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최씨 금석문 등/휘 후랑 완릉군 묘지

최주경 선생관련 기사 받은 시

아베베1 2013. 12. 2. 14:48

 

 

南岳集序
확대원래대로축소
南岳集序[崔錫鼎] b_039_513a
[UCI] G001+KR03-KC.121115.D0.kc_mm_b243_as001_001:V1_0.S3.INULL.M01_XML   UCI복사   URL복사


鄒孟氏有言曰知譬則巧。聖譬則力。其至爾力也。其中非爾力也。此以造道言。夫文豈異乎是。古稱文章爲不朽盛事。然是猶藝之精者。必有獨得之才邁往之氣。然後方可與論於家數之淺深。不者雖榮華其言。藻繪其色。祗爲弊帚之自珍。黃屋之僭擬而已。曷足貴哉。南岳趙先生。自其先休川公。以文章鳴。緖脉有從來。生禀穎異之資。未齔讀古文。過眼成誦。勝冠已有盛名。顧早嬰痼病。涔淹床笫者踰十年。未克肆力於鉛槧。以充其分量。然論其所就。猶足以追步古039_513b作者。一時操觚士。莫或之先。旣以詞賦擢解元。對策屢入高等。坐數奇。晩成一第。而又齟齬窮局於掌制登瀛。不與文苑諸公狎主夏盟。豈不惜哉。竊嘗論之。先生之文。粹然出自經史。取材於韓,蘇。析理於閩洛。平淡之中。自有波瀾藻采。眞所謂經世之文也。其功令應擧。稍變爲鉤棘。非其所自喜。不可以此爲累。詩不主一格。少作尙奇韻。晩入神解。超然於色相之表。是豈區區繩尺影響所可髣像者歟。世之譚者論前輩文章。以爲谿谷得法品。澤堂得妙品。吾祖遲川得神品。近世金相公斯百亦嘗言李彜仲當法品。趙褧039_513c叔當神品。而金公自居妙品。前後標題。未知軒輊如何。而息庵並世齊驅。焉讓與一頭。則先生之於文。奔軼絶塵。此可知已。由此觀之。揚子所謂巧者不過習者之門。亦偏辭耳。先生所著述。多棄稿不收。存者若干卷。長胤承旨君屬余抄定。未及梓行。承旨君沒。其季進士儀祥與其姪鎭禧。謀以活字先印詩文數卷。而徵序引於錫鼎。念先生父友也。又嘗辱承指畫。今已荒落矣。其於剞劂氏。無能爲役。而亦何可無一言。錫鼎曾銘其墓誌。道先生之文詳矣。其才猷識見。實在於艮齋新笥。後之人。觀全稿及附錄。庶幾有以039_513d識其所存。
歲在閼逢涒灘日南至。完山崔錫鼎序。


 

南岳集卷六
확대원래대로축소
 墓誌
有明朝鮮國贈通政大夫弘文館副提學。行通訓大夫弘文館應敎崔公墓誌銘。 b_039_610c
[UCI] G001+KR03-KC.121115.D0.kc_mm_b243_av006_02_002:V1_0.S3.INULL.M01_XML   UCI복사   URL복사


039_610d亡友崔君諱後尙。系全州。高麗檢校神虎衛上將軍純爵之後。曾祖諱秀俊贈左贊成。祖諱起南。有名當世。歷淸顯。通政永興府使。贈領議政。考諱鳴吉。以靖社勳封完城府院君。官領議政謚文忠公。丙子有再造功。兆民賴之。文章勳業。盖一世云。妣陽川許氏。宗廟令嶙之女。崇禎辛未生君。甲午進士。甲辰大科。選槐院薦史局。歷檢閱,待敎,奉敎。陞典籍除監察。出爲慶尙都事。秩滿爲禮曹正郞。拜持平,兵曹佐郞,正言。己酉除京畿都事。至冬拜副修撰帶知製敎。諫院則正言者三。司諫者二。憲府則持平者十。執義039_611a者一。玉堂則修撰者八。校理者七。應敎者三。講院則輔德,弼善。宗簿則正。甲寅以應敎參賓廳議禮之啓。無何時事大變。謫授咸平縣監。周年罷歸。家食四歲。庚申四月。復還舊班。再爲應敎,司諫。三拜執義。間爲濟用,司僕,掌樂正,成均司成。閏月參會盟祭。陞堂上授承旨。未幾收還。以是年十一月。卒于家。贈弘文館副提學。參原從故也。君天禀絶高。而慈仁汎愛。見人唯恐傷之。孝友之性天得。而事兄如嚴父。形體弱小而度量恢弘。榮辱得喪。恬不爲意。言笑諾諾。而至於義斷。凜不可犯。有溫而厲之風。故於臨事毅然039_611b不撓。嚴於治家。禮防斬然。唯其畜於中者如此。爲詩文。雖不自力而斤斤透悟。臻於妙。於事君於朝廷。一以誠正。咸近於自然。而深痛朋比之私。未嘗抉摘人微瑕隱惡。事有大關於朝政者。不以權貴少假。其爲邑也。毋論氷玉之潔。不爲簿書米鹽屑屑之政。而民敬而信。邑俗一變。常有去後之思。平居門絶雜賓。恬淡簡靜。望之使鄙吝消落。才敏足以經事功。而處之若拙。地望足以領士林而守之以雌。是非臧否。瞭然於胸中。而退然若不出口。少時嘗自慨然。尙友古人。而間或好老莊。不甚數數然也。中年以後。沉冥杯039_611c酒。疑若感發乎世故。而深中寡言。故湎狎如吾輩。亦不敢問焉。則盖莫得以識其微旨。晩喜淵明樂天之風。悠然慕之。然君氣象尊重安閑。骨法淸遠。宜得壽祿。而壽僅五十。官纔三品。闒茸之徒。年或眉壽。位或公相。五福俱全者有之。而以此才德。沒沒而終。世間所謂福祿無一諧。天乎人乎。竟莫能測也。夫人咸平李氏。咸陵府院君澥之女。歸於君。婦道甚備。君晩有側室得一男。夫人撫愛之。無異親㝃。人以爲難。君歿哭泣之節。一如初喪。宗黨莫不感歎。竟不勝喪。與君合葬於先塋。楊州天磨山負壬之原。夫人無子。以兄039_611d子錫鼎爲後。文科承旨。側室男幼。而與夫人幷歿於君喪之練後。餘禍何其酷歟。承旨君以余於君。情若同氣。而生時有相傳之約。故請誌於沉痼中。嗚咽而銘之曰。
古人稱資禀之純粹。必曰叔度與叔。稱文章之雅馴。必曰靖節香山。若君庶幾有黃呂之資。而無遜於陶白之文。雖其病不能自力。以充其分量。而存諸身者。足以傳於後而不亡。在君何傷。


