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최씨 명현록/전주최씨 무과편

임진왜란 선무이등 공신 휘 최 균(관련기사) 펌

아베베1 2010. 7. 16. 20:08

UCI G002+AKS-KHF_12CD5CADE0FFFFU9999X0
여평(汝平)
소호(蘇湖)
시호 의민(義敏)
생졸년 1537 (중종 32) - 1616 (광해군 8)
시대 조선 중기
본관 전주(全州)
활동분야 항일/국방 / 의병 / 의병장
과거 및 취재

[상세내용]

최균(崔均){2}에 대하여

1537년(중종 32)∼1616년(광해군 8). 조선 중기의 의병장.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여평(汝平), 호는 소호(蘇湖). 최운철(崔云哲)의 아들이다.
어버이에 대한 효성과 형제간의 우애가 깊었다. 《주역》에 통달하였고, 특히 천문에 밝았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동생 최강(崔堈)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스스로를 풍운장(風雲將)이라고 불렀다. 고성·사천 등지에 진격하여 적병을 많이 참살하였다. 조정에서 이를 가상히 여기고 수문장을 제수하였으나 취임하지 않았다.

그뒤 1605년 배를 타고 침입한 적병을 형제가 힘을 합하여 격퇴하였으며, 그 공으로 통정대부에 올랐다. 본디 벼슬에 뜻이 없었던 그는 혼미를 거듭하는 조정에 회의를 느껴 고향에 돌아가 형제간의 우애를 돈독히 하며 지냈다. 사람들이 그 집을 효우려(孝友廬)라고 불렀다.
안빈낙도하며 금서(琴書)를 즐겼다.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올랐으며 80세에 죽었다. 이조판서에 추증되고, 도산서원(道山書院)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의민(義敏)이다.

[참고문헌]

純祖實錄   雙忠錄
 

" 壬辰倭亂 때 義兵將인 崔均(1537~1616)·崔堈(1559~1614) 형제의 글을 모아 엮은 문집. 崔均의 후손 祥甲이 1823년(純祖 23) 편집, 道山書院에서 간행했다. 蘇湖 崔均의 字는 汝平, 본관은 全州. 壬辰倭亂이 일어나자 동생 堈과 함께 義兵을 일으키고 風雲將이라 자칭하였다. 그는 周易·천문·지리에 통달했다. 固城·泗川 등지에서 많은 전공을 세워 守門將에 인명되었으나 취임하지 않았다. 丁酉再亂때도 동생과 함께 무공을 세워 通政大夫에 올랐고 1605년에는 濟州道 앞바다에 출몰하는 倭寇를 火攻으로 무찔렀다. 1624년 李适의 亂 때도 戰功을 세웠다. 만년에 嘉善大夫에 승진. 吏曹判書에 追贈, 固城의 道山祠에 祭享, 謚號는 義敏. 蘇溪 崔堈의 字는 汝堅, 본관은 全州, 1585년 武科에 합격,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형 均과 함께 固城에서 義兵을 일으켜 晋州·鎭海 등지에서 공을 세워 五衛都摠府 經歷이 되고 1605년 加里浦僉節制使에 승진, 火攻法으로 倭敵을 무찔러 順天府使에 올랐다. 1606년 慶尙左道水軍節度使, 五衛都摠府副摠管, 光海君때 忠淸道水軍節度使에 임명되었으나 정치의 혼란으로 벼슬을 버리고 은퇴했다. 그뒤 捕盜大將에 임명되었으나 병을 이유로 사퇴했다. 兵曹判書에 追贈, 固城의 道山祠에 祭享, 諡號는 義肅. 책 첫머리에 柳尋春의 序가 있다. {권1}:世系(1世~20世), 詩 9수(次姜白川相思詞·亂定後歸故庄 등), 書 9편(答姜白川·與姜松窩 등), 實記(蘇湖公實記 ·蘇溪公實記). {권2}:龍蛇倡義事蹟·濟州勝戰事蹟·遺事(蘇湖公遺事·蘇溪公遺事)·補遺(本縣邑誌·趙公慶男山西雜錄·徐藥峯濱答姜白川書 ·李忠武公舜臣與姜白川書·察訪公答姜松窩書) 등. {권3}:敎加里浦僉使崔堈書·行狀·狀後識·碣銘·姜松窩贈蘇湖公詩·輓詞·道山祠奉安文·常享祝文. {권4}:祠宇上樑文·道內士林呈營請褒狀·本邑士林呈繡衣金學淳請褒狀·請贈時道內士林上言·本孫請贈上言·啓目 ·禮曹下本道關草·敎旨 등.<龍蛇倡義事蹟>은 倭寇가 釜山을 침입, 僉使 鄭撥과 東萊府使 宋象賢이 戰死하는 장면으로 부터 崔堈이 崔均과 함께 義兵을 일으켜 倭寇와 싸우는 내용을 수록한 것이다. 여기에는 1597년 日本이 재차 침입(丁酉再亂)할때 義兵을 다시 일으켜 적을 무찌른 내용도 들어 있다. <濟州勝戰事蹟>은 崔堈이 加里浦僉節制使로 있던 1605년 濟州 앞바다에 침입해온 日本海賊을 형 均과 함께 火攻法을 써서 무찌른 내용이다. 이때 均의 나이는 70이었다. <李忠武公與姜白川書>는 崔均·崔堈 형제의 義兵이 남쪽바다에 있는 倭兵을 무찌른 것을 기뻐해서 보낸 글이다. 壬亂 및 義兵史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

