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세 휘 덕지 등/휘 덕지 에게 보낸 서찰

공원창화시

아베베1 2013. 1. 24. 05:27

 

 

 

西浦先生集卷之六
확대원래대로축소
 [西浦日錄]
貢院唱和詩序 b_006_148c


006_148d上卽位之元年。置別頭塲一於禮曹。以領議政河演,禮曹參判朴彭年,副提學辛碩祖爲考試。執義申叔舟,校理成三問,修撰徐居正爲參試。一於成均舘。以吏曹參判李思哲,崔德之,修撰柳誠源,正郞姜希孟,掌令河緯地爲參試。一於漢城府以禮曹判書金禮蒙,修撰李石亨,持平李塏爲參試。是日也。宿雨初晴。天氣淸和。有司承命。賚酒果來頒。堂前有池數畒。有柳數株。花卉芳菲。正良辰也。相與拜飮于池上。而相公乘興。遂成一律。諸公屬和。彭年爲序曰。
竊觀自古取人之䂓非一。而科目爲最盛。將相大臣。皆由此出。歷代相傳。皆以科目爲重。今上初登寶位。首設大科。其亦可謂急先務矣。而况得英才君子之樂也。今觀多士雲合。006_149a欣欣藹藹。此皆我世宗大王三十年敎育之恩也。相公五朝元老。年德俱高。餘事詞翰。亦一時斯文所仰。今此之作。其亦樂此樂歟。彭年獲睹盛事。不敢以文拙辭。玆以爲之序。景泰二年三月日。嘉善大夫。禮曹參判兼世子左賓客。經筵參贊官朴彭年。序。

昨夜池塘雨。春風爛熳晴。且看花欲盡。更覺酒須傾。語燕差池掠。嬌鶯睍睕鳴。不才參盛會。詩復偶然成。晉陽河演
池荷初出水。烟柳媚春晴。雅興三盃後。新詩一座傾。溟鯤饒變化。岡鳳已飛鳴。德業崇廊廟。文章屬老成。完山李思哲
角藝來多士。春圍値晩晴。排行頻目聒。辨色各心傾。桂苑爭三捷。齊庭孰一鳴。相公藻鑑在。且莫嘆無成。高靈申叔舟
006_149b試院三春暮。微風宿雨晴。綠垂池柳細。紅濕岸花傾。列相功名大。諸儒文學鳴。門前種桃李。更賀看蹊成。昌寧成三問
門看桃李映。崗聽鳳凰鳴。鷲山辛碩祖
會見林烏借。多慚仗馬鳴。晉陽河緯地
晩柳迎風惡。寒塘得雨鳴。達城徐居正
鴈門傳箭急。鸞列佩珂鳴。南原崔德之
風雲一代會。雨露九宵傾。延城李石亨
南宮開試席。多士卜陰晴。晉山姜希孟
請看桃與李。紅白自天成。文城柳誠源

余追錄於三十載之後。餘不得記焉。有感懷。仍成一律。書諸紙尾。詩曰。
006_149c試院當年會。羣英揔美譽。文星燦奎璧。華藻綴瓊琚。舊事浮雲外。遺篇劫火餘。時無張伯始。誰復誦亡書。


 

 서포집(西浦集)
형태서지 | 저 자 | 가계도 | 행 력 | 편찬 및 간행 | 구성과 내용
  형태서지
권수제  서포선생집(西浦先生集)
판심제  서포집(西浦集)
간종  활자본(木活字)
간행년  1900년 간행
권책  원집(原集) 7권, 부록(附錄) 합 4책
행자  11행 24자
규격  26.3×18.8(cm)
어미  上下三葉花紋魚尾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도서번호  古3428-746
총간집수  한국문집총간 속 6
 저자
성명  곽열(郭說)
생년  1548년(명종 3)
몰년  1630년(인조 8)
 몽득(夢得)
 서포(西浦), 포옹(浦翁)
본관  청주(淸州)
특기사항  민순(閔純)의 문인. 홍이상(洪履祥), 홍가신(洪可臣), 김장생(金長生) 등과 교유
 가계도
 郭完
 