南岳集卷六
확대원래대로축소
 墓誌
淑人朴氏墓誌 己巳 b_039_611d
[UCI] G001+KR03-KC.121115.D0.kc_mm_b243_av006_02_003:V1_0.S3.INULL.M01_XML   UCI복사   URL복사


宗著少從元鎭交。而景仁尙髫。指而謂曰猶子。年雖039_612a少。可與語。余旁睨之。瑩瑩玉立而已。從而語則爽然。視其文則奇甚。小選酒食。徧饗座客。元鎭因稱其嫂氏之賢種種曰。有客則雖微物輒設。此亦吾嫂之美德。宜其有是子也。凡人得他人稱美尙難。而得一家人稱美爲尤難。故於是知景仁之有賢母也。淑人朴氏。密陽之朴。於東方大姓甲乙。故其系業之盛可略也。考諱守弘。文科慶州府尹。妣延日鄭氏。世居善山。淑人生于天啓丙寅。圽于己未。享年五十四。十六歸于趙。爲尙書之子鎭川縣監相抃之配。趙公下世。先淑人九歲。故祔葬於忠原下省洞負子之原。男長頤039_612b壽生員。卽余所謂景仁。文詞甚高。駸駸作家。不亶科第而止。不幸早圽。次祺壽。少從余學。而文甚奇。厄於科。次裕壽進士。女長適主簿洪處宇。次適士人黃鉉。次適奉事吳遂一。光命及適進士金鎭泰者。頤壽出也。元命,耆命,餘幼者。祺壽出也。九澤,九夏及適生員金昌緝者。洪出也。子一人者黃出也。淑人事尙書及姑睦夫人甚孝。夫人素有令德。常曰吾婦事事。與吾意合。又曰吾與此婦。交相畏服。每語諸婦曰汝輩之師也。宗著所稱一家人稱美者。始從元鎭而得之。睦夫人之譽。今因祺壽狀而得之。信可徵也。淑人處於039_612c妯娌娣姒之間。一以和氣。絶無呫囁語言。反唇相稽之事。諸娣姒皆京輦巨閥。往來有煒。僕從娃麗。事事便適。而淑人則遠家單露。四無依庇。故晝夜唯傭縫賃繡。以爲奉養鞠育之資。而以其贏餘。兼爲夫子買書。且女工手巧。殊絶於人。洴澼絲枲。俱爲妙品。故每一衣成。比隣傳觀稱巧。旁近裁衣及衣服之難成者歸之。性本儉勤。居恒衣不完彩。居無求安。早作夜處。無少休息。故吉凶有事。率皆以身勞之。一如己事。事多待己以完。子孫所致朋友。雖貧必具酒食。故余之初見景仁時酒食。亦此類也。貴義賤財。厚施薄望。故039_612d宗黨隣里。翕然稱之。咸嘖嘖淑人之賢哲。雖不學文。而小學內訓烈女傳之類。繙閱而服行。故於一切世間難平事。處之泰然。以理自勝。坦然無疑。凡淑人細大行事。雖在躬行君子猶難之。而淑人行之無難色。嗟呼。福善禍淫之理。昭不可誣。而淑人服勤行義若此。而景仁無祿。祺壽兄弟尙未書名於黃紙。則淑人生前身後。無一好事。天之報施善人者何如也。天道不亶如是而已。則前頭子孫有昌達華盛之慶。早晩無疑也。尙書公於先子金蘭。故宗著得與元鎭兄弟交。而視景仁及祺壽若弟姪。雖在沉痼中。淑人之誌。039_613a義不可辭。遂爲之銘曰。
旁有舅與姑之藏兮。孰不曰尙書之婦。有子不幸早夭。而人傳其才且賢兮。孰不曰景仁之母。舅旣賢舅而子又賢子兮。此足以銘淑人之墓。


