔燦斗) 최참(崔參) 최창적(崔昌迪)
최창정(崔昌鼎) 최쾌집(崔快集) 최하봉(崔夏封) 최하중(崔夏重) 최해익(崔海翼)
최현(崔玹) 최형(崔泂) 최호(崔浩)
취재
최유현(崔有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