 郭懷英
 寺正
 晉州河氏
 司直 河應羲의 女
 靈山辛氏
 司直 辛貴貞의 女
 郭誠
 
 河巨源의 女
 
 崔瓊의 女
 
 郭說
 
 南陽洪氏
 僉知 洪翼聖의 女
 郭希泰
 同知
 李悌男의 女
 
 郭希震
 郡守
 鄭文明의 女
 
 女
 
 金玹
 
 女
 
 尹大昌
 引儀
 女
 
 黃大受
 正郞
 女
 
 安天福
 
 郭懷俊
 佐郞
 金善文의 女
 
 尹金春의 女
 
 女
 
 黃世傑
 縣監

기사전거 : 行狀(尹行義 撰), 墓碣銘(尹鳳九 撰), 文科榜目, 淸州郭氏大同譜 등에 의함
 행력
왕력 서기 간지 연호 연령 기사
명종 3 1548 무신 嘉靖 27 1 6월 18일, 서울에서 태어나다.
명종 18 1563 계해 嘉靖 42 16 漢城試에 장원하다.
명종 21 1566 병인 嘉靖 45 19 洪可臣 등과 杏村 閔純의 문하에서 「中庸」과 「大學」을 배우다.
명종 22 1567 정묘 隆慶 1 20 南陽洪氏 洪翼聖의 딸과 혼인하다.
선조 4 1571 신미 隆慶 5 24 5월, 부친상을 당하다.
선조 10 1577 정축 萬曆 5 30 장남 郭希泰가 태어나다.
선조 22 1589 기축 萬曆 17 42 增廣 文科에 합격하다.
선조 24 1591 신묘 萬曆 19 44 여름, 原州 提督이 되다. ○ 스승 閔純을 곡하다.
선조 25 1592 임진 萬曆 20 45 仁川 提督이 되다. ○ 漣川, 積城, 長湍 등지로 피란하다. ○ 9월, 모친상을 당하다.
선조 27 1594 갑오 萬曆 22 47 겨울, 권지 성균관학유가 되다.
선조 28 1595 을미 萬曆 23 48 봄, 奉常寺 奉事, 成均館 學錄이 되다.
선조 29 1596 병신 萬曆 24 49 봄, 驪州 提督이 되다. ○ 여름, 成均館學正 兼 成歡道察訪이 되다.
선조 31 1598 무술 萬曆 26 51 4월, 부체찰사 韓孝純의 종사관이 되다.
선조 32 1599 기해 萬曆 27 52 형조 좌랑이 되다.
선조 33 1600 경자 萬曆 28 53 尼山 縣監이 되다.
선조 36 1603 계묘 萬曆 31 56 9월, 형조 좌랑이 되다.
선조 37 1604 갑진 萬曆 32 57 여름, 형조 좌랑이 되다.
선조 38 1605 을사 萬曆 33 58 5월, 공조 정랑이 되다. ○ 9월, 黃海道 敬差官이 되다. ○ 12월, 호조 정랑이 되다.
선조 41 1608 무신 萬曆 36 61 5월, 공조 정랑이 되다. ○ 12월, 선공감 첨정이 되다.
광해군 1 1609 기유 萬曆 37 62 여름, 典籍이 되다. ○ 7월, 봉상시 첨정이 되다.
광해군 2 1610 경술 萬曆 38 63 10월, 醴泉 郡守가 되다.
광해군 5 1613 계축 萬曆 41 66 4월, 형조 정랑이 되다.
광해군 6 1614 갑인 萬曆 42 67 4월, 加平 郡守가 되다. ○ 겨울, 파직되다.
광해군 7 1615 을묘 萬曆 43 68 봄, 형조 정랑이 되다.
광해군 9 1617 정사 萬曆 45 70 겨울, 〈西浦日錄序〉를 짓다.
광해군 10 1618 무오 萬曆 46 71 가을, 벼슬을 그만두고 唐城縣에 우거하다.
광해군 11 1619 기미 萬曆 47 72 봄, 〈西浦日錄後序跋〉을 짓다.
인조 1 1623 계해 天啓 3 76 5월, 봉상시 첨정이 되다.
인조 2 1624 갑자 天啓 4 77 6월, 성균관 전적이 되다.
인조 3 1625 을축 天啓 5 78 7월, 宗廟署 令이 되다. ○ 12월, 봉상시 첨정이 되다.
인조 5 1627 정묘 天啓 7 80 6월, 老人職으로 첨지중추부사가 되다.
인조 7 1629 기사 崇禎 2 82 봄, 노인직으로 동지중추부사가 되다.
인조 8 1630 경오 崇禎 3 83 8월 2일, 부인상을 당하다. ○ 8월 24일, 졸하다. ○ 9월, 木川縣 葛田面 甕釜洞에 장사 지내다.
고종 37 1900 경자 光武 4 여름, 8대손 郭昌默이 활자로 문집을 인행하다.