南岳集附錄
확대원래대로축소
 附錄
通政大夫行淮陽都護府使南岳趙先生墓誌銘[崔錫鼎] b_039_625a
[UCI] G001+KR03-KC.121115.D0.kc_mm_b243_aw001_01_001:V1_0.S3.INULL.M01_XML   UCI복사   URL복사


先生諱宗著字褧叔。自號艮齋。晩居終南下靑鶴洞。改號南岳云。漢陽之趙。自勝國蟬嫣奕世。遠祖曰之壽。僉議中書。生暉雙城摠管。生良琪襲爵。生暾龍城君。仍世有勳伐。生仁璧龍源府院君。以太祖姊夫。際興王之運。遯居全節。謚襄烈。是生涓策國初佐命勳。封漢平府院君。官至右議政謚良敬。六世而至司憲府掌令諱應文。先生之高祖039_625b也。曾祖曰榮男。早卒不仕。祖曰幹儀賓府都事。考曰重呂弘文館校理。贈吏曹參判。能文章。有至行高識。號休川。妣曰平山申氏。知中樞景珍之女。判書文節公瑺之玄孫也。以崇禎四年辛未。生先生。少聰悟絶人。七歲能屬文。錫鼎先祖遲川公爲提誨之。奬許甚。庚子登國庠。儒林大文字。必歸於先生。如成李兩賢從祀。宋三賢從祀。啓聖廟神德王后祔廟諸疏。多先生所撰云。丁未漢人九十餘人。乘舟漂到耽羅。朝議將執送燕京。先生奮筆草疏數千言。極陳其不可。仍具別紙密論計策。屬039_625c淹疾伏枕。使其子儀徵投進。喉司拒不納。筮而遇艮之蠱。遂以艮扁其齋。己酉秋。授童蒙敎官。以母憂去。壬子服除復授。其冬擢文科別試。隷槐院陞典籍。移兵曹佐郞。俄遷侍講院司書。時今上在春宮。拘忌痘瘡。廢講者數月。先生疏陳其不可。請宮僚宿齋進講。顯廟賜批嘉奬從之。先生登筵講說。剖析經旨。間雜史乘。要以開發證曏。輒至日中昃。世子頗傾心焉。選部擬先生諫憲官。前後十數。終不遷。盖顯廟欲先生久於講官也。其明年陞文學兼知製敎。移拜司諫院正言。以應制039_625d文忤旨。除慶尙都事。以守宰親嫌不赴。拜司憲府持平。顯廟禮陟。差行狀撰集郞廳。移騎省。上新卽位。以初喪廢經筵。先生疏陳冲年講學爲急。居喪廢讀書非禮意。仍撰進冲年龜鑑。上優答。輟馬纓以褒之。又拜正言。圻甸告饑。民困於復土。北使車轍相屬。先生啓請緩催糴。賜明年半租。上不議于廟堂。悉從之。兩稅所减。殆數萬斛。圻民賴之。乙卯春。拜兵曹正郞。掌試湖西。秋出補襄陽。宿弊如洗。一境騰頌。御史以治最聞。民刻石以思。明年冬。以弘文館副修撰承召。未至。引039_626a疾辭遞。丁巳夏除成均館司藝。移獻納。時金相國壽興以議禮竄謫經歲。有叙命。臺臣方請收回。先生引避不與。尋又掌試湖南。道拜獻納。未久遞。自是杜門托疾。無仕宦意。凡拜修撰者五。副修撰者三。持平宗正者各一。司成者二。皆辭不就。庚申夏。始拜宗簿正。移司成軍資正。又入舊班爲副校理。臺官掇誣謗。遽論遞之。連除司成及軍資,奉常,司導諸寺正。獻納,掌令,執義等職。皆不就。退處廣陵者七年。蕭然以書史自娛。丙寅拜司諫。疏論勳裔冒屬者徵贖非宜。上下其議廟堂。遂寢徵布039_626b之令。時知舊以先生位遇差池。勸其在京進取。先生曰老少交惡。儒林相閧。禍將作矣。遂引疾辭遞。自是累拜執義,司諫,司成並不起。銓曹知其確然。無復出意。授以淮陽府使。先生喟曰此猶可以報效矣。佐民興學。治如在襄時。嶺西大饑。先生上疏請减春大同。又乞運京穀以救。上皆從之。方伯上政績于朝。己巳春。命特陞通政以褒之。時時事驟變。先生已有投紱意。及成李兩賢黜文廟。稱疾不卽奉行。得罪罷去。淮民刻金石以志去思。先生素患風。竟以庚午正月四日卒。享年六十。葬于039_626c楊州治北伊淡里。卽先大夫墓北麓云。先生娶安東金氏。高麗名臣方慶之後。司憲府掌令泰基之女。