 

고종 8년 신미(1871, 동치 10)
  3월16일 (병오)
 이비의 관원 현황
○ 정사가 있었다. 이비(吏批)에, 행 판서 이승보(李承輔)는 패초에 나오지 않았고, 참판 임한수(林翰洙)와 참의 오준영(吳俊泳)은 나왔다.
고 판돈녕부사 이병상(李秉常)을 문청(文淸)으로, 고 이조 판서 윤치정(尹致定)을 문청(文淸)으로, 고 이조 판서 변치명(邊致明)을 효헌(孝憲)으로, 증 이조판서 김유형(金有亨)을 의민(義愍)으로, 고 평원군(平原君) 이림(李琳)을 정헌(定憲)으로, ㅇ증 공조판서 박동명(朴東命)을 충경(忠景)으로, 증 이조판서 임훈(林薰)을 효간(孝簡)으로, 증 좌찬성 김동헌(金東獻)을 효정(孝貞)으로, 증 좌찬성 이채(李采)를 문경(文敬)으로, 고 보문각 직제학(寶文閣直提學) 성사제(成思齊)를 정절(貞節)로, 고 지중추부사 임홍망(任弘望)을 효정(孝貞)으로, 고 이조 판서 박기수(朴紀壽)를 효문(孝文)으로, 고 이조 판서 박승휘(朴承輝)를 문정(文貞)으로, 증 영의정 이준(李準)을 숙헌(肅憲)으로, 고 이조 판서 이경증(李景曾)을 효정(孝貞)으로, 고 우참찬 정익하(鄭益河)를 충헌(忠憲)으로, 고 계성군(桂城君) 이순(李恂)을 희정(僖靖)으로, 고 금원군(錦原君) 이령(李岭)을 효문(孝文)으로, 고 영의정 강순(康純)을 장민(莊愍)으로, 증 병조판서 최희량(崔希亮)을 무숙(武肅)으로, 고 예조 판서 성수묵(成遂默)을 효헌(孝憲)으로, 증 이조판서 이민환(李民寏)을 충간(忠簡)으로, 고 형조 판서 이윤성(李潤成)을 효숙(孝肅)으로, 고 양원군(楊原君) 이희(李憘)를 정혜(貞惠)로, 고 봉화백(奉化伯) 정도전(鄭道傳)을 문헌(文獻)으로, 증 병조판서 송덕영(宋德榮)을 충장(忠莊)으로, 증 이조판서 겸 좨주 임성주(任聖周)를 문경(文敬)으로, 증 영의정 박신규(朴信圭)를 청숙(淸肅)으로, 증 병조판서 채이장(蔡以章)을 충정(忠貞)으로, 증 영의정 심호(沈浩)를 효숙(孝肅)으로, 고 좌참찬 이성규(李聖圭)를 효정(孝貞)으로, 고 우의정 임백경(任百經)을 문정(文貞)으로, 증 이조판서 윤심형(尹心衡)을 청헌(淸獻)으로, 증 좌참찬 안정복(安鼎福)을 문숙(文肅)으로, 증 이조판서 최균(崔均)을 의민(義敏)으로, 증 좌찬성 배흥립(裵興立)을 효숙(孝肅)으로, 증 이조판서 겸 좨주 김숙자(金淑滋)를 문강(文康)으로, 고 우참찬 김경선(金景善)을 정문(貞文)으로, 증 좌찬성 최현(崔俔)을 정간(定簡)으로, 증 병조판서 유응수(柳應秀)를 충장(忠壯)으로, 고 견성군(甄城君) 이돈(李惇)을 경민(景愍)으로, 고 봉안군(鳳安君) 이봉(李㦀)을 