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세 휘 덕지 등 83

장수 현감 최득지가 사조하니 인견하다 (세종 7년 을사(1425,홍희 1)

세종 7년 을사(1425,홍희 1) 12월28일 (계사) 창원 부사 장우인·장수 현감 최득지가 사조하니 인견하다 창원 부사(昌原府使) 장우인(張友人)·장수 현감(長水縣監) 최득지(崔得之)가 사조(辭朝)하니, 임금이 인견하고 말하기를, “수령은 나가서 백 리의 땅을 맡아 다스리며 한 고을을 전단(專斷)하는 것이..

연촌공 영암 나주 시제 상황 및 선영 사진 (스크랩)

영암 시제 영상 물(음력 십월 십일-십이일 ) 2일 시제를 모심니다 영암군 신북면 용산리 척동 전주최씨 제실 가는 안내 표지석 입구를 알림 제실 영암군 신북면 용산리 척동 전주최씨 제실 서예 대가 김충현 영모제 현판 제실 전경 제실 관리사 평양 조씨 할머니 묘소 연촌 할머니 묘소 앞 비문 문성공 6..

연촌 최 선생의 집에 전하는 시문록 뒤에 쓴 글[煙村崔先生家傳詩文錄後叙]

택당선생집(澤堂先生集) 제9권 서(序) 연촌 최 선생의 집에 전하는 시문록 뒤에 쓴 글[煙村崔先生家傳詩文錄後叙] 옛날 경태(景泰 1449~1456) 연간에 아조(我朝)에 덕이 순일하고 절조(節操)가 드높았던 정학지사(正學之士)가 있었으니, 연촌(煙村) 최 선생이 바로 그분으로서 이름을 덕지(德之)라 하였다. ..

연촌(煙村) 최 선생(崔先生)의 유사 발(遺事跋 (우암 송시열)

송자대전(宋子大全) 제148권 발(跋) 연촌(煙村) 최 선생(崔先生)의 유사 발(遺事跋) 한 문공(韓文公 문은 한유(韓愈)의 시호)의 송양소윤서(送楊少尹序)에 ‘승상(丞相)이 시(詩)를 노래하니, 서울의 시를 잘하는 자가 이에 화답한다.’ 하였으니, 그때에 시가 매우 성행하였던 것으로 생각되나, 장문창(張..

해동잡록 1 본조(本朝 최덕지(崔德之 (전주최씨 문성공 5세손) 19대조고

해동잡록 1 본조(本朝) 최덕지(崔德之) ○ 본관은 전주(全州)로서 스스로 존양당(存養堂)이라고 호했다. 우리 태종(太宗) 때 급제하고, 여러 차례 주(州)ㆍ군(郡)의 수령을 맡아 왔는데, 모두 치적을 남겼다. 세종조(世宗朝)에 벼슬이 집현전 직제학(集賢殿直提學)에 이르렀고, 시에 이름이 ..

문종 1년 신미(1451,경태 2) 10월29일 (갑오) 예문관 직제학 최덕지 사직

문종 1년 신미(1451,경태 2) 10월29일 (갑오) 예문관 직제학 최덕지가 사직하고 물러나다 예문관 직제학(藝文館直提學) 최덕지(崔德之)가 늙었다고 고(告)하고, 전리(田里)에 돌아가기를 원하니, 임금이 도승지(都承旨) 이계전(李季甸)에게 말하기를, “지난번 윤대(輪對)에서 최덕지와 말을 해 보니, 사람..

전주최문 문성공파 5세손 휘 덕지 (연촌선생) 존영 (자랑스런 선조님)

최덕지 (전주최씨 문성공 휘 아 고려문화시중 5세손 전주최씨 연촌공파 파조 諱 德之 본문내용 최덕지 선생은 고려 우왕 10년(1384)에 출생하여 조선조 원년(1456)에 서거한이로 호는 연촌(烟村) 또는 존양당(存養堂)이다. 태종 5년(1405)에 무년 문과에 급제한 후 사관이 되었다. 1409년 교서관 정자에 이어 ..

삼기정의 창건자는 최득지요, 명명자는 하연임 (펌)

삼기정 ㆍ소 재 지 : 전북 완주군 고산면 삼기리 삼기정의 창건자는 최득지요, 명명자는 하연임을 알 수 있다. 하연이 관내를 순시하는 도중 고산읍에 들렀다가 소풍을 나간 곳이 삼기리였다. 그는 이 곳의 냇물, 돌, 소나무의 어울리는 경치에 마음이 쏠려 삼기라 이름지어 송판에 글씨를 써 주었으니 ..

양촌선생문집 제20권에 기록된 휘 득지 관련기록 등 (펌)

陽村先生文集卷之二十 序類 贈朴淸道廬墓詩序 007_207a 校書郞崔直之以其外大父朴君臨絶遺子詩一絶示予曰。吾外祖早入大學。補經德齋。學旣通。應擧不第。退而不求仕。家于完山。嘉遯自樂。不惑於佛神妖誕之說。篤信斯道之正。年至八十。康強無恙。有男曰晉。中進士。仕內侍。出宰淸道。女..