生三男。長儀徵文科前承旨。次儀鳳,儀祥進士。承旨君娶郡守柳命才女。有二男一女。男鎭禧,鎭祚。女適洪錫輔。儀鳳前娶承旨尹彬女無子。後娶士人朴成翼女。生一女。儀祥娶士人呂必升女。生一男二女。男鎭世。先生天資和易。與人語由由然。而其守甚確。貌若儻蕩不備。而中甚綜密。少孤奉申夫人。志物兩至。事姑如事母。事伯氏甚謹。視諸姪如其子。宅心主於恕。接物任其眞。其於褊忮刻039_626d礉之論。矯激表襮之行。非惟身不爲。見人有近是者。亦蹙然不樂。年未弱冠。慨然有志於問學。取四子諸書。熟讀窮硏。從浦渚趙相國講質。浦翁許以見解超詣。旋以痼病中輟。顧嘗好文辭。於書無所不覽。少嗜昌黎左氏。旣而貫穿百家。自闢堂奧。常以不朽事自期。其於文才天得也。辭則取裁於韓。理則原本於朱。爲章疏懇至明剴。必以指陳事情。開悟主聽爲主。眞所謂經世之文也。藥泉南相國常病先生應擧文字句鉤棘。及觀其散作古文及章疏。大異於功令。遂心許焉。詩不主一格。少作039_627a逼溫李之髓。晩攻五言古。嚌杜韓之胾。若其近體則白之馴也蘇之逸也。當代文垣鉅匠。率讓公一頭地。或曰谿谷於文得法品。澤堂得妙品。遲川得神品。而公之文亦可入於神品云。篤論者可以取衷也。所著詩文有南岳稿十數編。艮齋新笥一卷藏于家。記性過人。尤長於史傳。揣摩情形。根据義理。要歸於實用。歷代沿革典故法律。以至中國山川險阻。靡不淹貫通曉。有沈幾遠識。指言時事。久而愈徵。論度邊機敵勢。往往縣斷奇中。是不惟稽古之力然也。竺典稗說。亦皆搜獵領會。乘除星命039_627b堪輿醫藥諸家。多所旁通。而未嘗自多也。其誨人也。隨才設敎。廣譬善誘。使學者犂然有得。雖初學扞格之類。亦必諄諄開導不少懈。以故童蒙之成就者甚多。其治郡也。廉以禔身。恪以蒞事。明以察奸。至於爲民興除利害。孜孜如渴飢。寬征蠲賦。不事奇羨。而儲峙充牣。區畫處置。不求近效。務爲長遠慮。雖以吏治名者。聞先生理道。輒焉推服。少患疽。發髀幾危者數。沈淹床笫數十年。能葆嗇節宣。季年神精强茂。盖其攝養有方也。方其在痾。以著書垂後爲志。網羅我東君臣行事爲野史。屬草039_627c而書未成。平居穆然淸坐。終日看書。未嘗造請於人。性喜儉約。於外物奉身者。隨遇而安。所居凝塵滿席晏如也。早有當世之志。卷舒今古。出入王霸。嘗欲尊主威破朋黨。以振國勢。及立朝以來。見廷議不咸。駭機屢兆。輒色擧遠引。或棲遑郡符以自屛。未克展布其所蘊。惜哉。先生嘗謂不佞。先祖遲川公當丙丁搶攘之時。能主和議以存宗社。拒徵兵以扶大義。合於古人之經權。觀先生丁未一疏。非有諫官御史之言責者。不顧主議者猜怒。抗論不已。言雖不見用。其所以樹民彜張義聲039_627d則大矣。顧先生此疏。與先祖扶義。前後一揆。其心事議論。見於著述。後之人必有知之者。與錫鼎先君東岡公。契許最深。類古張范之遺。先君不幸中身棄世。先生有絶絃之痛。爲其平日相約爲傳。請文於先生。以銘其幽。先君歿後十年而哭先生。余髮已蒼唐矣。先生之胤承旨君授之狀。俾誌先生之竁。寧不簌然而涕乎。記錫鼎年十三。從先生受左氏傳。且得聞讀書觀史之法甚悉。先生每讀書。長吟徐嚼有餘味。聽者忘其倦。其誨人易寤而深喩。得於言語之表。亦以此。念先生父執也師表也。039_628a今於述墓之役。義不敢以不能文辭。謹叙次如右而詞以系之曰。
若先生。冲乎其似有道兮。悗乎其若無營也。敦復而自考兮。不隨俗以晦明也。樂草玄之却掃兮。笑顩頤之相傾也。昌厥辭而用老兮。掇百氏之精也。惟江漢之浩浩兮。不可朽者名也。後死者其有造兮。尙來古以徵之也。
崇禎後壬申。吏曹參判兼弘文提學崔錫鼎撰。


 

 

 