정민(貞愍)으로 고 우의정 이지연(李止淵)을 문익(文翼)으로, 고 경창군(慶昌君) 이산(李珊)을 효헌(孝獻)으로, 고 주계군(朱溪君) 이심원(李深源)을 문충(文忠)으로, 고 우찬성 강시영(姜是永)을 문헌(文憲)으로, 증 영의정 이시원(李是遠)을 충정(忠貞)으로, 증 이조판서 이로(李魯)를 정의(貞義)로, 고 사신군(思信君)을 충헌(忠獻)으로, 고 복성군(福城君) 이미(李嵋)를 정민(貞愍)으로, 증 호조판서 홍림(洪霖)을 충강(忠剛)으로, 고 선성군(宣城君) 이무생(李茂生)을 양정(良靖)으로, 고 진안위(晉安尉) 유유(柳頔)를 효숙(孝肅)으로, 고 임성군(任城君) 이호생(李好生)을 정혜(靖惠)로, 고 무산군(茂山君) 이종(李悰)을 효정(孝貞)으로, 고 완성군(完城君) 이천계(李天桂)를 효민(孝愍)으로, 고 종의군(從義君) 이귀생(李貴生)을 공안(恭安)으로, 증 호조판서 정옥량(鄭玉良)을 효정(孝貞)으로, 고 창원군(昌原君) 이성(李晟)을 장소(章昭)로, 고 지돈녕부사 신명순(申命淳)을 정무(貞武)로, 고 지중추부사 이산두(李山斗)를 청헌(淸憲)으로, 증 이조판서 이준(李埈)을 문간(文簡)으로, 고 병조 판서 박계손(朴季孫)을 정절(貞節)로, 고 호조 전서(戶曹典書) 채귀하(蔡貴河)를 정의(貞義)로, 증 이조판서 박심문(朴審問)을 충정(忠貞)으로, 고 전성군(全城君) 이변(李忭)을 숙민(肅愍)으로, 고 영명위(永明尉) 홍현주(洪顯周)를 효간(孝簡)으로, 고 흥안군(興安君) 이제(李瑅)를 효희(孝僖)로, 고 경선군(慶善君) 이백(李伯)을 효헌(孝憲)으로, 고 우의정 이서구(李書九)를 문간(文簡)으로, 증 좌찬성 송국택(宋國澤)을 효정(孝貞)으로, 증 영의정 이원정(李元禎)을 문익(文翼)으로, 증 이조판서 김익복(金益福)을 충경(忠景)으로, 고 경명군(景明君) 이침(李忱)을 정민(貞敏)으로, 증 이조판서 이제두(李齊杜)를 효헌(孝憲)으로, 증 이조판서 김회련(金懷鍊)을 충민(忠敏)으로, 증 이조판서 김익훈(金益勳)을 충헌(忠獻)으로, 증 이조판서 이홍무(李弘茂)를 충숙(忠肅)으로 , 고 형조 판서 조용화(趙容和)를 문헌(文憲)으로, 고 신성군(信城君) 이우(李珝)를 충정(忠貞)으로, 고 해운군(海運君) 이연(李璉)을 효안(孝安)으로, 증 판돈녕부사 박진영(朴震英)을 무숙(武肅)으로, 고 호조 판서 이목연(李穆淵)을 문정(文貞)으로, 고 영의정 유전(柳琠)을 문정(文貞)으로, 증 이조판서 송희규(宋希奎)를 충숙(忠肅)으로, 고 예조 판서 서기순(徐箕淳)을 문청(文淸)으로, 고 회산군(檜山君) 이염(李恬)을 정간(貞簡)으로, 고 경평군(慶平君) 