기사전거 : 行狀(尹行義 撰), 行狀(郭始徵 撰, 影印本) 등에 의함
 편찬 및 간행
저자의 유고는 詩文 약간 편과 見聞을 기록한 수필을 합친 「西浦日錄」이 家藏되어 왔다. 1899년 겨울에 門中에서 派譜를 重印한 다음, 宗中 회의에서 저자의 문집을 간행하기로 결정하였다. 이에 8대손 郭昌默이 家藏草稿를 바탕으로 각처에 흩어져 있는 遺文을 모아 7권으로 만들고, 저자의 行狀, 碣銘, 契帖과 증손 景寒齋 郭始徵이 지은 〈六證書〉, 9대손 郭致爕이 지은 〈庚午譜辨〉을 부록으로 편차하였다. 아울러 郭致敎, 郭致九, 郭仁鍾, 郭泰鉉, 郭漢紹 등의 협조를 받아 1900년에 木活字로 문집 4, 50질을 印行하였다.《초간본》 이 본은 규장각(古3428-746), 장서각(D3B-150) 등에 소장되어 있다.
1999년에 13대손 郭魯權이 「西浦集」을 영인 출판하였다. 이는 초간본에 西浦筆帖의 원문과 번역문, 증손 곽시징이 지은 저자의 행장 등을 첨부한 것이다.
본서의 저본은 8대손 곽창묵이 1900년에 목활자로 인행한 초간본으로 규장각장본이다. 이 중 附集(6판)은 저자의 증손 곽시징과 9대손 곽치섭의 詩文 및 관계 문헌이므로 본 叢刊의 편집 방침에 따라 수록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기사전거 : 跋(郭昌默 撰), 墓碣銘(尹鳳九 撰) 등에 의함
 구성과 내용
본집은 원집 7권, 부록 합 4책으로 되어 있다. 권수에는 1900년에 지은 崔益鉉의 서문과 목록이 있다.
권1은 雜著이다. 論 1편, 序 1편, 題後 1편, 書 1편, 祭文 2편, 贊 1편, 辨 1편, 賦 1편, 箋 1편, 表 1편, 要義 1편이 실려 있다. 제문은 閔純과 洪翼俊에 대한 것이며, 〈擬納醢堂上謝恩箋〉은 광해군이 營繕할 때 젓갈을 바친 자를 堂上으로 삼은 일을 희롱하여 지은 것이다. 〈易傳要義〉는 「易經」의 要語를 뽑아 때때로 살펴보고 스스로 경계하기 위해 지은 것으로 21則이다.
권2~5는 詩이다. 詩體順으로 五言古詩 17제, 六言古詩 3제, 七言古詩 12제, 五言絶句 29제, 五言四律 120제, 七言絶句 183제, 七言四律 182제가 실려 있다. 저자의 시는 典雅하여 예스럽고 화려함을 추구하지 않았다는 평을 받았다. 次韻詩, 挽詩, 贈別詩, 景物詩, 詠物詩, 詠史詩, 月課詩, 集句詩, 回文詩 등이 실려 있으며, 차운시는 대부분 原韻이 부기되어 있다. 이 밖에 監試 初試에 장원한 〈啓運宮〉, 輪次에서 장원한 〈滴馬髮詩〉 등이 있다.
권6~7은 西浦日錄이다. 서포는 저자가 일찍이 湖西의 內浦에 산 적이 있기 때문에 ‘西浦’라고 自號한 것이며, 주로 자신의 시문과 남에게 보고 들은 것을 기록한 것이다. 권6에는 1617년에 쓴 저자의 서문이 첫머리에 있고, 西原世系錄, 선조 郭麟의 詩 9제를 실은 〈翰林公遺集〉, 永慕亭에 관련된 李穡의 記文, 權近ㆍ韓脩의 시, 師友錄, 〈貢院唱和詩序〉 등이 실려 있다. 이 중 사우록에는 스승 閔純을 비롯하여 金謹恭, 成渾, 洪可臣, 洪履祥 등의 이력이 간략히 서술되어 있다. 권7에는 첫머리에 저자의 後序와 이에 대한 발문이 있다. 이어 시 76題와 중국과 우리나라 詩人의 시에 관련된 詩評 및 逸話를 적은 詩話가 실려 있다. 시는 松亭 崔鎭邦, 灘翁 宋英耈, 畦翁 趙翊의 시에 차운한 시가 많으며 原韻이 대부분 부기되어 있다. 아울러 〈效藥名詩〉, 〈效八音歌〉, 〈效建除體〉, 〈效二十八宿歌〉처럼 詩句 안에 藥名, 八音, 建除十二神, 二十八宿의 이름을 넣어 지은 시 등이 있다.
이어 부록이 실려 있다. 尹行義가 지은 行狀, 尹鳳九가 지은 墓碣銘 등이다.
권미에는 1900년에 지은 8대손 郭昌默의 발문이 있다.

필자 : 김기빈(金圻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