 
한수재선생문집 제1권
확대원래대로축소
 시(詩)
최주경(崔周卿)이 시 일곱 수를 지어 보내 화답(和答)을 구하기에 그 책임을 때우다


신선(神仙)
반도라 그림자 속에 자하주를 담아 놓고 / 蟠桃影蘸紫霞杯
왕모요지에서 야밤에 잔치 열었네 / 王母瑤池夜宴開
예상곡이 끝나고 환패가 흩어진 뒤 / 曲罷霓裳環佩散
달빛 속에 생학봉래로 내려오네 / 月中笙鶴下蓬萊

도사(道士)
푸른 계수 향긋한 바람 자단 불어 스치는데 / 碧桂香風掃紫壇
태청 소식 가져올 푸른 난새 기다리네 / 太淸消息待靑鸞
선주에 홀연 금단이 익었다고 말하더니 / 仙廚忽報金丹熟
제자가 두 손으로 백옥반을 바친다네 / 弟子雙擎白玉盤

은자(隱者)
홀로 현금 안고서 옥휘를 주무를 제 / 獨抱玄琴弄玉徽
흰 구름 붉은 잎이 하의 생각 일으키네 / 白雲紅葉惹荷衣
황혼에 솔문 너머 끼룩끼룩 학이 울고 / 黃昏鶴唳松關外
달빛 아래 산동이 약을 캐어 돌아오네 / 月下山童採藥歸

노승(老僧)
새벽 참선 마치고 적막하게 앉았는데 / 曉罷參禪坐寂寥
옛 감실 희미한 등불 부처 향기 사라졌네 / 古龕燈暗佛香消
가을바람 갑자기 아라수에 일어나니 / 金風忽起阿欏樹
일만 골짝 가을 구름 풍경소리에 날리네 / 萬壑秋雲一磬飄

정부(征夫)
달 희미한 가을 하늘 기러기 날아가고 / 月黑秋天候雁飛
북풍이 눈을 몰아쳐 깃발이 깜깜하네 / 朔風吹雪暗雕旂
실없이 들려오는 관산의 젓대소리 / 無端一曲關山笛
삼하 장사 옷깃을 눈물로 적시누나 / 濕盡三河壯士衣

어부(漁夫)
이슬비 속 봄바람이 도롱이 스쳐가는데 / 細雨春風拂短蓑
초국 구름 소상강 물 이게 바로 생애라네 / 楚雲湘水是生涯
외론 배로 저물녘 청산 입구 들어가 / 孤舟暮入靑山口
복사꽃 마을 속의 인가를 찾고자 하네 / 欲訪桃花洞裏家

목동(牧童)

비 온 뒤 송아지 타고 마을 앞 시내 지날 제 / 雨餘騎犢過前溪
십리의 긴긴 제방 푸른 빛 가지런하네 / 十里長堤翠綠齊
풀 다 뜯겨 돌아오며 짧은 피리 부는데 / 牧罷歸來橫短笛
살구꽃 마을 너머 지는 해가 뉘엿뉘엿 / 杏花村外夕陽低

[주D-001]반도(蟠桃) : 전설 속에 나오는 선도(仙桃)이다.
[주D-002]자하주(紫霞酒) : 신선이 마신다는 선주(仙酒)이다.
[주D-003]왕모(王母) : 신화 속의 여신으로 서왕모(西王母)를 말한다.
[주D-004]요지(瑤池) : 신화 속에서 신선이 산다는 곳이다.
[주D-005]예상곡 : 예상우의곡(霓裳羽衣曲)으로 선악(仙樂)이다. 당 현종(唐玄宗)이 방사(方士)와 월궁(月宮)에서 놀다가 그 음악을 듣고 돌아와 기록하였다는 전설이 있다.
[주D-006]환패(環佩) : 패옥(佩玉). 여기서는 패옥을 찬 신선을 뜻한다.
[주D-007]생학(笙鶴) : 생황(笙簧)과 학. 신선이 생황을 불며 학을 타고 다닌다 하여 신선을 뜻한다.
[주D-008]봉래(蓬萊) : 삼신산(三神山)의 하나이다.
[주D-009]자단(紫壇) : 도교(道敎)에서 상제에게 제사드리는 제단이다.
[주D-010]태청(太淸) : 도가에서 말하는 선계(仙界)로 삼청(三淸)의 하나이다.
[주D-011]선주(仙廚) : 신선의 부엌이다.
[주D-012]금단(金丹) : 방사(方士)가 금석(金石)을 제련하여 만든 것으로 먹으면 장수한다는 선약이다.
[주D-013]옥휘(玉徽) : 옥으로 만든 기러기 발이다.
[주D-014]하의 생각 : 세상을 피해 사는 은사의 고고한 생각을 말한다. 하의(荷衣)는 연잎으로 엮어 만든 옷으로 은사가 입는 옷을 가리킨다. 《초사(楚辭)》 구가(九歌) 소사명(少司命)에 “연잎 옷에 혜초띠 매고 갑자기 왔다가 홀연히 떠나네.[荷衣兮蕙帶 儵而來 忽而逝]” 하였다.
[주D-015]관산(關山) : 적군과 대치하고 있는 곳으로 변방을 말한다.
[주D-016]삼하(三河) : 하내(河內)ㆍ하남(河南)ㆍ하동(河東) 3군으로 오늘날의 하남 낙양시(洛陽市)와 황하(黃河) 남북의 일대인데, 중국 대륙의 중심부로서 역대 왕조 세력의 쟁탈지이다. 《한서(漢書)》 고제기(高帝紀)에 “관중(關中)의 군사를 전부 징발하여 삼하의 장사들을 수중에 넣었다.” 하였다.
[주D-017]초국 구름 …… 생애라네 : 초 나라 대부 굴원(屈原)이 조정에서 쫓겨나 소상강 가에서 나라의 어지러운 현실과 자신의 처지를 슬퍼하고 있을 때 어부가 나타나 노래하기를 “창랑의 물이 맑거든 나의 갓끈을 씻고 창랑의 물이 흐리거든 나의 발을 씻으리.”라고 하여 현실에 너무 집착할 것 없이 자연 속에서 홀가분하게 살아가야 한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거기에 나오는 어부를 인용하여 세상을 피해 어부로 살아가는 것을 뜻한다. 《楚辭 漁夫辭》
[주D-018]복사꽃 …… 하네 : 복사꽃 마을은 무릉도원(武陵桃源)으로 경치가 맑고 아름다워 고상한 사람들이 속세를 피해 은거하는 곳을 말한다. 도잠(陶潛)이 지은 도화원기(桃花源記)에 무릉군(武陵郡)의 어부가 복사꽃이 떠내려 오는 물줄기를 따라 들어가 보니 그 속에 사는 백성들이며 생활하는 정경이 전혀 별세계였다는 데서 나온 것이다.