이륵(李玏)을 정간(貞簡)으로, 고 용성대군(龍城大君) 이곤(李滾)을 장의(章懿)로, 고 임해군(臨海君) 이진(李珒)을 정민(貞愍)으로, 고 지사 강유(姜游)를 효헌(孝憲)으로, 고 이조판서 겸 좨주 이현일(李玄逸)을 문경(文敬)으로, 고 은전군(恩全君) 이찬(李襸)을 효민(孝愍)으로, 고 은언군(恩彦君) 이인(李裀)을 충정(忠貞)으로 시호를 정하였다.
박유현(朴有鉉)을 송라 찰방(松蘿察訪)으로 삼았다. 교서관 저작에 김창륜(金昌倫)을 단부하고, 정자에 백선행(白璿行)을 단부하고, 부정자에 옥경련(玉景鍊)을 단부하고, 기로소 수직관에 이기조(李基肇)를 단부하고, 검서관에 이상집(李象集)을 단부하고, 영해 부사(寧海府使)에 이정필(李正弼)을 단부하고, 영해부 안핵사에 박제관(朴齊寬)을 단부하였다. 좌승지 이만운(李晩運)에게 지금 가선대부를 가자하였는데, 이는 특별히 가자라하는 전지를 받든 것이다. 전 가감역관 이면응(李冕應)은 나이가 70세여서 지금 통정대부를 초자하였는데, 이는 시종신인 수찬 이재만(李載晩)의 아비로 가자하라는 전지를 받든 것이다.
고 부사(府使) 이빈(李彬)에게 좌찬성과 그에 따른 예겸을 추증하고, 고 동지 이장한(李章漢)에게 병조 참판과 그에 따른 예겸을 추증하였는데, 이상은 형조 판서 이용상(李容象)의 2대이다. 고 학생 변취형(邊就衡)과 안광조(安光祚)에게 동몽교관을 추증하였는데, 이는 효행이 특이한 자를 추증하라는 전지를 받든 것이다. 고 승지 권문해(權文海)에게 이조 판서와 그에 따른 예겸을 추증하였는데, 이는 학행(學行)이 특이한 자를 추증하라는 전지를 받든 것이다. 고 직장 현의준(玄儀俊)에게 호조 참판과 그에 따른 예겸을 추증하였는데, 그는 오위장 현응호(玄膺祜)의 아비이다. 고 학생 이완영(李完榮)에게 공조 참판과 그에 따른 예겸을 추증하고, 이집홍(李集弘)에게 공조 참의를 추증하고, 이승원(李升源)에게 군자감 정을 추증하였는데, 이상은 창덕궁 위장 이규신(李圭信)의 3대이다.

유  적 명 : 최균 묘 (崔均墓)
주      소 : 경상남도 고성군 회화면 당항리
지정사항 : <지정사항 없음>
시      대 : 조선
종      류 : 고분 묘
참고사항 : 문화재관리국, 1977, <<문화유적총람>>

최강(崔堈)의 형 최균(崔均)의 묘소로서 최균은 호를 소호(蘇湖)라 고 했다. 천문지리(天文地理)에 통달하여 풍운대(風雲臺)라고 했다. 수문장(守門將)에 임명되었고 1624년에는 이괄의 난을 평정하는데도 공을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