 

한수재선생문집 제1권
확대원래대로축소
 시(詩)
최주경(崔周卿)의 운(韻)에 차하다 계축년


병으로 드러누워 찾는 이 없어 / 臥病無相問
사립문을 닫고서 열지 않았네 / 柴扉掩不開
정든 벗 달을 끼고 이르러오니 / 故人携月至
가을이라 국화술 그득하다네 / 秋滿菊花杯


 

 

 

한수재선생문집 제1권
확대원래대로축소
 시(詩)
나산(羅山)에서 최주경(崔周卿)에게 차운(次韻)하다


구름 깊어 갑자기 갈 길을 잃고 / 雲深忽失路
홀로 서서 돌아갈 곳 분간 못하네 / 獨立迷歸處
복사꽃이 물 위에 떠내려 오니 / 桃花泛水來
근원을 찾아감도 무방코말고 / 不妨尋源去

 

 

서계집 제1권
확대원래대로축소
 시(詩)○잠고(潛稿) 선생이 소싯적에 잠수(潛叟)라 자호(自號)하고 시고를 잠고라 하였다.
둥지 트는 제비를 읊다 연구(聯句)


온천 행궁의 직소에 둥지를 트는 제비에 대해, 교리 이계주(李季周) 단하(端夏) 와 대교 최주경(崔周卿) 후상(後尙) 과 연구를 지었다.

멀리 오의국 떠나 / 遠別烏衣國
새로이 백옥당에 둥지를 트네 - 계긍(季肯) - / 新巢白玉堂
쌍쌍이 삼짇날에 날아와 / 雙雙趁社日
속속 궁장으로 다가드네 - 주경(周卿) - / 故故近宮墻
무시로 날아 오르내리며 / 下上飛無定
지지배배 뜻 모르게 재잘대네 - 계주(季周) - / 呢喃語未詳
처마는 비었어라 장막 그림자 번득이고 / 簷虛飜幕影
진흙은 따스해라 미나리 내음 풍기네 - 계긍 - / 泥暖帶芹香
머물러 쉴 때 다 되어 가매 / 棲息時將晩
둥지 짓는 뜻 정녕 바빠라 - 주경 - / 經營意政忙
익히 아는 듯 사람을 따르고 / 依人如款識
땅을 잘 골라 영광을 입었네 - 계주 - / 擇地有榮光
무너진 보루 궁벽한 마을 / 廢壘村郊僻
돌아오는 길은 바다 건너 월나라 먼 길 - 계긍 - / 歸程海越長
낮게 돌아 자주 안상을 스치고 / 低回頻拂几
줄지어 대들보 사이 교묘히 지나네 - 주경 - / 追逐巧穿樑
물을 차곤 이내 돌아왔다가 / 掠水仍回去
바람 타고 더 멀리 날아가네 - 계주 - / 隨風更遠翔
노씨 집은 그리워하지 말게나 / 盧家休眷戀
사씨 집은 이미 황량해졌다네 - 계긍 - / 謝宅已荒涼
길이 난파 곁에 의탁하여 / 永託鑾坡側
장전 곁을 그리워하게 - 주경 - / 常懷帳殿傍
미물이 먼저 기미를 감지하니 / 微禽先得氣
장차 언덕에서 봉황이 우는 것을 보리라 - 계주 - / 行見鳳鳴岡


 

[주D-001]최주경(崔周卿) : 주경은 최후상(崔後尙, 1631~1680)의 자이다. 영의정 최명길(崔鳴吉)의 아들로, 홍문관 응교를 지냈다.
[주D-002]오의국(烏衣國) : 오의는 제비의 이칭이다. 진(晉)나라 때 귀족인 왕씨(王氏)와 사씨(謝氏)들이 살던 동네에 제비가 많다 하여 오의항(烏衣巷)이라 하였다. 유우석(劉禹錫)의 시 〈오의항〉에 “옛날 왕씨 사씨 집 앞의 제비, 심상한 백성 집에 날아드네.[舊時王謝堂前燕 飛入尋常百姓家]” 하였다. 오의국은 오의항과 같은 의미로 쓰였다.
[주D-003]백옥당(白玉堂) : 한림원의 별칭이다.
[주D-004]노씨(盧氏) 집 : 당나라 심전기(沈佺期)의 시 〈고의(古意)〉에 “노씨 집의 어린 며느리 금당에서 울적해하고, 바다제비는 화려한 들보에 쌍으로 깃드네.[盧家少婦鬱金堂 海燕雙棲玳瑁梁]” 하였으며, 서발(徐)의 〈옥주행(玉主行)〉에서는 “무산의 베갯머리 구름이 되고 싶고, 노씨 집 들보 위 제비가 되고 싶어라.[願作巫山枕畔雲 願作盧家梁上燕]” 하였으니, 노씨 집은 제비가 호사하게 지내던 곳임을 알 수 있다.
[주D-005]사씨(謝氏) 집 : 제비가 호사하게 지냈던 곳이다. 진(晉)나라 때 귀족인 왕씨(王氏)와 사씨(謝氏)들이 살던 동네에 제비가 많다 하여 오의항(烏衣巷)이라 하였다. 유우석(劉禹錫)의 시 〈오의항〉에 “옛날 왕씨 사씨 집 앞의 제비, 심상한 백성 집에 날아드네.[舊時王謝堂前燕 飛入尋常百姓家]” 하였다.
[주D-006]난파(鑾坡) : 금란파(金鑾坡)의 약칭으로, 한림원의 이칭이다. 당나라 때 한림원이 금란전(金鑾殿)에 있었다.
[주D-007]장전(帳殿) : 임시로 장막을 치고 지내는 임금의 거처이다.

 

 

虛白堂補集卷之四 男世昌編輯
확대원래대로축소
 
崔周卿詩。四首。時周卿廢病。在全州鄕墅。 a_014_374b
[UCI] G001+KR03-KC.121115.D0.kc_mm_a072_bv004_01_010:V1_0.S3.INULL.M01_XML   UCI복사   URL복사


無心宦海苦奔波。歸臥田園樂事多。彭澤雅懷惟愛菊。右軍高趣尙籠鵝。平郊霜露看秋穫。晚徑牛羊聽牧歌。爭席隣翁相對坐。談農不厭語懸河。新堂韻
千畦䆉稏歲無災。重九良辰又自回。秋氣凌凌人易老。鄕愁衮衮雁初來。籬邊霜重催黃菊。門外風寒擺綠槐。喜見白衣携酒至。相逢一笑擧深杯。重九韻
014_374c有美此君節。淸標傲衆芳。最宜娛暮境。何必競春光。偃蹇空中翠。蕭森物外香。歲寒相作伴。獨也貫風霜。
辛勤南畝饁。樽酒樂西成。身世閒方倦。襟懷老益淸。捲簾山色近。欹枕月華明。一室塵機息。無憂足保生。獨秀堂韻

 

 
醒齋遺稿冊二
확대원래대로축소
 
崔周卿 後商 之任咸平 a_146_061b
[UCI] G001+KR03-KC.121115.D0.kc_mm_a411_av002_01_109:V1_0.S3.INULL.M01_XML   UCI복사   URL복사


江南新太守。經幄舊淸班。榮辱有何念。去留無好顏。三生146_061c兄弟誼。半世別離間。悵望頭堪白。寥寥獨掩關。
 
醒齋遺稿冊五
확대원래대로축소
 
贈別崔周卿之任咸平 a_146_175c
[UCI] G001+KR03-KC.121115.D0.kc_mm_a411_av005_02_224:V1_0.S3.INULL.M01_XML   UCI복사   URL복사


江南新太守。經幄舊淸班。榮辱有何念。去留無好顏。三生兄弟誼。半世別離間。悵望頭堪白。寥寥獨掩關。

 
寒水齋先生文集卷之一
확대원래대로축소
 
崔周卿以七詠見贈求和。遂塞其責。 a_150_034b
[UCI] G001+KR03-KC.121115.D0.kc_mm_a420_av001_01_041:V1_0.S3.INULL.M01_XML   UCI복사   URL복사


蟠桃影蘸紫霞杯。王母瑤池夜宴開。曲罷霓裳環佩散。月中笙鶴下蓬萊。 右神仙
碧桂香風掃紫壇。太淸消息待靑鸞。仙廚忽報金丹熟。弟子雙擎白玉盤。 右道士
獨抱玄琴弄玉徽。白雲紅葉惹荷衣。黃昏鶴唳松關外。月下山童採藥歸。 右隱者
曉罷參禪坐寂寥。古龕燈暗佛香消。金風忽起阿欏150_034c樹。萬壑秋雲一磬飄。 右老僧
月黑秋天候雁飛。朔風吹雪暗雕旂。無端一曲關山笛。濕盡三河壯士衣。 右征夫
細雨春風拂短蓑。楚雲湘水是生涯。孤舟暮入靑山口。欲訪桃花洞裏家。 右漁夫
雨餘騎犢過前溪。十里長堤翠綠齊。牧罷歸來橫短笛。杏花村外夕陽低。 右牧童

 

寒水齋先生文集卷之一
확대원래대로축소
 
次崔周卿韻 癸丑 a_150_034c
[UCI] G001+KR03-KC.121115.D0.kc_mm_a420_av001_01_042:V1_0.S3.INULL.M01_XML   UCI복사   URL복사


臥病無相問。柴扉掩不開。故人携月至。秋滿菊花杯。


南岳集卷四
확대원래대로축소
 
崔周卿癸巳 b_039_562a
[UCI] G001+KR03-KC.121115.D0.kc_mm_b243_av004_01_001:V1_0.S3.INULL.M01_XML   UCI복사   URL복사


宗著之從周卿游。自髫而冠矣。始周卿往往自喜爲文辭。然不肯師古。要歸染有司指而已。則竊慨乎古文辭之人之難見于今。間過東里。與周卿湎媟殆數日。微得其眉宇。若與前所見者異。從而譚確於文章。固已津津然古文辭矣。乃與躍然相樂。樂其有斤質之樂。直欲幷肩千古而上之。嗟呼。以周卿之才之美。旣已赤幟陽阿。宗著下里也。將無以下風哉。居見古039_562b人之垂不朽者。必得天下之英才而友焉。盖將以琢磨道義。砥礪辭章。思詠伐木之雅。汲汲益者之力也。豈與揄揚聲譽。結援比以爲交者比也。自尼父嘆起予于商也。以文學稱者。林林宇宙矣。及左氏唱而太史和。千載而神交焉。司馬長卿已喟然沅湘。猶屣棄貲郞。客遊梁。得與枚鄒嚴忌諸游士居。而子虛大人乃振西京。曹子桓與七子者。綺麗於建安。以王天下不易其樂。退之以郊翺籍湜。頡頏僵走於唐。永叔得梅曾二蘇。上下其議論於宋。明興歷下太倉出而自張大甚。結四海兄弟之樂。而僴然抗其新語。以影響039_562c遷固爲能而已。至於曳裾秦漢。雖古人無以遠過。夫古人之才。固無待有朋而後不朽也。猶友天下英材者。豈非以琢磨砥礪之益耶。近世張新豐以古文詞起。先相國與之爲交自布衣。當時列卿澤風,畸翁,都尉,汾西,東陽六七公。相與忘其貴倨。景從齊壇。吾輩碌碌寥然。至今未聞。有用力於古文詞。以追古人者。獨無愧乎。古語曰富貴而名磨滅。不可勝數。世之不恤名久矣。士居則誦習程文。以幸巍科美仕。已卽沾沾誰何。是寧可以古文詞語。語輒大噪。從而笑侮不已。奈何名不磨滅也。所以古文詞之人之難見於今。039_562d而獨於周卿得之。周卿旣奮流俗。將爲古文詞。則其所與游。必天下英材。而不吾告何也。抑未得其人耶。宗著狂愚無所比數。結髮粗知爲古文詞。性復懶散。不能自力。不幸痾委又從而侵之。故生平罕入塲屋。與諸生角而聲律對偶。故不破壞其文體。體益僻澁少葳蕤。用是謬得古文詞之名。嗤點者亦以益衆。乃墨墨不樂。屛居田舍。伏而讀先人之書。輒復覃思於文章正僞。端居深念。憤世之聰明之士。率膏肓擧子業。見古文詞聱牙病。以戾有司。甚者不欲闖聞。一朝我以古文詞卒然叩之。得無與居髢鬻九戎者類歟。039_563a彼安肯捨其所好而從我。我亦豈能禁彼之所趍哉。宗著亦非廢功令爲名高者。夫子曰富貴如可求也。雖執鞭之士。吾亦爲之。如不可求。從吾所好。且爲古文詞者。未必不能擧子業。擧子業者。必不能古文詞何也。近代號爲文章家。而以科第進者甚衆。不聞以古文詞龍鍾。嘗見擘塲屋者。於擧業終身用力非不勤。往往白首而靑裾。至老死不第。是亦爲古文詞而病乎。文詞之不古。古人之難追坐此也。是以宗著膠口遁光。杜門著書。思自放於域外。嘆息庸俗之徒。旣而慨然曰吾雖訾於俗人。不當訾於知己。周卿旣追039_563b古作者以自居。宗著雖駑。建旗鼓立門戶而並驅。何所不可。語曰巴人聽越謳厲音。聊以自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